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679Y1 -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 - Google Patents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679Y1
KR200489679Y1 KR2020190002132U KR20190002132U KR200489679Y1 KR 200489679 Y1 KR200489679 Y1 KR 200489679Y1 KR 2020190002132 U KR2020190002132 U KR 2020190002132U KR 20190002132 U KR20190002132 U KR 20190002132U KR 200489679 Y1 KR200489679 Y1 KR 2004896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pipe
elastic
shaft
buff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신
Original Assignee
이영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신 filed Critical 이영신
Priority to KR20201900021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6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6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6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05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for thin-walled pipes having at least their extremities deformed so as to have the shape of screw-thr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4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additional 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이나 증기와 같은 대상물이 이송되는 플랜트설비용 배관구조로서, 상기 대상물이 내부에서 이송되는 메인배관과, 상기 메인배관의 일단에 마련되는 탄성기밀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배관의 일단부에는 내측면에 체결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부에는 내측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배관의 타단부에는 체결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부의 외면에는 외측나사부가 형성되어, 메인배관의 내부에 연동형변형완충수단과 교차형슬러지분쇄수단을 마련하여 메인배관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완화시킴과 아울러 이송되는 대상물에 포함된 슬러지를 분쇄하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대상물의 이송이 가능하게 되고 이송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 { Functional piping structure for plant facilities with interlocked strain buffering means }
본 고안은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배관의 내부에 연동형변형완충수단과 교차형슬러지분쇄수단을 마련하여 메인배관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완화시킴과 아울러 이송되는 대상물에 포함된 슬러지를 분쇄하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대상물의 이송이 가능하게 되고 이송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랜트는 전력, 가스, 담수 등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설비를 공급하거나 공장을 지어주는 산업을 말하며, 에너지를 얻기 위해 원료나 에너지를 공급하여 물리적, 화학적 작용을 하게 하는 장치나 공장 시설 또는 생산시설을 말하는 것으로 플랜트 구조물은 넓은 공간상에 많은 중요 설비들이 복잡하게 밀집되어 있다.
이러한 플랜트설비의 구조물에는 물, 연료, 증기 및 하수와 같은 대상물을 이송시키도록 플랜트용 배관들이 마련되어 있으며, 일정한 장소로 대상물을 이송시키거나 왕복하여 전달하기 위해 배관들을 상호 맞닿게 배치한 후 연결수단에 의해 배관들을 상호 연결하여 대상물이 이동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플랜트설비 구조물에 적용되는 배관들은 외부충격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어, 외부충격시 균열이 발생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배관들이 단순히 대상물만 이송시키는 기능만 수행할 뿐 별도의 기능이 없어 설비비용대비 가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별도의 이송되는 대상물에 포함된 슬러지를 교반시키는 기능이 없어 배관의 내측면에 슬러지가 쌓이면서 대상물의 이송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지속적으로 슬러지가 쌓여 배관이 막히게 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특허 제1604948호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메인배관의 내부에 연동형변형완충수단과 교차형슬러지분쇄수단을 마련하여 메인배관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완화시킴과 아울러 이송되는 대상물에 포함된 슬러지를 분쇄하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대상물의 이송이 가능하게 되고 이송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물이나 