KR200490632Y1 - 키오스크 - Google Patents

키오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632Y1
KR200490632Y1 KR2020180001444U KR20180001444U KR200490632Y1 KR 200490632 Y1 KR200490632 Y1 KR 200490632Y1 KR 2020180001444 U KR2020180001444 U KR 2020180001444U KR 20180001444 U KR20180001444 U KR 20180001444U KR 200490632 Y1 KR200490632 Y1 KR 2004906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kiosk
door
coupling part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4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544U (ko
Inventor
천태진
Original Assignee
(주)에어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어포스 filed Critical (주)에어포스
Priority to KR20201800014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632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5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5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6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6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오스크로서, 터치스크린 방식을 통해 정보 전달 서비스 및 데이터를 출력하는 시스템으로 구축된 무인단말기기로, 상부 본체가 하부 본체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구성품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키오스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키오스크{KIOSK}
본 고안은 키오스크로서, 터치스크린 방식을 통해 정보 전달 서비스 및 데이터를 출력하는 시스템으로 구축된 무인 단말기기로, 많은 사람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공공장소에 주로 설치되는 키오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오스크는 정보 서비스와 제반 업무의 무인 자동화를 위하여 공공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키오스크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터치를 통해 키오스크에 본인이 원하는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키오스크로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3643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경우, 케이스, 디스플레이부, 처방전 투입부, 처방전 촬영부, 제어부로 구성된다.
특허문헌 1은 케이스의 상단의 제1경사면 및 하단의 제2경사면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1경사면은 제2경사면보다 길 수 있으며, 제2경사면은 케이스의 지지 균형을 맞추기 위해, 제1경사면의 각도에 대응되는 일정 각도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특허문헌 1은 사용자가 처방전 사진 찍기 항목을 선택하면, 처방전 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처방전이 처방전 촬영부에 의해 촬영되고, 처방전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처방전 정보가 생성되어 미리보기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최근 키오스크는 관광지, 병원, 터미널, 식당 등와 같은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터치하면, 그에 상응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키오스크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터치하는 방식이므로,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키오스크는 주로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일체형 형상으로 공공장소에 설치되는데, 이는 키오스크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구성품의 교체를 어렵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나, 영수증 발급구 등과 같은 구성품의 고장으로 교체가 필요할 경우, 키오스크의 일체형 형상으로 인해 키오스크를 분해하여 구성품을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키오스크의 분해가 어려울 경우에는 키오스크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키오스크는 외력 등으로 인해 키오스크에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일체형 형상으로 인해 키오스크 전체가 흔들리면서 넘어가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실외에 위치한 관광지나 터미널에서 이와 같은 안전 사고가 발생하면, 실내에 비해 주변에 버스 및 다량의 유동인구와 같은 더 많은 위험 요소가 존재하므로, 단순히 키오스크의 넘어짐으로 인한 기기고장 사고가 아닌 인명사고까지 유발할 수 있다.
종래의 키오스크는 키오스크가 넘어지면서 사람을 덮치게 되면, 키오스크의 분해되지 않는 일체형 형상으로 인해 키오스크 전체를 들어올려야지만 사고를 대처할 수 있다. 그런데, 사고 발생시 키오크스를 들어올릴 수 있는 여건이 되지 않는다면, 키오스크를 분리함으로써 그 무게를 줄여 사고에 대처해야 하는데, 일체형 형상의 경우, 키오스크를 분리할 수 없어 빠른 대처가 어려워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3643호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부 본체가 하부 본체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구성품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상, 하부 본체를 분리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빠른 대처가 가능하게 하는 키오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특징에 따른 키오스크는 디스플레이부와 제1결합부;가 구비된 상부 본체; 및 상기 상부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며, 지폐 투입구, 카드 리더기, NFC리더기, 바코드 리더기, 화폐 및 영수증 배출구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구비되는 하부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본체가 상기 하부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상부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전면부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전면돌출부; 및 상기 몸체의 후면부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후면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상부 본체를 지지하는 상면, 상기 제1결합부의 전면돌출부에 대향되는 제1결합면; 및 상기 제1결합부의 후면돌출부에 대향되는 제2결합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결합부의 전면돌출부와 상기 제1결합면을 결합하는 제1고정수단; 및 상기 제1결합부의 후면돌출부와 상기 제2결합면을 결합하는 제2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본체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를 닫으면, 상기 제1결합부의 전면돌출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가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결합부의 몸체에는 제1전선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의 상 상면에는 제2전선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의 제1결합면에는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의 전면돌출부가 삽입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물화상기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작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키오스크는 제1결합부에 제2결합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분리 결합이 간단해져 키오스크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 제1결합부 등과 같은 구성품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의 도어가 하부 본체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닫힌 상태일 경우, 키오스크에 발생한 흔들림으로 인한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결합구조를 만들어줄 수 있다. 또한, 도어는 상부 본체를 받쳐주는 역할을 하면서 키오스크의 넘어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키오스크는 자체적으로 넘어짐 방지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어 키오스크에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쉽게 넘어지지 않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의 정면도.
