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490Y1 - 석재앙카 - Google Patents

석재앙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490Y1
KR200489490Y1 KR2020180005280U KR20180005280U KR200489490Y1 KR 200489490 Y1 KR200489490 Y1 KR 200489490Y1 KR 2020180005280 U KR2020180005280 U KR 2020180005280U KR 20180005280 U KR20180005280 U KR 20180005280U KR 200489490 Y1 KR200489490 Y1 KR 2004894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horizontal
anchor
heigh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2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복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운형
장복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운형, 장복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운형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4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4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04F13/085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adjustable in several directions, one of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석재앙카에 관한 것으로, 여건에 따라 벽체와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벽체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온도변화에 따라 석재가 신축될 시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석재앙카는, 벽체에 고정되고, 전측에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상부보강부재가 형성된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의 끝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며 상면에 상기 상부보강부재와 대각선상에 위치되면서 이격배치는 하부보강부재가 형성된 수평부재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수평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보강부재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재가 형성되고, 석재의 상면 또는 저면에 접촉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석재앙카{STON ANCHOR}
본 고안은 석재앙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석재와 같은 각종 외장재를 건축물의 외벽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외장재의 하중에 의해 처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높낮이 조절 및 벽체와 석재 간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있는 석재앙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재앙카는 콘크리트 등의 벽체에 대리석재나 외장재를 부착 설치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석재앙카의 구성을 살펴보면 셋트 앙카 및 볼트를 사용하고 있고, 여기에 앵글판과 조정판을 연계하여 벽체에 부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앙카 볼트에 앵글판을 연결하고, 상기 앵글판에 조정판을 연결하며, 동시에 상기 조정판의 지지물 부착 일반적으로, 길이조절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석재앙카는 콘크리트 등의 벽체에 대리석재나 외장재를 부착 설치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길이조절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석재앙카의 구성을 살펴보면 셋트 앙카 및 볼트를 사용하고 있고, 여기에 앵글판과 조정판을 연계하여 벽체에 부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앙카 볼트에 앵글판을 연결하고, 상기 앵글판에 조정판을 연결하며, 동시에 상기 조정판의 지지물 부착 부위에 대한 치수의 오차를 신축적으로 조정하고 볼트, 너트로 결합, 고정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상과 같이, 벽체에 외장재를 부착함에 있어, 고정과 조정 기능을 위해 앙카볼트를 벽체에 고정하고, 여기에 조정판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앵글판을 연결 매개체로 사용하고 있는바, 연결 부재의 가지 수가 많고, 따라서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부품구입 비용이 많아져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하나의 대리석재나 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해 여러 개의 길이조절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석재앙카를 사용한다.
따라서, 벽체에는 길이조절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석재앙카를 설치하기 위한 앙카홀을 여러 개 천공해야 한다.
이때, 앙카홀의 높이가 모두 동일해야만 길이조절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석재앙카들이 대리석재나 외장재를 수평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작업자가 줄자를 이용하여 앙카공들의 높이를 일치시켜야 함으로, 대리석재나 외장재를 설치하기 위한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앙카공들의 높이가 상이할 경우에는 앙카공에 설치된 길이조절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석재앙카를 분리한 다음, 다시 앙카공을 천공한 후, 다시 길이조절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석재앙카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석재앙카는 온도가 높아 석재가 팽창되더라도 유동되지 않고 석재를 지지하기 때문에 석재 중 석재앙카와 접촉되는 면에 무리가 가게 되어 균열, 파손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84263호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여건에 따라 벽체와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벽체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석재앙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온도변화에 따라 석재가 신축될 시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벽체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석재앙카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석재앙카는, 벽체에 고정되고, 전측에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상부보강부재가 형성된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의 끝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며 상면에 상기 상부보강부재와 대각선상에 위치되면서 이격배치는 하부보강부재가 형성된 수평부재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수평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보강부재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재가 형성되고, 석재의 상면 또는 저면에 접촉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재의 후면 수직방향을 따라서는 벽체에 접촉되는 다수개의 톱니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보강부재와 하부보강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코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킹부는 그 폭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는,
