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9758A - 이종내용물이 수용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이종내용물이 수용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9758A
KR20220069758A KR1020200177522A KR20200177522A KR20220069758A KR 20220069758 A KR20220069758 A KR 20220069758A KR 1020200177522 A KR1020200177522 A KR 1020200177522A KR 20200177522 A KR20200177522 A KR 20200177522A KR 20220069758 A KR20220069758 A KR 20220069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ent
contents
cream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훈
Original Assignee
펌텍코리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펌텍코리아 (주) filed Critical 펌텍코리아 (주)
Priority to KR1020200177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9758A/ko
Publication of KR20220069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7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A45D40/0075Jars with dispen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종내용물이 수용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는 용기삽입공간이 구비된 외용기와, 상기 외용기를 개폐하는 외용기덮개와, 상기 외용기의 용기삽입공간에 장착되고 내부에 제1내용물이 저장된 내용물용기와, 상기 내용물용기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내용물용기를 개폐하는 리드 및 상기 리드에 의해 구획된 내용물용기의 내부 공간에 수납되고 내부에 제2내용물이 저장된 보조용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종내용물이 수용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Cream type cosmetic container containing heterogeneous contents}
본 발명은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용기를 개폐하는 리드의 상부에 일정한 공간을 마련하여 별도의 보조용기를 수납함에 따라, 내용물용기와 보조용기에 각각 수용된 이종의 내용물을 함께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이종내용물이 수용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은 자신의 외모를 더욱 아름답게 꾸미기 위해 다양한 화장품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화장품을 사용목적에 따라 분류해보면 피부표면의 피지, 노폐물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안화장품과, 피부에 수분과 유분을 적절히 공급해주기 위해 사용되는 기초화장품과, 아름다운 색감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색조화장품과, 모발 또는 두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시에 모발을 보호하고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발화장품 및 향료를 알코올 등에 녹여서 타인에게 향기를 풍기기 위해 사용되는 향수 등으로 분류된다.
상기와 같이 여러 종류의 화장품들이 개발됨에 따라 화장료를 담을 수 있는 다양한 화장품 용기의 개발도 필요하게 되었다.
상기 화장품 중 젤(gel) 또는 크림(cream) 같이 점도가 높은 크림타입 내용물은 개구부가 넓고, 납작한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뚜껑이 나사식으로 개폐되는 용기에 담겨져 생산 판매되어 진다.
특히, 기초화장품으로 많이 사용되는 크림화장품들은 사용의 편리성을 감안하거나 화장품을 편리하게 또는 낭비 없이 사용하기 위하여 주로 개구부가 넓고, 비교적 높이가 낮은 화장품 용기에 담겨져 뚜껑으로 개폐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이러한 크림화장품 용기는 유리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개구부가 넓은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내부에는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의 개구부를 나사식으로 개폐하도록 하는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화장품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뚜껑을 개방한 후 용기의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손가락 또는 별도로 제공된 화장도구로 적당량을 덜어내 원하는 부위의 피부에 펴 바르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내측에 하나의 내용물만 구비되어 있어 다양한 기능 또는 색상을 갖는 화장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화장품 용기를 추가로 구매해서 휴대해야 하고,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킬 뿐만 아니라,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내부에 여러 공간을 형성하고, 각각의 공간에 서로 다른 화장품을 저장하여 동시에 사용하는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90487호의 화장품 케이스가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중공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제1케이스부와; 상기 본체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케이스부를 커버하는 제2케이스부 및 상기 제2케이스부를 커버하는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 내부에 이종의 화장품을 저장하여 함께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본체부의 일측에 제2케이스부를 힌지 결합하여 제1케이스부를 개폐하고, 상기 제2케이스부의 내측에 화장품을 직접 저장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제2케이스부에 저장되는 화장품의 종류가 제한되는 한계가 있었으며, 자주 외부로 노출되면서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제2케이스부를 본체부로부터 회동될 때 제2케이스부 내에 저장된 화장품이 분말 또는 액상 또는 겔상 타입일 경우 상기 제2케이스부에 내장된 화장품이 쏟아지거나 흘러나오게 되고, 커버본체를 개방하게 되면 제2케이스부 내에 저장된 화장품이 계속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이물질에 취약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제2케이스부에 저장된 화장품을 사용할 때 화장품이 상기 제2케이스부의 테두리 부분 또는 손잡이부로 묻게 되며, 이로 인해 사용이 불편함은 물론, 화장품 용기를 위생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둘 이상으로 분리된 공간에 이종내용물이 각각 저장됨은 물론, 저장되는 화장품의 종류에 제약이 없으며, 위생적이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6731호(2015. 