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630Y1 - Assistance device for joint support - Google Patents

Assistance device for joint suppo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630Y1
KR200489630Y1 KR2020190000342U KR20190000342U KR200489630Y1 KR 200489630 Y1 KR200489630 Y1 KR 200489630Y1 KR 2020190000342 U KR2020190000342 U KR 2020190000342U KR 20190000342 U KR20190000342 U KR 20190000342U KR 200489630 Y1 KR200489630 Y1 KR 2004896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joint
support portion
chest
join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34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구
Original Assignee
김성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구 filed Critical 김성구
Priority to KR20201900003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63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6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63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81Protectors for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7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secured to the patient, e.g. with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관절 지지 보조구가 개시된다. 관절 지지 보조구는, 상체 위치에 착용되는 체스트 커버와 골반 위치에 착용되는 골반 커버와, 발 위치에 착용되는 풋 커버를 포함하는 커버부와, 체스트 커버와 골반 커버와 풋 커버의 사이에서 착용자의 가슴과 옆구리와 허벅지와 발의 사이 위치를 따라 긴 길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 관절 지지부와, 체스트 커버와 손목의 사이 위치를 따라 긴 길이로 연결되어 어깨 팔꿈치와 손목의 관절 부분을 지지하는 암 관절 지지부를 포함한다.A joint support assisting opening is initiated. The joint support support includes a cover portion including a chest cover to be worn on the upper body position, a pelvis cover to be worn on the pelvis position, a foot cover to be worn on the foot position, and a cover portion to be worn on the chest A main joint support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a long length along the side between the side of the thigh and the thigh and a foot supporting portion supporting the joint portion of the shoulder elbow and the wrist by a long length along the position between the chest cover and the wrist, .

Description

관절 지지 보조구{ASSISTANCE DEVICE FOR JOINT SUPPORT}ASSISTANCE DEVICE FOR JOINT SUPPORT

본 고안은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로 신체 관절의 움직임을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관절 지지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culated ankle for supporting the movement of the body joint in a state of wearing by the user.

일반적으로 근력이 저하되어 신체 운동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 또는 신체 관절을 과다하게 사용하는 운동 또는 작업을 하는 경우, 관절 등의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될 수 있다. Generally, when a person having a weak physical strength and having low physical exercise ability or exercising or exercising excessive use of the body joint, musculoskeletal diseases such as joints may occur.

따라서, 신체 운동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 또는 신체 관절을 과다하게 사용하는 운동 또는 작업을 하는 경우, 골반과 무릎 또는 팔 부분의 관절에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되지 않도록, 관절 부분과 근육 부분을 적절하게 지지해주는 보조구의 사용이 요구된다. Therefore, when exercising or working with excessive use of the person's joints or the person having low physical exercise ability, the assistant for appropriately supporting the joint portion and the muscular portion so that the musculoskeletal disease does not occur in the joints of the pelvis and knee or arm portion Use of sphere is required.

등록특허공보 10-0446556Patent Registration No. 10-0446556

본 고안은 신체 관절 부분의 운동을 보조하도록 신체 관절 부분을 따라 착용이 가능한 관절 지지 보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joint support support that can be worn along the body joint to assist the movement of the body joint.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상체 위치에 착용되는 체스트 커버와 골반 위치에 착용되는 골반 커버와, 발 위치에 착용되는 풋 커버를 포함하는 커버부와, 체스트 커버와 골반 커버와 풋 커버의 사이에서 착용자의 가슴과 옆구리와 허벅지와 발의 사이 위치를 따라 긴 길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 관절 지지부와, 체스트 커버와 손목의 사이 위치를 따라 긴 길이로 연결되어 어깨 팔꿈치와 손목의 관절 부분을 지지하는 암 관절 지지부를 포함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shioning device comprising a cover portion including a chest cover to be worn at the upper body position, a pelvis cover to be worn at the pelvis position, a foot cover to be worn at the foot position, A main joint support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wearer's chest and sides along a long length between the thigh and the foot and a long joint portion extending along the position between the chest cover and the wrist to support the shoulder joint and the joint portion of the wrist And a cancer joint support portion.

메인 관절 지지부는, 착용자의 가슴과 옆구리와 허벅지와 발의 사이 위치에서 대향하는 한 쌍으로 상기 커버부에 연결되며, 체스트 커버와 골반 커버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1 관절 지지부와, 제1 관절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착용자의 무릎 측면 위치로 연장되는 제2 관절 지지부와, 제2 관절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풋 커버에 연결되는 제3 관절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joint support portion includes a first joint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cover portion in a pair facing each other at a position between the chest and side of the wearer and the thigh and the foot and connected between the chest cover and the pelvis cover, A second joint support pa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wearer's knee lateral side position and a third joint support pa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joint support part and connected to the foot cover.

