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487Y1 - 화장품 케이스 - Google Patents

화장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487Y1
KR200490487Y1 KR2020180001480U KR20180001480U KR200490487Y1 KR 200490487 Y1 KR200490487 Y1 KR 200490487Y1 KR 2020180001480 U KR2020180001480 U KR 2020180001480U KR 20180001480 U KR20180001480 U KR 20180001480U KR 200490487 Y1 KR200490487 Y1 KR 2004904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ain body
flat
cosmetic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4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551U (ko
Inventor
이준운
장혜선
박재현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14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487Y1/ko
Priority to CN201822249973.5U priority patent/CN209346245U/zh
Publication of KR201900025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5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4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4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중공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제1케이스부; 상기 본체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케이스부를 커버하는 제2케이스부; 및 상기 제2케이스부를 커버하는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제1케이스부와 상기 제2케이스부 및 상기 커버부는 사출 성형되어 결합되는,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케이스{Cosmetics case}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운데이션과 같은 기초화장품은 내부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화장품 케이스에 보관된다. 이러한 화장품 케이스는, 상부 개폐식 덮개부와, 화장품이 저장되는 케이스본체를 주요한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종래에는 하나의 화장품 케이스에 한 종류의 화장품이 수용되어 있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여러 개의 화장품 케이스를 구비해야 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이종(異種)의 화장품을 하나의 용기에 담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화장품을 수용하기 위하기 위하여 케이스본체 역시 복수 개가 요구되었다. 종래 화장품 케이스의 부품 구성이 복잡해짐에 따라 각각의 부품을 조립함에 있어 공정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사출 성형을 통해 조립 공정을 단순화하고, 구성 간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중공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제1케이스부; 상기 본체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케이스부를 커버하는 제2케이스부; 및 상기 제2케이스부를 커버하는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제1케이스부와 상기 제2케이스부 및 상기 커버부는 사출 성형되어 결합되는,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힌지부가 삽입되도록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부로 삽입되는 상기 힌지부 측 방향으로 돌기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마주보는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도록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는 일측이 개방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는 상기 삽입부의 마주보는 각 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돌기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부는 외주면을 따라 이탈방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소정 구간에서 편평하도록 편평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편평부가 형성되는 구간에서의 높이가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기 편평부와 마주보는 타측의 높이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의 중심에서 상기 편평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이탈방지부의 반지름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실용신안 청구범위 및 고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는 본체부와 제1케이스부와 제2케이스부 및 커버부가 사출 성형되어 결합됨으로 인하여 조립 공정이 단순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부의 내측면에 힌지부가 삽입됨으로 인하여 힌지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가 형성되는 삽입부의 마주보는 각 단부 사이의 거리가 돌기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돌기부가 힌지부에 결합 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탈방지부의 소정 구간에서 편평부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쿠션부 등을 제2케이스부에 안착시키거나 이탈시킬 때 손가락 등으로 편평부에 접촉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본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본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1)는 본체부(100), 제1케이스부(200), 제2케이스부(300), 커버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0), 제1케이스부(200), 제2케이스부(300), 커버부(400)는 사출 성형되어 결합된다. 이로 인하여 4개의 부품만으로 화장품 케이스(1)를 조립할 수 있고, 핀(Pin) 등 체결을 위한 별도의 체결부재가 요구되지 않아 조립 공정이 단순화되는 효과가 있다.
본체부(100)는 화장품 케이스(1)의 하부(도 1 기준)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에 화장품 또는 화장품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중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에는 뒤에 설명할 제1케이스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에는 뒤에 설명할 커버부(400)가 힌지 결합되고, 커버부(400)가 회동됨으로 인하여 본체부(100)를 개폐한다. 본체부(100)는 외형이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체부(100)에는 뒤에 설명할 커버부(400), 구체적으로 힌지부(430)가 삽입되도록 가이드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10)는 본체부(10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하 방향(도 1 기준)으로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힌지부(430)가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가이드부(110)에 배치됨으로 인하여 힌지부(430) 및 힌지부(430)와 결합되는 커버본체(410)가 좌우 방향(도 1 기준)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110)의 내측면에는 가이드부(110)로 삽입되는 힌지부(430) 측 방향으로 돌기부(1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111)는 가이드부(110)의 내측면과 수직을 이루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가이드부(110)의 내측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돌기부(111)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마주보는 가이드부(110)의 내측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본 고안에서는 복수 개의 돌기부(111)가 서로 마주보고, 마주보는 각 돌기의 단부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일의 돌기부(111)가 마주보는 가이드부(110)의 내측면을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111)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핀 등의 체결부재 없이 본체부(100)에 일체로써 형성되는 돌기부(111)가 힌지부(43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제1케이스부(200)는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중공에 배치되는 것으로 본체부(100)에 결합된다. 제1케이스부(200)에는 제1화장품(10)이 수용된다. 본 고안에서는 제1케이스부(200)가 본체부(1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사각 형상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3,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케이스부(300)는 본체부(100)에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제1케이스부(200)를 커버할 수 있다. 제2케이스부(300)는 본체부(100)의 일면(도 2 기준 상면)에 힌지 결합되며, 본체부(100)와 결합되는 부분을 회전 축으로 하여 회동되며 제1케이스부(200)를 개폐할 수 있다.
