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274Y1 - 태양전지모듈 거치대 - Google Patents

태양전지모듈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274Y1
KR200490274Y1 KR2020170002242U KR20170002242U KR200490274Y1 KR 200490274 Y1 KR200490274 Y1 KR 200490274Y1 KR 2020170002242 U KR2020170002242 U KR 2020170002242U KR 20170002242 U KR20170002242 U KR 20170002242U KR 200490274 Y1 KR200490274 Y1 KR 2004902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olar cell
cell module
guide sli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2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228U (ko
Inventor
김진성
Original Assignee
메가솔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가솔라(주) filed Critical 메가솔라(주)
Priority to KR20201700022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274Y1/ko
Publication of KR201800032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2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2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2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프레임의 모양이 동일하게 형성된 태양전지모듈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사면 테두리의 각 면에 형성된 제1결합홈, 제2결합홈, 제3결합홈 및 제4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홈 내지 상기 제4결합홈의 각 결합홈 외측에 상기 결합홈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 제1가이드슬릿, 제2가이드슬릿, 제3가이드슬릿 및 제4가이드슬릿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슬릿 내지 상기 제4가이드슬릿의 각 가이드슬릿 외측에 상기 가이드슬릿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 제1결림턱, 제2걸림턱, 제3걸림턱 및 제4걸림턱을 더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전지모듈 거치대{THE SOLAR CELL MODULE SUPPORT STRUCTURE}
본 발명은 태양전지모듈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프레임의 모양이 동일하게 형성된 태양전지모듈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환경오염 및 지구자원 고갈 등의 문제로 인하여 최근에는 신재생에너지가 주목 받고 있는데, 특히 태양광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 태양광에너지 사업의 규모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에너지 공단 등에서는 태양광 발전 장치의 설비 시설을 확충해 나가고 있다.
태양광 발전 장치는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모듈과 태양전지모듈을 지지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를 실어 고정하는 기초로 구성된다.
거치대를 평평한 곳에 고정하는 기초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로 제작되고, 거치대는 철근으로 형성된 여러 개의 서로 다른 프레임을 조립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태양전지모듈 거치대는 프레임들의 모양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프레임들을 따로 공정하여야 하므로 공정비용 및 공정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태양전지모듈 거치대를 구성하는 프레임들 중 일부의 프레임이 부식되거나 파손되었을 경우, 교체가 필요한 프레임과 동일한 프레임만 수급하는 것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거치대를 구성하는 바닥고정부의 폭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바닥고정부에 결합되는 거치대의 프레임의 수는 1개로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태양광 발전 장치의 규모가 클 경우에는 하중이 상당하기 때문에 거치대 하부가 튼튼하게 구성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프레임의 수를 보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21239호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프레임의 내부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된 태양전지모듈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프레임의 수를 보강할 수 있는 바닥고정부를 포함하는 태양전지모듈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거치대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은 내부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거치대를 구성하는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사면 테두리의 각 면에 형성된 제1결합홈, 제2결합홈, 제3결합홈 및 제4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홈 내지 상기 제4결합홈의 각 결합홈 외측에 상기 결합홈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 제1가이드슬릿, 제2가이드슬릿, 제3가이드슬릿 및 제4가이드슬릿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슬릿 내지 상기 제4가이드슬릿의 각 가이드슬릿 외측에 상기 가이드슬릿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 제1결림턱, 제2걸림턱, 제3걸림턱 및 제4걸림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홈 내지 상기 제4결합홈에는 힌지부, 바닥고정부 및 태양전지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하도록 결합부재를 삽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가이드슬릿 내지 상기 제4가이드슬릿은 상기 결합부재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가이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걸림턱 내지 상기 제4걸림턱은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제1결합홈 내지 상기 제4결합홈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고정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면상에 설치된 기초에 고정되며, 상기 바닥고정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바닥고정부재 및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바닥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바닥고정부재와 상기 제2바닥고정부재는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거치대는 태양전지모듈측 프레임이 지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구성될 수 있도록 상기 태양전지모듈측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된 지지프레임은 제1고정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제1고정프레임은 상기 태양전지모듈측 