03. 30. 공고)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90487호(2019. 11. 19.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용기 내에 내용물용기와 상기 내용물용기를 개폐하는 리드를 형성하고, 상기 리드의 상부에 일정한 공간을 마련하여 별도의 보조용기를 수납함으로써, 내용물용기와 보조용기에 수용된 이종의 내용물을 함께 또는 선택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종내용물이 수용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드에 의해 구획된 내용물용기의 내부 공간 중 어느 한 공간에 크림타입의 내용물을 저장하고, 다른 공간에 상기 크림타입과 다른 내용물이 저장된 보조용기를 수납함으로써, 하나의 크림용기에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이 완전히 분리 보관되어 휴대성 및 위생성이 향상된 이종내용물이 수용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용기삽입공간이 구비된 외용기와, 상기 외용기를 개폐하는 외용기덮개와, 상기 외용기의 용기삽입공간에 장착되고 내부에 제1내용물이 저장된 내용물용기와, 상기 내용물용기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내용물용기를 개폐하는 리드 및 상기 리드에 의해 구획된 내용물용기의 내부 공간에 수납되고 내부에 제2내용물이 저장된 보조용기를 포함하는 이종내용물이 수용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내용물용기의 내주연에는 리드안착턱이 형성되고, 리드의 테두리에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리드안착턱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안착턱은 내용물용기의 상단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내용물용기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용물용기의 내측 공간은 리드에 의해 내용물저장공간과 보조용기수납공간으로 구획되어 상기 내용물저장공간에 제1내용물이 저장되고, 보조용기수납공간에 보조용기가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용기는 가압에 의해 내부 공간이 압축되면서 배출구로 제2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압축용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용기는 배출구와 충전구가 구비된 탄성 재질의 용기몸체와, 상기 배출구를 막는 배출구마개와, 상기 충전구를 개폐하는 충전구마개 및 상기 용기몸체의 테두리를 감싸는 경질의 용기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용기의 내부에 저장된 제2내용물은 액상 또는 겔상 화장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용기는 용기커버에 의해 내부에 저장된 제2내용물이 개방 또는 폐쇄되는 개폐용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용기는 용기받침과, 상기 용기받침에 결합되어 용기받침을 개폐하는 용기커버 및 상기 용기받침의 내측에 형성되고 제2내용물이 충전된 내용물접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용기의 내부에 저장된 제2내용물은 고형 화장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외용기 내에 내용물용기와 상기 내용물용기를 개폐하는 리드를 형성하고, 상기 리드의 상부에 일정한 공간을 마련하여 별도의 보조용기를 수납함으로써, 내용물용기와 보조용기에 수용된 이종의 내용물을 함께 또는 선택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리드에 의해 구획된 내용물용기의 내부 공간 중 어느 한 공간에 크림타입의 내용물을 저장하고, 다른 공간에 상기 크림타입과 다른 내용물이 저장된 보조용기를 수납함으로써, 하나의 크림용기에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이 완전히 분리 보관되어 휴대가 편리하며, 위생적이면서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내용물용기로부터 보조용기를 분리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분리된 보조용기를 가압하여 제2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내용물용기로부터 리드를 분리하여 제1내용물을 외부로 노출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내용물용기로부터 보조용기를 분리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서 분리된 보조용기를 개방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내용물이 수용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내용물이 수용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는 외용기(10)와, 외용기덮개(20)와, 내용물용기(30)와, 리드(40) 및 보조용기(50, 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용기(10)는 경질의 원통 형태로써, 화장품용기의 외관을 이루게 된다. 물론, 상기 외용기(10)가 경질의 원통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에 저장되는 내용물의 종류 또는 사용성 또는 디자인적인 요소 등을 감안하여 다양한 형태 또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외용기(10)를 바닥에 놓고 그 내부에 수용된 크림타입의 내용물을 덜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만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는 안정적인 보관 또는 사용을 위해 상기 외용기(10)가 상대적으로 폭이 넓고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용기(10)의 상부에는 입구부(1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용기삽입공간(14)이 형성되어 내용물용기(30)가 입구부(12)를 통해 용기삽입공간(14)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외용기(10)의 입구부(12) 외주연에는 제1체결돌기(16)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내용물용기(30)와 