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492Y1 - 지지모듈 - Google Patents

지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492Y1
KR200490492Y1 KR2020180000697U KR20180000697U KR200490492Y1 KR 200490492 Y1 KR200490492 Y1 KR 200490492Y1 KR 2020180000697 U KR2020180000697 U KR 2020180000697U KR 20180000697 U KR20180000697 U KR 20180000697U KR 200490492 Y1 KR200490492 Y1 KR 2004904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of
support bar
bracket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6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138U (ko
Inventor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솔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솔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솔라
Priority to KR2020180000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492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1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1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4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4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0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1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fixing to the ground or to building structures
    • F24S25/615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fixing to the ground or to building structures for fixing to protruding parts of buildings, e.g. to corrugations or to standing sea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태양광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모듈이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지지모듈은, 태양광패널을 지지하는 제2지지바가 브래킷의 일측 부위에 지지되고, 제2지지바가 위치되지 않은 브래킷의 부위가 결합볼트에 의하여 지붕에 결합된다. 그러면, 결합볼트 주위를 실링하기 위한 유지 보수 작업이 제2지지바의 간섭을 받지 않으므로, 편리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태양광패널을 지지하는 제2지지바가 브래킷의 제2지지편과 지지볼트와 지지판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 지지되므로, 안정되게 지지된다. 이로 인해, 태양광패널이 안정되게 지지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지지모듈 {SUPPORTING MODULE}
본 고안은 태양광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바를 지지하여, 태양광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고갈될 염려가 없고, 재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의 염려가 없는 재생에너지에 대한 연구개발이 한창 진행중이다. 재생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발전기 중의 하나로, 태양광발전기가 있다.
태양광발전기는 반도체의 광전효과를 이용하여 태양광으로부터 전류를 생성한다. 태양광발전기는 복수의 태양전지가 가로 및 세로로 연결되어 형성된 태양광패널을 포함하며, 태양광패널에 접속반과 인버터장치 등을 연결하여 발전한다.
태양광패널은 지붕 등에 설치된다. 태양광패널을 지붕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지지바를 이용하여 태양광패널을 지지한 다음, 지붕과 접촉하는 지지바를 지붕에 고정하여야 한다.
지지바를 지붕에 고정하기 위한 종래의 지지모듈에 대하여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종래의 지지모듈에 의하여 태양광패널이 지지된 것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종래의 지지모듈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패널(10)은 샌드위치 패널로 형성된 지붕(R)에 설치될 수 있다. 샌드위치 패널은 상이한 재료를 샌드위치 형태로 쌓아 올린 다음 접착한 특수 합판이며, 표면판(表面板) 및 이면판(裏面板)은 플라스틱,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등과 같은 강도가 우수한 재료를 사용하고, 심재(心材)는 종이, 목재 또는 발포 플라스틱재 등을 사용한다. 샌드위치 패널은 요철(凹凸) 형태로 형성되며, 연결 부위를 중첩하여 대면적으로 형성한다.
태양광패널(10)의 이면(裏面)에는 복수의 제1지지바(21)가 설치되고, 지붕(R)에는 복수의 제2지지바(23)가 설치되며, 제1지지바(21)와 제2지지바(23)는 복수의 제3지지바(25)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이때, 제2지지바(23) 중, 지붕(R)의 철(凸) 부위를 따라 설치된 제2지지바(23a)는 지지모듈(30)을 매개로 지붕(R)에 고정된다.
지지모듈(30)은 지붕(R)과 대응되는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붕(R)에 결합되는 결합편(31), 결합편(31)의 일단부측에서 벤딩 형성된 지지편(33) 및 지지편(33)에 결합되며 제2지지바(23a)가 지지되는 U 볼트(35)를 포함한다. 이때, 제2지지바(23a)는 U 볼트(35)와 지지편(33)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을 통과한다.
