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457Y1 -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 - Google Patents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457Y1
KR200489457Y1 KR2020180005475U KR20180005475U KR200489457Y1 KR 200489457 Y1 KR200489457 Y1 KR 200489457Y1 KR 2020180005475 U KR2020180005475 U KR 2020180005475U KR 20180005475 U KR20180005475 U KR 20180005475U KR 200489457 Y1 KR200489457 Y1 KR 2004894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connection portion
water flow
connection
portion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4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권능정밀
박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권능정밀, 박현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권능정밀
Priority to KR20201800054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4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4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4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2Hand-pie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이 개시된다. 개시되는 상기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이 세정수가 공급되는 수도 꼭지 또는 샤워기에 연결되고, 상기 수도 꼭지 또는 상기 샤워기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세정수로 구강을 세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 부재와 상기 세정수 유동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직수로 상기 치아의 구석진 곳의 세정 및 상기 잇몸의 마사지를 할 수 있으면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청소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Orthopedic oral cleaning unit}
본 고안은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음식이 단지 영양분을 섭취하는 것이 아니라 음식을 먹는 것과 함께 어떤 종류의 음식을 먹는 것도 중요하게 되면서 식습관이 변화하게 되었다. 이러한 식습관의 변화로 인해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섭취하게 됨으로 인해 충치와 잇몸 질환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예전에 비해 더 많아짐은 물론, 충치와 잇몸 질환이 발생되는 연령이 점진적으로 낮아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어린이들도 초코렛과 젤리 등 단 종류의 음식물에 노출이 많이 됨으로써 치실 사용, 양치질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어린이들이 매번 치질을 사용하고 양치질을 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기에 어린이들의 충치 발생 비율이 증가되고 있고, 어린 나이에 충치가 발생됨으로 인해 잇몸까지 약해지면서 영구치도 고정되지 못하고 흔들리는 문제가 순차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함과 함께 잇몸을 강화시킬 수 있는 구강 세정기가 발명되었고, 이러한 구강 세정기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것들이다.
그러나,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을 포함한 종래의 구강 세정기에 의하면, 수도 꼭지 또는 샤워기에 적용 시 그 구성이 복잡하여 내부 청소가 어렵고, 그에 따라 내부에 물때 등의 이물질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실생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 10-0696069 호, 등록일자 : 2007.03.10., 발명의 명칭 : 샤워헤드 겸용 워터픽 공개특허 제 특 2003-0026536 호, 공개일자 : 2003.04.03., 발명의 명칭 : 치과용 치사 세정수 공급장치
본 고안은 수도 꼭지 또는 샤워기에 설치되어 직수로 치아의 구석진 곳의 세정 및 잇몸 마사지를 할 수 있으면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청소도 용이한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은 세정수가 공급되는 수도 꼭지 또는 샤워기에 연결되고, 상기 수도 꼭지 또는 상기 샤워기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세정수로 구강을 세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도 꼭지 또는 상기 샤워기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수도 꼭지 또는 상기 샤워기에서 공급된 상기 세정수를 상기 구강까지 유동시키는 세정수 유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수도 꼭지 또는 상기 샤워기의 내부와 연결되는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1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세정수 유동 부재를 상기 제 1 연결부에 연결시키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부는 일정 길이의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그 외측에 상기 수도 꼭지 또는 상기 샤워기와 연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제 1 연결부측 몸체와, 상기 제 1 연결부측 몸체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 1 연결부측 연통 홀과, 상기 제 1 연결부측 몸체 중 상기 수도 꼭지 또는 상기 샤워기가 연결되는 면과 반대 방향의 면에서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되는 제 1 연결부측 삽입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1 연결부측 삽입 홈이 형성된 상기 제 1 연결부의 상면을 덮는 제 2 연결부측 몸체와, 상기 제 2 연결부측 몸체에서 상기 제 1 연결부측 몸체 쪽으로 굽혀지면서 연장되어 상기 제 1 연결부측 몸체의 외측 일부와 밀착되는 제 2 연결부측 밀착체와, 상기 제 2 연결부측 몸체의 면 중 상기 제 2 연결측 밀착체가 굽혀진 방향의 면에서 일정 길이 돌출되되, 상기 제 1 연결부측 삽입 홈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 2 연결부측 돌기와, 상기 제 1 연결부측 연통 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 2 연결부측 몸체의 중앙부에서 관통 형태로 형성되는 제 2 연결부측 연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세정수 유동 부재는 그 내부가 빈 상태로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된 세정수 유동 몸체와,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에서 관통되고,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 내로 유동된 상기 세정수를 상기 구강으로 배출시키는 세정수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세정수 유동 부재가 상기 제 2 연결부를 관통한 다음 상기 제 1 연결부에 상기 세정수 유동 부재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상기 세정수 유동 부재와 상기 제 1 연결부가 연결되고, 상기 세정수 유동 부재가 상기 제 1 연결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연결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 2 연결부측 돌기가 상기 제 1 