언더컷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체결돌기(16)의 하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데, 상기 나사산을 통해 외용기덮개(20)과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에서는 외용기(10)와 내용물용기(30)가 언더컷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기와 홈의 결합 또는 강제 끼움 결합 또는 자력에 의한 결합 등 상기 외용기(10)와 내용물용기(30)가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결합 방식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외용기덮개(20)는 외용기(10)의 입구부(12)를 덮으면서 결합되어 상기 외용기(10)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상기 외용기덮개(20)의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외용기(10)의 상부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외용기(10)와 외용기덮개(20)의 착탈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더컷 결합 또는 돌기와 홈의 결합 또는 강제 끼움 결합 또는 자력에 의한 결합 등 다양한 체결 방식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용기덮개(20)의 내측에는 사용자가 화장부위를 비추면서 손쉽게 화장을 할 수 있도록 거울(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용물용기(30)는 외용기(10)의 용기삽입공간(14)으로 삽입되면서 장착된다. 상기 내용물용기(30)의 내측 공간에는 제1내용물(C1)이 수용되는데, 상기 제1내용물(C1)은 젤(gel) 또는 크림(cream) 같이 점도가 높은 크림타입 화장료인 것이 적절하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용물용기(30)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32)가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절곡부(32)의 하측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34)가 수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절곡부(32)와 제2절곡부(34)는 상기 외용기(10)의 입구부(12) 상단을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절곡부(34)의 내주연에는 제2체결돌기(36)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외용기(10)의 제1체결돌기(16)와 언더컷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내용물용기(30)의 외벽과 제2절곡부(34) 사이의 공간에 외용기(10)의 상단을 삽입하면서, 상기 외용기(10)와 내용물용기(30)를 결합하여 상기 내용물용기(30)가 외용기(10)의 상단을 감싸면서 상기 외용기(10)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내용물용기(30)는 화장품 용기의 내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외용기(10)의 용기삽입공간(14)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외용기(10)의 내주연과 내용물용기(30)의 외주연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외용기(10)와 내용물용기(30)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마련하여 상기 내용물용기(30)의 내부에 수용된 제1내용물(C1)이 온도 또는 충격 등과 같은 외부 요인들에 의해 변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내용물용기(30)의 내주연에는 리드안착턱(38)이 형성되어 리드(4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리드안착턱(38)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용기(3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즉, 일정한 거리를 두고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리드안착턱(38)에 리드(40)가 안착되고 상기 리드(40)의 상부면과 내용물용기(30)의 내벽에 의해 감싸진 공간에 보조용기(50, 60)가 수납되는 만큼, 상기 내용물용기(30)의 상단과 리드안착턱(38) 간의 거리는 후술할 보조용기(50, 60)의 사이즈 특히,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용물용기(30) 내에 수납되는 보조용기(50, 60)의 두께가 클수록 내용물용기(30)의 상단과 리드안착턱(38) 사이의 거리는 길어지고, 작을수록 내용물용기(30)의 상단과 리드안착턱(38) 사이의 거리는 짧아지게 된다.
상기 리드(40)는 내용물용기(30)의 내측 공간으로 일정 깊이 삽입되며, 상기 내용물용기(30)를 개폐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리드(40)는 내용물용기(30)의 내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내용물용기(30)로부터 쉽게 빠지거나 끼워질 수 있도록 두께가 얇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드(40)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리드(40)를 용이하게 잡기 위한 리드손잡이(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드손잡이(42)는 리드(4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꺾여 연장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며, 보조용기(50, 60)에 의해 눌려져 있다가 상기 보조용기(50, 60)가 분리되면 자체 탄성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리드(40)의 테두리에는 안착부(48)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안착부(48)는 리드(40)의 외벽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어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용물용기(30)의 리드안착턱(38) 상단에 안착된다. 이를 통해, 상기 리드(40)가 내용물용기(30)의 바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함으로 물론, 상기 내용물용기(30) 내부에서 리드(40)의 안착 위치 즉, 내용물용기(30) 상단과 리드(40) 사이의 거리가 결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리드(40)의 외벽 일부분은 내용물용기(30)의 리드안착턱(38) 하측으로 삽입되는 동시에, 리드(40)의 외벽 외주연과 내용물용기(30)의 내주연이 서로 밀착되어 내용물용기(30)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게 된다.