결합편(31)은 체결부재(37)에 의하여 지붕(R)에 결합된다. 그러면, 지붕(R)을 따라 흐르는 빗물은 지붕(R)과 체결부재(37)의 접촉 부위로 스며들어, 체결부재(37)의 표면을 타고 지붕(R)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러면, 지붕(R)의 심재가 빗물에 의하여 손상될 수 있으므로, 체결부재(37)와 지붕(R)의 접촉 부위를 통하여 빗물이 스며들지 못하도록, 체결부재(37)의 주위는 실링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지모듈(30)은 체결부재(37)의 상측을 제2지지바(23a)가 통과한다. 이로 인해, 체결부재(37) 주위를 실링하기 위한 유지 보수 작업이 제2지지바(25a)의 간섭을 받으므로, 대단히 불편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제1지지바(23a)는 U 볼트(35)에 의하여 지지편(33)에 지지된다. 그런데, 지지편(33)은 외팔보 형태이므로, 흔들릴 수 있다. 그러면, 제1지지바(23a)가 상대적으로 불안정하게 지지될 수 있으므로, 태양광패널(10)이 상대적으로 불안정하게 지지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지지모듈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편리하게 유지 보수 작업을 할 수 있는 지지모듈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태양광패널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지지모듈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지지모듈은, 태양광패널의 이면(裏面)에 설치된 복수의 제1지지바, 요철(凹凸) 형태로 굴곡진 지붕의 철(凸) 부위를 따라 설치된 복수의 제2지지바 및 상기 제1지지바와 상기 제2지지바를 상호 연결하는 제3지지바 중, 상기 제2지지바를 지지하는 지지모듈에 있어서, 하면 일측 부위 및 타측 부위는 상호 인접하는 상기 지붕의 철 부위 상면 및 요(凹) 부위 상면과 접촉하여 상기 지붕에 결합되고, 상면 일측 부위에는 상기 제2지지바의 하면이 접촉 지지되는 브래킷; 하단부측은 상기 브래킷의 하면에 지지되고, 상단부측은 상기 제2지지바가 지지되는 상기 브래킷 부위를 관통하여 상기 브래킷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호 대향하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2지지바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볼트; 한쌍의 상기 지지볼트의 상단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지지바의 상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2지지바를 지지하는 지지판; 한쌍의 상기 지지볼트의 상단부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지지판을 상기 제2지지바측으로 가압하는 너트; 상기 제2지지바 외측의 상기 브래킷 부위를 관통하여 상기 지붕에 결합되며, 상기 브래킷을 상기 지붕에 결합시키는 복수의 결합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결합볼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지붕의 요 부위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결합볼트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지붕의 철 부위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모듈은, 태양광패널을 지지하는 제2지지바가 브래킷의 일측 부위에 지지되고, 제2지지바가 위치되지 않은 브래킷의 부위가 결합볼트에 의하여 지붕에 결합된다. 그러면, 결합볼트 주위를 실링하기 위한 유지 보수 작업이 제2지지바의 간섭을 받지 않으므로, 편리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태양광패널을 지지하는 제2지지바가 브래킷의 제2지지편과 지지볼트와 지지판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 지지되므로, 안정되게 지지된다. 이로 인해, 태양광패널이 안정되게 지지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지지모듈에 의하여 태양광패널이 지지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종래의 지지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지모듈에 의하여 태양광패널이 지지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P"부 확대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a 및 도 6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모듈의 다른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모듈에 제2지지바를 설치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또는 제3항목"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설치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된다, 결합된다,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가 별도로 마련되어 형성되거나, 결합되거나, 설치된 것 뿐만 아니라,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가 하나의 몸체인 일체로 된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모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지모듈에 의하여 태양광패널이 지지된 것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P"부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패널(110)은 복수의 태양전지가 가로 및 세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지붕(R)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지붕(R)은, 일반적으로, 요철(凹凸) 구조의 샌드위치 패널로 마련될 수 있다.
샌드위치 패널은 강도가 우수한 플라스틱,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등으로 형성된 표면판(表面板)과 이면판(裏面板) 사이에, 종이, 목재 또는 발포 플라스틱재 등으로 형성된 심재(心材)를 개재한 다음, 표면판과 심재와 이면판을 접착하여 형성된다.