암 관절 지지부는, 일단은 체스트 커버에 연결되며 타단은 팔꿈치의 측면 위치로 연장되는 제1 암 지지부와, 일단은 제1 암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손목의 측면에 고정되는 제2 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A first arm support por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hest cover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o a lateral position of the elbow; a second arm support portion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arm support portion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side of the wrist; And may include a support.

체스트 커버와 골반 커버의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connector member connecting between the chest cover and the pelvis cover.

메인 관절 지지부를 착용자의 무릎 위치와 발목 위치에서 고정하는 제1 고정 밴드와, 암 관절 지지부를 착용자의 팔꿈치 위치와 손목 위치에 고정하는 제2 고정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first fixing band fixing the main joint support part at a knee position and an ankle position of the wearer and a second fixing band fixing the cancer joint support part to the wearer's elbow position and wrist position.

제1 관절 지지부와 제2 관절 지지부 및 제3 관절 지지부의 각각은 길이 가변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joint support portion, the second joint support portion, and the third joint support portion may be variable in length.

골반 커버와 풋 커버의 사이에서 착용자의 허벅지 내측과 발의 사이 위치를 따라 긴 길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내측 관절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n inner joint support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the thigh of the wearer and the foot between the pelvis cover and the foot cover so as to be rotatable by a long length.

내측 관절 지지부는, 일측은 골반 커버 위치에 연결되고 타측은 착용자의 무릎 내측면 위치로 연장되는 제1 지지부와, 일측은 제1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풋 커버에 연결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joint support part includes a first support part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pelvis cover position and the other side extending to a side position in the knee of the wearer and a second support part having one sid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foot cover, . ≪ / RTI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관절 지지부를 착용자의 가슴과 골반과 다리 위치를 따라 연결하는 바, 골반 관절과 무릎 관절 및 발목 관절의 운동을 안정적으로 보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motion of the pelvic, knee, and ankle joints by connecting the main joint support part along the wearer's chest, pelvis, and leg positions.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암 관절 지지부를 착용자의 어깨로부터 손목 사이 위치를 따라 연결하는 바, 어깨 관절과, 팔꿈치 및 손목 부분의 관절 운동을 안정적으로 보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shoulder joint, the elbow, and the joint movement of the wrist portion by connecting the supporting portion of the cancer joint along the position of the wrist from the wearer's shoulder.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절 지지 보조구를 착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착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관절 지지 보조구를 착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관절 지지 보조구를 착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타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절 지지 보조구의 커버부에 커넥터부재가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관절 지지 보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관절 지지 보조구의 착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joint support assisting too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earing state of the cov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joint support assisting tool of FIG. 1 is worn.
FIG. 4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joint support assisting tool of FIG. 1 is worn.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or member is connected to a cover portion of a joint support suppor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joint support assisting too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ear state of a joint support assisting too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에서 설명하는 관절 지지 보조구(100)는 신체에 착용되는 것으로, 신체의 허리, 발 및 팔 부분 등의 신체 각 부분의 관절 부분을 지지하도록 착용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대해서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joint support assisting tool 100 described below is worn on the body and is worn to support the joint parts of the body parts such as the waist, the feet and the arm parts of the body.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절 지지 보조구를 착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착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관절 지지 보조구를 착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관절 지지 보조구를 착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타측면도이다.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joint supporting assisting too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wearing state of a cov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joint support assisting tool of FIG. 1 is worn, and FIG. 4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joint support assisting tool of FIG. 1 is wor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 지지 보조구(100)는, 상체 위치에 착용되는 체스트 커버(11)와 골반 위치에 착용되는 골반 커버(13)와 발 위치에 착용되는 풋 커버(15)를 포함하는 커버부(10)와, 체스트 커버(11)와 골반 커버(13)와 풋 커버(15)의 사이에서 착용자의 가슴과 옆구리와 허벅지와 발의 사이 위치를 따라 긴 길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 관절 지지부(20)와, 체스트 커버(11)와 손목의 사이 위치를 따라 긴 길이로 연결되어 어깨 팔꿈치와 손목의 관절 부분을 지지하는 암 관절 지지부(40)를 포함한다.1 to 4, a joint support assisting too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est cover 11 worn at an upper body position, a pelvis cover 13 worn at a pelvis position, A cover portion 10 including a foot cover 15 to be worn at the foot position and a cover portion 10 between the chest cover 11 and the pelvis cover 13 and the foot cover 15 between the wearer's chest and side, A main joint support part 20 connected to the chest cover 11 so as to be rotatable in a long length along the position of the chest cover 11 and an arm joint supporting part 20 supporting the joint parts of the shoulder elbow and the wrist 40).