평평한 바에 서로 이격되는 상부보강부재와 하부보강부재를 프레싱으로 형성한 다음, 상기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형성되도록 상기 바를 'ㄴ'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완성되고,
상기 코킹부는 상기 상부보강부재와 하부보강부재의 사이에 프레싱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부보강부재는 상기 코킹부와 접하는 후단에서 전단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후단에서 전단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하부보강부재에 안착되어, 상기 지지부가 수평부재 상에서 시소 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재에는 상기 상부보강부재의 사이에 위치되는 높낮이 조절홀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재에는 상기 하부보강부재의 사이에 위치되는 위치조절홀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수평부재의 위치조절홀 상부에 위치되는 위치조절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를 수평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직부재에 접촉되며, 일부분이 베이스부의 위치조절홀 및 지지부의 위치조절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체결부재, 돌출된 체결부의 장착되며 상기 지지부에 접촉되는 접촉부재, 상기 체결부재에 체결되면서 접촉부재를 가압하여 지지부에 밀착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에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에 관통설치되며, 상,하측이 석재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석재앙카는, 벽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석재를 고정시키는 지지부의 간소화 된 구성 및 구조만으로 석재와 같은 각종 외장재를 건축물의 벽체에 처짐 없이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외장재를 설치하기 위한 시간 및 비용 등을 종래에 비해 현저히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석재앙카는, 벽체에 수평 방향으로 천공된 앙카공들의 높낮이가 상이하여 서로 간의 높낮이도 서로 상이할 경우, 이미 벽체에 설치되어 있는 석재앙카를 분리한 다음, 새로운 앙카공을 천공 한 후 재설치 하는 것이 아니라, 베이스부만 간편하게 상승 또는 하강시켜 서로간의 높낮이를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석재를 완벽한 수평을 이루도록 벽체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석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켜 벽체와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석재의 두께나 현장여건 등에 따라, 지지부의 위치를 용이하고 간편하게 조절한 다음 석재를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석재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베이스에서 석재에 의해 시소운동 할 수 있어, 석재의 신축 작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석재의 품질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벽체에 설치되는 베이스가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정착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석재앙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석재앙카에 적용된 코킹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석재앙카에 적용된 베이스부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석재앙카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석재앙카에 적용된 지지부의 작동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석재앙카에 적용된 지지부가 시소운동을 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석재앙카에 적용된 지지부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석재앙카가 벽체에서 승강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휴대폰 결합용 도촬 카메라 탐지도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석재앙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석재앙카에 적용된 코킹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석재앙카에 적용된 베이스부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석재앙카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석재앙카에 적용된 지지부의 작동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석재앙카에 적용된 지지부가 시소운동을 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석재앙카에 적용된 지지부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석재앙카가 벽체에서 승강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종래에 비해 간소화 된 구성 및 구조로도 건축물의 벽체에 석재(70)와 같은 외장재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벽체(W)와 석재(70)간의 간격을 수월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벽체(W)에 고정된 상태에서 높낮이 조절을 수월하게 할 수 있고, 석재의 신축 작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석재앙카(1)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석재앙카(1)는 벽체(W)에 고정되는 베이스부(10), 베이스부(10)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20), 베이스부(10)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코킹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0)는 석재(70)를 벽체(W) 상에 고정할 때 기초를 담당하는 구성으로써, 수직부재(11), 수평부재(1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재(11)는 일정한 두께와 길이를 갖는 다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략 중앙부분에 앙카볼트(40) 및 앙카너트(50)로 구성되는 공지의 앙카셋트가 설치되는 높낮이 조절홀(11a)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벽체(W)에 앙카공을 형성한 다음, 수직부재(11)의 높낮이 조절홀(11a)이 앙카공과 수평을 이루도록 수직부재(11)를 벽체(W)에 접촉시킨 후, 앙카볼트(40)가 높낮이 조절홀(11a)을 관통하여 앙카공에 삽입되도록 한 다음, 수직부재(11)의 외부로 돌출된 앙카볼트(40)에 와샤(60) 및 앙카너트(50)를 체결하여 수직부재(11)를 벽체(W)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높낮이 조절홀(11a)은 수직부재(11)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됨으로, 앙카볼트(40)에 체결된 앙카너트(50)를 풀어 느슨하게 하면 베이스부(10)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재의 전측에는 상기 높낮이 조절홀(11a)의 양측에 위치되는 상부보강부재(111)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보강부재(111)는 일종의 보강립의 기능을 수행하여 수직부재(11)의 강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상부보강부재(111)는 프레스기로 수직부재(11)의 후면을 프레싱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수직부재(11)와 별도로 제작 후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수직부재(11)의 후면 양측에는 벽체(W)에 접촉되는 다수개의 톱니부(112)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벽체는 시멘트나 콘크리트로 제작되는데, 이러한 벽체에는 다수개의 산부와 골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톱니부(112)는 벽체(W)의 골부에 삽입되고, 톱니부(112) 들의 사이 공간에는 벽체(W)의 산부가 삽입됨으로, 수직부재(11)가 벽체(W)에서 상,하, 좌, 우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정착되도록 할 수 있다.