도 1(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의 우측면도.
도 1(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의 제1, 2결합부 측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의 하부 본체 도어가 열린 상태의 제 1, 2결합부 측을 정면에서 확대하여 도시한 도.
도 4(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의 하부 본체 도어가 열린 상태의 제1, 2결합부 측을 확대하여 좌측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도 4(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의 하부 본체 도어가 열린 닫힌 상태의 제1, 2결합부 측의 개략적인 좌측면도.
도 5(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의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의 결합 전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
도 5(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의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의 결합 후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의 우측면도이고, 도 1(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의 제1, 2결합부 측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의 하부 본체 도어가 열린 상태의 제 1, 2결합부 측을 정면에서 확대하여 도시한 도이고, 도 4(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의 하부 본체 도어가 열린 상태의 제1, 2결합부 측을 확대하여 좌측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의 하부 본체 도어가 열린 닫힌 상태의 제1, 2결합부 측의 개략적인 좌측면도이고, 도 5(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의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의 결합 전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의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의 결합 후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오스크(1)는 디스플레이부(2a)와, 제1결합부(4)가 구비된 상부 본체(2)와, 제2결합부(5)가 구비되는 하부 본체(3), 도어(8), 제1고정수단(6), 제2고정수단(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키오스크(1)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고, 각종 공공시설에 설치되어 행정 절차나 시설물 이용 안내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오스크(1)는 바퀴를 구비한 키오스크 받침대(9)에 설치되어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본 고안에 도시한 키오스크(1)와 달리, 키오스크 받침대(9)를 구비하지 않고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부 본체(2)는 디스플레이부(2a)와 제1결합부(4)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a)는 디스플레이부(2a)가 표시한 정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상부 본체(2)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본체(2)는 상부 본체 커버(2b)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 본체 커버(2b)는 디스플레이부(2a)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부 본체 커버(2b)는 디스플레이부(2a) 전면에 설치되되, 'ㅁ'과 같은 형상으로 일종의 창틀 프레임 커버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디스플레이부(2a)를 보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a)는 상부 본체 커버(2b)로 인해, 상부 본체(2)에 매몰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본체(2)에는 스피커부가 구비되어, 음성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본체(2)는 제1결합부(4)가 구비될 수 있다.
제1결합부(4)는 상부 본체(2)의 하부에 결합되는 몸체(4a)와, 몸체(4a)의 전면부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전면돌출부(4b), 몸체(4a)의 후면부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후면돌출부(4c)로 구비될 수 있다.
제1결합부(4)의 몸체(4a)에는 제1전선 관통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전선 관통구에는 상부 본체(2)와 후술할 하부 본체(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들이 통과될 수 있다.
