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453Y1 - 키오스크 - Google Patents

키오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453Y1
KR200491453Y1 KR2020200000011U KR20200000011U KR200491453Y1 KR 200491453 Y1 KR200491453 Y1 KR 200491453Y1 KR 2020200000011 U KR2020200000011 U KR 2020200000011U KR 20200000011 U KR20200000011 U KR 20200000011U KR 200491453 Y1 KR200491453 Y1 KR 2004914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full cover
kiosk
touch devi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0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혁준
Original Assignee
하나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나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000000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4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4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4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키오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분리하우징부와, 분리하우징부에 삽입 설치되는 풀커버터치장치를 포함하고, 풀커버터치장치는 분리하우징부의 전면에 설치되며 일체로 형성되는 투명기판으로서, 하부영역에 제1관통홀, 제2관통홀 및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를 갖는 풀커버보호기판 및 풀커버보호기판 배면에 접착 구비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키오스크는 분리하우징부를 좌우로 벌린 상태에서 풀커버터치장치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체결하므로 향후 터치패널이 고장날 경우 결속부재를 해체하고 분리하우징부를 분리한 후 풀커버터치장치를 제거한 후 새로운 풀커버터치장치를 삽입하고 다시 결속부재를 체결하면 되므로 교체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키오스크{KIOSK}
본 고안은 키오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터치 유리 교체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키오스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상승하는 인건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패스트 푸드점을 비롯한 상점에서는 키오스크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키오스크는 적은 면적 및 부피를 차지하기 때문에 작은 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키오스크가 설치된 매장에서는 고객이 점원과 대면하여 주문을 하지 못하므로 전자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어느 정도 불편을 주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 폰 등에 익숙한 대다수 연령대는 점원과 대면하여 주문하는 것보다 키오스크(기계)를 통해서 주문하는 것에 거부감이 없고 심지어 더 편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다수 키오스크에서는 터치장치를 입력장치로 사용한다. 터치장치는 키오스크 전면에 설치되며 통상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기판에 투명한 터치전극이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키오스크를 구성하는 전자(전기) 부품 중에서 사용 중 가장 많은 문제를 일으키는 것이 터치장치이다. 이는 터치장치를 심하게 다루는 일부 고객에 의해 불량이 발생하거나 또는 실외에 설치된 키오스크의 경우 외부 날씨 변화에 노출되다보니 온도차로 인해서 불량이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키오스크에서 터치장치 불량이 발생할 경우 이를 교체하여야 하는데 키오스크로부터 고장난 터치장치만을 분리하여 교체하는 것은 쉽지 않다. 도 1은 터치장치를 갖는 종래 키오스크 사시도이다. 키오스크는 통상적으로 내부에 전자 및 전기 모듈을 실장하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는 하우징부(100)와 하우징부(100)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250)로 구성된다. 하우징부 전면(前面)에는 상부에 터치장치(200)가 구비되며 하부에 인터페이스패널(300)이 설치된다. 터치장치(200)는 최전방에 보호기판(220)이 구비되고, 보호기판(220) 내면에 터치패널(210)이 부착되는 구성을 갖는다. 인터페이스패널(300)에는 두 개의 관통홀(제1관통홀, 제2관통홀)과 한 개의 윈도우가 형성된다. 하우징부(100) 내부에 실장되는 신용카드결제부(30)의 전면(前面)이 제1관통홀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영수증을 출력하기 위한 프린터(40)의 일면이 제2관통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한 개의 윈도우(20)는 하우징부(100) 내측에 설치되는 바코드 리더기(스캐너)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투명창이다. 인터페이스패널(300) 외부에서 바코드가 구비된 상품을 윈도우(20) 가까이 가져와서 접촉 또는 비접촉으로 바코드 스캔을 통해서 바코드 결제를 유도하게 된다. 잉여 신용카드결제부(30)에는 전자칩을 구비하는 신용카드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슬롯(31) 및 마그네틱 방식 신용카드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홈(33)이 구비된다.