수평부재(12)는 수직부재(11)의 하단에서 직각방향으로 절곡된다.
따라서, 수직부재(11)와 수평부재(12)의 조합된 형상은 "ㄴ"자 형상이 될 수 있으며, 수직부재(11)를 벽체(W)에 고정하면 수평부재(12)가 벽체(W)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재(12)의 상면 양측에는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하부보강부재(121)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하부보강부재(121)는 상부보강부재(111)와 대각선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코킹부(80)를 통해 연결되는 형태가 된다.
하부보강부재(121)는 일종의 보강립의 기능을 수행하여 수평부재(12)의 강성을 향상시킨다.
아울러, 하부보강부재(121)는 후술되는 지지부(20)가 이탈되지 않고 직진 이동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하부보강부재(121)는 프레스기로 수평부재(12)의 저면을 프레스기로 프레싱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수평부재(12)와 별도로 제작 후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수평부재(12)의 중앙부분에는 하부보강부재(121)의 사이에 위치되는 위치조절홀(12a)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위치조절홀(12a)은 지지부(20)를 수평부재(12)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추후 고정부(30)에 대해 설명 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때, 베이스부(10)는 후술되는 코킹부(80)를 베이스부(10)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평평한 직사각형 형상의 바를 프레싱하여 서로 이격되는 상부보강부재(111)와 하부보강부재(121)를 먼저 형성한 다음, 수직부재(11)와 수평부재(12)가 형성되도록, 바를 프레싱함으로써 완성될 수 있다.
지지부(20)는 수평부재(12)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석재(70)를 지지하는 것으로, 벽체(W)에 설치되는 높이에 따라 석재(7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촉되어, 석재(70)를 지지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의 양측에는 하부보강부재(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슬라이딩부재(21)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슬라이딩부재(21)는 지지부(20)의 저면을 프레싱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지지부(20)와 별도로 제작 후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부재(21)에는 대략 곡선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하부보강부재(121)의 상면과 양측면을 감싼 상태에서 벽체(W)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21)는 일종의 보강립의 기능을 수행하여 지지부(20)의 강성을 향상시킨다.
본 고안은 상부보강부재(111), 하부보강부재(121) 및 슬라이딩부재(21)로 인해 베이스부(10)와 지지부(20)가 석재(70)의 하중에 의해 뒤틀리거나 하부로 처지는 현상이 억제되도록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석재(70)가 접촉되는 지지부(20)의 선단 중앙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납작한 형태의 고정홀(20b)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20b)에는 지지부(20)의 석재(7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90)이 관통설치된다.
구체적으로, 고정핀(90)은 고정홀(20b)과 대응되게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홀(20b)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고정핀(90)은 대략 중앙부분이 고정홀(20b)에 고정되어, 지지부(20)의 상,하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고정핀(90)의 돌출된 부분은 각각 지지부(20)의 상면에 안착되는 석재(70)의 저면에 형성된 홈(70a) 및 지지부(20)의 저면에 접촉되는 석재(70)의 상면에 형성된 홈(70a)에 삽입 및 고정되어 석재(70)가 벽체(W)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나아가, 하부보강부재(121)는 후술되는 코킹부(80)와 접하는 후단에서 전단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되고, 슬라이딩부재(21)는 후단에서 전단으로 점진적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보강부재(121)와 슬라이딩부재(21)는 동일한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보강부재(121)는 슬라이딩부재(21)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지지부(20)는 수평부재(12)의 상면과 소정간격 이격된다.
따라서, 지지부(20)는 전측이 수평부재(12)의 전측에 이격 또는 접촉될 수 있다.
즉, 지지부(20)는 슬라이딩부재(21)의 상측에서 시소운동 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지지부(20)는 계절이나 온도에 따라 신축되는 석재(70)에 대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여름과 같이 온도가 높아 석재(70)가 팽창될 경우 지지부(20)의 전측이 상면에 안착된 석재(70)에 의해 하 방향으로 눌려져 수평부재(12)의 전측에 접촉된다.