커버부(10)는 신체에 착용되는 것으로, 상체와 하체 및 팔 부분의 관절을 각각 지지하는 관절 지지부를 연결하도록 착용되는 것으로, 체스트 커버(11)와 골반 커버(13)와 풋 커버(15)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커버부(10)는 체스트 커버(11)와 골반 커버(13)와 풋 커버(15) 외에 신체의 관절 근접 위치에 보조적으로 착용되는 소정의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hest cover 11, the pelvis cover 13, and the foot cover 15 are worn on the body, and are worn to connect the joint supporting parts for supporting the joints of the upper body, the lower body, . ≪ / RTI > Of course, the cover portion 10 may further include a predetermined cover which is additionally worn in the vicinity of the joint of the body in addition to the chest cover 11, the pelvis cover 13, and the foot cover 15. [

체스트 커버(11)는 착용자의 가슴 부분에 착용되는 것으로, 가슴 둘레를 따라 밀착된 상태로 착용될 수 있다. 체스트 커버(11)는 탄성 재질로 착용자의 가슴 부분에 밀착된 상태로 착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The chest cover 11 is worn on the wearer's chest, and can be worn in close contact along the chest. The chest cover 11 is exemplarily described as being worn in a state of being adhered to the wearer's chest with an elastic material.

물론 체스트 커버(11)는 가슴 둘레에 밀착된 탄성 재질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슴 위치에 착용되는 소정의 조끼 타입으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다. Of course, the chest cover 11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n elastic material adhered closely to the chest, but may be suitably modified to a predetermined vest type worn at the chest position.

골반 커버(13)는 착용자의 골반 위치에 착용되는 것으로, 골반 위치에 밀착된 상태로 착용될 수 있다. 골반 커버(13)는 골반 위치의 둘레에 한정하여 착용되는 숏 팬츠 형태로 착용되는 것도 가능하고, 허벅지의 일부분을 더욱 덮는 형태로 착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pelvis cover 13 is worn at the pelvis position of the wearer and can be worn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pelvis position. The pelvis cover 13 may be worn in the form of short pants worn only around the pelvis position, or it may be worn in a form that further covers a part of the thigh.

풋 커버(15)는 착용자의 발등의 일부와 발목 부분을 덮도록 착용될 수 있다. 물론 풋 커버(15)는 착용자의 종아리의 일부를 덮도록 더욱 연장된 상태로 착용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foot cover 15 can be worn to cover a part of the wearer's foot and an ankle part.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for the foot cover 15 to be worn in a further extended state to cover a part of the wearer's calf.

한편, 체스트 커버(11)와 골반 커버(13)와 풋 커버(15)의 사이에는 메인 관절 지지부(20)가 연결될 수 있다.The main joint support part 2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chest cover 11 and the pelvis cover 13 and the foot cover 15. [

메인 관절 지지부(20)는, 체스트 커버(11)와 골반 커버(13)와 풋 커버(15)의 사이에서 착용자의 가슴과 옆구리와 허벅지와 발의 사이 위치를 따라 긴 길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main joint support portion 20 can be rotatably connected with the chest cover 11, the pelvis cover 13 and the foot cover 15 in a long length along the wearer's chest, side, thigh and the position between the foot .

이러한 메인 관절 지지부(20)는, 착용자의 가슴과 옆구리와 허벅지와 발의 사이 위치에서 대향하는 한 쌍으로 커버부(10)에 연결될 수 있다. The main joint support portion 20 can be connected to the cover portion 10 in a pair facing each other at a position between the wearer's chest and side, thigh and foot.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메인 관절 지지부(20)는, 체스트 커버(11)와 골반 커버(13)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1 관절 지지부(21)와, 제1 관절 지지부(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착용자의 무릎 측면 위치로 연장되는 제2 관절 지지부(23)와, 제2 관절 지지부(2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풋 커버(15)에 연결되는 제3 관절 지지부(25)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ain joint support portion 20 includes a first joint support portion 21 connected between the chest cover 11 and the pelvis cover 13, a second joint support portion 21 rotatably supported on the first joint support portion 21, And a third joint support part (25) connected to the foot cover (15)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joint support part (23), the second joint support part .