제2케이스부(300)의 내부에는 제2화장품(2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케이스부(300)에 수용되는 제2화장품(20)은 제1케이스부(200)에 수용되는 제1화장품(10)과 다른 화장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케이스부(200)에 수용되는 제1화장품(10)은 파운데이션(Foundation)일 수 있고, 제2케이스부(300)에 수용되는 제2화장품(20)은 컨실러(Concealer)일 수 있다. 또는 제1케이스부(200)에 수용되는 제1화장품(10)은 제1색상을 갖는 파운데이션일 수 있고, 제2케이스부(300)에 수용되는 제2화장품(20)은 제2색상을 갖는 파운데이션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케이스부(200), 제2케이스부(300)에 파운데이션, 컨실러 외에 다양한 화장품이 수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제2케이스부(300)의 상측(도 2 기준)에는 제1화장품(10) 또는 제2화장품(20)을 묻힐 수 있는 쿠션부가 안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쿠션부를 잡고 제1케이스부(200), 제2케이스부(300)에 수용되는 화장품을 묻혀 사용할 수 있다.
도 3,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310)는 제2케이스부(300)의 외주면, 구체적으로 상면(도 3 기준)의 외주면을 따라 상측(도 3 기준)으로 돌출 형성될수 있다.
이탈방지부(3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이탈방지부(310)의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나, 소정 구간에서 이탈방지부(310)의 두께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310)는 원형의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되며, 소정 구간에서 편평하도록 편평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310)는 사각 형상 등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310)는 편평부(311)가 형성되는 구간에서의 높이(h1)가 중앙부(C)를 기준으로 편평부(311)와 마주보는 타측의 높이(h2)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제2케이스부(300)에 안착되는 쿠션부를 파지하여 제2케이스부(300)에서 편하게 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편평부(311)가 형성되는 소정 구간에서의 이탈방지부(310)의 높이(h1)가 편평부(311)와 마주보는 이탈방지부(310)의 타측(h2)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쿠션부를 제1방향(도 6 기준 우측에서 좌측)으로 쿠션부를 제2케이스부(300)에서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케이스부(300)의 좌측(도 6 기준) 단부에서 중앙부(C) 측으로 갈수록 이탈방지부(310)의 높이가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케이스부(300)의 단부에서 중앙부까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이탈방지부(310)의 중심에서 편평부(311)까지의 거리(d3)는 이탈방지부(310)의 반지름(R)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편평부(311)의 외측면에서 중앙부를 기준으로 마주보는 타측의 외측면까지의 제1방향(도 7 기준 좌우 방향) 제1직선의 길이가, 이탈방지부(310)의 중심에서 제1직선과 직교하며 제2방향(도 7 기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마주보는 이탈방지부(310)의 외측면 사이의 제2직선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 도 3,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400)는 본체부(100)에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커버본체(410), 힌지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본체(410)는 제2케이스부(300)를 커버하는 것으로, 화장품 케이스(1)의 상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커버본체(410)의 내부에는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미러부가 배치될 수 있다.
힌지부(430)는 커버본체(410)의 일측(도 3 기준 하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본체부(100)에 힌지 결합된다. 힌지부(430)와 본체부(100)는 사출 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 도 5를 참조하면, 힌지부(430)에는 돌기부(111)가 삽입되도록 삽입부(431)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431)는 'C'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되도록 개구부(43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432)가 형성되는 삽입부(431)의 마주보는 각 단부 사이의 거리(d1)는 돌기부(111)의 직경(d2)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돌기부(111)가 삽입부(431)에 억지 끼움 등으로 결합이 가능하고, 돌기부(111)가 삽입부(4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합된 후에는 커버부(400), 구체적으로 힌지부(430)가 본체부(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1)의 작동원리 및 효과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1)는 본체부(100), 제1케이스부(200), 제2케이스부(300), 커버부(400)를 포함한다. 제1케이스부(200)는 본체부(100)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에 배치되며 본체부(100)에 결합된다.