한편, 상기 내용물용기(30)의 내측 공간은 리드(40)에 의해 내용물저장공간(31)과 보조용기수납공간(33)으로 구획되는데, 상기 내용물저장공간(31)에는 제1내용물(C1)이 저장되고, 보조용기수납공간(33)에는 보조용기(50, 60)가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용물용기(30) 내에서 리드(40)의 안착 위치를 조절하여 내용물용기(30)의 내측 공간 중 내용물저장공간(31)과 보조용기수납공간(33)이 차지하는 공간 비율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리드(40)가 내용물용기(30)의 내측 공간을 분할하는 칸막이 역할을 하는 동시에, 보조용기(50, 60)가 수납되는 공간의 바닥판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용기(30)와 보조용기(50, 60)에 각각 수용된 이종의 내용물을 함께 또는 선택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내용물용기(30)와 리드(40)는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며,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에폭시(epoxy) 수지, 아미노 수지, 페놀(phenol) 수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수지 중에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아크릴수지(Acrylic),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테프론(Teflon), 나일론(Nylon), 폴리아세탈수지 중에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내용물용기(30)와 리드(40)는 상술한 재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외에도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용기(50, 60)는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된 별도의 화장품 용기로써, 리드(40)에 의해 구획된 내용물용기(30)의 내부 공간에 수납된다.
상기 보조용기(50, 60)는 보조용기수납공간(33)에 삽입된 상태로 리드(40)의 상면에 안착되며, 외용기덮개(20)의 개방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종내용물이 수용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의 보조용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의 보조용기(50)는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찌그러지면서 내부 공간이 압축되어 제2내용물(C2)을 배출구(52a)로 배출시키는 압축용기일 수 있다.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용기(50)는 배출구(52a)와 충전구(52b)가 구비된 탄성 재질의 용기몸체(52)와, 상기 배출구(52a)를 막는 배출구마개(54)와, 상기 충전구(52b)를 개폐하는 충전구마개(56) 및 상기 용기몸체(52)의 테두리를 감싸는 경질의 용기프레임(58)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기몸체(52)는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부분으로,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었다가 자체 탄성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며, 상기 배출구(52a)는 용기몸체(52) 내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출구이고, 충전구(52b)는 용기몸체(52) 내부로 내용물을 충전하는 입구이다. 상기 용기몸체(52)의 내부에는 제2내용물(C2)이 저장되는데, 이와 같이 압축용기의 내부에 저장된 제2내용물(C2)은 액상 또는 겔상 화장품인 것이 적절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마개(54)는 용기몸체(52)의 배출구(52a)에 착탈되면서 상기 배출구(52a)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되며, 상기 충전구마개(56)는 용기몸체(52)의 충전구(52b)와 체결 또는 체결 해제되면서 상기 충전구(52b)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마개(54)는 배출구(52a)와 강제 끼움 결합되고, 충전구마개(56)는 충전구(52b)와 스크류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의 편의성 및 밀폐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 용기프레임(58)은 용기몸체(52)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면서 상기 용기몸체(52)를 보호한다. 상기 용기프레임(58)은 상, 하부프레임(58a, 58b)으로 이루어져 용기몸체(52)의 테두리 부분을 감싸면서 서로 결합되고, 상기 상, 하부프레임(58a, 58b)에 각각 형성된 상, 하부관통홀(58c, 58d)에 의해 용기몸체(52)의 상면과 하면의 중앙 부분이 외부로 노출된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는 리드(40)에 의해 구획된 내용물용기(30)의 내측 공간 중 어느 한 공간에 크림타입의 제1내용물(C1)을 저장하고, 다른 공간에 액상 또는 겔상으로 된 제2내용물(C2)이 저장된 보조용기(50)를 별도로 수납함으로써, 하나의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에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이 완전히 분리 보관되어 간편하게 휴대하고, 위생적으로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종내용물이 수용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의 보조용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용기(30)의 보조용기수납공간(33)에 보조용기(60)가 수납되되, 상기 보조용기(60)는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용기커버(64)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는 개폐용기일 수 있다.