제1 관절 지지부(21)는 착용자의 가슴과 골반의 사이 위치를 연결하는 것으로 일단은 체스트 커버(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골반 커버(1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joint supporting part 21 connects the position between the wearer's chest and the pelvis. The first joint supporting part 21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hest cover 11 at one end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pelvis cover 13 at the other end.

이러한 제1 관절 지지부(2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체스트 커버(11)와 골반 커버(13)의 사이에 연결되는 바, 가슴과 골반 사이에서 옆구리 위치에 연결되는 바, 골반 관절의 움직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관절 지지부(2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신체의 굴곡에 따라 굴곡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first joint supporting portion 21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connected between the chest cover 11 and the pelvis cover 13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chest between the chest and pelvis. As shown in Fig. The first joint supporting portion 21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plate shape, but may be formed in a bent state according to the bending of the body.

제1 관절 지지부(21)는 체스트 커버(11)와 골반 커버(13)의 사이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착용자의 신체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길이 가변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first joint supporting portion 21 is integrally connected between the chest cover 11 and the pelvis cover 13 by way of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length of the first joint supporting portion 21 may be suitably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wearer's body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제2 관절 지지부(23)는, 일단은 제1 관절 지지부(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은 착용자의 무릎 측면 위치로 연장되어, 제3 관절 지지부(2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second joint supporting portion 23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joint supporting portion 2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joint supporting portion 23 is extended to the side position of the knee of the wearer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third joint supporting portion 25 .

즉, 제2 관절 지지부(23)는 제1 관절 지지부(21)와 제3 관절 지지부(25)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 골반 관절과 무릎 관절 부분의 운동을 보조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joint support part 23 is rotatably connected between the first joint support part 21 and the third joint support part 25, and may be connected to assist the movement of the pelvic joint and the knee joint part.

제2 관절 지지부(23)는 플레이트 형상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The second joint supporting portion 23 is illustratively formed of a plate-like plastic material.

이러한 제2 관절 지지부(23)는 제1 관절 지지부(21)와 제3 관절 지지부(25)의 사이에 하나의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착용자의 신체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길이 가변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second joint support portion 23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joint support portion 21 and the third joint support portion 25 by way of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them so that their lengths are appropriately variable.

제2 관절 지지부(23)는 제1 관절 지지부(21)와 플라스틱 등의 동일 또는 유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관절 지지부(23)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신체의 굴곡에 따라 굴곡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second joint supporting portion 23 may be formed of the same or similar material as the first joint supporting portion 21 and plastic. In addition, the second joint supporting portion 23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plate shape, but may be formed in a bent state according to the bending of the body.

제3 관절 지지부(25)는 일단은 제2 관절 지지부(2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커버부(10)의 풋 커버(1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third joint supporting part 25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joint supporting part 23 and the other end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oot cover 15 of the cover part 10. [

따라서, 제3 관절 지지부(25)는, 제2 관절 지지부(23)와 풋 커버(15)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 무릎 관절과 발목 관절 부분의 운동을 보조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Therefore, the third joint supporting part 25 is rotatably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joint supporting part 23 and the foot cover 15, and may be connected to assist the movement of the knee joint and the ankle joint part.

한편, 메인 관절 지지부(20)는 착용자의 무릎 위치와 발목 위치에서 제1 고정 밴드(30)에 의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the main joint support part 20 can be fixed by the first fixing band 30 at the wearer's knee position and ankle position.

제1 고정 밴드(30)는, 메인 관절 지지부(20)의 제2 관절 지지부(23)와 제3 관절 지지부(25)를 착용자의 무릎 인접 위치에 발목 인접 위치에 각각 고정할 수 있다.The first fixing band 30 can fix the second joint support portion 23 and the third joint support portion 25 of the main joint support portion 20 at the adjacent positions of the wearer's ankle.

이러한 제1 고정 밴드(30)는 제2 관절 지지부(23)와 무릎 위치와, 제3 관절 지지부(25) 발목 위치의 둘레에 각각 고정되도록 연결되는 것으로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관절 지지부(20)는 제1 고정 밴드(30)에 의해 더욱 안정적으로 착용되어 안정적인 착용감 향상이 가능하다. The first fixing band 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joint support portion 23, the knee position, and the ankle position of the third joint support portion 25, respectively, so as to be fixed around the ankle position, and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erefore, the main joint support portion 20 can be worn more stably by the first fixing band 30, thereby improving the wearing comfort in a stable manner.

이와 같이, 메인 관절 지지부(20)는, 체스트 커버(11)와 골반 커버(13) 및 풋 커버(15)의 사이 위치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골반과 무릎 및 발목 등의 관절의 운동을 지지하는 바, 착용자의 보행 과정에서 보다 안정적인 보행이 가능하도록 보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main joint support portion 2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position between the chest cover 11, the pelvis cover 13, and the foot cover 15,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movement of the joints such as the pelvis, the knees and the ankles, and to assist the wearer in a more stable walking in the walking process.