도 2는 도 1에 제시된 종래 키오스크에서 터치장치(200)가 하우징부(100)에 결합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 및 터치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에서는 하우징부(100)에 터치장치(200)가 결합되는 방식 위주로 설명하기 위하여 터치장치(200)를 제외한 나머지 부품은 도시하지 않았으며, 인터페이스패널도 끼워지기 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서 참조기호 300'은 인터페이스패널이 끼워지는 하우징부(100)의 위치를 나타낸다. 터치장치(200)가 장착되는 하우징부 내부의 대응 위치에 지지부를 형성하고 지지부 상면을 따라 제1양면접착테이프(510)의 일 면이 접착된다. 제1양면접착테이프(510)의 나머지 접착면에 터치장치(200)를 부착시키면 하우징부(100)에 터치장치(200)의 결합이 완료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장치는 최전방에 배치되는 보호기판(220)과, 보호기판(220)의 배면에 제2양면접착테이프(520)를 이용하여 부착되는 터치패널(210)로 구성된다. 실질적으로 제2양면접착테이프(520)의 두께는 매우 얇으나 도 2(b)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두껍게 도시하였다.
이런 방식으로 제1양면접착테이프를 통해 하우징부에 접착된 키오스크의 경우 터치장치(200)가 고장날 경우 이를 교체하는 작업은 쉽지 않다. 터치장치(200)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하우징부(100)와 터치장치(200) 사이에 부착된 제1양면접착테이프(510)를 제거해야 한다. 그런데 제1양면접착테이프(510)의 접착력이 워낙 강해서 양자는 쉽게 분리되지 않고 분리과정에서 터치장치(200)가 손상되고 심할 경우 하우징부(100)까지 손상이 발생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하우징부(100)를 교체하는 작업은 내부에 실장된 모든 부품을 분리한 후 다시 결합시켜야 하는 것이므로 실질적으로는 키오스크가 설치된 현장에서는 작업이 어려우므로 새로운 키오스크를 대체 공급한 후 고장난 키오스크를 별도의 수리 공간으로 옮긴 후 처리해야 하는 등 번거러움이 있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9-0002544호 (2019.10.14. 공개)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장난 터치장치를 손쉽게 교체 가능한 구조를 갖는 키오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한 면에 상호 연결되는 분리부위를 갖는 분리식으로 결합되는 분리하우징부와, 분리하우징부를 분리한 상태에서 삽입 설치한 후 분리하우징의 분리부위가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함으로써 삽입 설치되는 풀커버터치장치를 포함하고, 풀커버터치장치는 분리하우징부의 전면에 설치되며 일체로 형성되는 기판으로서, 하부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 및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를 갖는 풀커버보호기판과, 풀커버보호기판의 배면에 접착 구비되는 터치패널 및 터치패널과 연결되며 상기 터치패널에 전원을 공급하고 터치패널에서 감지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관통홀 및 윈도우는 상기 터치패널이 형성되는 영역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에 의해서 달성 가능하다.
분리하우징부는 풀커버터치장치의 외곽 테두리를 감싸는 상부테두리부, 제1측면부, 하부테두리부 및 제2측면부를 갖는 하나의 재질로 연이어 형성되며, 상부테두리부 및 하부테두리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테두리부에는 깊이 방향(분리하우징의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분리 형성되는 분리부위를 갖도록 형성한다. 절단부위를 상호 연결하는 결속부재가 더 구비하여 풀커버보호기판이 분리하우징부에 삽입된 후 단단히 고정할 수 있게 구현하였다.
분리하우징부에 풀커버보호기판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부테두리부, 제1측면부, 하부테두리부 및 제2측면부의 제일 전면에서 내측으로 일정한 폭(L1)을 가지며 형성되는 상부지지판 및 상부지지판으로부터 후방으로 풀커버보호기판의 두께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부테두리부, 제1측면부, 하부테두리부 및 제2측면부로부터 내측으로 일정한 폭(L2)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하부지지판을 형성하였다.
절단부위는 하부테두리부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속부재는 절단부위를 사이에 두고 상호 좌우 이격된 위치의 하부테두리부에 설치되는 나사체결홈과, 나사체결홈 사이에 놓여지며 상기 나사체결홈의 대응위치에 관통홀을 갖는 연결판 및 연결판 상부에서 상기 나사체결홈에 체결되는 나사를 포함하도록 구현하였다.
본 고안에 따른 키오스크는 분리하우징부의 분리부위를 좌우로 벌린 상태에서 풀커버터치장치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체결하므로 향후 터치패널이 고장날 경우 결속부재를 해체하고 분리하우징부를 분리한 후 풀커버터치장치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터치장치를 갖는 종래 키오스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제시된 종래 키오스크에서 터치장치가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 및 터치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키오스크에 설치되는 풀커버터치장치의 일 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키오스크에 설치되는 풀커버터치장치의 샘플 이미지.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에서 풀커버터치장치를 분리하우징부에 결합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7은 도 5의 A-A 방향 절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분리하우징부의 제1측면부에 형성된 풀커버보호기판 삽입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5의 C-C 방향 절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분리하우징부의 제1측면부에 형성된 풀커버보호기판 삽입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인 키오스크의 저면 투시도.