샌드위치 패널은 요철 구조이므로, 테두리부측을 중첩하여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대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샌드위치 패널이 지붕으로 사용될 경우, 빗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그리고, 샌드위치 패널의 요(凹) 부위(RD)로 인하여, 빗물이 더욱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지붕(R)이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지붕(R)에 설치된 태양광패널(110)도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때, 태양광에 대한 태양광패널(110)의 경사도가 적절하면, 많의 양의 태양광이 태양광패널(110)에 입사될 수 있다.
태양광패널(110)이 지붕(R)에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태양광패널(110)의 경사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복수의 지지바가 마련된다.
상기 지지바는 태양광패널(110)의 이면(裏面)에 설치된 복수의 제1지지바(121), 지붕(R)의 철(凸) 부위(RP)를 따라 철 부위(RP)의 상면에 설치된 복수의 제2지지바(123), 제1지지바(121)와 제2지지바(123)를 연결함과 동시에 태양광패널(110)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복수의 제3지지바(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는 제2지지바(123)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4지지바(127)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3지지바(125)는 제1지지바(121)와 제4지지바(127)를 연결할 수도 있다.
제1지지바(121) 내지 제4지지바(127) 중, 제2지지바(123)가 지붕(R)의 철 부위(RP)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제2지지바(123)를 지붕(R)에 지지 고정하면, 태양광패널(110)이 지붕(R)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모듈(200)은 제2지지바(123)를 지붕(R)에 지지 고정할 수 있으며, 브래킷(210), 결합볼트(220), 지지볼트(230), 지지판(240) 및 너트(25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210)은 지붕(R)에 결합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브래킷(210)의 하면 일측은 지붕(R)의 철 부위(RP)에 접촉 결합될 수 있고, 하면 타측은 지붕(R)의 요 부위(RD)에 접촉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브래킷(210)은 하면 일측 및 타측에 결합되는 지붕(R)의 철 부위(RP)와 요 부위(RD)는 상호 인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요 부위(RP)에 위치되는 브래킷(210)의 상면에는 제2지지바(123)의 하면이 접촉 지지될 수 있다.
브래킷(210)은 제1지지편(211) 내지 제4지지편(21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편(211)은 지붕(R)의 철 부위(RP) 일측면과 접촉할 수 있고, 제2지지편(213)은 제1지지편(211)의 일단부에서 벤딩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편(213)의 일측 하면은 지붕(R)의 철 부위(RP) 상면과 접촉할 수 있고, 타측 하면은 지붕(R)의 요 부위(RD) 상면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지붕(R)의 철 부위(RP)와 접촉하는 제2지지편(213)의 부위는 결합볼트(220)에 의하여 지붕(R)에 결합될 수 있고, 요 부위(RD)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2지지편(213)의 상면에는 제2지지바(123)의 하면이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제3지지편(215)은 제2지지편(213)의 타단부에서 벤딩 형성되어 지붕(R)의 요 부위(RD)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4지지편(217)은 제3지지편(215)의 단부에서 벤딩 형성되어 지붕(R)의 요 부위(RD) 상면과 접촉할 수 있으며, 결합볼트(220)에 의하여 지붕(R)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볼트(220)는, 브래킷(210)을 지붕(R)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브래킷(210)을 관통하여 지붕(R)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볼트(220)는 브래킷(210)의 적어도 2군데 부위를 관통하여 지붕(R)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볼트(220)가 브래킷(210) 및 지붕(R)을 관통한다. 그러면, 지붕(R)을 타고 흐르는 빗물이 지붕(R)과 결합볼트(220)의 접촉 부위로 스며든 후, 결합볼트(220)의 표면을 타고 흘러 지붕(R)의 심재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러면, 지붕(R)의 심재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결합볼트(220) 주위는 실링되어야 한다.