도 8과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용기(60)는 용기받침(62)과 상기 용기받침(62)에 결합되어 용기받침(62)을 개폐하는 용기커버(64) 및 상기 용기받침(62)의 내측에 형성되고 제2내용물(C2)이 충전된 내용물접시(6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기받침(62)은 리드(40)의 상면에 안착되는 보조용기(60)의 바닥 부분으로, 내벽(62a)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내벽(62a)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외벽(62b)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벽(62a)의 안쪽 공간에는 내용물접시(66)가 삽입되고, 상기 외벽(62b)에는 제1걸림돌기(62c)가 형성되어 용기커버(64)와 체결 또는 체결 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커버(64)는 용기받침(62)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면서 상기 용기받침(62)의 상부를 덮으면서 그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되며, 제2걸림돌기(64a)가 형성되어 용기받침(62)의 제1걸림돌기(62c)와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용기받침(62)과 용기커버(64)는 걸림 결합 이외에 다양한 방식으로 체결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내용물접시(66)는 용기받침(62)의 내벽(62a) 내측 공간으로 삽입, 고정되며, 안쪽에 제2내용물(C2)이 충전되는데, 이와 같이 내용물접시(66)에 충전된 제2내용물(C2)은 고형 화장품인 것이 적절하다.
도 4 내지 도 6,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의 사용을 예시한 도면으로써,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내용물용기로부터 보조용기를 분리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분리된 보조용기를 가압하여 제2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내용물용기로부터 리드를 분리하여 제1내용물을 외부로 노출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내용물용기로부터 보조용기를 분리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분리된 보조용기를 개방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외용기덮개(20)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외용기덮개(20)를 외용기(10)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보조용기(50, 60)가 내용물용기(30)의 보조용기수납공간(33)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외용기(10)의 입구부(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후, 도 4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용기(50, 60)를 내용물용기(30)의 보조용기수납공간(33)으로부터 꺼내서 상기 보조용기(50, 60) 내에 저장된 제2내용물(C2)을 사용하고,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용물용기(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던 리드(40)를 분리하여 상기 내용물용기(30)의 내용물저장공간(C1)에 저장된 제1내용물(C1)을 사용한다. 이때, 상기 제1내용물(C1)과 제2내용물(C2)은 함께 사용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의 보조용기(5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용기(50)의 용기몸체(52)로부터 배출구마개(54)를 빼내 배출구(52a)를 개방하고, 용기프레임(58)의 상, 하부관통홀(58c, 58d)에 의해 노출된 용기몸체(52)의 상면과 하면을 동시에 가압하게 되면, 용기몸체(52)의 형태가 찌그러지면서 상기 용기몸체(52)의 내부 공간이 압축되는 동시에, 상기 용기몸체(52)의 내부 공간에 저장된 제2내용물(C2)이 배출구(52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누르고 있던 용기몸체(52)를 놓으면 상기 용기몸체(52)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의 보조용기(6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용기(60)의 용기받침(62)으로부터 용기커버(64)를 축 회동시키면, 상기 용기받침(62)의 내부에 저장된 제2내용물(C2)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 가능하게 된다.