연결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 1 연결부측 삽입 홈에 삽입됨과 함께 상기 제 2 연결부측 밀착체가 상기 제 1 연결부측 몸체의 외측 일부와 밀착되어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와, 상기 세정수 유동 부재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에 의하면, 상기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이 세정수가 공급되는 수도 꼭지 또는 샤워기에 연결되고, 상기 수도 꼭지 또는 상기 샤워기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세정수로 구강을 세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 부재와 상기 세정수 유동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직수로 상기 치아의 구석진 곳의 세정 및 상기 잇몸의 마사지를 할 수 있으면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청소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이 수도 꼭지에 연결된 모습을 보이는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의 모습을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을 구성하는 연결 부재 및 세정수 유동 부재의 모습을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을 구성하는 연결 부재에 적용된 제 1 연결부의 모습을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을 구성하는 연결 부재에 적용된 제 2 연결부의 모습을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을 구성하는 연결 부재 및 세정수 유동 부재가 분해된 모습을 정면에서 바라본 분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을 구성하는 연결 부재 및 세정수 유동 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정면에서 바라본 분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을 구성하는 연결 부재 및 세정수 유동 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정면에서 바라본 분해도.
도 9는 도 8의 세정수 유동 부재에 적용된 압력 조절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10은 도 9의 압력 조절부에 적용된 탄성 변형 수단의 형상이 수압에 의해 변형된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정수 유동 부재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이 수도 꼭지에 연결된 모습을 보이는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의 모습을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을 구성하는 연결 부재 및 세정수 유동 부재의 모습을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을 구성하는 연결 부재에 적용된 제 1 연결부의 모습을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을 구성하는 연결 부재에 적용된 제 2 연결부의 모습을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을 구성하는 연결 부재 및 세정수 유동 부재가 분해된 모습을 정면에서 바라본 분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을 구성하는 연결 부재 및 세정수 유동 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정면에서 바라본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100)은 세정수가 공급되는 수도 꼭지(10) 또는 샤워기에 연결되고, 상기 수도 꼭지(10) 또는 상기 샤워기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세정수로 구강을 세정하는 것으로서, 연결 부재(120)와, 세정수 유동 부재(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100)은 수압 조절 부재(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100)은 세균 발생이 방지되도록 스테인레스 재질에 크롬 등이 도금되어 이루어진다.
도면 번호 20은 상기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100)과 상기 수도 꼭지(10) 사이를 연결시키는 연결 호스이다.
상기 수압 조절 부재(110)는 상기 수도 꼭지(10) 또는 상기 샤워기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세정수의 수압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상세히, 상기 수압 조절 부재(110)는 상기 수도 꼭지(10) 또는 상기 샤워기 또는 본 실시에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 호스(2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수도 꼭지(10) 또는 상기 샤워기에서 공급되는 상기 세정수의 수압이 일차적으로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세정수의 공급 도중 세정이 필요한 사용자의 치아 또는 잇몸에서 상대적으로 약한 곳을 세정하는 등 상기 세정수의 일시적인 수압 조절이 필요할 경우에 상기 수압 조절 부재(110)를 이용하여 상기 세정수의 수압을 이차적으로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수압 조절 부재(110)는 그 내부에 관통된 홀이 형성된 수압 조절측 몸체(111)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외력에 의해 일정 각도 회전되면서 상기 수압 조절측 몸체(111) 내부에 관통된 홀의 단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수압 조절측 몸체(111) 내부에 관통된 홀에서 유동되는 상기 세정수의 수압을 조절하는 수압 조절체(112)를 포함한다.
상기 수압 조절 부재(110)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수압을 조절하는 수압 조절 밸브와 동일하므로, 상기 수압 조절 부재(110)의 상세 구조에 대한 설명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274328호(등록일자 : 2002.04.22., 발명의 명칭 : 수압조절 배출장치)에 기재된 수압조절 배출장치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상기 연결 부재(120)는 상기 수도 꼭지(10) 또는 상기 샤워기에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120)는 상기 수도 꼭지(10) 또는 상기 샤워기에 상기 연결 호스(2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호스(2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연결 부재(120)는 그 내부가 상기 수도 꼭지(10) 또는 상기 샤워기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수도 꼭지(10) 또는 상기 샤워기의 내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세정수를 세정이 필요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구강까지 전달시키는 것으로 제 1 연결부(121)와, 제 2 연결부(131)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연결부(121)는 상기 수도 꼭지(10) 또는 상기 샤워기의 내부와 연결되는 것으로, 제 1 연결부측 몸체(122)와, 제 1 연결부측 연통 홀(125)과, 제 1 연결부측 삽입 홈(124)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연결부측 몸체(122)는 일정 길이의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그 외측에 상기 수도 꼭지(10) 또는 상기 샤워기와 연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나사산은 상기 수도 꼭지(10) 또는 상기 샤워기의 나사산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 연결부측 연통 홀(125)은 상기 제 1 연결부측 몸체(122)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는 것으로, 상기 세정수가 유동되는 유동로이다.