몸체(4a)와, 전면돌출부(4b), 후면돌출부(4c)로 구비된 제1결합부(4)는 'ㄷ'자 형상을 시계방향으로 90°회전한 형상과 같을 수 있고, 소정의 두께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4)는 상부 본체(2)의 하부에 몸체(4a)가 결합되고, 전면돌출부(4b)와 후면돌출부(4c) 사이에 후술할 하부 본체(3)의 제2결합부(5)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부 본체(2)가 하부 본체(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본체(2)와 제1결합부(4)의 몸체(4a)는 볼트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이 아닌 적합한 고정수단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본체(3)는 상부 본체(2)의 하부에 위치하며, 지폐 투입구(3a), 카드 리더기(3b), NFC 리더기, 바코드 리더기(3c), 화폐 및 영수증 배출구(3d)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NFC 리더기는 하부 본체(3)의 내부에 내장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본체(3)에는 제1결합부(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5)가 구비될 수 있다.
하부 본체(3)에 구비될 수 있는 지폐 투입구(3a), 카드 리더기(3b), NFC 리더기, 바코드 리더기(3c), 화폐 및 영수증 배출구(3d)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가 상부 본체(2)의 디스플레이부(2a)를 보면서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고, 이에 상응하는 지불 수단으로 용이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부 본체(3)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결합부(5)는 상부 본체(2)를 지지하는 상면(5a), 제1결합부(4)의 전면돌출부(4b)에 대향되는 제1결합면(5b), 제1결합부(4)의 후면돌출부(4c)에 대향되는 제2결합면(5c)이 구비될 수 있다.
제2결합부(5)의 상면에는 제2전선 관통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전선관통구에는 상부 본체(2)와 하부 본체(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들이 통과될 수 있다.
제2결합부(5)는 상부 본체(2)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결합부(4)의 몸체(4a)는 상부 본체(2)에 결합되고, 제2결합부(5)의 제1결합면(5b)은 제1결합부(4)의 전면돌출부(4b)와 결합되고, 제2결합부(5)의 제2결합면(5c)은 제1결합부(4)의 후면돌출부(4c)와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결합부(5)는 제1결합부(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결합부(5)는 제1결합부(4)에 삽입되어 제1결합면(5b)과 전면돌출부, 제2결합면(5c)과 후면돌출부가 결합될 수 있고,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결합부(5)의 제1결합면(5b)에는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어 제1결합부(4)의 전면돌출부(4b)가 삽입 안착될 수 있다.
홈은 제1결합부(4)가 제2결합부(5)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일종의 결합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홈은 제1결합부(4)의 전면돌출부(4b)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소정 깊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1결합부(4)와 제2결합부(5)는 제1, 2고정수단(6, 7)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고정수단(6)은 제1결합부(4)의 전면돌출부(4b)와 제1결합면(5b)을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2고정수단(7)은 제1결합부(4)의 전면돌출부(4b)와 제2결합부(5)의 제2결합면(5c)을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고정수단(6)과 제2고정수단(7)으로 인해, 제1결합부(4)와 제2결합부(5)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고, 상부 본체(2)가 하부 본체(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2고정수단(6, 7)은 볼트로 구비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이 상부 본체(2)에 제1결합부(4)를 구비하고, 하부 본체(3)에 제2결합부(5)를 구비함으로써, 하부 본체(3)에 상부 본체(2)가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부 본체(2)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2a)와 같은 구성품 또는 하부 본체(3)에 구비된 구성품이 고장났을 경우, 상부 본체(2) 및 하부 본체(3)를 분리하여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어(8)는 하부 본체(3)에 힌지 결합되어, 열고 닫을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키오스크(1)는 도어(8)를 닫으면, 제1결합부(4)의 전면돌출부(4b)를 노출하지 않고 가릴 수 있다.
도어(8)는 하부 본체(3) 내부에 설치된 각종 연결선 및 NFC 리더기 등의 교체 및 수리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8)가 열린 상태의 하부 본체(3)는 제2결합부(5)가 노출되고, 하부 본체(3)의 내부에 설치된 각종 연결선들이 노출되게 된다.
또한, 도어(8)가 열린 상태의 하부 본체(3)는 제2결합부(5)가 노출되어 있고, 제2결합부(5)에 제1결합부(4)가 결합될 경우, 제2결합부(5)의 제1결합면(5b)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4)의 전면돌출부(4b)가 노출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오스크(1)는 제1결합부(4)에 제2결합부(5)가 결합되어 있고, 상부 본체(2)와 하부 본체(3)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 도어(8)가 열려있는 상태이다.
