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924Y1 - 차단기 모의실험장치 - Google Patents
차단기 모의실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9924Y1 KR200489924Y1 KR2020170004062U KR20170004062U KR200489924Y1 KR 200489924 Y1 KR200489924 Y1 KR 200489924Y1 KR 2020170004062 U KR2020170004062 U KR 2020170004062U KR 20170004062 U KR20170004062 U KR 20170004062U KR 200489924 Y1 KR200489924 Y1 KR 20048992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ircuit breaker
- contact
- unit
- control unit
- inpu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4—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the switching devic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6—Distinguishing marks, e.g. colour coding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차단기 모의실험장치는, 차단기(10)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개시시간을 설정하는 입출력조작부(20)와, 입출력조작부(20)에 의해 설정된 동작개시시간에 따라 차단기(10)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차단기 제어전압(CBV)을 출력하여 차단기(10)를 온 또는 오프시키고, 활성화된 차단기 모터구동제어신호(MC)를 출력하여 차단기 모터(1)를 기동시키는 제어부(30)와, 입출력조작부(20)와 제어부(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0)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차단기 모의실험장치는 차단기가 장착된 조작 판넬로부터 분리 취외한 후, 수동 또는 설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차단기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차단기 내부의 기계적 구동부에 대해서 반복 동작을 수행시켜 실제 차단기를 조작 판넬에 설치시 기계적 구동부의 고착이나 접점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고, 차단기 모터를 기동시켜 보조접접 스위치의 접점상태신호를 수신받아 보조접점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여 안전사고 가능성을 예방 및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차단기 모의실험장치는 차단기가 장착된 조작 판넬로부터 분리 취외한 후, 수동 또는 설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차단기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차단기 내부의 기계적 구동부에 대해서 반복 동작을 수행시켜 실제 차단기를 조작 판넬에 설치시 기계적 구동부의 고착이나 접점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고, 차단기 모터를 기동시켜 보조접접 스위치의 접점상태신호를 수신받아 보조접점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여 안전사고 가능성을 예방 및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차단기 모의실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단기가 장착된 조작판넬로부터 분리 취외한 후, 별도의 전원으로 수동 또는 설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차단기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차단기 내부의 기계적 구동부에 대해서 반복 동작을 수행시켜 실제 차단기를 조작 판넬에 설치시 기계적 구동부의 고착이나 접점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고, 차단기 모터를 기동시켜 보조접접 스위치의 접점상태신호를 수신받아 보조접점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여 안전사고 가능성을 예방 및 방지할 수 있는 차단기 모의실험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단기(Circuit Breaker)는 각종 발전소 또는 제철소 등의 산업설비에서 고압 회로에 적용되어 전로를 개폐하는 장치로서, 고압의 전로를 진공으로 차단하는 진공차단기(Vcuum Circuit Breaker:VCB)와, 고압의 전로를 가스 절연을 통하여 차단하는 가스차단기(Gas Circuit Breaker:GCB) 등이 있다.
차단기는 정상 상태의 부하를 차단하고, 고장 상태(단락상태)의 전로를 차단하는 기능을 갖고, 부하의 공급/정지와 이상시에 긴급 차단 기능을 수행한다.
차단기의 동작 수명은 정상 상태에서 전기적 동작사이클은 보통 2만회 정도이나 해당 모선의 구성에 따라 차단기의 동작은 빈번하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 1년에 1~3회 정도밖에 동작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차단기는 기계적 요소를 갖는 메커니즘에 성능이 좌우되며 기계적 운동부는 여러 방식의 구동레버와 회전부, 걸쇄부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운동부에는 마찰과 부식방지 등을 위해 오일, 그리스 등을 도포하여 원활이 움직이도록 한다.