상기 제 1 연결부측 삽입 홈(124)은 상기 제 1 연결부측 몸체(122) 중 상기 수도 꼭지(10) 또는 상기 샤워기가 연결되는 면과 반대 방향 즉, 상기 연결 부재(120)가 연결되는 면에서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되는 것이고, 후술되는 제 2 연결부측 돌기(134)가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연결부(131)는 상기 제 1 연결부(121)에 연결되어 상기 세정수 유동 부재(140)를 상기 제 1 연결부(121)에 연결시키는 것으로, 제 2 연결부측 몸체(132)와, 제 2 연결부측 밀착체(133)와, 상기 제 2 연결부측 돌기(134)와, 제 2 연결부측 연통 홀(135)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연결부측 몸체(132)는 상기 제 1 연결부(121)를 상면, 즉 상기 제 1 연결부측 삽입 홈(124)이 형성된 상면을 덮는 것이다.
상기 제 2 연결부측 밀착체(133)는 상기 제 2 연결부측 몸체(132)에서 상기 제 1 연결부측 몸체(122) 쪽으로 굽혀지면서 연장되어 상기 제 1 연결부측 몸체(122)의 외측 일부와 밀착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연결부측 돌기(134)는 상기 제 2 연결부측 몸체(132)의 면 중 상기 제 2 연결측 밀착체가 굽혀진 방향의 면에서 일정 길이 돌출되되, 상기 제 1 연결부측 삽입 홈(124)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연결부측 연통 홀(135)은 상기 제 1 연결부측 연통 홀(125)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 2 연결부측 몸체(132)의 중앙부에서 관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제 1 연결부측 연통 홀(125)과 상기 제 2 연결부측 연통 홀(135)이 연통됨으로써 상기 세정수가 상기 제 1 연결부측 연통 홀(125)을 경유하여 상기 제 2 연결부측 연통 홀(135)까지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세정수 유동 부재(140)는 상기 연결 부재(120)와 연결되고, 상기 수도 꼭지(10) 또는 상기 샤워기에서 공급된 상기 세정수를 상기 구강까지 유동시키는 것으로, 세정수 유동 몸체(141)와 세정수 노즐(14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세정수 유동 부재(140)는 마개(14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141)는 양 끝 말단이 개방되면서 그 내부가 빈 상태로 일정 길이 길게 관 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부는 상기 제 1 연결부측 연통 홀(125) 및 상기 제 2 연결부측 연통 홀(135)과 연통되어 상기 세정수가 상기 구강까지 유동되도록 한다.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141)의 일부가 상기 제 1 연결부측 연통 홀(125) 및 상기 제 2 연결부측 연통 홀(135)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도록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141)의 외경은 상기 제 2 연결부측 연통 홀(135)의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마개(143)는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141)의 말단부 중 상기 연결 부재(120)와 연결되는 일 측 말단부의 반대 방향인 타측 말단부의 개방된 부분을 막음으로써, 상기 세정수가 상기 세정수 노즐(142) 외 다른 곳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세정수 노즐(142)은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141)에서 관통되고,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141) 내의 상기 세정수를 상기 구강으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상기 세정수 노즐(142)은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14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14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상기 세정수 노즐(142)이 수직으로 굽혀지면,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141)의 일부가 상기 구강 내에 삽입될 때,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14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세정수 노즐(142)에 비해 수직으로 굽혀진 상기 세정수 노즐(142)이 상기 사용자의 치아에 상대적으로 근접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치아는 물론 서로 이웃하는 상기 치아 사이의 구석진 부분까지 상기 세정수가 투입됨으로써 상기 치아의 전 부우와, 서로 이웃하는 상기 치아 사이까지도 이물질 및 치석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세정수 노즐(142)이 상기 치아에 상대적으로 근접되면서 상기 잇몸의 마사지도 함께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세정수 노즐(142)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두 개로 형성되어, 하나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치아의 잇몸을 마사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세정수 유동 부재(140)는 상기 제 2 연결부(131) 및 상기 제 1 연결부(121)에 순차적으로 삽입된다.
