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810Y1 - 레일온도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레일온도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810Y1
KR200489810Y1 KR2020180002380U KR20180002380U KR200489810Y1 KR 200489810 Y1 KR200489810 Y1 KR 200489810Y1 KR 2020180002380 U KR2020180002380 U KR 2020180002380U KR 20180002380 U KR20180002380 U KR 20180002380U KR 200489810 Y1 KR200489810 Y1 KR 2004898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temperature
frame
measuring device
temperat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3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두
김한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to KR20201800023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8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8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8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01K1/143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for measuring surface temper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04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monitoring the mechanical state of the route
    • B61L23/042Track changes de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01K1/024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for remote ind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레일의 표면 온도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레일온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레일온도 측정장치는 열차 및 차량 등의 이동 수단이 운행되는 선로에 설치된 레일에 자석으로 고정되어, 대기의 온도 변화에 따른 레일의 표면 온도를 측정한다.

Description

레일온도 측정장치{RAIL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아래의 설명은 레일온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레일에 고정되는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레일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레일온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차 선로인 레일은 금속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금속의 특성상 무더운 날씨에 장시간 노출되어 있으면, 레일의 길이는 상승된 외부 온도에 의해 늘어나게 된다. 레일은 외부 온도의 노출 비율에 따라 심한 경우, 굴곡을 이루도록 변형되는 상황도 발생하게 된다. 이는 기차의 탈선이 되는 요인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에, 기차 운전자는 외부 온도의 변화 여부에 따라 기차의 속도를 조절하면서 기차를 운행하게 된다. 자세하게, 폭염으로 레일온도가 50도 이상이 되면, 기차도 주의 운전에 돌입하게 되고, 55~60℃면 230㎞/h 이하, 레일온도가 60~63℃면 70㎞/h 이하의 속도로 운행해야 하며, 64℃를 초과하면 운행을 중지하게 된다.
또한, 레일 관리자는 레일의 굴곡 변형에 의한 기차의 탈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레일의 표면 온도를 체크하고, 레일의 표면 온도가 적정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레일 관리자는 일정 구간의 선로를 직접 이동하면서 외부 온도에 따른 레일의 표면 온도를 실측하고, 실측된 결과를 중앙 서버 또는, 레일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에 기록한다. 기록된 정보는 기차 운행에 참고 자료로 활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측 방법은 레일 관리자가 기차가 운행되는 상황에서 레일의 각 구간을 이동하면서 구간별 레일의 표면 온도를 실측하는 것으로써, 기차의 배차 간격을 잘못 파악하는 경우, 자칫 인명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한 여름에 레일의 표면 온도에 대한 실측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열의 노출에 의한 뇌의 체온 조절 기능 장애로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레일의 표면 온도를 자동으로 파악하고, 이를 기차 운행에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고안은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관리자의 위험 환경 노출을 최소화하면서 자동으로 레일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레일온도 측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온도 측정장치는 레일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온도 센서를 삽입하기 위한 아치 형태의 홈이 형성되는 프레임; 프레임의 홈에 삽입된 온도 센서를 레일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자석; 고정 자석을 프레임에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 및 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되는 탈부착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 센서는 원기둥 형태로, 프레임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 센서는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 자석에 의해 레일의 수직 부분에 해당하는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은 'ㄷ'자 구조를 가지며, 'ㄷ'자 구조의 중심 영역에 온도 센서를 삽입하기 위한 아치 형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은 상기 고정 자석과 결합되기 위해 'ㄷ'자 구조의 양쪽에 폭 방향 외측으로 'ㄱ'자 꺽쇠 형태로 연장되고,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자석은 온도 센서를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배치되고, 나사에 의해 프레임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자석의 길이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와 동일하며, 고정 자석의 폭은, 상기 프레임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온도 측정시스템은 자석에 의해 레일의 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레일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레일온도 측정장치; 레일온도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레일의 표면 온도를 중앙 서버로 전달하는 통신 디바이스; 및 레일온도 측정장치와 통신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온도 측정장치는 레일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온도 센서를 삽입하기 위한 아치 형태의 홈이 형성되는 프레임; 프레임의 홈에 삽입된 온도 센서를 레일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자석; 고정 자석을 프레임에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 및 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되는 탈부착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는 저전력 광역 통신망(LPWAN: Low-Power Wide-Area Network)을 기반으로 중앙 서버로 레일의 표면 온도를 전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 서버는 레일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레일온도 측정장치를 통해 측정된 레일의 표면 온도를 각각 전달받고, 각각 전달된 레일의 표면 온도에 기초하여 레일의 팽창 여부 또는 수축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예 따른 레일온도 측정장치는 레일 관리자의 위험 환경 노출을 최소화하면서 자동으로 레일의 표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예 따른 레일온도 측정장치는 일정 시간을 간격으로 외부 온도에 따른 레일의 표면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면, 저전력 광역 통신망 기반의 통신 디바이스가 측정된 레일의 표면 온도를 중앙 서버에 전달함으로써, 중앙 서버는 측정된 레일의 표면 온도로부터 레일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온도 측정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에 고정되는 레일온도 측정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온도 측정장치를 다양한 방향의 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온도 측정장치를 통해 측정된 레일의 표면 온도 및 레일의 표면 온도가 측정된 위치에서의 대기 온도를 이용하여 경보 정보를 나타내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레일온도 측정장치에서 측정한 레일의 온도를 중앙서버에 전달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온도 측정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레일온도 측정시스템은 레일온도 측정장치(101), 통신 디바이스(103) 및 케이블(104)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온도 측정시스템은 케이블(104)을 통해 레일온도 측정장치(101)과 통신 디바이스(103)가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104)는 레일(102, rail)이 설치된 선로에 매설될 수 있다.