사용이 끝난 후에는, 상기 내용물용기(30)의 내측으로 리드(40)를 삽입하여 내용물수용공간(31)을 폐쇄하고, 상기 리드(40)에 의해 구획되어 마련된 보조용기수납공간(33)으로 보조용기(50, 60)를 삽입한 후, 외용기덮개(20)로 외용기(10)의 입구부(12)를 덮고, 상기 외용기덮개(2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외용기(10)와 스크류 결합하여 외용기(10)를 닫는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외용기 12: 입구부
14: 용기삽입공간 16: 제1체결돌기
20: 외용기덮개 22: 거울
30: 내용물용기 31: 내용물저장공간
32: 제1절곡부 33: 보조용기수납공간
34: 제2절곡부 36: 제2체결돌기
38: 리드안착턱 40: 리드
42: 리드손잡이 48: 안착부
50, 60: 보조용기 C1, C2: 제1, 2내용물

Claims (10)

  1. 용기삽입공간이 구비된 외용기;
    상기 외용기를 개폐하는 외용기덮개;
    상기 외용기의 용기삽입공간에 장착되고 내부에 제1내용물이 저장된 내용물용기;
    상기 내용물용기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내용물용기를 개폐하는 리드 및
    상기 리드에 의해 구획된 내용물용기의 내부 공간에 수납되고 내부에 제2내용물이 저장된 보조용기를 포함하는 이종내용물이 수용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용기의 내주연에는 리드안착턱이 형성되고, 리드의 테두리에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리드안착턱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내용물이 수용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안착턱은 내용물용기의 상단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내용물용기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내용물이 수용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용기의 내측 공간은 리드에 의해 내용물저장공간과 보조용기수납공간으로 구획되어 상기 내용물저장공간에 제1내용물이 저장되고, 보조용기수납공간에 보조용기가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내용물이 수용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용기는 가압에 의해 내부 공간이 압축되면서 배출구로 제2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압축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내용물이 수용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용기는 배출구와 충전구가 구비된 탄성 재질의 용기몸체와, 상기 배출구를 막는 배출구마개와, 상기 충전구를 개폐하는 충전구마개 및 상기 용기몸체의 테두리를 감싸는 경질의 용기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내용물이 수용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용기의 내부에 저장된 제2내용물은 액상 또는 겔상 화장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내용물이 수용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용기는 용기커버에 의해 내부에 저장된 제2내용물이 개방 또는 폐쇄되는 개폐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내용물이 수용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용기는 용기받침과, 상기 용기받침에 결합되어 용기받침을 개폐하는 용기커버 및 상기 용기받침의 내측에 형성되고 제2내용물이 충전된 내용물접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내용물이 수용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용기의 내부에 저장된 제2내용물은 고형 화장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내용물이 수용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20200177522A 2020-12-17 2020-12-17 이종내용물이 수용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202200697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522A KR20220069758A (ko) 2020-12-17 2020-12-17 이종내용물이 수용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522A KR20220069758A (ko) 2020-12-17 2020-12-17 이종내용물이 수용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758A true KR20220069758A (ko) 2022-05-27

Family

ID=81791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522A KR20220069758A (ko) 2020-12-17 2020-12-17 이종내용물이 수용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975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731Y1 (ko) 2014-07-17 2015-03-30 원덕수 다종의 크림형 화장품을 분리수용하는 다중 격실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490487Y1 (ko) 2018-04-03 2019-11-19 코스맥스 주식회사 화장품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731Y1 (ko) 2014-07-17 2015-03-30 원덕수 다종의 크림형 화장품을 분리수용하는 다중 격실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490487Y1 (ko) 2018-04-03 2019-11-19 코스맥스 주식회사 화장품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335B1 (ko) 화장품 케이스
KR100757511B1 (ko) 파우더 토출용 화장품 케이스
KR20090000177U (ko) 화장용브러쉬
US5845658A (en) Cosmetic travel compact
WO2019177897A1 (en) Cosmetic jars with sweep collar
CA1289912C (en) Loose make-up powder container
US5819764A (en) Hermetically-sealed cosmetic compact
KR20040077988A (ko) 화장품 용기
KR101978732B1 (ko) 휴대용 화장품 케이스
KR101565774B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1784737B1 (ko) 탄성 재질의 내용물용기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0430516Y1 (ko) 화장액 분출용 에어리스 튜브
KR20220069758A (ko) 이종내용물이 수용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1246290B1 (ko) 출몰식 분첩을 가지는 파우더용 화장품용기
KR20220069759A (ko) 이종내용물이 수용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200362370Y1 (ko) 화장품 용기
KR102281743B1 (ko) 거울 분리형 화장품 용기
KR20100018203A (ko) 파우더용 화장품용기
EP3935994A1 (en) Slide-type cosmetic compact case
KR20160135875A (ko) 벌집구조를 갖는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US11930909B2 (en) Stick container having sealing structure for preventing residue
KR20210121447A (ko) 마스크팩 포장용기
KR20200044358A (ko) 압력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되는 화장품용기
KR101318678B1 (ko) 밀폐형 화장품 용기
KR102645564B1 (ko) 양문형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