상세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정수 유동 부재(140)가 상기 제 2 연결부(131)를 관통한 다음 상기 제 1 연결부(121)에 상기 세정수 유동 부재(140)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상기 세정수 유동 부재(140)와 상기 제 1 연결부(121)가 연결되고, 상기 세정수 유동 부재(140)가 상기 제 1 연결부(121)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연결부(131)를 구성하는 상기 제 2 연결부측 돌기(134)가 상기 제 1 연결부(121)를 구성하는 상기 제 1 연결부측 삽입 홈(124)에 삽입됨과 함께 상기 제 2 연결부측 밀착체(133)가 상기 제 1 연결부측 몸체(122)의 외측 일부와 밀착되어 상기 제 1 연결부(121)와 상기 제 2 연결부(131)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 1 연결부(121)와, 상기 제 2 연결부(131)와, 상기 세정수 유동 부재(140)가 서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100)이 상기 세정수가 공급되는 상기 수도 꼭지(10) 또는 상기 샤워기에 연결되고, 상기 수도 꼭지(10) 또는 상기 샤워기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세정수로 구강을 세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 부재(120)와 상기 세정수 유동 부재(140)를 포함함에 따라, 직수로 상기 치아의 구석진 곳의 세정 및 상기 잇몸의 마사지를 할 수 있으면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청소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을 구성하는 연결 부재 및 세정수 유동 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정면에서 바라본 분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세정수 유동 부재에 적용된 압력 조절부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압력 조절부에 적용된 탄성 변형 수단의 형상이 수압에 의해 변형된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이다.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은 세정수가 공급되는 수도 꼭지 또는 샤워기에 연결되고, 상기 수도 꼭지 또는 상기 샤워기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세정수로 구강을 세정하는 것으로서, 연결 부재(220)와, 세정수 유동 부재(2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은 수압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세정수 유동 부재(240)는 세정수 유동 몸체(241)와, 세정수 노즐(242)과, 마개(243)와, 압력 조절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부재(220)는 상기 수도 꼭지 또는 상기 샤워기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세정수 유동 부재(240)는 상기 연결 부재(220)와 연결되고, 상기 수도 꼭지 또는 상기 샤워기에서 공급된 상기 세정수를 상기 구강까지 유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세정수 유동 부재(240)를 구성하는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241)는 그 내부가 빈 상태로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세정수 노즐(242)은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241)에서 관통되고,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241) 내로 유동된 상기 세정수를 상기 구강으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상기 마개(243)는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241)의 말단부 중 상기 연결 부재(220)와 연결되는 일 측 말단부의 반대 방향인 타측 말단부의 개방된 부분을 막음으로써, 상기 세정수가 상기 세정수 노즐(242) 외 다른 곳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압력 조절부(250)는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241) 내에서 유동되는 상기 세정수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압력 조절 케이스(251)와, 탄성 변형 수단(255)과, 고정 수단(252)을 포함한다.
상기 압력 조절 케이스(251)는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241)의 일부분이 외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 변형 수단(255)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 변형 수단(255)은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241) 내부 중 상기 압력 조절 케이스(251)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241)의 내부에서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241)의 길이 방향으로 유동되는 상기 세정수의 유동 압력에 따라 탄성 변형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탄성 변형 수단(255)은 전체적으로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241)에서의 상기 세정수의 유동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된 탄성 변형 몸체(256)와, 상기 탄성 변형 몸체(256)에서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241)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상기 세정수의 유동 방향에 대해 대면되는 면 상에 일정 곡률로 이루어진 곡면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면(257)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수단(252)은 상기 탄성 변형 수단(255)을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241)의 내벽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볼트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241)의 내부를 따라 유동되는 상기 세정수가 미리 설정된 압력인 제 1 유동 압력으로 유동되는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변형 몸체(256)가 원형 상태, 즉 탄성 변형되지 아니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그러다가, 상기 세정수의 압력이 상기 수도 꼭지 또는 상기 샤워기에서 미리 설정된 압력에 비해 임의로 상대적으로 높아진 압력인 제 2 유동 압력으로 상기 세정수가 상기 수도 꼭지 또는 상기 샤워기에서 