자세하게, 레일온도 측정장치(101)는 열차 및 차량 등의 이동 수단이 운행되는 선로에 설치된 레일(102)에 고정되어, 대기의 온도 변화에 따른 레일(102)의 표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레일온도 측정장치(101)는 레일(102)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레일(102)은 I형 단면으로, 크게 두부/레일헤드(head), 복부(web), 저부(base)로 구분되고, 두부/레일헤드(head)는 레일의 위쪽 수평 부분으로 이동 수단의 바퀴가 구르는 영역이다. 복부(web)는 레일(102)의 가느다란 수직 부분으로 레일의 이음매판이 부착되는 영역이고, 저부(base)는 레일(102)의 아래쪽 수평 부분으로 침목 위에 높고 부착되는 영역이다.
이에, 본 고안은 이동 수단의 운행을 방해되지 않는 영역으로써, 레일(102)의 수직 부분에 해당하는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레일온도 측정장치(101)는 레일(102)의 단면을 기준으로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 중 어느 한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레일온도 측정장치(101)는 온도 센서, 프레임, 고정 자석, 나사, 탈부착 고리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 센서는 레일의 표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례로, 온도 센서는 방수 기능을 포함하며, 레일에서 측정되는 표면 온도의 변화를 최소화하여 측정 가능한 프로브 센서(probe sensor)일 수 있다.
프레임은 온도 센서 및 고정 자석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체일 수 있다. 그리고, 탈부착 고리는 프레임의 상면과 결합되어, 프레임을 이동시키거나 붙잡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레일온도 측정장치(101)는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 자석에 의해 레일(102)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구성은 도 2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레일온도 측정장치(101)는 선로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레일온도 측정장치(101)는 목적지에 따라 설치된 선로를 대상으로 레일(102)의 표면 온도를 측정해야 되는 레일(102)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레일온도 측정장치(101)를 통해 측정된 레일(102)의 표면 온도는 케이블(104)을 통해 연결된 통신 디바이스(103)로 전달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03)는 레일온도 측정장치(101)로부터 전달된 레일(102)의 표면 온도를 중앙 서버(미도시)에 전달할 수 있다. 상세하게, 통신 디바이스(103)는 선로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차선과 연결되는 지주(105)에 고정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03)는 저전력 광역 통신망(LPWAN: Low-Power Wide-Area Network)을 기반으로 중앙 서버로 레일의 표면 온도를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 디바이스(103)는 Lora 통신 방식 및 LTE-M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중앙 서버로 레일의 표면 온도를 전달할 수 있다.
중앙 서버는, 복수의 지주에 각각 설치된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레일온도 측정장치를 통해 측정된 레일의 표면 온도를 각각 전달받고, 각각 전달된 레일의 표면 온도에 기초하여 레일의 팽창 여부 또는 수축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에 고정되는 레일온도 측정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레일온도 측정장치는 온도 센서(201), 프레임(202), 복수의 고정 자석(203), 복수의 나사(204) 및 탈부착 고리(205)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201)는 레일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맞닿아, 대기의 온도 변화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레일의 표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 센서(201)는 원기둥 형태로 구현 가능하며, 프레임에 형성된 홈에 장착될 수 있다.
프레임(202)은 온도 센서를 삽입하기 위한 아치 형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202)은 'ㄷ'자 구조를 가지며,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자세하게, 프레임(202)은 'ㄷ'자 구조의 중심 영역에 온도 센서를 삽입하기 위한 아치 형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프레임은 온도 센서가 장착되기 위한 고정판이 있으며, 고정판의 양쪽으로 결합된 연결판이 형성됨에 따라 'ㄷ'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고정판은 연결판의 높이 방향으로 아치 형태의 홈이 형성되며, 연결판 사이에 형성된 홈에는 온도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판 각각은 외측으로 'ㄱ'자 꺽쇠 형태로 연장될 수 있으며, 연장된 영역의 아래로 고정 자석(203)이 각각 고정될 수 있다.