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면 상에 설치된 기초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1고정프레임은 상기 기초의 타측에 고정된 제2고정프레임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제1힌지부는 상기 태양전지모듈측 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결합하고, 제2힌지부는 상기 태양전지모듈측 프레임과 상기 제1고정프레임을 결합하고, 제3힌지부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고정프레임을 결합하고, 제4힌지부는 상기 제1고정프레임과 제2고정프레임을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태양전지모듈측 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상기 제1고정프레임 및 상기 제2고정프레임은 내부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길이만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힌지부에 결합된 결합부재를 수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태양전지모듈측 프레임이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거치대에 따르면, 프레임들의 내부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한 종류의 프레임만 공정하면 되기 때문에, 공정시간 및 공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태양전지모듈 거치대를 설치한 후, 남은 프레임들은 추후 교체가 필요한 프레임의 길이와 동일하게 절단하여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재료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종래의 태양전지모듈 거치대보다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거치대는 바닥고정부가 분리됨으로써, 바닥고정부에 결합될 수 있는 프레임의 수를 늘려 보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내부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과 힌지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거치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고정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거치대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거치대가 태양전지모듈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거치대가 기초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내부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거치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내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거치대를 구성하는 프레임은, 프레임의 사면 테두리의 각 면에 형성된 제1결합홈(11), 제2결합홈(12), 제3결합홈(13) 및 제4결합홈(1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홈(11) 외측에는 제1가이드슬릿(21)이 상기 제1결합홈(11)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제1가이드슬릿(21) 외측에는 제1걸림턱(31)이 상기 제1가이드슬릿(21)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홈(12) 외측에는 제2가이드슬릿(22)이 상기 제2결합홈(12)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제2가이드슬릿(22) 외측에는 제2걸림턱(32)이 상기 제2가이드슬릿(22)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3결합홈(13) 외측에는 제3가이드슬릿(23)이 상기 제3결합홈(13)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제3가이드슬릿(23) 외측에는 제3걸림턱(33)이 상기 제3가이드슬릿(23)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4결합홈(14) 외측에는 제4가이드슬릿(24)이 상기 제4결합홈(14)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제4가이드슬릿(24) 외측에는 제4걸림턱(34)이 상기 제4가이드슬릿(24)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홈(11) 내지 제4결합홈(14)에는 힌지부(200), 바닥고정부(300) 및 태양전지모듈(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하도록 결합부재를 삽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는 결합나사(41) 및 결합볼트(42)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00)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를 다르게 절단하여 힌지부(200) 또는 바닥고정부(300)에 결합함으로써 태양전지모듈 거치대를 조립하여 완성할 수 있다.
도 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과 힌지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즉, 도 3a 및 도3b는 도 2의 A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들은 힌지부(200)와 결합됨으로써 연결되는데, 결합나사(41)가 제1결합홈 내지 제4결합홈 중 어느 하나의 결합홈에 끼워진 결합볼트(42)와 암수결합됨으로써, 힌지부(200)와 프레임(100)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힌지부(200)가 프레임들을 연결하는 방법은 도 3b에 도시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200)의 삼면에 끼워진 결합볼트(42)는 프레임(100)의 결합홈에 끼워지고 걸림턱(31 내지 34 중 어느 하나) 외부로 돌출된 결합나사(41)와 암수결합됨으로써, 프레임들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가이드슬릿 내지 상기 제4가이드슬릿은 상기 결합부재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가이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일단에서 결합볼트(42)를 제1결합홈(11) 내지 제4결합홈(14) 중 어느 하나의 결합홈에 끼우고 가이드슬릿을 따라 프레임(100) 및 힌지부(200)를 고정할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걸림턱(31) 내지 상기 제4걸림턱(34)은 상기 결합볼트(42)가 상기 제1결합홈(11) 내지 상기 제4결합홈(14)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걸림턱(31) 내지 상기 제4걸림턱(34)의 폭은 가이드슬릿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거치대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고정부의 나타낸 정면도이다.
즉,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바닥고정부(300)를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고정부(300)는 상기 프레임(100)의 하단에 결합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상에 설치된 기초(50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고정부(300)는 프레임(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바닥고정부재(301) 및 상기 프레임(100)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바닥고정부재(302)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바닥고정부재(301)와 상기 제2바닥고정부재(302)는 분리될 수 있다.
