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568Y1 - 복합 기능성 책상 - Google Patents

복합 기능성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568Y1
KR200490568Y1 KR2020170005166U KR20170005166U KR200490568Y1 KR 200490568 Y1 KR200490568 Y1 KR 200490568Y1 KR 2020170005166 U KR2020170005166 U KR 2020170005166U KR 20170005166 U KR20170005166 U KR 20170005166U KR 200490568 Y1 KR200490568 Y1 KR 2004905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eg
plate
composit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1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903U (ko
Inventor
이두원
Original Assignee
이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원 filed Critical 이두원
Priority to KR20201700051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568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9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9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5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5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4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7/00Hanging or securing devices for books, newspape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47B2200/0051Telescopic
    • A47B2200/0054Telescopic with three telescopic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높이 조절 가능한 상판(100)과, 상기 상판(100) 위에 높이조절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복합받침대(300)가 구비됨으로써, 일반 책상과 앉아서 책을 볼 때에는 독서대로 사용될 수도 있고, 상기 상판(100)을 하강시키고 상기 복합받침대(300)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여 발표 연습시 자료를 올려놓는 강의대로 사용할 수 있는 복합 기능 책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복합 기능 책상은, 상판(100); 상기 상판(100)을 높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다리(200); 상기 상판(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복합받침대(300); 상기 상판(100)을 관통하여 상기 복합받침대(300)와 연결되며, 상기 복합받침대(300)를 높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다리(40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 기능성 책상{Multi-function desk}
본 고안은 기능성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앉아서 독서대처럼 사용할 수도 있고, 발표 연습을 하듯 서서 복합받침대처럼 사용할 수 있는 복합 기능성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그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분류될 수 있으며, 학교나 강의실에서 사용하는 학생용 책상과, 가정과 회사에서 사용되는 업무용 책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책상은 책을 올려놓는 상판부와, 이를 지탱하는 다리부로 구성되며, 그 형태, 구조, 재료, 및 가공기술에 따라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한편, 최근 학생들의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날 배운 내용을 서서 발표하는 형태로 학습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그날 배운 내용을 서서 발표하는 형태로 학습할 경우 집중력이 향상되며, 내가 알고 있는지 모르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메타인지 능력이 발전하게 된다.
이러한 메타인지 능력을 향상시켜 주는 학습법은 수능 상위 1% 학생들의 공부방법으로 이미 매스컴에 보도된 바 있다.
또한, 서서 발표하는 형태의 학습을 하게 되면 스피치 능력이 향상되고, 자신감이 향상된다.
따라서 이러한 서서 발표하는 형태의 학습을 활용하기 위해 앉아서 공부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서서 발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책상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6696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높이 조절 가능한 상판과, 상기 상판 위에 높이조절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복합받침대가 구비됨으로써, 일반 책상과 앉아서 책을 볼 때에는 독서대로 사용될 수도 있고, 상기 상판을 하강시키고 상기 복합받침대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여 발표 연습시 자료를 올려놓는 강의대로 사용할 수 있는 복합 기능 책상을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복합 기능 책상은, 상판(100); 상기 상판(100)을 높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다리(200); 상기 상판(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복합받침대(300); 상기 상판(100)을 관통하여 상기 복합받침대(300)와 연결되며, 상기 복합받침대(300)를 높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다리(400); 를 포함한다.
상기 복합받침대(300)와 상기 제2지지다리(400)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복합받침대(300)를 상기 상판(1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500); 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복합받침대(300)의 하부면 중심부에는 제1결합부(311)가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다리(400)에는 상기 제1결합부(311)와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421)가 형성되며, 상기 각도조절수단(500)은, 상기 제1결합부(311)를 관통하여 상기 제2결합부(421)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볼트(510); 상기 제1결합부(311)와 상기 제2결합부(421) 사이에 배치되는 가압부재(520); 를 포함한다.