도어(8)가 열린 상태의 키오스크(1)는 하부 본체(3) 내부에 설치된 각종 연결선들이 노출되어 있고, 제1결합부(4)와 제2결합부(5)는 제1, 2고정수단(6, 7)으로 결합되어 전면돌출부(4b)가 노출된다.
이 경우, 하부 본체(3)는 제1, 2고정수단(6, 7)에 의해 제1, 2결합부(4, 5)가 결합함으로써 결합된 상부 본체(2)를 지지하고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8)가 열린 상태의 키오스크(1)는 하부 본체(3)가 상부 본체(2)를 지지하고 있는 형태이다.
상부 본체(2)는 디스플레이부(2a) 전면에 상부 본체 커버(2b)가 설치됨으로써, 하부 본체(3)보다 두꺼운 두께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8)가 열린 상태의 키오스크(1)는 제1, 2결합부(4, 5)가 결합되어 상부 본체(2)가 하부 본체(3)에 결합된 상태이나, 하부 본체(3)는 상부 본체(2)에 상부 본체 커버(2b)가 설치된 상태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외력으로 인한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상부 본체 커버(2b)를 지지하고 있는 부분이 없어 상부 본체(2)가 하부 본체로부터 비교적 쉽게 분리되어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b)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어(8)를 닫으면, 제1결합부(4)의 전면돌출부(4b)가 노출되지 않도록 가리면서, 하부 본체(3)가 상부 본체(2)를 지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어(8)는 상부 본체 커버(2b)와 동일한 두께 또는 상부 본체 커버(2b)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도어(8)가 닫힌 상태가 되었을 경우, 상부 본체(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일 수 있다.
도어(8)는 닫힌 상태가 되면, 제1결합부(4)의 전면돌출부(4b)와 제2결합부(5)의 제1결합면(5b)의 결합력을 더욱 높여줄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8)는 닫힌 상태가 되면, 제1결합부(4)의 전면돌출부(4b)를 가리면서 전면돌출부(4b)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제1고정수단(6)의 외측도 가릴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제2결합부(5)의 제1결합면(5b)과 도어(8) 사이에 제1결합부(4)의 전면돌출부(4b)가 위치하는 형상이 되면서, 제2결합부(5)의 제1결합면(5b)과 도어(8)가 전면돌출부(4b) 양측을 지지하여 결합력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도어(8)가 닫힌 상태의 키오스크(1)는 키오스크(1)에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높은 결합력으로 하부 본체(3)로부터 상부 본체(2)가 분리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어(8)에는 전면돌출부(4b)와 접촉되는 면에 볼트와 같은 제1고정수단(6)을 체결고정하는 너트를 클램핑(clamping)할 수 있는 클램핑부가 구비될 수 있다.
클램핑부는 너트를 용이하게 클램핑 할 수 있는 폭 및 길이를 가진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어(8)가 닫힌 상태가 되면, 제1고정수단(6)의 너트가 클램핑부로 삽입되면서, 제1고정수단(6)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고정수단(6)의 결합이 풀림으로써 상, 하부 본체(2, 3)의 결합이 분해되어 발생하는 전복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어(8)는 클램핑부를 구비하여 제1고정수단(6)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일종의 클램핑 척(clamping jaw)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닫힌 상태의 도어(8) 상부와 상부 본체 커버(2b) 하부 사이에는 소정의 거리로 틈새가 생길 수 있다.
틈새는 본 고안의 제1결합부(4)의 두께만큼 생길 수 있다.
본 고안의 제1결합부(4)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형성되므로, 제1결합부(4)와 제2결합부(5)가 결합되면서 상부 본체(2)가 하부 본체(3)에 결합되고, 도어(8)가 닫히면, 닫힌 상태의 도어(8) 상부와 상부 본체 커버(2b) 하부 사이에 제1결합부(4)의 두께만큼의 틈새가 생기게 된다.