제2케이스부(300)는 본체부(100)에 결합되며, 제1케이스부(200)를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사용자가 제2케이스부(300)를 파지하고, 회전시키면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회동되며, 제1케이스부(200)를 개폐할 수 있다.
커버부(400)는 본체부(100)에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화장품 케이스(1)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며, 사용자는 커버부(400)를 파지하여 본체부(100)에 대하여 소정 각도 회동시켜 본체부(100)를 개폐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와 제1케이스부(200), 제2케이스부(300), 커버부(400)는 사출 성형되어 결합되며, 이로 인하여 4개의 구성만으로 화장품 케이스(1)를 제작할 수 있어 별도의 체결 부재 등이 요구되지 않고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4개의 구성만으로 화장품케이스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조립 공정이 단순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커버부(400)는 커버본체(410), 힌지부(430)를 포함할 수 있고, 힌지부(430)는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가이드부(110)에 삽입된다. 가이드부(110)의 내측면에는 가이드부(110)로 삽입되는 힌지부(430) 측 방향으로 돌기부(111)가 돌출 형성되고, 돌기부(111)는 힌지부(430)에 형성되는 삽입부(431)에 삽입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개구부(432)가 형성되는 삽입부(431)의 마주보는 각 단부 사이의 거리(d1)가 돌기부(111)의 직경(d2)보다 작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돌기부(111)가 힌지부(430)에 결합 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힌지부(430)는 일측이 개방되도록 개구부(432)가 형성되고, 돌기부(111)는 개구부(432)를 통해서 삽입부(431)의 내측에 배치된다. 사용자는 커버부(400)를 파지하여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돌기부(111)가 힌지부(430), 구체적으로 삽입부(431)의 내측에 끼워지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케이스부(300)는 외주면을 따라 이탈방지부(310)가 돌출 형성되고, 이탈방지부(310)는 소정 구간에서 편평하도록 편평부(311)가 형성된다. 편평부(311)는 이탈방지부(310)의 소정 구간에서 직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이탈방지부(310)의 전 구간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사용자가 쿠션부 등을 제2케이스부(300)에 안착시키거나 이탈시킬 때 손가락 등으로 편평부(311)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전 구간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에 비해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사용자와 제2케이스부(300)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되고 미끄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310)가 편평부(311)가 형성되는 구간에서의 높이가 중앙부(C)를 기준으로 편평부(311)와 마주보는 타측(도 6 기준 우측)의 높이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이탈방지부(310)가 소정 구간에서 절개되고, 제2케이스부(300)에 안착되는 쿠션부를 상하 방향(도 6 기준)뿐 만 아니라, 높이 차이로 형성되는 절개부를 통해 좌우 방향(도 6 기준)으로도 사용자가 쿠션부를 안착, 이탈시킬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이탈방지부(310)의 중심에서 편평부(311)까지의 거리(d3)가 이탈방지부(310)의 반지름(R)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편평부(311)가 형성되지 않고, 이탈방지부(310)의 반지름이 전 구간에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이탈방지부(310) 내 단면적이 감소되고, 감소한 단면적만큼 이탈방지부(310)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손잡이부(320) 등 공간 활용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편평부(311)가 형성되는 이탈방지부(310)의 소정 구간에서, 제2케이스부(300)를 커버하는 커버부(400)의 내측면 상에서 제2케이스부(300)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별도의 지지부재가 배치되어 제2케이스부(300)를 누르며 위치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화장품 케이스 10: 제1화장품
20: 제2화장품 100: 본체부
110: 가이드부 111: 돌기부
200: 제1케이스부 300: 제2케이스부
310: 이탈방지부 311: 편평부
320: 손잡이부 400: 커버부
410: 커버본체 430: 힌지부
431: 삽입부 432: 개구부

Claims (8)

  1.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중공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제1케이스부;
    상기 본체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케이스부를 커버하는 제2케이스부; 및
    상기 제2케이스부를 커버하는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제1케이스부와 상기 제2케이스부 및 상기 커버부는 사출 성형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2케이스부는 외주면을 따라 이탈방지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소정 구간에서 편평하도록 편평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편평부가 형성되는 구간에서의 높이가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기 편평부와 마주보는 타측의 높이보다 더 작게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부의 중심에서 상기 편평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이탈방지부의 반지름보다 더 작게 형성되고,