고정 자석(203)은 프레임의 홈에 삽입된 온도 센서를 레일에 고정시키기 위해 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정 자석(203)은 프레임에 형성된 홈에 장착되는 온도 센서를 중심으로 양 옆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고정 자석(203)은 나사(204)에 의해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 자석의 길이는, 프레임의 길이와 동일하며 고정 자석의 폭은, 프레임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온도 센서의 길이는 프레임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의 상단에는 탈부착 고리가 연결됨에 따라, 사용자는 탈부착 고리를 잡고, 레일온도 측정장치를 레일의 측면에 고정시키거나, 고정 해제 시킬 수 있다. 즉, 탈부착 고리는 레일온도 측정장치의 이동 및 탈부착 등의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온도 측정장치를 다양한 방향의 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는 레일온도 측정장치의 투시도이다. 레일온도 측정장치의 투시도는 레일온도 측정장치를 입체적인 측면에서 바라본 시점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b)는 레일온도 측정장치의 상면도이다. 레일온도 측정장치의 상면도는 레일온도 측정장치를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시점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c)는 레일온도 측정장치의 정면도이다. 레일온도 측정장치의 정면도는 레일온도 측정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시점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d)는 레일온도 측정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레일온도 측정장치의 우측면도는 레일온도 측정장치를 우측에서 바라본 시점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온도 측정장치를 통해 측정된 레일의 표면 온도 및 레일의 표면 온도가 측정된 위치에서의 대기 온도를 이용하여 경보 정보를 나타내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의 그래프는 레일에 관한 경보 정보를 출력하기 위하여 측정 시간에 따른 레일의 표면 온도, 대기 온도를 각각 나타낸 도표이다. 레일의 표면 온도는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된 정보로, 레일온도 측정장치가 측정한 레일의 표면 정보를 통신 디바이스가 저전력 광역 통신망으로 전송한 것일 수 있다.
대기 온도는 레일의 표면 온도가 측정된 레일온도 측정장치의 위치를 기준으로 레일의 표면 온도가 측정된 시점에서의 온도일 수 있다. 일례로, 본 고안은GPS수신기 또는 자율항법장치로부터 레일의 표면 온도가 측정된 레일온도 측정장치의 위치를 파악한 후, 파악된 위치에서의 현재 대기 온도를 수집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레일의 표면 온도에 따라 1차 주의, 2차 주의, 경고 등으로 구분된 경보 정보를 그래프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중앙 서버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레일온도 측정장치에서 측정한 레일의 온도를 중앙서버에 전달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레일 관리자가 레일에 직접 파견되지 않고, 레일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레일온도 측정장치를 제안할 수 있다. 레일온도 측정장치를 통해 측정된 레일의 표면 온도는 케이블로 연결된 통신 디바이스(501)로 전달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501)는 저전력 광역 통신망을 기반으로 통신 디바이스(501)와 연결된 기지국(502)에 레일온도 측정장치를 통해 측정된 레일의 표면 온도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레일의 표면 온도는 기지국(502)을 거쳐 레일의 표면 온도를 관리하는 중앙 서버(503)에 저장될 수 있다.
중앙 서버(503)는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되는 레일의 표면 온도로부터 관리하기 위한 특정 레일 구간 또는 전체 레일 구간의 온도 분포를 연속적이면서 광범위하게 저장/관리/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어플리케이션(504, APP) 또는 인터넷(505,WEB)을 통해 레일 관리자 또는 이동 수단 운행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되고, 이를 통해 추가적인 동작의 발생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고안은 특정 레일 구간에 설치된 레일의 표면 온도가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 해당 레일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처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레일의 표면 온도에 따라 레일의 휨 여부를 판단하는 위한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레일 관리자가 레일에 파견되는 일이 불필요하게 되어, 레일 관리자가 이동 수단으로부터 손상을 받는 등의 위험성을 회피해지도록 레일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레일온도 측정장치를 제안한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레일 온도 측정 시스템
101: 레일 온도 측정 장치
102: 레일
103: 통신 디바이스
104: 케이블
105: 선로에 인접하여 설치된 지주

Claims (11)

  1. 레일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상기 온도 센서를 삽입하기 위한 아치 형태의 홈이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홈에 삽입된 온도 센서를 레일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자석;
    상기 고정 자석을 프레임에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 및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되는 탈부착 고리
    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센서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원기둥의 측면이 상기 레일의 표면에 접촉하여 상기 레일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며,
    상기 프레임은,
    중심 영역에 상기 온도 센서의 측면이 상기 레일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삽입되기 위한 아치 형태의 홈이 형성되는 레일온도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는,
    원기둥 형태로, 상기 프레임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레일온도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 자석에 의해 레일의 수직 부분에 해당하는 측면에 고정되는 레일온도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ㄷ'자 구조를 가지며, 상기 'ㄷ'자 구조의 중심 영역에 온도 센서를 삽입하기 위한 아치 형태의 홈이 형성되는 레일온도 측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고정 자석과 결합되기 위해 'ㄷ'자 구조의 양쪽에 외측으로 'ㄱ'자 꺽쇠 형태로 연장되고, 서로 대칭되는 레일온도 측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자석은,
    상기 온도 센서를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배치되고, 나사에 의해 프레임에 각각 결합되는 레일온도 측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자석의 길이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와 동일하며,
    상기 고정 자석의 폭은, 상기 프레임의 폭보다 좁은 레일온도 측정장치.