도어(8)는 용이한 열고 닫음과 상부 본체 커버(2b)의 하부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 본체 커버(2b) 하부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하부 본체(3)에 결합되어야 하는데, 제1결합부(4)로 인해 별도의 소정 거리를 두고 결합하지 않아도 틈새가 생길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틈새가 제1결합부(4)의 두께만큼 생길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틈새는 도어(8)의 용이한 여닫음과 상부 본체 커버(2b)의 하부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거리만큼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틈새로 인해, 닫힌 상태의 도어(8)는 키오스크(1)에 흔들림이 발생하여 상부 본체(2)가 흔들릴 경우, 상부 본체 커버(2b)의 하부가 도어(8)의 상부 측으로 맞닿으면서 흔들리는 상부 본체(2)의 받침 기능을 하여 키오스크(1)의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키오스크(1)에 흔들림이 발생하여 상부 본체(2)가 흔들릴 경우, 상부 본체(2)는 틈새로 인해 상부 본체 커버(2b)의 하부가 도어(8)의 상부와 맞닿게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어(8)의 상부가, 흔들리는 상부 본체(2)의 받침 기능을 하여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어(8)는 전면돌출부(4b)를 지지하여 제1결합면(5b)과 전면돌출부(4b)의 결합력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부 본체(3)로부터 상부 본체(2)가 분리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키오스크(1)의 1차적인 넘어짐 방지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8)는 틈새로 인해 도어(8)의 상부에 상부 본체 커버(2b)의 하부가 맞닿으면서 상부 본체(2)의 받침 기능을 할 수 있으므로, 키오스크(1)의 2차적인 넘어짐 방지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키오스크(1)는 도어(8)를 통해 자체적으로 넘어짐 방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상부 본체(2)와 하부 본체(3)가 분리 결합되지 않는 일체형 형상의 키오스크는 키오스크에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흔들림으로 인한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결합구조가 없으므로 키오스크가 쉽게 넘어지게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키오스크(1)는 도어(8)로 인해, 자체적인 넘어짐 방지 역할을 할 수 있는 결합구조가 존재하게 되고, 이를 통해 키오스크(1)의 넘어짐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키오스크(1)는 제1결합부(4)에 제2결합부(5)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부 본체(2)와 하부 본체(3)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분리 결합이 간단해져 키오스크(1)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2a), 제1결합부(4) 등과 같은 구성품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1)의 도어(8)가 하부 본체(3)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닫힌 상태일 경우, 키오스크(1)에 발생한 흔들림으로 인한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결합구조를 만들어줄 수 있다. 또한, 도어(8)는 상부 본체(2)를 받쳐주는 역할을 하면서 키오스크(1)의 넘어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키오스크(1)는 자체적으로 넘어짐 방지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어 키오스크(1)에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쉽게 넘어지지 않게 될 수 있다.
1: 키오스크 2: 상부 본체
2a: 디스플레이부 2b: 상부 본체 커버
3: 하부 본체 3a: 지폐 투입구
3b: 카드 리더기 3c: 바코드 리더기
3d: 화폐 및 영수증 배출구 4: 제1결합부
4a: 몸체 4b: 전면돌출부
4c: 후면돌출부 5: 제2결합부
5a: 상면 5b: 제1결합면
5c: 제2결합면 6: 제1고정수단
7: 제2고정수단 8: 도어
9: 키오스크 받침대

Claims (5)

  1. 수직 방향의 길이보다 좌우 방향의 길이가 작고, 상기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전후 방향의 길이가 작은 상부 본체;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본체의 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상부 본체의 하부에 구비된 제1결합부;
    상기 상부 본체와 분리되어 구비되며, 상기 상부 본체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본체;
    상기 하부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며, 지폐 투입구, 카드 리더기, NFC 리더기, 바코드 리더기, 화폐 및 영수증 배출구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하부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결합부에 상하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가 결합하여 형성한 접촉면은 상기 상부 본체를 지지하기 위한 수평한 부분과, 전후 방향으로 상기 상부 본체의 전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평한 부분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대향하게 형성된 2개의 수직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을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2개의 수직한 부분 중 전방의 수직한 부분을 통과하는 제1고정수단과, 상기 2개의 수직한 부분 중 후방의 수직한 부분을 통과하는 제2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상부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전면부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전면돌출부; 및
    상기 몸체의 후면부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후면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상부 몸체를 지지하는 상면;
    상기 제1결합부의 전면돌출부에 대향되는 제1결합면; 및
    상기 제1결합부의 후면돌출부에 대향되는 제2결합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결합부의 전면돌출부와 상기 제1결합면을 결합하는 상기 제1고정수단; 및 상기 제1결합부의 후면돌출부와 상기 제2결합면을 결합하는 상기 제2고정수단;을 구비하는 키오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본체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를 닫으면, 상기 제1결합부의 전면돌출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가릴 수 있는 키오스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의 몸체에는 제1전선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의 상면에는 제2전선 관통구가 형성되는 키오스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의 제1결합면에는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의 전면돌출부가 삽입 안착되는 키오스크.