한편, 체스트 커버(11)와 손목의 사이 위치의 관절 부분은 암 관절 지지부(40)로 지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joint portion of the position between the chest cover 11 and the wrist can be supported by the arm joint supporting portion 40.

암 관절 지지부(40)는, 일단은 체스트 커버(11)에 연결되며 타단은 팔꿈치의 측면 위치로 연장되는 제1 암 지지부(41)와, 일단은 제1 암 지지부(4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손목의 측면에 고정되는 제2 암 지지부(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arm support portion 40 includes a first arm support portion 41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hest cover 11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o the side position of the elbow and a first arm support portion 41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arm support portion 41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side of the wrist.

제1 암 지지부(41)는 체스트 커버(11)와 팔꿈치 사이 위치에 긴 길이로 연결되는 바, 어깨 관절과 팔꿈치 관절의 운동을 보조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arm support portion 41 is connected to the chest cover 11 at a position between the elbow and the elongate body, and may be connected to assist movement of the shoulder joint and the elbow joint.

이러한 제1 암 지지부(41)는 체스트 커버(11)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팔꿈치 위치로 연장되어 제2 고정밴드(5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arm supporting portion 41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chest cover 11 at one end thereof and the other end may be extended to the elbow position and fixed by the second fixing band 50.

제1 암 지지부(41)는 착용자의 어깨 관절 부분과 팔꿈치 관절 부분의 운동을 탄성 지지하도록 어깨와 팔꿈치 부분의 사이에 연장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arm support portion 41 may be connected to extend between the shoulder portion and the elbow portion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movement of the shoulder joint portion and the elbow joint portion of the wearer.

제1 암 지지부(41)는 외표면에 복수개의 탄성 돌출부가 형성되는 바, 팔의 움직임에 따라 어깨와 팔꿈치 사이의 관절 운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first arm support portion 41 has a plurality of elastic protrusion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so that the joint motion between the shoulder and the elbow can be more stably suppor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arm.

제2 암 지지부(43)는 일단은 제1 암 지지부(4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손목 위치로 긴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second arm support portion 43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arm support portion 4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rm support portion 43 can be extended to the wrist position by a long length.

제2 암 지지부(43)는 착용자의 팔꿈치 관절 부분과 손목 관절 부분의 사이에 연결되어, 팔꿈치와 손목 부분의 관절 운동을 탄성 지지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arm support portion 43 is connected between the elbow joint portion and the wrist joint portion of the wearer and can be connect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joint motion of the elbow and the wrist portion.

한편, 암 관절 지지부(40)는 착용자의 팔꿈치 위치와 손목 위치에 제2 고정밴드(50)에 의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arm joint supporting portion 40 can be fixed to the wearer's elbow position and wrist position by the second fixing band 50. [

제2 고정밴드(50)는, 암 관절 지지부(40)의 제1 암 지지부(41)와 제2 암 지지부(43)를 착용자의 팔꿈치 위치와 손목 위치에 각각 고정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band 50 can fix the first arm supporting portion 41 and the second arm supporting portion 43 of the arm joint supporting portion 40 to the elbow position and the wrist position of the wearer respectively.

이러한 제2 고정밴드(50)는 제1 암 지지부(41)와 팔꿈치 위치와, 제2 암 지지부(43) 손목 위치의 둘레에 각각 고정되도록 연결되는 것으로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암 관절 지지부(40)는 제2 고정밴드(50)에 의해 더욱 안정적으로 착용되어 안정적인 착용감 향상이 가능하다. The second fixing band 5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o as to be fixed around the first arm supporting portion 41, the elbow position, and the wrist position of the second arm supporting portion 43, respectively. Therefore, the cancer joint supporting portion 40 can be worn more stably by the second fixing band 50, so that the wearing comfort can be improved stably.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 관절 지지부(20)를 착용자의 가슴과 골반과 다리 위치를 따라 연결하는 바, 골반 관절과 무릎 관절 및 발목 관절의 운동을 안정적으로 보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movement of the pelvis joint, the knee joint, and the ankle joint, connecting the main joint support portion 20 to the wearer's chest, pelvis, and leg positions.