  8. 자석에 의해 레일의 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레일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레일온도 측정장치; 및
    상기 레일온도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레일의 표면 온도를 중앙 서버로 전달하는 통신 디바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온도 측정장치는,
    레일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상기 온도 센서를 삽입하기 위한 아치 형태의 홈이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홈에 삽입된 온도 센서를 레일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자석;
    상기 고정 자석을 프레임에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 및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되는 탈부착 고리
    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센서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원기둥의 측면이 상기 레일의 표면에 접촉하여 상기 레일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며,
    상기 프레임은,
    중심 영역에 상기 온도 센서의 측면이 상기 레일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삽입되기 위한 아치 형태의 홈이 형성되는 레일온도 측정시스템.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저전력 광역 통신망(LPWAN: Low-Power Wide-Area Network)을 기반으로 중앙 서버로 레일의 표면 온도를 전달하는 레일온도 측정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복수의 지주에 각각 설치된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레일온도 측정장치를 통해 측정된 레일의 표면 온도를 각각 전달받고,
    각각 전달된 레일의 표면 온도에 기초하여 레일의 팽창 여부 또는 수축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레일온도 측정시스템.
KR2020180002380U 2018-05-31 2018-05-31 레일온도 측정장치 KR2004898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380U KR200489810Y1 (ko) 2018-05-31 2018-05-31 레일온도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380U KR200489810Y1 (ko) 2018-05-31 2018-05-31 레일온도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810Y1 true KR200489810Y1 (ko) 2019-08-13

Family

ID=67585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380U KR200489810Y1 (ko) 2018-05-31 2018-05-31 레일온도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8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845B1 (ko) * 2019-09-25 2020-02-05 김병천 레일 밀착형 온도검지기를 이용한 레일온도검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5033U (ja) * 1991-12-20 1993-07-23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曲面用温度計測装置
JP2005249593A (ja) * 2004-03-04 2005-09-15 Kaneko:Kk 敷設レールの軸応力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5033U (ja) * 1991-12-20 1993-07-23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曲面用温度計測装置
JP2005249593A (ja) * 2004-03-04 2005-09-15 Kaneko:Kk 敷設レールの軸応力測定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845B1 (ko) * 2019-09-25 2020-02-05 김병천 레일 밀착형 온도검지기를 이용한 레일온도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0222B2 (en) Methods and systems of determining end of train location and clearance of trackside points of interest
JP6815685B2 (ja) 車両システム構成とワイヤレス通信性能を相関させるための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Weston et al. Perspectives on railway track geometry condition monitoring from in-service railway vehicles
US88622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 directional heading of a vehicle
US20130261856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 directional heading of a vehicle
GB2562414A (en) Determining position of a vehicle on a rail
KR20220101747A (ko) 객체 위치 확인 시스템 및 방법
ES2914618T3 (es) Equipo de control y procedimiento para comprobar un perfil definido de un convoy de vehículos, en particular, vehículos ferroviarios
KR200489810Y1 (ko) 레일온도 측정장치
CN110758476A (zh) 一种列车定位方法及系统
US201703133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control based on detected wheel condition
US20230257009A1 (en) Digital context-aware data collection
US10029717B2 (en) Railroad track circuits
CN110834654A (zh) 列车运行轨道判断系统和方法
CN111071303B (zh) 列车控制方法、装置、系统和计算机联锁设备
BR112021002397A2 (pt) método e montagem para detectar descargas corona de um sistema com equipamento em operação
JP6672040B2 (ja) 鉄道車両用温度検知装置
KR102202877B1 (ko) 레일 온도 관리 자동화 시스템
JP7300821B2 (ja) 位置推定装置、位置推定方法、位置推定プログラム
CN204296763U (zh) 一种车辆轮对触发系统
US11915404B2 (en) On-board thermal track misalignmen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20200024467A (ko) 레일 변위 측정 시스템
RU2282197C1 (ru) Автономное борт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положения и скорости рельсового экипажа (варианты)
RU264137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расстояния между локомотивом и объектом, расположенным на маршруте следования локомотива
KR101803398B1 (ko) 거리 측정 센서를 이용한 레일 간격 이상 지점 위치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