증기와 같은 대상물이 이송되는 플랜트설비용 배관구조로서, 상기 대상물이 내부에서 이송되는 메인배관과, 상기 메인배관의 일단에 마련되는 탄성기밀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배관의 일단부에는 내측면에 체결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부에는 내측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배관의 타단부에는 체결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부의 외면에는 외측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홈부에는 상기 탄성기밀링과 맞닿는 턱부에 완충공들이 더 형성되고, 상기 탄성기밀링에는 상기 완충공과 연통되게 연통공들이 형성되며, 상기 완충공의 내부에는 가압코일스프링이 끼움되고, 상기 가압코일스프링의 일단에는 가압패널이 고정되며, 상기 가압패널의 일면에는 일부가 상기 연통공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탄성가압돌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부에는 일측에 환형의 완충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배관에는 외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이 상기 메인배관에 전달되는 것을 완충시키고, 상기 메인배관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소음을 저감시키는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은 상기 메인배관의 외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환형의 내측결착홈들과, 상기 내측결착홈을 감싸면서 끼움되고 외면에 환형의 끼움홈이 형성된 탄성완충관과, 상기 탄성완충관의 끼움홈을 감싸면서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게 끼움되는 결착관과, 상기 결착관의 외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환형의 탄성완충돌부들과, 상기 탄성완충돌부를 감싸면서 끼움되는 완충관들과, 상기 완충관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코일스프링들과, 상기 메인배관을 감싸면서 끼움되고, 상기 완충관의 일부가 인입되도록 환형의 외측결착홈들이 형성되고, 외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환형의 걸림돌기들이 형성된 탄성변형완충관과, 상기 탄성변형완충관을 감싸면서 끼움되고, 내면에 상기 걸림돌기들이 끼움되도록 환형의 걸림홈이 형성된 보호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배관에는 이송되는 대상물에 포함된 슬러지를 분쇄시키도록 교차형슬러지분쇄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교차형슬러지분쇄수단은 상기 메인배관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부축이 상기 메인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부실린더와, 상기 상부축에 상단부가 고정되어 이송되고, 상부돌기들와 상부홈들이 형성된 상부가압분쇄패널과, 상기 메인배관의 하측에 형성되고 하부축이 상기 메인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하부실린더와, 상기 하부축에 하단부가 고정되어 이송되고, 하부돌기들와 하부홈들이 형성된 하부가압분쇄패널과, 상기 메인배관에 배치되고 고정샤프트가 형성된 작동관과, 상기 작동관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고정샤프트에 설치되어 고정되며 구동축이 마련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외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고정되고 회전축이 마련된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축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회전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교반바들과, 상기 작동관의 내주연에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교반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는 메인배관의 내부에 연동형변형완충수단과 교차형슬러지분쇄수단을 마련하여 메인배관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완화시킴과 아울러 이송되는 대상물에 포함된 슬러지를 분쇄하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대상물의 이송이 가능하게 되고 이송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를 나타낸 분해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를 나타낸 분해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배관구조라 명명함)는 물이나 증기 및 슬러지가 포함된 하수와 같은 대상물이 이송되는 플랜트설비용 배관구조(10)로서, 이에 이와같은 배관구조(10)는 메인배관(20)과 탄성기밀링(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배관(20)은 상기 대상물이 내부에서 이송될 수 있도록 중공의 관구조로 형성되며,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배관의 일단부에는 내측면에 체결홈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부(21)에는 내측나사부(211)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배관의 타단부에는 체결돌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부(22)의 외면에는 외측나사부(221)가 