물론, 지지부(20)의 전측이 수평부재(12)의 전측에 접촉되면 지지부(20)의 후측은 상승되어 슬라이딩부재(21)가 하부보강부재(121)와 이격된다.
이때, 지지부(20)는 하강되는 길이, 구간보다 상승되는 길이, 구간이 길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겨울과 같이 온도가 낮아 석재(70)가 수축될 경우에는 지지부(20)의 전측에 가해지고 있던 석재(70)의 가압력이 일부 소멸됨으로, 지지부(20)의 후측이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하강되어 슬라이딩부재(21)가 하부보강부재(121)에 다시 접촉되고, 전측은 상승되어 수평부재(12)와 이격되면서 석재(70)의 저면과 접촉된다.
즉, 종래의 석재앙카는 온도가 높아 석재가 팽창되더라도 유동되지 않고 석재를 지지하기 때문에 석재 중 석재앙카와 접촉되는 면에 무리가 가게 되어 균열, 파손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에 따른 석재앙카는 온도가 높아 석재(70)가 팽창될 시 지지부(20)가 대응하여 하강됨으로 석재(70)에 균열, 파손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석재(70)가 일정한 품질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석재(70)는 약 3mm 내지 10mm 정도 신축됨으로, 하부보강부재(121)는 지지부(20)가 수평부재(12)와 약 3mm 내지 10mm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코킹부(80)는 상부보강부재(111)와 하부보강부재(121)의 사이에 위치되고, 수직부재(11)의 하단 및 이와 접하는 수평부재(12)의 끝단에 결합된다.
나아가, 코킹부(80)는 그 폭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되며, 이로 인해 양 옆에 경사면이 형성된다.
코킹부(80)는 수직부재(11)와 수평부재(12)가 접하는 부분에 결합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그 폭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되어 단면이 두꺼워짐으로, 매우 뛰어나게 수직부재(11) 및 수평부재(12)의 강성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수직부재(11) 또는 수평부재(12)가 휘어지거나 부러지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석재앙카의 구조적 안정성과 사용상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더불어 제품의 신뢰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코킹부(80)는 베이스(10)와 함께 제작되기 어려움으로 베이스부(10)와 별도로 제작된 후 상부보강부재(111)와 하부보강부재(121)의 사이에 프레싱,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지지부(20)의 중앙부분에는 슬라이딩부재(21)의 사이에 위치되며 수평부재(12)의 위치조절홀(12a)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조절홀(20a)이 형성되고, 지지부(20)와 수평부재(12)의 위치조절홀(20a,12a)에는 지지부(20)를 수평부재(12)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30)가 설치된다.
고정부(30)는 체결부재(31), 접촉부재(32), 가압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31)는 공지의 볼트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31)의 헤드(311)는 수평부재(12)의 저면에 접촉되고,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몸체(312)는 수평부재(12)의 위치조절홀(12a) 및 지지부(20)의 위치조절홀(20a)을 관통하여 지지부(20)의 상부로 돌출된다.
접촉부재(32)는 공지의 와샤(60)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재(32)는 지지부(20)의 상부로 돌출된 몸체(312)의 외주연에 장착되며, 슬라이딩부재(21)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지지부(20)의 상면에 접촉된다.
가압부재(33)는 몸체(312)에 체결될 수 있도록 공지의 너트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33)는 지지부(20)의 상부로 돌출된 몸체(312)에 체결되면서 접촉부재(32)를 가압하여 지지부(20)의 상면에 밀착고정시켜 지지부(20)를 수평부재(12)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석재앙카를 통해 건축물에 석재를 고정하는 방법 및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유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석재(70)를 건축물의 벽체(W)에 설치하기 위해, 드릴 등의 장치로 벽체(W)를 천공하여 앙카공을 형성한 다음, 베이스부(10)의 수직부재(11)를 벽체(W)에 밀착시킨 후, 고정수단이 높낮이 조절홀(11a)을 통과하여 앙카공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베이스부(10)를 벽체(W)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계속해서, 수평부재(12)의 상면에 지지부(20)를 안착한다.