아울러. 암 관절 지지부(40)를 착용자의 어깨로부터 손목 사이 위치를 따라 연결하는 바, 어깨 관절과, 팔꿈치 및 손목 부분의 관절 운동을 안정적으로 보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together.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shoulder joint, the elbow and the joint motion of the wrist portion by connecting the arm joint supporting portion 40 along the position between the wrists from the wearer's shoulder.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절 지지 보조구의 커버부에 커넥터부재가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or member is connected to a cover portion of a joint support suppor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to 4 denote the same or similar members of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절 지지 보조구(200)의 커버부(10)에는 체스트 커버(11)와 골반 커버(13)의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터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5, a cover member 10 of a joint support assisting tool 2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member (not shown) for connecting between the chest cover 11 and the pelvis cover 13 110).

커넥터부재(110)는 일단은 체스트 커버(11)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골반 커버(13)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connector member 11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hest cover 11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elvis cover 13.

따라서, 커넥터부재(110)는 체스트 커버(11)와 골반 커버(13)의 착용된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하는 바, 체스트 커버(11)와 골반 커버(13)에 각각 지지되는 메인 관절 지지부(20)와 암 관절 지지부(40)의 보다 안정적인 지지 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connector member 110 connects the worn state of the chest cover 11 and the pelvis cover 13 more stably. The connector member 110 includes a main joint support portion (not shown) supported by the chest cover 11 and the pelvis cover 13 20 and the cancer joint supporting portion 40 can be more stably supported.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관절 지지 보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6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joint support assisting too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5 denote the same or similar membe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관절 지지 보조구(300)의 메인 관절 지지부(20)를 포함하는 제1 관절 지지부(21)와 제2 관절 지지부(23) 및 제3 관절 지지부(25)의 각각은 길이 가변될 수 있다.6, the first joint support portion 21 and the second joint support portion 23 including the main joint support portion 20 of the joint support assisting tool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third joint supporting portions 25 may be variable in length.

즉, 제1 관절 지지부(21)와 제2 관절 지지부(23) 및 제3 관절 지지부(25)의 각각은 나사봉(210)으로 서로 연결되는 바,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길이 가변되는 것도 가능하다. That is, the first joint support part 21, the second joint support part 23, and the third joint support part 2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crew rod 210, .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관절 지지 보조구의 착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ear state of a joint support assisting too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6 denote the same or similar membe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관절 지지 보조구(400)는, 골반 커버(13)와 풋 커버(15)의 사이에서 착용자의 허벅지 내측과 발의 사이 위치를 따라 긴 길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내측 관절 지지부(320)를 포함하고, 7, the joint support assisting tool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lvis cover 13 and a foot cover 15, which are disposed between the inside of the thigh of the wearer and the foot between the pelvis cover 13 and the foot cover 15 And an inner joint support portion (320) rotatably connected to a long length,

내측 관절 지지부(320)는, 일측은 골반 커버(13) 위치에 연결되고, 타측은 착용자의 무릎 내측면 위치로 연장되는 제1 지지부(321)와, 일측은 제1 지지부(3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풋 커버(15)에 연결되는 제2 지지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ner joint support portion 320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321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position of the pelvis cover 13 and the other side extending to a side position in the knee of the wearer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322 having one side rotatably supported on the first support portion 321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323 connected to the foot cover 15 at the other side.

여기서, 제1 지지부(321)와 제2 지지부(323)는 사용자의 신체에 무릎 위치와 발목 위치에서 제1 고정 밴드(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Here, the first support portion 321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3 can be fixed to the user's body by the first fixing band 30 at the knee position and the ankle position.

또한 제1 지지부(321)는 골반 커버(13) 위치에서 제3 고정 밴드(330)에 의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Also, the first support portion 321 may be fixed by the third fixing band 330 at the position of the pelvis cover 13.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 관절 지지부(320)에 의해 골반, 무릎, 발목 관절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elvis, the knee, and the ankle joint can be more stably supported by the inner joint support portion 320. [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Of course.

10...커버부 11...체스트 커버
13,,,골반 커버 15...풋 커버
20...메인 관절 지지부 21...제1 관절 지지부
23...제2 관절 지지부 25...제3 관절 지지부
30...제1 고정밴드 40...암 관절 지지부
41...제1 암 지지부 43...제2 암 지지부
50...제2 고정밴드 110..커넥터부재
210..나사봉
10 ... cover part 11 ... chest cover
13 ,,, pelvis cover 15 ... foot cover
20 ... main joint support part 21 ... first joint support part
23 ... second joint supporting portion 25 ... third joint supporting portion
30 ... first fixing band 40 ... cancer joint supporting portion
41 ... first arm support portion 43 ... second arm support portion
50 ... second fixing band 110 .. connector member
210 .. Na Sa Bong

Claims (7)