즉, 분리된 제1바닥고정부재(301) 및 제2바닥고정부재(302)의 사이에 프레임(100)이 결합될 수 있는데, 프레임(100)과 바닥고정부(300)는 결합나사(41) 및 결합볼트(42)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바닥고정부재(301) 및 제2바닥고정부재(302)가 분리됨으로써 그 사이에 여러 개의 프레임들이 결합될 수 있으므로, 하중이 상당한 태양광 발전 장치를 설치할 경우에 프레임들을 보강하여 태양전지모듈 거치대를 튼튼하게 제작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거치대의 우측면도이고, 도 8은 태양전지모듈 거치대가 태양전지모듈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태양전지모듈 거치대가 기초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거치대는 태양전지모듈측 프레임(101)이 지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구성될 수 있도록 상기 태양전지모듈측 프레임(101)의 상부에 연결된 지지프레임(102)은 제1고정프레임(103)과 연결되고, 상기 제1고정프레임(103)은 상기 태양전지모듈측 프레임(101)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면 상에 설치된 기초(500)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1고정프레임(103)은 상기 기초(500)의 타측에 고정된 제2고정프레임(104)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제1힌지부(201)는 상기 태양전지모듈측 프레임(101)과 상기 지지프레임(102)을 결합하고, 제2힌지부(202)는 상기 태양전지모듈측 프레임(101)과 상기 제1고정프레임(103)을 결합하고, 제3힌지부(203)는 상기 지지프레임(102)과 상기 제1고정프레임(103)을 결합하고, 제4힌지부(204)는 상기 제1고정프레임(103)과 제2고정프레임(104)을 결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측 프레임(101), 지지프레임(102), 제1고정프레임(103) 및 제2고정프레임(100)은 내부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길이만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은 상기 태양전지모듈측 프레임(101), 상기 지지프레임(102), 상기 제1고정프레임(103) 및 상기 제2고정프레임(104) 중 어느 하나의 종류에 맞는 길이로 절단된 다음,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결합홈, 가이드슬릿 및 걸림턱을 이용하여 결합부재를 힌지부와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거치대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태양전지모듈 거치대를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을 별도로 공정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의 종류 또는 힌지부의 개수로 한정되지 않으며, 태양전지모듈 거치대의 크기 또는 형상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거치대는 상기 제1힌지부(201)에 결합된 결합부재를 수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태양전지모듈측 프레임(101)이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힌지부(201)에 결합된 결합나사 및 결합볼트를 수동으로 해제하여 제1힌지부(201)와 태양전지모듈측 프레임(101)이 결합된 각도를 조절한 후, 다시 결합나사 및 결합볼트를 결합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태양전지모듈측 프레임(101)이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거치대는 태양전지모듈(400)의 각도를 조절하는 데도 용이하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제1결합홈 12: 제2결합홈 13: 제3결합홈 14: 제4결합홈
21: 제1가이드슬릿 22: 제2가이드슬릿 23: 제3가이드슬릿 24: 제4가이드슬릿
31: 제1걸림턱 32: 제2걸림턱 33: 제3걸림턱 34: 제4걸림턱
41:결합나사 42: 결합볼트
100: 프레임 101 : 태양전지모듈측 프레임 102 : 지지프레임 103: 제1고정 프레임 104 : 제2고정프레임
200: 힌지부 201: 제1힌지부 202: 제2힌지부 203: 제3힌지부 204: 제4힌지부
300 : 바닥고정부 301:제1바닥고정부재 302 :제2바닥고정부재
400 : 태양전지모듈
500 : 기초

Claims (4)

  1.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태양전지모듈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은 내부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사면 테두리의 각 면에 형성된 제1결합홈, 제2결합홈, 제3결합홈 및 제4결합홈;
    상기 제1결합홈 내지 상기 제4결합홈의 각 결합홈 외측에 상기 결합홈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 제1가이드슬릿, 제2가이드슬릿, 제3가이드슬릿 및 제4가이드슬릿; 및
    상기 제1가이드슬릿 내지 상기 제4가이드슬릿의 각 가이드슬릿 외측에 상기 가이드슬릿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 제1결림턱, 제2걸림턱, 제3걸림턱 및 제4걸림턱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은 태양전지모듈측 프레임, 지지프레임, 제1고정프레임 및 제2고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태양전지모듈측 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제1고정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제1고정프레임은 상기 태양전지모듈측 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되어 지면 상에 설치된 기초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프레임은 상기 제1고정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지면 상에 설치된 기초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태양전지모듈측 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상기 제1고정프레임 및 상기 제2고정프레임 각각은 힌지부를 통해 연결되어 고정되되, 상기 태양전지모듈측 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을 결합하는 제1힌지부는 상기 제1힌지부에 결합된 결합부재를 조절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기 태양전지모듈측 프레임의 상부를 슬라이딩 시킴으로써, 상기 태양전지모듈측 프레임이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모듈 거치대는,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면상에 설치된 기초에 고정되는 바닥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닥고정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바닥고정부재 및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바닥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바닥고정부재와 상기 제2바닥고정부재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 거치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힌지부, 제2힌지부, 제3힌지부 및 제4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힌지부는 상기 태양전지모듈측 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결합하고,
    상기 제2힌지부는 상기 태양전지모듈측 프레임과 상기 제1고정프레임을 결합하고,
    상기 제3힌지부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고정프레임을 결합하고,
    상기 제4힌지부는 상기 제1고정프레임과 제2고정프레임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 거치대.