도 10은 허여 가능한 상부지지판의 폭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 상에 또는 ~ 상부에" 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또는 상부에" 접촉하여 있거나 간격을 두고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키오스크에 설치되는 풀커버터치장치의 일 실시예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키오스크에 설치되는 풀커버터치장치의 샘플 이미지이다. 도 3(a)는 풀커버터치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b)는 정면도이다. 도 3에 제시된 풀커버터치장치(600)는 키오스크의 전체 전면을 덮는 풀커버보호기판(610)과, 제3양면접착테이프(530)를 이용하여 풀커버보호기판(610) 배면에 부착되는 터치패널(210)로 이루어진다. 터치패널(210)은 풀커버보호기판(610)의 상부로부터 수평 중심보다 아래쪽 영역까지 형성되며, 터치패널(210)이 부착되지 않는 풀커버보호기판(610)의 하부 영역에는 제1관통홀(30') 및 제2관통홀(40')이 형성되며, 필요한 개수만큼의 윈도우(20)가 형성된다. 도면상으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도 3(b)의 정면도를 기준으로 제3양면접착테이프(530) 내측 영역 및 윈도우(20)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는 페인트 또는 도안이 도시되어, 키오스크 전면에서 보았을 때 깔끔한 이미지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즉, 윈도우(20)는 대부분 영역을 투명하게 처리하여 풀커버터치장치(600)를 분리하우징부에 결합한 상태에서 내부 부품이 보이도록 처리한 영역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윈도우(20)에 대응되는 하우징부 내부에는 바코드 리더기(스캐너)가 설치된다. 풀커버보호기판(610)은 강화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으로 형성하고, 분리하우징부는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재로 형성하였다. 도 3(b)에서 제3양면접착테이프(530)는 풀커버보호기판(610)의 배면에 부착되는 것이므로 정면에서는 실제 보이지 않는 것이나 제3양면접착테이프(530)의 부착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서 정면에서 보이는 것처럼 도시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커버터치장치(600)는 풀커버보호기판과 터치패널(210)로 이루어지는데 터치패널(210), 제1관통홀(30'), 제2관통홀(40') 및 윈도우(20)가 형성되는 영역을 제외한 풀커버보호기판의 정면 또는 배면에는 인쇄 방식으로 도안영역(612)을 구비하였다. 도 4의 네모 박스 내를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된 도안영역에는 "IC 카드" 및 "영수증"과 같이 고객에게 안내하기 위한 안내 문구도 함께 인쇄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풀커버보호기판에 접착 결합된 터치패널(210)에는 전원을 공급받거나 터치감지위치를 외부로 제공하기 위한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211)이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풀커버보호기판의 정면 또는 배면의 필요한 부분에는 인쇄 방식 외에도 필요한 도안 및 문구가 표기된 테이프를 부착하여 장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에서 풀커버터치장치를 분리하우징부에 결합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분리하우징부(650)는 D1 깊이를 가지며 하나의 재질로 연이어 형성되는 풀커버터치장치(600)의 외곽 테두리를 감싸는 상부테두리부(650a), 제1측면부(650b), 하부테두리부(650c) 및 제2측면부(650d)를 구비하는 부재로서, 상부테두리부(650a) 및 하부테두리부(650c)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테두리부에서 깊이 방향으로 절단부위가 형성되어 절단되며, 절단부위를 상호 연결하는 결속부재가 구비된다. 도 5 및 도 6에 제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부테두리부(650c)에 분리부위(700)를 형성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하우징부(650)의 절단 부위쪽을 좌우 너비 방향으로 벌린 상태에서 풀커버터치장치(600)를 분리하우징부(650)에 삽입한 후, 절단 부위가 상호 맞닿도록 인접시킨 후 결속부재를 이용하여 인접된 절단 부위를 고정시키면 조립이 완료된다. 도 6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키오스크의 분리하우징을 결속하는 결속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결속부재는 서로 인접된 분리부위(700)를 고정시키는 부재이다. 도 6에서는 절단부위에서 좌우로 이격된 하부테두리부에 나사체결홈(미 도시)을 장착 형성하고, 그 위에 연결판(800)을 덧댄 후 체결나사(800a, 800b)를 이용하여 나사홈과 결합시키는 구조를 제시하였다. 