    상기 편평부는 상기 이탈방지부의 상기 소정 구간에서 직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편평하게 형성되는, 화장품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힌지부가 삽입되도록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부로 삽입되는 상기 힌지부 측 방향으로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는, 화장품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마주보는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는, 화장품 케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도록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는 일측이 개방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는, 화장품 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는 상기 삽입부의 마주보는 각 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돌기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화장품 케이스.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2020180001480U 2018-04-03 2018-04-03 화장품 케이스 KR2004904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480U KR200490487Y1 (ko) 2018-04-03 2018-04-03 화장품 케이스
CN201822249973.5U CN209346245U (zh) 2018-04-03 2018-12-29 化妆品盒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480U KR200490487Y1 (ko) 2018-04-03 2018-04-03 화장품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551U KR20190002551U (ko) 2019-10-14
KR200490487Y1 true KR200490487Y1 (ko) 2019-11-19

Family

ID=67801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480U KR200490487Y1 (ko) 2018-04-03 2018-04-03 화장품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90487Y1 (ko)
CN (1) CN209346245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816U (ko) 2020-01-31 2021-08-10 옥수정 휴대용 화장품 케이스
KR20220001040U (ko) 2020-11-03 2022-05-10 옥수정 휴대용 화장품 케이스
KR20220069759A (ko) 2020-12-17 2022-05-27 펌텍코리아 (주) 이종내용물이 수용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20220069758A (ko) 2020-12-17 2022-05-27 펌텍코리아 (주) 이종내용물이 수용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5020A (ja) 1999-02-04 2000-08-15 Yoshida Industry Co Ltd 気密化粧料容器
JP2003180443A (ja) * 2001-12-20 2003-07-02 Yoshida Industry Co Ltd コンパクト容器
KR101795448B1 (ko) 2017-03-27 2017-12-01 (주) 이루팩 독립적으로 개방되는 다중진공커버가 구비된 화장품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2990Y2 (ja) * 1992-12-08 1998-05-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化粧用コンパクト容器
KR200478937Y1 (ko) * 2014-03-13 2015-12-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CN109152462A (zh) * 2016-04-12 2019-01-04 科丝美诗株式会社 内装胶状化妆品和固体化妆品的粉饼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5020A (ja) 1999-02-04 2000-08-15 Yoshida Industry Co Ltd 気密化粧料容器
JP2003180443A (ja) * 2001-12-20 2003-07-02 Yoshida Industry Co Ltd コンパクト容器
KR101795448B1 (ko) 2017-03-27 2017-12-01 (주) 이루팩 독립적으로 개방되는 다중진공커버가 구비된 화장품케이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816U (ko) 2020-01-31 2021-08-10 옥수정 휴대용 화장품 케이스
KR20220001040U (ko) 2020-11-03 2022-05-10 옥수정 휴대용 화장품 케이스
KR20220069759A (ko) 2020-12-17 2022-05-27 펌텍코리아 (주) 이종내용물이 수용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20220069758A (ko) 2020-12-17 2022-05-27 펌텍코리아 (주) 이종내용물이 수용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551U (ko) 2019-10-14
CN209346245U (zh) 201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0487Y1 (ko) 화장품 케이스
US20150108019A1 (en) Electronic cigarette box
US20040017684A1 (en) Waterproof Christmas light bulb
CN104276338A (zh) 饮料用容器的栓体
CN104276355A (zh) 饮料用容器的栓体
US10486177B2 (en) Spray structure for portable atomizer
KR20180003124U (ko) 리필 타입의 에어쿠션 콤팩트 케이스
KR101414379B1 (ko) 화장품 용기
KR102386380B1 (ko)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CN109562870A (zh) 具有带导向锁扣件的盖的容器
KR200239126Y1 (ko) 립스틱 케이스
CN101304926A (zh) 螺纹式帽及安全帽
KR101897961B1 (ko) 밀폐력이 향상된 에어타이트 립 화장품 용기
KR200413141Y1 (ko) 콤팩트 용기
US6609287B2 (en) Cosmetic container cap
JP5503042B1 (ja) 飲料用容器の栓体
KR20200001038U (ko) 화장품용기
US7114624B2 (en) Fluid distribution device having a bottle and a decorative case
JP3636793B2 (ja) ワンタッチヒンジキャップ
KR20170105238A (ko) 자동 열림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인출구 개폐장치
KR101986833B1 (ko) 용기
EP1384942A1 (en) Waterproof christmas light bulb
KR200489476Y1 (ko) 화장품 케이스
CN105644926A (zh) 一种油箱盖执行器
KR102664580B1 (ko) 콤팩트 타입 화장품용 리필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