상기 복합받침대(300)는, 상기 제2지지다리(400)와 연결되는 지지판(310); 상기 지지판(310)의 후방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지지판(310)이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때 상기 지지판(310)에 놓인 도서(40)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제1고정대(320); 상기 지지판(310)의 후방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지지판(310)이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때 상기 지지판(310)에 놓인 물체가 흘러내리는 것을 저지하는 제2고정대(330); 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310)과 상기 제1고정대(320)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제1고정대(320)를 상기 지지판(310) 방향으로 회전되게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복합받침대(300)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상판(100)과 연결되는 게시수단(600); 을 더 포함하되, 상기 게시수단(600)은, 상기 상판(100)을 관통하여 상하로 길게 배치되며,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된 제3지지다리(610); 상기 제3지지다리(610)의 상단에 장착되는 칠판대(620); 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복합 기능 책상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높이 조절 가능한 상판(100)과, 상기 상판(100) 위에 높이조절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복합받침대(300)가 구비됨으로써, 발표 연습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학습 효과를 향상시키고, 일반적인 책상으로도 사용하여 가성비를 높이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복합받침대(300)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각도조절수단(50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복합받침대(300)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호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제1결합부(311)와 상기 제2결합부(421) 사이에 상기 가압부재(520)가 구비됨으로써,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어 상기 지지판(310)의 각도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하고,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책상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책상이 독서 모드로 변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책상이 발표 모드로 변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책상의 각도조절수단(500)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책상의의 각도조절수단(500)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책상의 제1고정대(320)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책상의 제1고정대(320)의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책상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책상이 독서 모드로 변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책상이 발표 모드로 변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책상의 각도조절수단(500)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책상의의 각도조절수단(500)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책상의 제1고정대(320)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책상의 제1고정대(320)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책상은, 상판(100), 제1지지다리(200), 복합받침대(300), 제2지지다리(400), 각도조절수단(500), 게시수단(6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100)은 일반적인 책상(30)의 상판(100)과 마찬가지로, 약 80mm 두께의 나무 판재로 이루어지며, 종래의 책상 옆에 배치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상기 상판(100)에는 후술할 상기 제2지지다리(400)가 관통 삽입 배치되는 제1관통공(110)과, 상기 게시수단(600)의 제3지지다리(610)가 삽입 배치되는 제2관통공(120)이 형성된다.
상기 제1관통공(110)과 상기 제2관통공(120)은 전후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관통공(110)은 상기 제1지지다리(200) 사이에 1개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공(120)은 2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1지지다리(200)의 후방에 상호 이격 배치된다.
또한, 상기 상판(100)에는 상기 제2지지다리(400)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브라켓(150)과, 후술할 제3지지다리(610)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브라켓(160)이 구비된다.
상기 제1지지브라켓(1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100)의 제1관통공(110)의 하부에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제1지지브라켓(150)은 상기 제2지지다리(400)의 외주면을 감싸 상기 제2지지다리(40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2지지브라켓(16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100)의 제2관통공(120)의 하부에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제2지지브라켓(160)은 상기 제3지지다리(610)의 외주면을 감싸 상기 제3지지다리(610)를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지지다리(200)는 상기 상판(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4개로 구성되어 상호 이격 배치되고, 상기 상판(100)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지지다리(200)는 안테나와 같이 4개의 다리체(210)가 상호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연장 가능하게 결합되며, 유압식 전동장치(미도시)에 의해 상기 다리체(210)가 하나씩 상승함에 따라 5단계로 높이 조절된다.
여기에서 상기 유압식 전동장치의 작동 스위치(20)는, 상기 상판(100)의 테두리 부분에 구비되며, Up-Down(▲-▼)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지지다리(200)의 최하단에는 이동바퀴(10)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바퀴(10)는 바닥면과 접하여 상기 제1지지다리(200)를 밀었을 때 회전하여 쉽게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다리체(210)는 1개의 길이는 350mm이고, 상호 겹치되 되는 부분은 최소 100mm이며, 상기 이동바퀴(10)의 높이는 50mm이고, 이에 따라 바닥에서 상기 상판(100)까지의 최대 높이는 1320mm가 된다.