결속부재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부위에서 좌우로 이격된 하부테두리부에 나사홈 대신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관통홀에 스터드용 나사를 삽입하고 스터드용 나사 양측을 너트로 체결하는 방식으로도 결속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절단부위에서 좌우로 이격된 하부테두리부에 나사홈 대신에 나사산이 노출된 볼트를 삽입 설치하고, 도 6과 같은 금속편(800)을 노출된 볼트에 삽입한 후 너트로 체결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풀커버보호기판(610)을 분리하우징부(650)에 삽입하는 방식을 적용하므로 분리하우징부에 이러한 삽입 구조물을 형성하여야 한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도 5의 A-A 방향 및 C-C 방향 절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분리하우징부의 제1측면부에 형성된 풀커버보호기판 삽입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분리하우징부의 상부테두리부, 제1측면부, 하부테두리부 및 제2측면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삽입 구조물을 구비하여야 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하우징부(650)에는 삽입된 풀커버보호기판(610)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부지지판(650e) 및 풀커버보호기판(610)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부지지판(650f)을 갖는 삽입 구조물이 형성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구조물은 상부지지판(650f)과 하부지지판(650e)로 구성된다. 상부지지판(650f)는 상부테두리부, 제1측면부, 하부테두리부 및 제2측면부의 제일 전면에서 내측으로 일정한 폭(L1)을 가지며 형성되며, 하부지지판(650e)은 상부지지판(650f)으로부터 후방으로 대략 풀커버보호기판(610)의 두께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부테두리부, 제1측면부, 하부테두리부 및 제2측면부로부터 내측으로 일정한 폭(L2)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구조물은 도 5의 붉은 색 원(B) 내부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부테두리부(650a)와 제1측면부(650b) 사이, 제1측면부(650b)와 하부테두리부(650c) 사이, 하부테두리부(650c)와 제2측면부(650d) 사이 및 제2측면부(650d)와 상부테두리부(650a) 사이영역에는 형성하지 않는다. 하부지지판(650e)과 상부지지판(650f)의 높이 차이는 풀커버보호기판(610)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였으며, 실제 분리하우징부(650)에 풀커버보호기판(610)을 삽입하기 전에 풀커버보호기판(610) 테두리에 비접착성 부직포를 삽입하여 풀커버보호기판(610)을 교체하기 쉽게 하였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인 키오스크의 저면 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커버보호기판(610)은 상부지지판(650f)과 하부지지판(650e) 사이 공간에 삽입 설치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하부테두리부의 전방에서부터 후방까지 이어지도록 분리부위(700)가 형성되며, 분리부위(700)는 풀커버터치장치가 하우징부에 삽입 설치된 후에 연결판(800)을 이용하여 서로 체결하여 더 이상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판(800)은 풀커버터치장치(210, 610)가 배치되지 않은 하부테두리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은 허여 가능한 상부지지판의 폭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에서 분리하우징부(650)의 테두리로부터 안측으로 L1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까지 상부지지판이 형성된다. 즉, 'L1'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지지판의 폭을 의미한다. 따라서 풀커버보호기판을 분리하우징부(650)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도 10(a)의 좌측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하우징부(650)의 제2측면부(650d)를 실선 위치에서 파선위치(650d')까지 벌려야 한다. 실질적으로는 제1측면부도 동일한 거리만큼 벌린 후 풀커버보호기판을 삽입하나 도면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설명의 편의상 제2측면부만 벌리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를 개념적으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서 도 10(b)에 다시 도시하였다. 실질적으로 도 10(b)에서 분리하우징부(650)의 제2측면부(650d)는 중심에서부터 벌어지면서 모멘텀 역학이 작용되면서 직선 형태를 이루지 않고 곡선 형태를 이루므로 중심 O로부터 멀어질수록 더 큰 각도를 가지면서 이격되게 된다. 하지만, 설명의 편의상 650d 선분을 기준으로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직선상으로 벌어지는 것으로 단순 도시하였다.