상체 위치에 착용되는 체스트 커버와, 골반 위치에 착용되는 골반 커버와, 발 위치에 착용되는 풋 커버를 포함하는 커버부;
상기 체스트 커버와 상기 골반 커버와 상기 풋 커버의 사이에서 착용자의 가슴과 옆구리와 허벅지와 발의 사이 위치를 따라 긴 길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 관절 지지부; 및
상기 체스트 커버와 손목의 사이 위치를 따라 긴 길이로 연결되어, 어깨 팔꿈치와 손목의 관절 부분을 지지하는 암 관절 지지부;
를 포함하는 관절 지지 보조구.
A cover portion including a chest cover to be worn on the upper body position, a pelvis cover to be worn on the pelvis position, and a foot cover to be worn on the foot position;
A main joint support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chest cover, the pelvis cover, and the foot cover along a long length along a position between a chest and a side, a thigh and a foot of the wearer; And
A cancer joint supporting part connected to the shoulder elbow and the wrist by a long length along the position between the chest cover and the wrist to support a joint part of the wrist;
And an articulating a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관절 지지부는, 착용자의 가슴과 옆구리와 허벅지와 발의 사이 위치에서 대향하는 한 쌍으로 상기 커버부에 연결되며,
상기 체스트 커버와 상기 골반 커버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1 관절 지지부;
상기 제1 관절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착용자의 무릎 측면 위치로 연장되는 제2 관절 지지부; 및
상기 제2 관절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풋 커버에 연결되는 제3 관절 지지부;
를 포함하는 관절 지지 보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joint suppor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cover portion in a pair facing each other at a position between a chest and a side of a wearer and between a thigh and a foot,
A first joint supporting part connected between the chest cover and the pelvis cover;
A second joint support pa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joint support part and extending to a knee lateral position of the wearer; And
A third joint support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joint support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foot cover;
And an articulating a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 관절 지지부는,
일단은 상기 체스트 커버에 연결되며 타단은 팔꿈치의 측면 위치로 연장되는 제1 암 지지부; 및
일단은 상기 제1 암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손목의 측면에 고정되는 제2 암 지지부;
를 포함하는 관절 지지 보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ncer joint support portion
A first arm support pa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hest cover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o a side position of the elbow; And
A second arm support part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arm support part and the other end fixed to a side surface of the wrist;
And an articulating a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스트 커버와 상기 골반 커버의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관절 지지 보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nnector member for connecting between the chest cover and the pelvis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관절 지지부를 착용자의 무릎 위치와 발목 위치에서 고정하는 제1 고정 밴드; 및
상기 암 관절 지지부를 착용자의 팔꿈치 위치와 손목 위치에 고정하는 제2 고정밴드를 더 포함하는 관절 지지 보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fixing band fixing the main joint support part at a wearer's knee position and ankle position; And
And a second fixing band for fixing the arm joint supporting part to the wearer's elbow position and wrist posi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절 지지부와 상기 제2 관절 지지부 및 상기 제3 관절 지지부의 각각은 길이 가변되는 관절 지지 보조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each of the first joint support portion, the second joint support portion, and the third joint support portion has a variable length.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골반 커버와 풋 커버의 사이에서 착용자의 허벅지 내측과 발의 사이 위치를 따라 긴 길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내측 관절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측 관절 지지부는,
일측은 상기 골반 커버 위치에 연결되고, 타측은 착용자의 무릎 내측면 위치로 연장되는 제1 지지부; 및
일측은 상기 제1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풋 커버에 연결되는 제2 지지부;
를 포함하는 관절 지지 보조구.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n inner joint support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the thigh of the wearer and the foot between the pelvis cover and the foot cover so as to be rotatable by a long length,
The inner joint support portion
A first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elvis cover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extending to a lateral side position of the wearer's knee; And
A second support pa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art at one side and connected to the foot cover at the other side;
And an articulating arm.
KR2020190000342U 2019-01-23 2019-01-23 Assistance device for joint support KR20048963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342U KR200489630Y1 (en) 2019-01-23 2019-01-23 Assistance device for joint suppo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342U KR200489630Y1 (en) 2019-01-23 2019-01-23 Assistance device for joint suppo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630Y1 true KR200489630Y1 (en) 2019-07-15