그러나 사용 년수가 오래되고 동작횟수가 작아 움직이지 않게 되면 그리스가 굳어지거나 마찰력이 증대되어 원활히 움직이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차단기는 기계적 움직임에 연동되어 동작하는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을 갖는 스위치 박스로 구성된 보조접점 스위치부가 있으며 이러한 보저접점 스위치부도 마찬가지로 기계 동작에 연동되는 접점의 동작이 없으면 접점부에 미세한 부식이 발생하고 접촉 불량에 의한 다양한 오류를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 차단기의 시험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34145호 "차단기의 상태 및 고장알림 장치 및 방법"(등록일자 : 2004.05.22)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차단기가 장착된 조작 판넬로부터 분리 취외한 후, 수동 또는 설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차단기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차단기 내부의 기계적 구동부에 대해서 반복 동작을 수행시켜 실제 차단기를 조작 판넬에 설치시 기계적 구동부의 고착이나 접점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고, 차단기 모터를 기동시켜 보조접접 스위치의 접점상태신호를 수신받아 보조접점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여 안전사고 가능성을 예방 및 방지할 수 있는 차단기 모의실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차단기 모의실험장치는, 차단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개시시간을 설정하는 입출력조작부; 상기 입출력조작부에 의해 설정된 동작개시시간에 따라 상기 차단기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차단기 제어전압을 출력하여 상기 차단기를 온 또는 오프시키고, 활성화된 차단기 모터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차단기 모터를 기동시키는 제어부; 상기 입출력조작부와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활성화된 차단기 모터구동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차단기 모터가 기동되면, 보조접점 스위치의 고정접점과 가동접접이 접촉 또는 분리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보조접점 스위치의 고정접점과 가동접접의 접촉 또는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접점상태신호를 상기 입출력조작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 수신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점상태신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해주는 표시부를 구비하여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접점상태신호에 의해 상기 보조접점 스위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고안의 차단기 모의실험장치는 차단기가 장착된 조작 판넬로부터 분리 취외한 후, 수동 또는 설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차단기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차단기 내부의 기계적 구동부에 대해서 반복 동작을 수행시켜 실제 차단기를 조작 판넬에 설치시 기계적 구동부의 고착이나 접점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고, 차단기 모터를 기동시켜 보조접접 스위치의 접점상태신호를 수신받아 보조접점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여 안전사고 가능성을 예방 및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차단기 모의실험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단기 모의실험장치는, 차단기(10)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개시시간을 설정하는 입출력조작부(20)와, 입출력조작부(20)에 의해 설정된 동작개시시간에 따라 차단기(10)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차단기 제어전압(CBV)을 출력하여 차단기(10)를 온 또는 오프시키고, 활성화된 차단기 모터구동제어신호(MC)를 출력하여 차단기 모터(1)를 기동시키는 제어부(30)와, 입출력조작부(20)와 제어부(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0)로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차단기 모의실험장치는 제어부(30)에서 출력되는 활성화된 차단기 모터구동제어신호(MC)에 의해 차단기 모터(1)가 기동되면, 보조접점 스위치(3)의 고정접점과 가동접접이 접촉 또는 분리 동작을 수행하고, 보조접점 스위치(3)의 고정접점과 가동접접의 접촉 또는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접점상태신호(CST)를 입출력조작부(20)를 통해 제어부(30)로 수신되고, 제어부(30)는 접점상태신호(CST)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해주는 표시부(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차단기 모의실험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10)는 내부에 스위치 접촉자간 절연을 진공 또는 가스로 하여 구동레버에 연동되어 개폐 동작인 정상 상태의 부하를 투입, 차단하기 위한 고압용 스위치인 고압접촉기(5)와 고압접촉기(5)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차단기 모터(1)의 기동에 따라 구동레버에 연동되어 기계적으로 온 또는 오프되어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의 접촉되거나 분리되는 보조접점 스위치(3)로 구성된다.
또한 차단기(10) 내부에는 고압접촉기(5)와 보조접점 스위치(3)를 기계적으로 동작되는 기계적 구동부인 구동레버와 회전부, 걸쇄부 등으로 구성되며, 이들의 기계적 구동부들은 마찰과 부식방지 등을 위해 오일, 그리스 등이 도포되어 기계적 구동부들을 원활히 움짐이도록 한다.