도 10(b)에서 650d는 벌어지기 전 상태의 분리하우징부(650)의 제2측면부의 위치를 나타내며, 650d'는 풀커버보호기판을 삽입하기 위하여 분리하우징부의 제2측면부를 벌려야 하는 최소 각도를 나타내며, "L1'"은 650d로 표시된 선분과 650d'으로 표시된 선분 사이의 이격 거리 중에서 가장 긴(중심 'O'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에 측정한) 수평 거리를 나타낸다. 풀커버보호기판을 분리하우징부(650)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긴 수평 거리가 적어도 상부지지판의 폭 'L1'만큼 벌여져야 하며, 본원 고안자가 실제 제작하는 키오스크를 기준으로는 θ는 적어도 1°보다 크게 유지하여야 풀커버보호기판을 간신히 분리하우징부(650)에 삽입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질적으로 θ를 '1°'로 유지할 경우 두 사람이 풀커버보호기판을 들고 간신히 삽입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 시간도 많이 소요되며, 조심하지 않으면 풀커버보호기판의 측면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θ를 크게 할수록 풀커버보호기판을 분리하우징부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본원 고안자가 금속재질의 분리하우징부을 제작해서 다양한 실험을 해 본 결과, θ각도를 15°이상으로 벌릴 경우 금속재질의 분리하우징부가 원상태로 복원되지 못하고 손상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L1'"과 θ 사이의 관계는 수학식 1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수학식 1에서 S1은 분리하우징부의 수직 길이를 나타내며, L1'는 650d로 표시된 선분과 650d'으로 표시된 선분 사이의 가장 긴 수평 거리를 의미한다. 달리 표현하면, 도 10(b)에서 S1은 제2측면부(650d)의 길이(풀커버보호기판의 높이)를 나타내면, 도면에서 선분 650d'의 길이와 선분 650d의 길이는 동일하며 S1으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20000291390-utm00001
예로서, 풀커버보호기판의 높이(S1)가 780cm이면, 상부지지판의 폭은 최대 13.6cm( = 780 * sin(1°) )까지 형성할 수 있다. 상부지지판 폭의 최소 크기는 풀커버보호기판을 지지할 수 있기만 하면 되므로 크게 제한이 없으나 대략적으로 0.5cm 이상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하우징부는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는데 향후 터치패널(210)이 고장날 경우 결속부재를 해체하고 분리하우징부를 분리한 후 풀커버터치장치를 제거한 후 새로운 풀커버터치장치를 삽입하고 다시 결속부재를 체결하면 되므로 교체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고안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고안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20: 윈도우 30: 신용카드결제부
30': 제1관통홀
31: 삽입슬롯 33: 슬라이드 홈
40: 프린터 40': 제2관통홀
100: 하우징부
200: 터치장치 210: 터치패널
220: 보호기판 250: 받침부
300: 인터페이스패널
510: 제1양면접착테이프 520: 제2양면접착테이프
530: 제3양면접착테이프 600: 풀커버터치장치
610: 풀커버보호기판 612: 도안영역
650: 분리하우징부 650a: 상부테두리부
650b: 제1측면부 650c: 하부테두리부
650d: 제2측면부 700: 분리부위
800: 연결판

Claims (8)

  1. 한 면에 상호 연결되는 분리부위를 갖는 분리식으로 결합되는 분리하우징부와,
    상기 분리하우징부를 분리한 상태에서 삽입 설치한 후 분리하우징의 분리부위가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함으로써 삽입 설치되는 풀커버터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풀커버터치장치는
    상기 분리하우징부의 전면에 설치되며 일체로 형성되는 기판으로서, 하부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 및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를 갖는 풀커버보호기판과,
    상기 풀커버보호기판의 배면에 접착 구비되는 터치패널 및
    상기 터치패널과 연결되며 상기 터치패널에 전원을 공급하고 터치패널에서 감지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 및 윈도우는 상기 터치패널이 형성되는 영역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하우징부는 상기 풀커버터치장치의 외곽 테두리를 감싸는 상부테두리부, 제1측면부, 하부테두리부 및 제2측면부를 갖는 하나의 재질로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상부테두리부 및 하부테두리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테두리부에는 깊이 방향(분리하우징의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분리 형성되는 상기 분리부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위를 상호 연결하는 결속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테두리부, 상기 제1측면부, 하부테두리부 및 제2측면부의 제일 전면에서 내측으로 일정한 폭(L1)을 가지며 형성되는 상부지지판 및
    상기 상부지지판으로부터 후방으로 상기 풀커버보호기판의 두께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부테두리부, 제1측면부, 하부테두리부 및 제2측면부로부터 내측으로 일정한 폭(L2)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하부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풀커버터치장치의 테두리는 상기 상부지지판 및 하부지지판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L1은 아래 관계식 1 이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관계식 1
    Figure 112020000291390-utm00002

    - 관계식 1에서 S1은 풀커버보호기판의 높이를 의미함.-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위는 상기 하부테두리부에 위치하며,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분리부위를 사이에 두고 상호 좌우 이격된 위치의 상기 하부테두리부에 설치되는 나사홈과,