Family

ID=67224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342U KR200489630Y1 (en) 2019-01-23 2019-01-23 Assistance device for joint suppo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630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585A (en) * 2019-09-16 2021-03-25 주식회사 비 에스 지 Muscle assisting garment
KR20210033448A (en) * 2021-03-15 2021-03-26 주식회사 비 에스 지 Muscle assisting garment
KR20210033449A (en) * 2021-03-15 2021-03-26 주식회사 비 에스 지 Muscle assisting garment
KR102257789B1 (en) * 2020-12-29 2021-05-28 하범준 Splint capable of fracture body tractio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556B1 (en) 2001-12-28 2004-09-04 주식회사 티엔알메디텍 Splint combined use cast absence for bone fracture fixing
KR100712884B1 (en) * 2000-06-21 2007-05-02 자크리토에 악치오네르노에 오브쉐스트보 나우치노-프로이즈보드스트베니 첸트르 오고네크 Device for users having after-troubles resulting from damage to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or a locomotor apparatus of the body
CN104434470A (en) * 2014-12-04 2015-03-25 电子科技大学 Lower extremity exoskeleton robot for assisting in walking
KR101672860B1 (en) * 2015-07-13 2016-11-04 양영봉 Ancillary equipment for shaping and walking of the spine and knee and ankle joints
CN206745590U (en) * 2016-12-19 2017-12-15 蔡金铭 Unpowered walking booster
US20180243156A1 (en) * 2017-02-24 2018-08-30 Andrew Hajime Tryba Biomechanical Weight-Bearing Crutch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884B1 (en) * 2000-06-21 2007-05-02 자크리토에 악치오네르노에 오브쉐스트보 나우치노-프로이즈보드스트베니 첸트르 오고네크 Device for users having after-troubles resulting from damage to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or a locomotor apparatus of the body
KR100446556B1 (en) 2001-12-28 2004-09-04 주식회사 티엔알메디텍 Splint combined use cast absence for bone fracture fixing
CN104434470A (en) * 2014-12-04 2015-03-25 电子科技大学 Lower extremity exoskeleton robot for assisting in walking
KR101672860B1 (en) * 2015-07-13 2016-11-04 양영봉 Ancillary equipment for shaping and walking of the spine and knee and ankle joints
CN206745590U (en) * 2016-12-19 2017-12-15 蔡金铭 Unpowered walking booster
US20180243156A1 (en) * 2017-02-24 2018-08-30 Andrew Hajime Tryba Biomechanical Weight-Bearing Crutch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585A (en) * 2019-09-16 2021-03-25 주식회사 비 에스 지 Muscle assisting garment
KR102245252B1 (en) * 2019-09-16 2021-04-28 주식회사 비 에스 지 Muscle assisting garment
KR102257789B1 (en) * 2020-12-29 2021-05-28 하범준 Splint capable of fracture body traction
KR20210033448A (en) * 2021-03-15 2021-03-26 주식회사 비 에스 지 Muscle assisting garment
KR20210033449A (en) * 2021-03-15 2021-03-26 주식회사 비 에스 지 Muscle assisting garment
KR102245254B1 (en) 2021-03-15 2021-04-27 주식회사 비 에스 지 Muscle assisting garment
KR102245253B1 (en) 2021-03-15 2021-04-27 주식회사 비 에스 지 Muscle assisting gar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630Y1 (en) Assistance device for joint support
US11865024B2 (en) Support brace
KR101064031B1 (en) Body correction pants
KR101290174B1 (en) Wearable robot to assist muscular strength
KR101363834B1 (en) Assistance apparatus for movement of ankle joint
CN211188112U (en) Wearable rehabilitation type lower limb exoskeleton robot
JP2007097636A (en) Muscular strength assisting apparatus
KR20190118564A (en) Connecting device for exoskeleton structures that allows carrying loads while walking or running
CN109664272B (en) Novel wearable walking-assisting robot mechanism device
KR102071611B1 (en) Auxiliary apparatus for assisting muscular strength of ankle
JP4472577B2 (en) spats
KR200395879Y1 (en) The clothes band for the walking campus and a muscular power reinforcement
JP6722344B2 (en) Exoskeleton structure to assist the user
JP2021020072A (en) Exoskeleton sub-assembly and exoskeleton structure including such a sub-assembly
JP4481934B2 (en) Supporter
KR102292983B1 (en) Lower extremity exoskeleton robotic device
KR102633470B1 (en) Wearable Assistance Device
JP7377290B2 (en) Compact devices designed to be placed in close proximity to joints and general systems comprising such compact devices
WO2019044980A1 (en) Walking support device
JP5145434B2 (en) Support wear
JP2007113147A (en) Support wear
JP2018079130A (en) Walking aid device
KR200351861Y1 (en) The Lower part of the body Sports Elastic force Band of Ordinary Worn Possible
KR20130045875A (en) Wearable robot to assist muscular strength
KR100555005B1 (en) Ankle Device of Orthosis Ortho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