이러한 상기 제1지지다리(200)는 상기 상판(100)을 서서 사용하게 될 경우 약 1300mm~1100mm 길이가 되도록 조절하고(1단계), 상기 상판(100)을 의자에 앉아서 사용하게 될 경우 700~800mm 길이가 되도록 조절하고(2단계), 방바닥에 앉아 사용하게 될 경우 350~400mm 길이가 되도록 조절하며(3단계), 발표시 발표 무대로 사용할 경우 350~380mm 길이가 되도록 조절(4단계)하고, 상판의 최고 높이인 1320mm 길이가 되도록 조절(5단계)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복합받침대(300)는 상기 상판(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기울어지는 방향에 따라 독서대 또는 강의대 용도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합받침대(300)는 지지판(310), 제1고정대(320), 제2고정대(330), 제3고정대(3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판(310)은 두께가 25mm인 납작한 판재로 이루어지며, 크기는 상기 상판(10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310)의 하부면 중심부에는 제1결합부(311)가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부(311)는 후술할 상기 제2지지다리(400)와 힌지결합되는 부분으로, 가운데에 제1힌지공(311a)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판(310)은 후술할 상기 각도조절수단(500)에 의해 상기 제2지지다리(400)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2지지다리(400)에 의해 높이조절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1고정대(3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철 철사를 'Meta' 라는 글자의 형태로 형성한 것으로, 양 끝단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310)의 후방 끝단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대(320)는 약간의 탄성력을 갖고 있어 양 끝단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지지판(310)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제1고정대(32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대(320)와 예각을 이루도록 제1 고정대(320)의 단부측에서 제1 고정대(320)의 일단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받침돌기(325)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받침돌기(325)와 상기 제1고정대(320) 사이에 책 등을 거치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대(320)는 상기 지지판(3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지지판(310)의 강의대로 사용될 때에는 분리하여 따로 보관할 수도 있다.
상기 제2고정대(330)는 상기 지지판(310)과 동일한 너비를 갖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고정대(320)와 마찬가지로 상기 지지판(310)의 후방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제2고정대(330)는 상기 지지판(310)이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강의대로 사용될 때, 상기 지지판(310)에 놓인 물체가 아래로 흘러내리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상기 제3고정대(340)는 상기 지지판(310)의 후방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판(310)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제3고정대(3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310)이 전방으로 기울어져 독서대로 사용될 때, 상기 지지판(310)에 놓인 책(50)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판(310)의 상면에 놓인 책(50)을 가압하여 상기 지지판(310)에 밀착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제2지지다리(400)는 상기 상판(100)을 관통하여 상하로 길게 배치되고, 상단이 후술할 상기 각도조절수단(500)에 의해 상기 복합받침대(300)와 연결되며, 상기 복합받침대(300)를 높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2지지다리(400)는 고정다리(410)와 상기 고정다리(410)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다리(42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다리(410)는 상기 제1관통공(110)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제1지지브라켓(150)과 접하여 지지된다.
또한, 상기 고정다리(410)에는 상기 이동다리(420)의 상하 이동을 저지하는 고정불트(430)가 장착된다.
상기 고정불트(430)는 상기 고정다리(410)를 관통하여 상기 이동다리(420)와 접하게 되고,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다리(42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다리(420)가 상기 고정다리(410)에 밀착 고정되도록 가압하게 된다.
상기 이동다리(420)는 안테나와 같이 3개의 다리체가 상하 슬라이드 이동되게 구성되며, 각각의 측면에 높이조절볼트(440)가 장착되고, 상기 높이조절볼트(440)를 해제하여 길이 조절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다리(420)의 상단에는 상기 제1결합부(311)와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제2결합부(421)가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부(421)에는 상기 제1결합부(311)의 상기 제1힌지공(311a)과 연결되는 제2힌지공(421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각도조절수단(5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합받침대(300)와 상기 제2지지다리(400)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복합받침대(300)를 상기 상판(1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조절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조절볼트(510) 및 가압부재(5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절볼트(510)는 상기 제1결합부(311)를 관통하여 상기 제2결합부(421)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1결합부(311)의 힌지축이 된다.
이러한 상기 조절볼트(510)는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결합부(311)를 상기 제2결합부(421)에 밀착시키게 된다.