이때, 지지부(20)는 슬라이딩부재(21)가 하부보강부재(121)의 상면과 측면을 감싸게 되며, 지지부(20)의 높낮이 조절홀(11a)과 수평부재(12)의 높낮이 조절홀(11a)은 수직선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지지부(20)는 수평부재(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되면서 벽체(W)와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지지부(20)와 벽체(W)의 간격을 조절한 다음에는 고정부(30)로 지지부(20)를 수평부재(12)에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체결부재(31)의 몸체(312)가 수평부재(12)의 위치조절홀(12a)과 지지부(20)의 위치조절홀(20a)을 관통하여 지지부(2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한 다음, 지지부(20)의 상부로 돌출된 몸체(312)의 외주연에 접촉부재(32)를 장착 한 후, 지지부(20)의 상부로 돌출된 몸체(312)에 가압부재(33)를 체결하여 접촉부재(32)를 지지부(20)의 상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지지부(20)를 수평부재(12)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지지부(20)는 슬라이딩부재(21)가 하부보강부재(121)의 상면과 측면을 감싸기 때문에 수평부재(12)를 손으로 고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체결부재(31)에 가압부재(33)를 체결하더라도, 지지부(20)가 수평부재(12)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과 능률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석재앙카(1)는 석재(70)의 크기나 무게에 따라 다수개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바, 수평선상에 위치된 지지부(20)들 간의 돌출길이, 위치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아니할 경우에는 일치하지 아니한 지지부(20)를 고정하고 있는 가압부재(33)의 체결상태를 느슨하게 한 다음, 해당 지지부(20)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다른 지지부(20)들과 정확한 수평을 이루도록 한 후, 다시 체결부재(31)를 몸체(312)에 체결하여 고정시키면 된다.
아울러, 지지부(20)를 수평부재(12) 상에서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 벽체(W)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가 조절됨으로, 작업자는 석재(70)의 두께나 현장여건 등에 따라 지지부(20)와 벽체(W) 간의 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면 된다.
나아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는 앙카볼트(40)를 기준으로 상승 또는 하강되어 그 높낮이가 조절되는 바, 벽체(W)에 수평 방향으로 천공된 앙카공의 높낮이가 상이하여 길이조절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석재앙카(1)들의 높이도 서로 상이할 경우, 상이한 길이조절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석재앙카(1)의 앙카볼트(40)에 체결된 앙카너트(50)의 체결상태를 느슨하게 한 다음, 베이스부(10)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모든 베이스부(10) 및 지지부(20)들이 정확한 수평을 이루도록 하면 된다.
이후, 고정핀(90)의 중앙부분을 고정홀(20b)에 고정시킨 다음, 지지부(20)의 상면에 석재(70)를 안착하되, 석재(70)의 하면에 형성된 홈(70a)에 고정키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석재(7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즉, 벽체(W)에 수평 방향으로 천공된 앙카공들의 높낮이가 서로 상이하여 지지부(20)들 간의 높낮이도 서로 상이할 경우, 이미 벽체(W)에 설치되어 있는 길이조절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석재앙카(1)를 분리한 다음, 새로운 앙카공을 천공 한 후, 길이조절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석재앙카(1)를 재설치 하는 것이 아니라 베이스부(10)만 간편하게 상승 또는 하강시켜 모든 지지부(20)들의 높낮이를 동일하게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석재(70)가 완벽한 수평을 이루도록 벽체(W)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석재앙카(1)에 안착 및 고정된 석재(60)의 상부측에 전술한 방식으로 새로운 석재앙카(1)를 설치하여, 석재(70)의 상측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면 된다.
구체적으로, 도 8과 같이 석재(70)의 상측에 위치된 다른 지지부(20)의 저면이 적재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하면서 해당 지지부(20)에 고정된 고정핀(90)을 석재(70)의 상면에 형성된 홈(70a)에 삽입하여 고정하면 된다.