형성되어,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메인배관(20)에 다른 메인배관(20)을 나사식으로 체결하여 상호 고정시킬 수 있어, 간편하게 체결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탄성기밀링(30)은 상기 메인배관(20)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배관(20)에 다른 메인배관(20)이 체결시 연결부위의 기밀을 유지시키고 탄성에 의해 체결된 메인배관(20)이 풀리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으로서, 중공의 관구조로 이루어지며, 재질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기밀링(30)은 상기 체결홈부(21)에 형성되는 턱부(212)와 맞닿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부(21)에 체결되는 다른 메인배관(20)의 체결돌부(22)에 맞닿게 배치되거나 가압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체결홈부(21)에는 상기 탄성기밀링(30)과 맞닿는 턱부(212)에 완충공(213)들이 더 형성되고, 상기 탄성기밀링(30)에는 상기 완충공(213)과 연통되게 연통공(31)들이 형성되며, 상기 완충공(213)의 내부에는 가압코일스프링(213a)이 끼움되며, 상기 가압코일스프링(213a)의 일단에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가압패널(213b)이 용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가압패널(213b)의 일면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가압돌부(213c)가 더 접착 형성되고, 상기 탄성가압돌부(213c)는 상기 연통공(31)에서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시켜, 메인배관(20)에 끼움되는 다른 메인배관(20)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체결돌부(22)에는 끝단에 환형의 완충돌기(222)가 융착되게 더 형성되어, 상기 메인배관(20)의 체결홈부(21)에 다른 메인배관(20)의 체결돌부(22)가 나사체결시 다른 메인배관(20)의 완충돌기(222)를 상기 가압코일스프링(213a)과 상기 탄성가압돌부(213c)의 탄성에 의해 가압하여 체결된 다른메인배관(20)이 풀리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완충돌기(222)는 탄성가압돌부(213c)와 마찰되도록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완충돌기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간격홈을 형성하여 상기 탄성가압돌부(213c)의 일단이 끼움되도록 함으로써, 걸림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배관(20)에는 외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이 상기 메인배관(20)에 전달되는 것을 완충시키고, 상기 메인배관(2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소음을 저감시키는 연동형변형완충수단(40)이 더 마련되고, 상기 연동형변형완충수단(40)은 상기 메인배관(20)을 따라 외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환형의 내측결착홈(41)들과, 상기 내측결착홈(41)을 감싸면서 끼움되고 외면에 환형의 끼움홈(421)이 형성된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완충관(42)과, 상기 탄성완충관(42)의 끼움홈(421)을 감싸면서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게 끼움되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결착관(43)과, 상기 결착관(43)의 외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접착 또는 융착되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환형의 탄성완충돌부(44)들과, 상기 탄성완충돌부(44)를 감싸면서 끼움되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완충관(45)들과, 상기 완충관(45)들을 상호 연결하며 용접되는 연결코일스프링(46)들과, 상기 메인배관(20)을 감싸면서 끼움되고, 상기 완충관(45)의 일부가 인입되도록 환형의 외측결착홈들이 형성되고, 외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환형의 걸림돌기(471)들이 형성된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변형완충관(47)과, 상기 탄성변형완충관(47)을 감싸면서 끼움되고, 내면에 상기 걸림돌기(471)들이 끼움되도록 환형의 걸림홈(481)이 형성된 금속재의 보호관(4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관(45)의 내측면에 상기 탄성완충돌부(44)들과 접착하여 고정되며, 상기 완충관(45)은 상기 탄성완충돌부(44)들을 가압하며 끼움된다.
상기 보호관(48)에 의해 외부의 충격이 메인배관(2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탄성완충관(42)과 연결코일스프링(46)과 탄성완충돌부(44) 및 탄성변형완충관(47)의 탄성에 의해 보호관(48) 또는 메인배관(20)에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게 되며, 메인배관(20)과 보호관(48)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소음을 재차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메인배관(20)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탄성완충관(42)과 결착관(43)과 완충관(45)들이 형성되어, 이송되는 대상물의 온도나 외부의 온도에 의해 메인배관(20)의 길이가 미세하게 길어지거나 줄어들게 되는 형상변형시 상기 보호관(48)이 