상기 가압부재(520)는 원형의 링 형상이며, 상기 제2결합부(421) 방향으로 탄성돌기(521)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가압부재(520)는 상기 제1결합부(311)와 상기 제2결합부(421)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결합부(311)를 상기 제2결합부(421)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가압부재(520)는 상기 조절볼트(510)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311)와 상기 제2결합부(421)가 밀착될 때 압축된 상기 탄성돌기(521)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311)를 가압하여 상기 제1결합부(311)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복합받침대(300)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각도조절수단(50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복합받침대(300)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호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311)와 상기 제2결합부(421) 사이에 상기 가압부재(520)가 구비됨으로써,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어 상기 지지판(310)의 각도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하고,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게시수단(600)은 상기 복합받침대(300)의 후방에 배치되며, 발표시 자료를 게시하거나 칠판과 같이 발표 내용을 기재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게시수단(600)은 제3지지다리(610)와 칠판대(620) 및 각도조절볼트(6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지지다리(610)는 2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100)을 관통하여 상하로 길게 배치된다.
상기 제3지지다리(610)는 상기 제1지지다리(200)와 마찬가지로 고정다리(611)와 이동다리(6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다리(612)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다리(611)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고정다리(410)에 상기 이동다리(420)를 가압하는 고정불트(613)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3지지다리(610)의 상단은 가로로 긴 막대형의 연결대(614)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대(614)에는 2개의 걸림돌기(614a)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614a)에 상기 칠판대(620)가 장착된다.
상기 칠판대(620)는 사각형의 납작한 마카보드로 이루어지며, 상단에는 상기 걸림돌기(614a)에 끼워지는 걸림구(62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각도조절볼트(630)는 상기 제3지지다리(610)에 관통되어 상기 칠판대(620)와 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3지지다리(610)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칠판대(620)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각도조절볼트(63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칠판대(620) 방향으로 이동시키키면, 상기 칠판대(620)를 밀어 상기 칠판대(620)는 점점 기울어지게 되고, 상기 각도조절볼트(63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칠판대(62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칠판대(620)는 점점 세워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게시수단(600)은 상기 복합받침대(300)가 독서대로 사용될 때에는 높이를 낮추고, 강의대로 사용될 때에는 높이를 높여 사용하게 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책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합받침대(300)는, 상기 상판(100)의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됨으로써, 앉아서 독서를 할 수 있는 독서대 기능을 하게 된다.
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00)의 높이를 최대한 낮추고, 상기 복합받침대(300)의 높이를 사용자의 키 높이에 맞게 높이게 배치되면, 발표 등을 연습할 수 있는 강의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높이 조절 가능한 상판(100)과, 상기 상판(100) 위에 높이조절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복합받침대(300)가 구비됨으로써, 발표 연습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학습 효과를 향상시키고, 일반적인 책상으로도 사용하여 가성비를 높이는 효과가 발생 된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 : 이동바퀴 20 : 작동스위치
100 : 상판, 110 : 제1관통공
120 : 제2관통공 200 : 제1지지다리
210 : 다리체 300 : 복합받침대
310 : 지지판 311 : 제1결합부
311a : 제1힌지공 320 : 제1고정대
325 : 받침돌기 330 : 제2고정대
400 : 제2지지다리 410 : 고정다리
420 : 이동다리 421 : 제2결합부
421a : 제2힌지공 430 : 고정볼트
500 : 각도조절수단
510 : 조절볼트 520 : 가압부재
521 : 탄성돌기 600 : 게시수단
610 : 제3지지다리 611 : 고정다리
612 : 이동다리 613 : 고정볼트
614 : 연결대 614a : 걸림돌기
620 : 칠판대 621 : 걸림구

Claims (6)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관통공(110)과 제2관통공(120)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1관통공(110)과 제2관통공(120)이 그 전후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상판(100);
    상기 상판(100)을 높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연장 가능하게 결합되어 유압식 전동장치에 의해 다단계로 높이 조절되며,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제1지지다리(200);
    상기 상판(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기울어지는 방향에 따라 독서대 또는 강의대 중 어느 하나의 용도로 사용되는 복합받침대(300);
    상기 상판(100)의 제1관통공(110)을 관통하여 상하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복합받침대(300)와 연결되며, 상기 복합받침대(300)를 높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다리(400);
    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받침대(300)와 상기 제2지지다리(400)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복합받침대(300)를 상기 상판(1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500);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합받침대(300)의 지지판(310) 하부면의 중심부에는 제1결합부(311)가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다리(400)에는 상기 제1결합부(311)와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421)가 형성되며,
    상기 각도조절수단(500)은,
    상기 제1결합부(311)를 관통하여 상기 제2결합부(421)에 나사 결합되어 힌지축을 이루는 조절볼트(510);