차단기(10)는 입출력 커넥터 단자(7)를 통해 차단기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차단기 제어전압(CBV)과, 차단기 모터(1)를 기동시키기 위한 차단기 모터구동제어신호(MC)를 수신받거나, 보조접점 스위치(3)의 고정접점과 가동접접의 접촉 또는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접점상태신호(CST)를 외부로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작 판넬에 장착된 차단기(10)를 조작 판넬로부터 취외한 후, 차단기(10)의 입출력 커넥터 단자(7)에 본 고안의 모의시험장치의 커네터(60)를 연결시킨다,
입출력조작부(20)는 사용자에 의해 차단기(10)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개시시간을 설정하고, 제어부(30)는 입출력조작부(20)에 설정된 동작개시시간에 따라 차단기(10)를 주기적으로 또는 수동으로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차단기 제어전압(CBV)을 출력한다.
제어부(30)로부터 출력되는 차단기 제어전압(CBV)은 차단기의 입출력 커넥터 단자(7)를 통해 차단기(10)로 수신되어, 차단기(10)는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차단기(10)는 수동 또는 주기적으로 온 또는 오프되면서, 차단기(10) 내부의 기계적 구동부들을 동작시켜 주므로 기계적 구동부들에 도포된 그리스가 굳어지거나 마찰력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차단기 모의시험장치는 장기간 움직이지 않은 차단기에 대해서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차단기를 동작시켜 주어 기계적 구동부들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활성화된 차단기 모터구동제어신호(MC)를 출력하고, 차단기(10)는 차단기 모터구동제어신호(MC)를 커넥터(60)와 입출력 커네턱 단자(7)를 통해 수신받아, 활성화된 차단기 모터구동제어신호(MC)에 의해 차단기 모터(1)를 기동시킨다. 차단기 모터(1)의 기동에 따라 기계적 링크에 의해 고압접촉기(5)는 고압 전원부(6)와 고압 부하부(7)는 한 회로로 도통되고, 이때 차단기(10) 내의 보조접점 스위치(3)의 고정접점과 가동접접이 접촉 또는 분리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30)로부터 출력되는 차단기 모터구동제어신호(MC)에 의해 강제적으로 차단기 모터(1)를 기동시켜 보조접접 스위치(3)를 강제적으로 동작시켜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을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하여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40)는 입출력조작부(20)와 제어부(30)에 동작 전원을 공급해 주는 것으로, 축전지를 사용하여 별도의 전원 공급이 없어도 본 고안의 차단기 모의실험장치를 장소에 상관없이 사용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차단기 모터(1)의 기동에 따라 보조접점 스위치(3)의 고정접점과 가동접접이 접촉 또는 분리 동작을 수행한 후 보조접점 스위치(3)의 고정접점과 가동접접의 접촉 또는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접점상태신호(CST)를 입출력조작부(20)를 통해 수신받고, 수신된 접점상태신호(CST)를 표시부(50)에 디스플레이해주어 사용자는 표시부(50)를 통해 접점상태신호(CST)를 판단하여 차단기의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차단기 모의실험장치는 차단기가 장착된 조작 판넬로부터 분리 취외한 후, 수동 또는 설정된 시간에 주기적으로 차단기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여 차단기 내부의 기계적 구동부에 대해서 반복 동작을 수행시켜 실제 차단기를 조작 판넬에 설치시 기계적 구동부의 고착이나 접점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고, 차단기 모터를 동작시켜 보조접접 스위치의 접점상태신호를 수신받아 보조접점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여 안전사고 가능성을 예방 및 방지할 수 있다.