함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반대로 외부완형에 의해 보호관(48)이 변형시 상기 메인배관(20)이 함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메인배관(20)과 보호관(48)을 맞닿게 끼운 후 용접하여 상호 연결하는 방식이 아닌 탄성완충관(42)과 결착관(43)과 완충관(45)에 의해 일정간격을 유지시키도록 함으로써, 변형시 발생되는 힘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코일스프링(46)의 탄성에 의해 보호관(48) 또는 메인배관(20)이 변형되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메인배관(20)에는 이송되는 대상물에 포함된 슬러지를 분쇄시키도록 교차형슬러지분쇄수단(50)이 더 마련되며, 상기 교차형슬러지분쇄수단(50)은 상기 메인배관(20)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부축이 상기 메인배관(20)의 내부에 배치되게 상기 메인배관(2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결착구에 끼움되어 용접되는 상부실린더(51)와, 상기 상부축에 상단부가 용접 고정되어 이송되고, 상부돌기(521)들와 상부홈(522)들이 형성된 상부가압분쇄패널(52)과, 상기 메인배관(20)의 하측에 형성되고 하부축이 상기 메인배관(20)의 내부에 배치되게 상기 메인배관(2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착구에 끼움되어 용접되는 하부실린더(53)와, 상기 하부축에 하단부가 용접고정되어 이송되고, 하부돌기(541)들와 하부홈들(542)이 형성된 하부가압분쇄패널(54)과, 상기 메인배관(20)에 끼움되어 나사체결 또는 용접되고 일단에 고정샤프트(551)가 용접된 작동관(55)과, 상기 작동관(55)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고정샤프트(551)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구동축이 마련된 구동모터(56)와, 상기 구동모터(56)의 구동축에 중앙부분이 끼움되어 고정되고 외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결합홈이 형성된 회전몸체(57)와, 상기 회전몸체(57)의 외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결합홈에 하단부가 끼움되어 나사체결되는 회전축(581)이 마련된 회전모터(58)와, 상기 회전축(581)을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일단이 용접되어 고정되고, 상기 회전모터(58)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축(581)과 함께 회전하는 교반바(59)들과, 상기 작동관(55)의 내주연에 일단이 용접되어 고정되는 고정교반핀(55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실린더(51)와 상기 하부실린더(53)의 구동에 의해 상기 상부가압분쇄패널(52)과 상기 하부가압분쇄패널(54)이 도면상 상하로 승강하면서, 상기 상부돌기(521)와 상기 하부돌기(541)가 상기 상부홈(522)과 상기 하부홈(542)에 끼움되고 빠지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이동되는 대상물의 슬러지를 분쇄시키게 된다. 분쇄된 슬러지는 상부홈(521)과 하부홈(541)을 관통하여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56)와 회전모터(58)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몸체(57) 및 상기 회전축(581)이 회전하여 교반바(59)에 의해 슬러지를 분쇄시켜 편중되지 않고 균일하게 슬러지를 분쇄시킬 수 있게 되고, 작동관(55)에 고정교반핀(552)이 형성되어, 회전축(581)과 작동관(55) 사이로 이동되는 슬러지를 분쇄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배관(20)에는 이동되는 대상물에 포함된 슬러지를 분쇄시키도록 요동가압분쇄수단(도시생략)이 더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동가압분쇄수단은 상기 메인배관(20)에 형성되는 관통구에 끼움된 후 용접되어 고정되고, 요동축이 상기 메인배관(20)의 내부에 배치되는 요동실린더와, 상기 메인배관(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요동축의 단부에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게 연결되어 이동되고 다수의 요동공들이 형성된 곡선의 요동패널과, 상기 요동패널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대상물에 포함되어 이동되는 상기 슬러지를 분쇄하는 외부분쇄핀들과, 상기 요동공들의 내측면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요동공을 관통하는 슬러지를 분쇄시키는 내부분쇄핀들과, 상기 요동패널의 일단에 나사체결되며 절곡된 구조로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나사체결 또는 용접되어 고정되고 가압축이 마련된 가압실린더와, 상기 가압실린더의 가압축에 끼움된 후 용접되어 고정되고 다수의 가압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축과 함께 이동되는 가압패널과, 상기 가압축의 단부에 나사체결되는 가압회전축이 마련된 가압모터와, 상기 가압회전축의 단부에 나사체결되어 대상물에 포함된 슬러지를 교반시키는 가압교반임펠러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요동실린더는 마주보게 상기 메인배관(20)에 설치되어, 상기 요동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기 요동패널들이 상호 근접되었다가 멀어지도록 함으로써, 대상물에 포함된 슬러지를 분쇄하여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분쇄핀과 상기 내부분쇄핀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상기 요동패널 및 상기 요동공에 융착 또는 용접되어 고정된다.