    상기 제1결합부(311)와 상기 제2결합부(421) 사이에 배치되되,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결합부(311)를 제2결합부(421)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상기 지지판(310)의 각도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하는 가압부재(520);
    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받침대(300)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상판(100)과 연결되는 게시수단(600); 을 더 포함하되,
    상기 게시수단(600)은,
    상기 상판(100)을 관통하여 상하로 길게 배치되며,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되,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100)의 제2관통공(120)에 삽입되되, 제2지지브라켓(160)에 접하여 지지되는 고정다리(611)와 상기 고정다리(611) 내에 장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다리(612)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다리(611)에 이동다리(612)를 가압하는 고정볼트(613)가 장착되어 이동다리(612)를 가압 또는 해제하여 이동다리(612)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제3지지다리(610);
    상기 제3지지다리(610)의 상단에 장착되는 칠판대(620);
    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520)는 제2결합부(421) 방향 일면에 탄성돌기(521)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조절볼트(510)에 의해 제1결합부(311)와 제2결합부(421)가 밀착될 때 압축된 탄성돌기(521)의 반발력에 의해 가압부재(520)가 제1결합부(311)를 가압하여 제1결합부(311)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2지지다리(400)는,
    상판의 제1관통공(110)에 삽입되되, 제1지지브라켓(150)에 접하여 지지되는 고정다리(410)와 상기 고정다리(410) 내에 장착되는 이동다리(420)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다리(420)는 외측에 위치하는 이동다리(420)의 내경과 내측에 위치하는 이동다리(420)의 외경이 대응되도록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하 이동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다수개의 이동다리(420)의 각 측면에는 높이조절볼트(440)가 장착되어 상기 높이조절볼트(440)의 회전에 따라 이동다리(420)를 가압 또는 해제하여 이동다리(420)의 길이를 조절하며,
    상기 고정다리(410)에는 이동다리(420)의 상하 이동을 저지하거나, 이동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430)가 장착되고,
    상기 고정볼트(430)가 고정다리(410)를 관통하여 이동다리(420)의 외주연에 접하게 되어 회전에 따라 이동다리(420)가 고정다리(410)에 밀착 고정되도록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 책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0)의 테두리 부분에 다단계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제1 지지다리(200)를 길이 방향으로 Up-Down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하여 유압식 전동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스위치(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 책상.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다리(200)는 다단계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되,
    상판(100)을 서서 사용하게 될 경우, 1300mm~1100mm 길이가 되도록 1단계로 조절하고,
    상판(100)을 의자에 앉아서 사용하게 될 경우, 700~800mm 길이가 되도록 2단계로 조절하며,
    상판(100)을 바닥에 앉아 사용하게 될 경우, 350~400mm 길이가 되도록 3단계로 조절하고,
    상판(100)을 발표 무대로 사용하게 될 경우, 350~380mm 길이가 되도록 4단계 조절하며,
    상판(100)의 최대 높이인 1320mm의 길이가 되도록 5단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 책상.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받침대(300)는,
    상기 제2지지다리(400)와 연결되는 지지판(310);
    상기 지지판(310)의 후방 끝단에 회전 및 탈부착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지지판(310)이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때 상기 지지판(310)에 놓인 도서(40)를 가압하여 고정시키기 위하여 강철 철사를 글자 형태로 형성하되, 양 끝단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탄성을 갖도록 이루어져 양 끝단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어 지지판에서 분리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고정대(320);
    상기 지지판(310)의 후방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지지판(310)이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때 상기 지지판(310)에 놓인 물체가 흘러내리는 것을 저지하기 위하여 지지판(310)과 동일한 너비를 갖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지는 제2고정대(330); 및
    상기 지지판(310)의 후방 끝단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지지판(310)이 전방으로 기울어져 독서대로 사용될 때 상기 지지판(310)에 놓인 책(50)을 가압하여 고정시키기 위하여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지지판(310)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지는 제3고정대(3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 책상.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대(320)에는 제1고정대(320)와 예각을 이루도록 받침돌기(325)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받침돌기(325)는 상기 제1고정대(320)의 단부측에서 제1고정대(320)의 일단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고, 상기 받침돌기(325)와 제1고정대(320) 사이에 책(50)을 거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 책상.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수단(600)은,
    상기 제3지지다리(610)의 이동다리(612)에 관통되어 상기 칠판대(620)의 후면의 중심부 하측과 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3지지다리(610)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칠판대(620)의 후면을 가압하여 칠판대(62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볼트(63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지지다리(610)의 상단에 가로로 긴 막대형태의 연결대(614)가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614)의 양측에 걸림돌기(614a)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칠판대(620)의 상단 양측에는 걸림구(62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각 걸림돌기(614a)가 각 걸림구에(621) 결합되어 상기 칠판대(620)가 연결대(614)에 장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 책상.