1 : 차단기 모터 3 : 보조접점 스위치
5 : 고압접촉기 10 : 차단기
20 : 입출력 조작부 30 : 제어부
40 : 전압공급부 50 : 표시부
5 : 고압접촉기 10 : 차단기
20 : 입출력 조작부 30 : 제어부
40 : 전압공급부 50 : 표시부
Claims (2)
- 차단기(10)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개시시간을 설정하는 입출력조작부(20);
상기 입출력조작부(20)에 의해 설정된 동작개시시간에 따라 상기 차단기(10)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차단기 제어전압(CBV)을 출력하여 상기 차단기(10)를 온 또는 오프시키고, 활성화된 차단기 모터구동제어신호(MC)를 출력하여 차단기 모터(1)를 기동시키는 제어부(30);
상기 입출력조작부(20)와 제어부(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0); 및
상기 제어부(30)에서 출력되는 활성화된 차단기 모터구동제어신호(MC)에 의해 상기 차단기 모터(1)가 기동되면, 보조접점 스위치(3)의 고정접점과 가동접접이 접촉 또는 분리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보조접점 스위치(3)의 고정접점과 가동접접의 접촉 또는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접점상태신호(CST)를 상기 입출력조작부(20)를 통해 상기 제어부(30)로 수신되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접점상태신호(CST)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해주는 표시부(50)를 구비하여 상기 표시부(50)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접점상태신호(CST)에 의해 상기 보조접점 스위치(3)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모의실험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4062U KR200489924Y1 (ko) | 2017-08-02 | 2017-08-02 | 차단기 모의실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4062U KR200489924Y1 (ko) | 2017-08-02 | 2017-08-02 | 차단기 모의실험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0383U KR20190000383U (ko) | 2019-02-12 |
KR200489924Y1 true KR200489924Y1 (ko) | 2019-08-29 |
Family
ID=65364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4062U KR200489924Y1 (ko) | 2017-08-02 | 2017-08-02 | 차단기 모의실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9924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63834A (ko) * | 2019-11-25 | 2021-06-02 | (주)유니스소프트 | 차단기 모의시험과 분석을 수행하는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4145B1 (ko) | 2001-09-06 | 2004-06-04 | 엘지산전 주식회사 | 차단기의 상태 및 고장알림 장치 및 방법 |
KR100493403B1 (ko) * | 2002-11-18 | 2005-06-07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모터 보호 제어장치 및 방법 |
KR20120134557A (ko) * | 2011-06-02 | 2012-12-12 | 주식회사 케이티 | 기중차단기의 소손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2017
- 2017-08-02 KR KR2020170004062U patent/KR200489924Y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63834A (ko) * | 2019-11-25 | 2021-06-02 | (주)유니스소프트 | 차단기 모의시험과 분석을 수행하는 시스템 |
KR102262653B1 (ko) | 2019-11-25 | 2021-06-10 | (주)유니스소프트 | 차단기 모의시험과 분석을 수행하는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0383U (ko) | 2019-02-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441747B2 (ja) | 開閉器 | |
US7280013B2 (en) | Self-contained breaker reset system and method | |
US10389093B2 (en) | Interlocking mechanism for circuit breaker | |
KR200489924Y1 (ko) | 차단기 모의실험장치 | |
DK2919348T3 (en) | Switch system | |
WO2008107753B1 (en) | Automated anti-explos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drive-generator | |
WO2011048664A1 (ja) |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 |
CN116088410A (zh) | 一种设备安全控制电气系统 | |
KR101575518B1 (ko) | 전동차 주공기 압축기 기동장치 시험기 및 시험 방법 | |
KR101722141B1 (ko) | 기동조건의 자동 복원 기능을 구비한 배전반 | |
US20050242110A1 (en) | Programmable fuel dispensing system | |
KR102139279B1 (ko) | 절연가스 회수오류 자동차단 장치 및 방법 | |
KR200411041Y1 (ko) | 유압장치를 채용한 차단기의 오류 감시장치 | |
EP2471084A1 (de) | Aufsatzmodul zum erfassen eines schaltzustandes eines elektromagnetischen schaltgeräts | |
KR102162558B1 (ko) | 원격 회로차단기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 |
EP2409283A1 (en) |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 reset of encoder | |
KR200394630Y1 (ko) | 전동 밸브 시험 장비 | |
JP2019047086A (ja) | タップ切換器の故障検出装置 | |
CN212390575U (zh) | 一种空调故障和定时自动切换电路 | |
CN2762435Y (zh) | 改进型的三相自耦减压起动控制电路 | |
KR200459920Y1 (ko) | 전동기 테스트 장치 | |
US20070076341A1 (en) | Brownout ride-through system and method | |
JP4535951B2 (ja) | 断路器の動作監視装置、この装置が組み込まれた断路器、断路器の動作監視方法 | |
KR940002606Y1 (ko) | 고압차단기의 원격제어장치 | |
US20210048799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remote isolation and energization of mechanical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