만약, 결합볼트(220)가 제2지지바(123)의 하측에 위치되면, 결합볼트(220) 주위를 실링하기 위한 유지 보수 작업이 제2지지바(123)의 간섭을 받으므로, 불편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모듈(200)은 제2지지바(123) 외측의 브래킷(210) 부위에 결합볼트(220)를 결합할 수 있다. 즉, 결합볼트(220)는 제2지지바(123)를 사이에 두고, 브래킷(210)의 일측 부위 및 타측 부위에 결합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결합볼트(220)는 제2지지편(213)에 지지된 제2지지바(123)를 사이에 두고, 제2지지바(123)가 지지되지 않은 제2지지편(213)의 부위 및 제4지지편(217)을 관통하여 지붕(R)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결합볼트(220) 주위를 실링하기 위한 유지 보수 작업이 제2지지바(123)의 간섭을 받지 않으므로, 대단히 편리하다.
제2지지편(213) 및 제4지지편(217)에는 결합볼트(220)가 관통 결합되는 결합공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지지볼트(230)는 브래킷(210)에 설치되어 제2지지바(123)를 지지할 수 있으며, 상호 대향하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제2지지바(123)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지지볼트(230)는, 지붕(R)의 요 부위(RD)에 위치되며 제2지지바(123)가 탑재 지지되는 브래킷(210)의 부위 하면에 머리부인 하단부측이 지지될 수 있고, 상단부측은 브래킷(210)을 관통하여 브래킷(210)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지지볼트(230)는 상호 대향하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지붕(R)의 요 부위(RD)에 위치되며 제2지지바(123)가 탑재 지지되는 제2지지편(213)의 하면에 하단부측이 지지될 수 있고, 상단부측은 제2지지편(213)의 상면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지지편(213)의 상면 상측으로 돌출된 한쌍의 지지볼트(230) 사이에 제2지지바(123)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한쌍의 지지볼트(230) 중, 어느 하나는 제2지지바(123)의 일측면과 접촉하고, 다른 하나는 제2지지바(123)의 타측면과 접촉하여 제2지지바(123)를 지지할 수 있다.
제2지지편(213)에는 한쌍의 지지볼트(230)가 관통하는 한쌍의 제1관통공(213a)이 지지볼트(230)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볼트(230)의 하단부인 머리부는, 지붕(R)의 요 부위(RD)에 위치된 제2지지편(213)의 하면에 지지된다. 그런데, 하측으로 함몰된 지붕(R)의 요 부위(RD)의 형상으로 인하여, 지붕(R)의 요 부위(RD)에 위치된 제2지지편(213)의 하측에는 충분한 공간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지지볼트(230)의 하단부는 주위 부품과 간섭 없이 지붕(R)의 요 부위(RD)에 위치된 제2지지편(213)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지지판(240)은 제2지지바(123)의 상측에 위치되어 제2지지바(123)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으며, 지지볼트(230)의 상단부측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지지판(240)에는 지지볼트(230)의 상단부가 관통하는 제2관통공(2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볼트(230)의 상단부는 제2관통공(241)을 관통하여 지지판(24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2관통공(241)도 한쌍으로 마련되어 제1관통공(213a)과 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너트(250)는 제2관통공(241)을 관통하여 지지판(240)의 상측으로 돌출된 지지볼트(230)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지지판(40)을 제2지지바(123)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그러면, 제2지지편(213)과 지지볼트(230)와 지지판(24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 지지된 제2지지바(123)가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모듈(200)은 태양광패널(110)을 지지하는 제2지지바(123)가 브래킷(210)의 일측 부위에 지지되고, 제2지지바(123)가 위치되지 않은 브래킷(210)의 부위가 결합볼트(220)에 의하여 지붕(R)에 결합된다. 그러면, 결합볼트(220) 주위를 실링하기 위한 유지 보수 작업이, 제2지지바(123)의 간섭을 받지 않으므로, 편리하다.