상기 요동실린더 및 상기 가압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도면상 요동패널이 상기 메인배관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가압패널과 가압모터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되는 요동패널과 가압패널에 슬러지가 충돌하여 분쇄되고, 요동공과 가압공으로 슬러지가 관통하면서 충돌하여 분쇄되도록 함과 아울러 이동하면서 회전하는 가압교반임펠러에 의해 재차 교반되어 교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슬러지에 의해 메인배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메인배관을 통해 대상물을 전달받는 별도의 처리장에 슬러지분쇄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이 대상물이 하수일 경우 하수에 포함된 슬러지가 상기 메인배관(20)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중 교반하면서 분쇄되어 대상물의 이송이 완료된 후 별도로 대상물에 포함된 슬러지를 분쇄하기 위한 장치가 불필요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모터의 회전축에는 다수의 마찰공을 갖으며 중앙에 결합공이 형성된 회전망을 더 체결하여 용접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회전축과 함께 상기 회전망이 회전하여 슬러지와 마찰되도록 함과 아울러 슬러지가 마찰공을 통해 관통되는 과정에서 재차 분쇄되도록 함으로써, 분쇄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회전망의 결합공을 끼운 후 용접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망은 원형의 망구조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배관구조
20 : 메인배관
21 : 체결홈부
211 : 내측나사부
212 : 턱부
213 : 완충공
213a : 가압코일스프링
213b : 가압패널
213c : 탄성가압돌부
22 : 체결돌부
221 : 외측나사부
222 : 완충돌기
30 : 탄성기밀링
31 : 연통공
40 : 연동형변형완충수단
41 : 내측결착홈
42 : 탄성완충관
421 : 끼움홈
43 : 결착관
44 : 탄성완충돌부
45 : 완충관
46 : 연결코일스프링
47 : 탄성변형완충관
471 : 걸림돌기
48 : 보호관
481 : 걸림홈
50 : 교차형슬러지분쇄수단
51 : 상부실린더
52 : 상부가압분쇄패널
521 : 상부돌기
522 : 상부홈
53 : 하부실린더
54 : 하부가압분쇄패널
541 : 하부돌기
542 : 하부홈
55 : 작동관
551 : 고정샤프트
552 : 고정교반핀
56 : 구동모터
57 : 회전몸체
58 : 회전모터
581 : 회전축
59 : 교반바

Claims (4)

  1. 물이나 증기와 같은 대상물이 이송되는 플랜트설비용 배관구조로서,
    상기 대상물이 내부에서 이송되는 메인배관과,
    상기 메인배관의 일단에 마련되는 탄성기밀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배관의 일단부에는 내측면에 체결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부에는 내측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배관의 타단부에는 체결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부의 외면에는 외측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부에는 상기 탄성기밀링과 맞닿는 턱부에 완충공들이 더 형성되고, 상기 탄성기밀링에는 상기 완충공과 연통되게 연통공들이 형성되며,
    상기 완충공의 내부에는 가압코일스프링이 끼움되고,
    상기 가압코일스프링의 일단에는 가압패널이 고정되며,
    상기 가압패널의 일면에는 일부가 상기 연통공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탄성가압돌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부에는 일측에 환형의 완충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배관에는 외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이 상기 메인배관에 전달되는 것을 완충시키고, 상기 메인배관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소음을 저감시키는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은 상기 메인배관의 외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환형의 내측결착홈들과,
    상기 내측결착홈을 감싸면서 끼움되고 외면에 환형의 끼움홈이 형성된 탄성완충관과,
    상기 탄성완충관의 끼움홈을 감싸면서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게 끼움되는 결착관과,
    상기 결착관의 외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환형의 탄성완충돌부들과,
    상기 탄성완충돌부를 감싸면서 끼움되는 완충관들과,
    상기 완충관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코일스프링들과,
    상기 메인배관을 감싸면서 끼움되고, 상기 완충관의 일부가 인입되도록 환형의 외측결착홈들이 형성되고, 외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환형의 걸림돌기들이 형성된 탄성변형완충관과,
    상기 탄성변형완충관을 감싸면서 끼움되고, 내면에 상기 걸림돌기들이 끼움되도록 환형의 걸림홈이 형성된 보호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배관에는 이송되는 대상물에 포함된 슬러지를 분쇄시키도록 교차형슬러지분쇄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교차형슬러지분쇄수단은 상기 메인배관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부축이 상기 메인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부실린더와,