즉, 하나의 석재(70)가 상,하부에 위치된 한 쌍의 석재앙카(1)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건축물의 벽체(W)에 다수개의 석재앙카(1)를 수직, 수평방향으로 설치하여 석재(70)를 다단으로 설치하면 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베이스부 11 : 수직부재
111 : 상부보강부재 112 : 톱니부
11a : 높낮이 조절홀 12 : 수평부재
12a, 20a : 위치조절홀 121 : 하부보강부재
20 : 지지부 20b : 고정홀
21 : 슬라이딩부재 30 : 고정부
31 : 체결부재 311 : 헤드
312 : 몸체 32 : 접촉부재
33 : 가압부재 40 : 앙카볼트
50 : 앙카너트 60 : 와샤
70 : 석재 70a : 홈
80 : 코킹부

Claims (8)

  1. 벽체에 고정되고, 전측에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상부보강부재가 형성된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의 끝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며 상면에 상기 상부보강부재와 대각선상에 위치되면서 이격배치는 하부보강부재가 형성된 수평부재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수평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보강부재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재가 형성되고, 석재의 상면 또는 저면에 접촉되는 지지부,
    상기 상부보강부재와 하부보강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코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킹부는 그 폭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보강부재는 상기 코킹부와 접하는 후단에서 전단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후단에서 전단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보강부재는 슬라이딩부재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는 수평부재의 상면과 이격되되, 상기 하부보강부재는 지지부가 수평부재와 3mm 내지 10mm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하부보강부재에 안착되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석재가 신축될 시 수평부재 상에서 시소운동되고,
    상기 수직부재에는 상기 상부보강부재의 사이에 위치되는 높낮이 조절홀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재에는 상기 하부보강부재의 사이에 위치되는 위치조절홀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수평부재의 위치조절홀 상부에 위치되는 위치조절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를 수평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직부재에 접촉되며, 일부분이 베이스부의 위치조절홀 및 지지부의 위치조절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체결부재,
    돌출된 체결부의 장착되며 상기 지지부에 접촉되는 접촉부재,
    상기 체결부재에 체결되면서 접촉부재를 가압하여 지지부에 밀착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석재앙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의 후면 수직방향을 따라서는 벽체에 접촉되는 다수개의 톱니부가 형성된 석재앙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평평한 바에 서로 이격되는 상부보강부재와 하부보강부재를 프레싱으로 형성한 다음, 상기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형성되도록 상기 바를 'ㄴ'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완성되고,
    상기 코킹부는 상기 상부보강부재와 하부보강부재의 사이에 프레싱으로 결합되는 석재앙카.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에 관통설치되며, 상,하측이 석재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석재앙카.








KR2020180005280U 2018-10-31 2018-11-16 석재앙카 KR20048949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941 2018-10-31
KR20180004941 2018-10-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490Y1 true KR200489490Y1 (ko) 2019-06-26

Family

ID=67002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280U KR200489490Y1 (ko) 2018-10-31 2018-11-16 석재앙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49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426Y1 (ko) * 1998-12-22 2001-03-02 이재업 석재 벽판 지지용 앵글
KR101540244B1 (ko) * 2015-06-17 2015-07-29 (주)종합건축사사무소환경건축 공동주택용 마감석재 지지장치
KR101784263B1 (ko) 2017-07-04 2017-11-06 주식회사 티케이비 건축용 석재고정 앙카 지지구
KR101808144B1 (ko) * 2017-07-26 2017-12-12 (주)천일건축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426Y1 (ko) * 1998-12-22 2001-03-02 이재업 석재 벽판 지지용 앵글
KR101540244B1 (ko) * 2015-06-17 2015-07-29 (주)종합건축사사무소환경건축 공동주택용 마감석재 지지장치
KR101784263B1 (ko) 2017-07-04 2017-11-06 주식회사 티케이비 건축용 석재고정 앙카 지지구
KR101808144B1 (ko) * 2017-07-26 2017-12-12 (주)천일건축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5238B1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KR101691947B1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축 외장재 고정방법
KR20090119504A (ko) 버팀부재 지지용 스크류잭
KR200414098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420004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2071129B1 (ko) 유리칸막이
JP5639165B2 (ja) 床形状構造
KR200489490Y1 (ko) 석재앙카
KR101779819B1 (ko) 높낮이 조절식 트렌치
KR200482121Y1 (ko) 건축용 석재패널 고정 브라켓
KR102198889B1 (ko) 가변형 보 거푸집
KR102010280B1 (ko) 석재앙카
KR102156384B1 (ko) 무용접 조립식 앙카베이스 시스템
WO2019128292A1 (zh) 墙面组件及墙面安装方法
KR20200025634A (ko) 건축물 외장패널 고정장치
JP4636938B2 (ja) タイル貼り壁構造
CN115369755A (zh) 一种桥梁伸缩装置及其安装方法
RU2335607C2 (ru) Металлическое крепление для внешнестеновой конструкции и внешнестеновая конструкция
KR101953208B1 (ko) 하이브리드 석재앙카
KR101984706B1 (ko) 멀티 석재앙카
KR101953198B1 (ko) 석재 고정장치
KR200460529Y1 (ko) 벽타일용 고정조절 장치
KR100672071B1 (ko) 오픈조인트공법용 석재판넬 고정장치
KR20120003259U (ko) 거푸집용 보강파이프 고정구
KR200213257Y1 (ko) 거푸집 설치용 각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