그리고, 태양광패널(110)을 지지하는 제2지지바(123)가 브래킷(210)의 제2지지편(213)과 지지볼트(230)와 지지판(24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 지지되므로,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태양광패널(110)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모듈의 다른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측면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편(213)에 형성된 쌍을 이루는 제1관통공(213a)은 2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제2지지바(123)의 길이로 인하여, 2개의 제2지지바(123)를 지지모듈(200)에 지지시켜야 할 경우, 쌍을 이루는 어느 하나의 제1관통공(213aa)에 지지판(240)을 설치한 다음, 어느 하나의 제2지지바(123)를 지지하고, 다른 하나의 제1관통공(213ab)에 지지판(240)을 설치한 다음, 다른 하나의 제2지지바(123)를 지지할 수 있다. 그러면, 2개의 제2지지바(123)가 상호 연결된 형태가 된다.
2개의 쌍을 이루는 제1관통공(213a)에 지지판(240)을 각각 설치한 다음, 2개의 지지판(240)을 이용하여 하나의 제2지지바(123)를 지지할 수도 있다. 그러면, 제2지지바(123)를 더욱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모듈에 제2지지바를 설치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240)에 형성된 한쌍의 제2관통공(241)은 각각 장공(長孔)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한쌍의 제2관통공(241)을 연결한 가상의 직선(ℓ-ℓ)이 향하는 방향의 제2관통공(241)의 직경은 지지볼트(230)의 직경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한쌍의 지지볼트(230)가 제2관통공(241)의 최외곽에 위치되었을 때의 한쌍의 지지볼트(230) 사이의 간격(D1)은 제2지지바(123)의 일측면과 타측면 사이의 거리(D2) 보다 넓을 수 있다. 그러면, 제2지지바(123)를 한쌍의 지지볼트(230)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태양광패널
200: 지지모듈
210: 브래킷
220: 결합볼트
230: 지지볼트
240: 지지판
250: 너트

Claims (7)

  1. 태양광패널의 이면(裏面)에 설치된 복수의 제1지지바, 요철(凹凸) 형태로 굴곡진 지붕의 철(凸) 부위를 따라 설치된 복수의 제2지지바 및 상기 제1지지바와 상기 제2지지바를 상호 연결하는 제3지지바 중, 상기 제2지지바를 지지하는 지지모듈에 있어서,
    하면 일측 부위 및 타측 부위는 상호 인접하는 상기 지붕의 철 부위 상면 및 요(凹) 부위 상면과 접촉하여 상기 지붕에 결합되고, 상면 일측 부위에는 상기 제2지지바의 하면이 접촉 지지되는 브래킷;
    하단부측은 상기 브래킷의 하면에 지지되고, 상단부측은 상기 제2지지바가 지지되는 상기 브래킷 부위를 관통하여 상기 브래킷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호 대향하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2지지바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볼트;
    한쌍의 상기 지지볼트의 상단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지지바의 상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2지지바를 지지하는 지지판;
    한쌍의 상기 지지볼트의 상단부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지지판을 상기 제2지지바측으로 가압하는 너트;
    상기 제2지지바 외측의 상기 브래킷 부위를 관통하여 상기 지붕에 결합되며, 상기 브래킷을 상기 지붕에 결합시키는 복수의 결합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결합볼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지붕의 요 부위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결합볼트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지붕의 철 부위에 결합되는 지지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지붕의 철 부위 일측면과 접촉하는 제1지지편;
    상기 제1지지편의 일단부에서 벤딩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지붕의 철 부위 상면과 접촉하고, 타측은 상기 지붕의 요(凹) 부위에 위치되어 상기 제2지지바가 탑재 지지되는 제2지지편;
    상기 제2지지편의 타단부에서 벤딩 형성되어 상기 지붕의 요 부위에 위치되는 제3지지편;
    상기 제3지지편의 단부에서 벤딩 형성되며 상기 지붕의 요 부위 상면과 접촉하는 제4지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볼트는 상기 제2지지바를 사이에 두고 상기 브래킷의 적어도 2군데 부위를 관통하여 상기 지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볼트는 상기 제2지지바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지지바가 지지되지 않은 상기 제2지지편의 일측 부위 및 상기 제4지지편을 관통하여 상기 지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에 지지된 상기 지지볼트는 상기 지붕의 요 부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모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편에는 한쌍의 상기 지지볼트가 관통 지지되는 한쌍의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한쌍의 상기 제1관통공은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모듈.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한쌍의 상기 지지볼트의 상단부측이 관통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고,
    한쌍의 상기 제2관통공을 연결한 가상의 직선이 향하는 방향의 상기 제2관통공의 직경은 상기 지지볼트의 직경 보다 길게 형성되며,
    한쌍의 상기 지지볼트가 상기 제2관통공의 최외곽에 위치되었을 때의 한쌍의 상기 지지볼트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지지바의 일측면과 타측면 사이의 거리 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모듈.