    상기 나사홈 사이에 놓여지며 상기 나사홈의 대응위치에 관통홀을 갖는 연결판 및
    상기 연결판 상부에서 상기 나사홈에 체결되는 나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위는 상기 하부테두리부에 위치하며,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분리부위를 사이에 두고 상호 좌우 이격된 위치의 상기 하부테두리부에 설치되는 제1관통홀과,
    상기 제1관통홀에 삽입 설치되는 스터드용 나사와,
    상기 스터드용 나사의 대응 위치에 제2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스터드용 나사 상부에 삽입설치되는 연결판 및
    상기 스터드용 나사에 결합되는 너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위는 상기 하부테두리부에 위치하며,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분리부위를 사이에 두고 상호 좌우 이격된 위치의 상기 하부테두리부에 삽입 설치되는 나사산이 노출된 볼트와,
    상기 노출된 볼트의 대응 위치에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노출된 볼트 상부에서 삽입 설치되는 연결판 및
    상기 노출된 볼트에 결합되는 너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KR2020200000011U 2020-01-02 2020-01-02 키오스크 KR2004914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011U KR200491453Y1 (ko) 2020-01-02 2020-01-02 키오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011U KR200491453Y1 (ko) 2020-01-02 2020-01-02 키오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453Y1 true KR200491453Y1 (ko) 2020-04-09

Family

ID=70224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011U KR200491453Y1 (ko) 2020-01-02 2020-01-02 키오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4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065B1 (ko) 2021-02-04 2021-06-04 (주)요일 Ai 기반의 실시간 정보 노출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2003A (ko) * 2005-12-12 2007-06-15 장지훈 광색 변화되는 조명 광고판
KR101008553B1 (ko) * 2010-08-27 2011-01-14 윤재경 광고겸용 가드펜스
KR20140122924A (ko) * 2013-04-11 2014-10-21 주식회사 씨케이그루브 디지털 키오스크의 수납구조
JP5703449B2 (ja) * 2011-07-15 2015-04-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携帯端末
KR20190002544U (ko) 2018-04-02 2019-10-14 (주)에어포스 키오스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2003A (ko) * 2005-12-12 2007-06-15 장지훈 광색 변화되는 조명 광고판
KR101008553B1 (ko) * 2010-08-27 2011-01-14 윤재경 광고겸용 가드펜스
JP5703449B2 (ja) * 2011-07-15 2015-04-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携帯端末
KR20140122924A (ko) * 2013-04-11 2014-10-21 주식회사 씨케이그루브 디지털 키오스크의 수납구조
KR20190002544U (ko) 2018-04-02 2019-10-14 (주)에어포스 키오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065B1 (ko) 2021-02-04 2021-06-04 (주)요일 Ai 기반의 실시간 정보 노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1763B2 (en) Display device having display panel and a case that covers an edge of the display panel
WO2018019219A1 (en) Mobile terminal, shell module, display module, and method of assembling display module
KR100603838B1 (ko) 액정 표시장치
US8339536B2 (en) Display module, display-module support structur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2003012299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hooks
JP5159792B2 (ja) 変更を容易にするための磁石に基づく簡単な構造を有する看板装置
KR200491453Y1 (ko) 키오스크
CA1302588C (en) Printed circuit board for mounting in a backplane
CN102326463B (zh) 开关柜或机架
US6686979B2 (en) Display panel
KR20160114799A (ko) 표시 장치
US9234789B2 (en) Optical sensing frame and display device therewith
US20130141355A1 (en) Touch sensitive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10641947B2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US8405962B2 (en) Electro-optical apparatus and display module
JP6594158B2 (ja) 電子機器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7177723A1 (zh) 显示模组和显示装置
WO2015068729A1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CN213394215U (zh) 一种超声显示器和便携超声设备
US20110067281A1 (en) Information sign, especially name plates, door plates or notice signs
KR100625592B1 (ko) 컴퓨터용 액정표시장치모듈의 메탈프레임
TW201416765A (zh) 顯示裝置
JP3689758B2 (ja) 液晶表示装置
US20120212885A1 (en) Media display fixture for an electronic kiosk
US20100050483A1 (en) Apparatus with faste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