  4. 삭제
KR2020170002242U 2017-05-08 2017-05-08 태양전지모듈 거치대 KR2004902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242U KR200490274Y1 (ko) 2017-05-08 2017-05-08 태양전지모듈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242U KR200490274Y1 (ko) 2017-05-08 2017-05-08 태양전지모듈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228U KR20180003228U (ko) 2018-11-16
KR200490274Y1 true KR200490274Y1 (ko) 2019-11-08

Family

ID=64557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242U KR200490274Y1 (ko) 2017-05-08 2017-05-08 태양전지모듈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27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644B1 (ko) * 2020-05-04 2021-02-15 주식회사 동양연합엔지니어링 태양광 패널 고정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패널의 시공방법
KR102347264B1 (ko) * 2021-02-15 2022-01-07 케이제이이엔씨 주식회사 농업기반시설용 내염해성 태양광 발전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9753B2 (ja) * 1997-08-29 2001-07-16 日本電気株式会社 Stm−atm変換装置の二重化方式
KR200451576Y1 (ko) * 2010-03-26 2010-12-22 두원산업(주) 태양전지 모듈 고정 프레임
KR200457202Y1 (ko) * 2011-06-17 2011-12-09 신록건설(주) 태양광 발전용 집광판 설치구조
KR101270750B1 (ko) * 2013-01-10 2013-06-03 파워에너텍 주식회사 태양전지판의 수동식 각도조절장치
KR101662826B1 (ko) 2016-04-27 2016-10-05 (주)영창에너지 경사각도 가변형 태양광 발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218B1 (ko) 2015-04-10 2017-05-02 국윤지 수동 각도조절 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발전 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9753B2 (ja) * 1997-08-29 2001-07-16 日本電気株式会社 Stm−atm変換装置の二重化方式
KR200451576Y1 (ko) * 2010-03-26 2010-12-22 두원산업(주) 태양전지 모듈 고정 프레임
KR200457202Y1 (ko) * 2011-06-17 2011-12-09 신록건설(주) 태양광 발전용 집광판 설치구조
KR101270750B1 (ko) * 2013-01-10 2013-06-03 파워에너텍 주식회사 태양전지판의 수동식 각도조절장치
KR101662826B1 (ko) 2016-04-27 2016-10-05 (주)영창에너지 경사각도 가변형 태양광 발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228U (ko) 201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93111A1 (en) Mobile solar power-generating system
KR20160086343A (ko) 태양 전지판 기계적 커넥터 및 프레임
KR200490274Y1 (ko) 태양전지모듈 거치대
AT513032B1 (de) Multifunktionales, transportables Gebäude
CN102142472A (zh) 太阳能模块支架
US7735484B2 (en) Light-collecting base-body structure
CN209767472U (zh) 一种可折叠式太阳能光伏板
KR101102382B1 (ko) 태양전지 어레이
JP2015227558A (ja) 太陽光発電装置
KR102016285B1 (ko) 태양광 패널 구조체 연결구조
CN103516300A (zh) 折叠式太阳能电池板
KR102258755B1 (ko) 태양전지 모듈 지지 구조물
CN202695477U (zh) 输电线路门型杆塔太阳能安装支架
KR101716662B1 (ko) 프레임리스 태양광 모듈 및 이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물
KR102350846B1 (ko) 벽면 태양광 구조시스템
US11824490B2 (en) System for the installation of photovoltaic panels
JP5868471B1 (ja) 太陽光発電装置の施工方法、太陽光発電装置、太陽光発電パネル載置架台の施工方法、太陽光発電パネル載置架台
CN209777212U (zh) 太阳能光伏组件
JP5841831B2 (ja) 太陽光発電外装構造の施工方法
KR102216763B1 (ko) 태양광 모듈 설치용 경량 조립식 구조물
KR101857739B1 (ko) 창호용 태양광 발전 어셈블리
JP3205882U (ja) ソーラーパネルのフレーム強化モジュール
JP2005317573A (ja) 太陽電池アレイ
KR102199658B1 (ko) 태양광 패널 설치용 조립식 구조물
CN211744399U (zh) 一种太阳能电池板支撑调节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