    상기 상부축에 상단부가 고정되어 이송되고, 상부돌기들와 상부홈들이 형성된 상부가압분쇄패널과,
    상기 메인배관의 하측에 형성되고 하부축이 상기 메인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하부실린더와,
    상기 하부축에 하단부가 고정되어 이송되고, 하부돌기들와 하부홈들이 형성된 하부가압분쇄패널과,
    상기 메인배관에 배치되고 고정샤프트가 형성된 작동관과,
    상기 작동관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고정샤프트에 설치되어 고정되며 구동축이 마련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외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고정되고 회전축이 마련된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축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회전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교반바들과,
    상기 작동관의 내주연에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교반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



KR2020190002132U 2019-05-24 2019-05-24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 KR2004896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132U KR200489679Y1 (ko) 2019-05-24 2019-05-24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132U KR200489679Y1 (ko) 2019-05-24 2019-05-24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679Y1 true KR200489679Y1 (ko) 2019-07-22

Family

ID=67439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132U KR200489679Y1 (ko) 2019-05-24 2019-05-24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6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85644A (zh) * 2021-08-27 2021-11-23 江西江铃集团深铃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具有降噪及缓冲作用油管总成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6933U (ja) * 2009-09-03 2010-01-28 日本ホーバス株式会社 流体流路用管体の構造
KR101604948B1 (ko) 2015-02-03 2016-03-18 한국기계연구원 해양플랜트용 배관의 온도 조절 시스템
KR101978729B1 (ko) * 2019-03-28 2019-05-15 이영신 온도조절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6933U (ja) * 2009-09-03 2010-01-28 日本ホーバス株式会社 流体流路用管体の構造
KR101604948B1 (ko) 2015-02-03 2016-03-18 한국기계연구원 해양플랜트용 배관의 온도 조절 시스템
KR101978729B1 (ko) * 2019-03-28 2019-05-15 이영신 온도조절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85644A (zh) * 2021-08-27 2021-11-23 江西江铃集团深铃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具有降噪及缓冲作用油管总成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679Y1 (ko) 연동형변형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
EP2109519B1 (en) Vibration dampening for a power tool
US10272559B2 (en) Side handle
KR101978729B1 (ko) 온도조절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
CN103153537B (zh) 手持式工具机
JP2008518774A5 (ko)
CN102463527A (zh) 角磨机
CA2883593A1 (en) Mechanical actuator
KR200489299Y1 (ko) 충격완충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
US20160176640A1 (en) Mosaic liner for chute/hopper lining
AU2015401842A1 (en) Crushing shell with rotational lock
KR101999316B1 (ko) 요동분쇄수단을 갖는 플랜트 설비용 기능성 배관구조
CN212702201U (zh) 一种锤式破碎机圆盘锁紧装置和破碎机
CN2923182Y (zh) 离心研磨机压紧装置
CN209020934U (zh) 工业固体废弃物绿色化处理系统
CN209152228U (zh) 一种压片糖果辅助筛粉装置
CN209321828U (zh) 垂直螺旋牙板粉碎输送装置
CN208074162U (zh) 垃圾粉碎机用振动隔离装置及垃圾粉碎机
CN208407178U (zh) 一种高标号环保水泥节能高效型联合粉磨设备
CN215333440U (zh) 一种应用于化工生产的苯酐循环水泵
CN208895306U (zh) 一种气动锉刀机磨头柔性连接结构
CN219337547U (zh) 风镐扳手
CN104874438A (zh) 一种手动锤式粉碎机
CN104552184B (zh) 摆动机及其转接器
CN210906380U (zh) 具有连接机构的粉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