KR2020180000697U 2018-02-13 2018-02-13 지지모듈 KR2004904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697U KR200490492Y1 (ko) 2018-02-13 2018-02-13 지지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697U KR200490492Y1 (ko) 2018-02-13 2018-02-13 지지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138U KR20190002138U (ko) 2019-08-21
KR200490492Y1 true KR200490492Y1 (ko) 2019-11-21

Family

ID=67763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697U KR200490492Y1 (ko) 2018-02-13 2018-02-13 지지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4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845B1 (ko) * 2020-11-06 2021-09-01 주식회사 아텍스에너지 태양전지판 설치용 공장형 지붕 기초프레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871B1 (ko) 2019-09-17 2019-12-11 조성범 경사 지붕 거치형 태양광 패널의 거치대 모듈
KR102353512B1 (ko) * 2020-01-21 2022-01-19 이정훈 태양광 패널 지지 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3231A (ja) 1999-07-22 2001-07-17 Sekisui Chem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KR100957530B1 (ko) * 2009-10-01 2010-05-11 주식회사 유일엔시스 태양광 모듈 고정용 클램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807B1 (ko) * 2010-07-29 2012-10-02 주식회사 썬트랙이앤아이 평 지붕 각도조절식 태양광 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3231A (ja) 1999-07-22 2001-07-17 Sekisui Chem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KR100957530B1 (ko) * 2009-10-01 2010-05-11 주식회사 유일엔시스 태양광 모듈 고정용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845B1 (ko) * 2020-11-06 2021-09-01 주식회사 아텍스에너지 태양전지판 설치용 공장형 지붕 기초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138U (ko)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0492Y1 (ko) 지지모듈
JP3382206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JP3218200U (ja) 背掛けタイプの薄膜太陽光モジュールの取り付けアセンブリ
JP6558632B2 (ja) 太陽光発電装置
US20180097134A1 (en) Lightweight solar module building materials set and sound insulation wall using the set
JP5213977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架台、その施工方法、及びそれを備えた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5466840B2 (ja) 屋根面取付治具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KR101188176B1 (ko) 샌드위치 패널형의 지붕 설치용 태양광 발전 장치
US20220103114A1 (en) Solar panel assembly and solar power system including same
KR102207346B1 (ko) 태양광 패널 고정용 클램핑 장치
CN203951411U (zh) 通用型直立锁边彩钢瓦屋面夹具
KR101421808B1 (ko) 태양광 모듈 설치를 위한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모듈 설치 구조
KR102580644B1 (ko) 태양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JP3177591U (ja) 屋根上設置物の取り付け構造
CN210486137U (zh) 光伏组件快装固定结构
KR101495104B1 (ko) 태양광 발전모듈 지지 브라켓
CN208023852U (zh) 一种用于光伏车棚檩条和组件连接装置
KR102413135B1 (ko) 태양광 모듈 고정용 브라켓
JP5606898B2 (ja) 太陽光発電モジュール用架台
CN206759364U (zh) 一种防止前后立柱滑移的光伏支架
KR20210054804A (ko) 태양광 패널 거치대
CN202041014U (zh) 集热器安装支架
TWM568558U (zh) Modular support device
CN214177214U (zh) 一种便于安装太阳能电板的房屋屋顶
CN215368327U (zh) 一种用于光伏组件的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