KR2020170005166U 2017-10-03 2017-10-03 복합 기능성 책상 KR2004905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166U KR200490568Y1 (ko) 2017-10-03 2017-10-03 복합 기능성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166U KR200490568Y1 (ko) 2017-10-03 2017-10-03 복합 기능성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903U KR20190000903U (ko) 2019-04-11
KR200490568Y1 true KR200490568Y1 (ko) 2020-01-08

Family

ID=66103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166U KR200490568Y1 (ko) 2017-10-03 2017-10-03 복합 기능성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5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712A (ko) 2020-06-26 2022-01-04 (주)대한솔루션 상판에 장착해서 사용하는 보관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970Y1 (ko) * 2003-01-09 2003-04-21 주식회사 성림정공 독서대
KR200437259Y1 (ko) * 2007-03-10 2007-11-21 임형준 책상 부착용 독서대
KR200463584Y1 (ko) * 2012-02-01 2012-11-12 조영희 책상 부착형 독서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696B1 (ko) 2007-04-24 2008-01-21 (주)대우가구 높낮이 조절 책상
KR20110004902U (ko) * 2009-11-11 2011-05-18 문경록 모니터 받침 겸용 독서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970Y1 (ko) * 2003-01-09 2003-04-21 주식회사 성림정공 독서대
KR200437259Y1 (ko) * 2007-03-10 2007-11-21 임형준 책상 부착용 독서대
KR200463584Y1 (ko) * 2012-02-01 2012-11-12 조영희 책상 부착형 독서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712A (ko) 2020-06-26 2022-01-04 (주)대한솔루션 상판에 장착해서 사용하는 보관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903U (ko) 2019-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0865B2 (en) Adjustable pneumatic desk
EP2380060B1 (en) Mounting system for an electronic teaching board
WO2005096795A3 (en) Student desk
US20200337453A1 (en) Laptop table suitable for bed use
CN201001505Y (zh) 桌面可调式课桌
US3896744A (en) Height-adjustable desk
US20110297050A1 (en) Laptop computer desk
KR200490568Y1 (ko) 복합 기능성 책상
CN108391962A (zh) 一种教学用桌椅的使用方法
CN104207482A (zh) 多功能折叠课桌椅
CN201123521Y (zh) 可升降讲桌
KR101596010B1 (ko) 책 받침대 및 이를 구비한 독서실책상
CN106263608A (zh) 一种带座椅的课桌
KR101539201B1 (ko) 고정장치가 구비된 이젤
JP2016104117A (ja) 天板傾斜角可変机
CN213045949U (zh) 一种具有高度调节功能的机械电脑桌
CN201403763Y (zh) 一种书桌
KR100608273B1 (ko) 수강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CN106235650A (zh) 一种两用学生桌椅
JP6817028B2 (ja) 天板付什器
CN211795046U (zh) 一种教室用椅子
JP2008055119A (ja) ブックスタンド
CN215456157U (zh) 一种可旋转课桌椅
JP6804940B2 (ja) 天板付什器
CN215382132U (zh) 一种可移动的沙发边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