KR2020180001444U 2018-04-02 2018-04-02 키오스크 KR2004906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444U KR200490632Y1 (ko) 2018-04-02 2018-04-02 키오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444U KR200490632Y1 (ko) 2018-04-02 2018-04-02 키오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544U KR20190002544U (ko) 2019-10-14
KR200490632Y1 true KR200490632Y1 (ko) 2019-12-10

Family

ID=68164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444U KR200490632Y1 (ko) 2018-04-02 2018-04-02 키오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6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858A (ko) 2020-01-07 2021-07-15 장주은 트리플 스크린 키오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453Y1 (ko) 2020-01-02 2020-04-09 하나시스 주식회사 키오스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6075A (ja) * 1998-04-30 2000-02-02 Ncr Internatl Inc 設置台に表示モニタを位置付けするための傾斜機構を具備するリテ―ル・タ―ミナ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8520A (ko) * 2010-06-21 2011-12-28 주식회사 한네트 모듈형 자동발매기
KR20140122924A (ko) * 2013-04-11 2014-10-21 주식회사 씨케이그루브 디지털 키오스크의 수납구조
KR200483643Y1 (ko) 2015-11-13 2017-06-12 (주)가온솔루션 처방전 전송 키오스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6075A (ja) * 1998-04-30 2000-02-02 Ncr Internatl Inc 設置台に表示モニタを位置付けするための傾斜機構を具備するリテ―ル・タ―ミナ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858A (ko) 2020-01-07 2021-07-15 장주은 트리플 스크린 키오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544U (ko) 201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0632Y1 (ko) 키오스크
CN101188029B (zh) 纸币出入款装置及纸币出入款装置控制方法
US2002002459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uter-aided telecommunication and financial transactions
CN103226301B (zh) 成像设备
KR102238152B1 (ko) 카메라 장치
US20160021769A1 (en) Display apparatus
CN109613688A (zh) 虚拟显示装置
JP6340835B2 (ja) 画像形成装置
CN103906883B (zh) 多角度屋架束缚装置及方法
CN105293259B (zh) 电梯的轿厢
JP3820286B2 (ja) 券硬貨分離装置
KR101666677B1 (ko) 광학 모듈의 자세 조정 장치
EP1654960A1 (en) Seat with a fold-up seat portion, in particular for sports facilities, and relative assembly method
CN209607330U (zh) 双面智能led终端机
JP2006223589A (ja) ゲーム筐体
CN205566456U (zh) 新闻传播用提词器
CN212846623U (zh) 立式人证核验一体机
KR102358237B1 (ko) 제품 제조 기능을 수행하는 카페 시스템
JP4576182B2 (ja) カード真贋判定用ビューワ
JP3976613B2 (ja) エレベータ停止階のフロア案内システム
JP2001146374A (ja) カウンターウエイト
JP2005293442A (ja) 電子機器
WO2022158239A1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343431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制御プログラム
JP6579672B2 (ja) 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