공급될 경우, 상기 탄성 변형 수단(255)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241) 내부의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좁아지고, 상대적으로 좁아진 단면적에서 유동되는 상기 세정수의 유동 압력이 상대적으로 감소되고, 그에 따라 상기 구강으로 공급되는 상기 세정수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감소됨으로써, 상기 구강으로 배출되는 상기 세정수의 압력이 임의로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241)의 내부를 따라 유동되는 상기 세정수의 유동 압력이 초기에 미리 설정된 압력인 상기 제 1 유동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진 압력인 상기 제 2 유동 압력이 될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몰면(257)에는 상기 제 2 유동 압력과 상기 제 1 유동 압력의 차이만큼 더 걸리게 되므로, 상기 제 2 유동 압력과 상기 제 1 유동 압력의 차이만큼 더 걸리는 압력에 의해 상기 탄성 변형 몸체(256)가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241)의 내부를 따라 유동되는 상기 세정수의 유동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늘어나도록 탄성 변형되고, 그에 따라 상기 세정수가 상기 제 1 유동 압력으로 유동되는 경우에 비해 상기 제 2 유동 압력으로 유동되는 경우에 상기 탄성 변형 몸체(256)가 그 변형된 만큼 상기 압력 조절 케이스(251) 및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241) 내부를 상대적으로 좁아지게 함으로써,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241) 내부를 따라 유동되는 상기 세정수의 압력을 그만큼 감소시켜 상기 구강으로 배출되는 상기 세정수의 압력이 임의로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정수 유동 부재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은 세정수가 공급되는 수도 꼭지 또는 샤워기에 연결되고, 상기 수도 꼭지 또는 상기 샤워기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세정수로 구강을 세정하는 것으로서, 연결 부재와, 세정수 유동 부재(340)를 포함한다.
상기 세정수 유동 부재(340)는 그 내부가 빈 상태로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된 세정수 유동 몸체(341)와,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341)에서 관통되고,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341) 내로 유동된 상기 세정수를 상기 구강으로 배출시키는 세정수 노즐(342)과,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341)의 말단부 중 상기 연결 부재와 연결되는 일 측 말단부의 반대 방향인 타측 말단부의 개방된 부분을 막음으로써, 상기 세정수가 상기 세정수 노즐(342) 외 다른 곳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개(34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세정수 노즐((342))은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34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연결 부재 쪽으로 점진적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341)가 구강 세정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의 상기 구강에 삽입될 때, 상기 세정수 노즐(342)이 상기 치아의 내측면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근접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치아의 내측면과 함께 상기 구강 내에서 상대적으로 깊은 곳인 상기 치아의 내측면과 잇몸이 연결되는 부분까지 깨끗하게 세정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잇몸의 마사지도 함께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에 의하면, 수도 꼭지 또는 샤워기에 설치되어 직수로 치아의 구석진 곳의 세정 및 잇몸 마사지를 할 수 있으면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청소도 용이하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 : 수도 꼭지 20 : 연결 호스
100 :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 110 : 수압 조절 부재
111 : 수압 조절측 몸체 112 : 수압 조절체
120 : 연결 부재 121 : 제 1 연결부
122 : 제 1 연결부측 몸체 124 : 제 1 연결부측 삽입 홈
125 : 제 1 연결부측 연통 홀 131 : 제 2 연결부
132 : 제 2 연결부측 몸체 133 : 제 2 연결부측 밀착체
134 : 제 2 연결부측 돌기 135 : 제 2 연결부측 연통 홀
140 : 세정수 유동 부재 141 : 세정수 유동 몸체
142 : 세정수 노즐 143 : 마개

Claims (5)

  1. 세정수가 공급되는 수도 꼭지 또는 샤워기에 연결되고, 상기 수도 꼭지 또는 상기 샤워기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세정수로 구강을 세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도 꼭지 또는 상기 샤워기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수도 꼭지 또는 상기 샤워기에서 공급된 상기 세정수를 상기 구강까지 유동시키는 세정수 유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수도 꼭지 또는 상기 샤워기의 내부와 연결되는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1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세정수 유동 부재를 상기 제 1 연결부에 연결시키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부는
    일정 길이의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그 외측에 상기 수도 꼭지 또는 상기 샤워기와 연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제 1 연결부측 몸체와,
    상기 제 1 연결부측 몸체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 1 연결부측 연통 홀과,
    상기 제 1 연결부측 몸체 중 상기 수도 꼭지 또는 상기 샤워기가 연결되는 면과 반대 방향의 면에서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되는 제 1 연결부측 삽입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1 연결부측 삽입 홈이 형성된 상기 제 1 연결부의 상면을 덮는 제 2 연결부측 몸체와,
    상기 제 2 연결부측 몸체에서 상기 제 1 연결부측 몸체 쪽으로 굽혀지면서 연장되어 상기 제 1 연결부측 몸체의 외측 일부와 밀착되는 제 2 연결부측 밀착체와,
    상기 제 2 연결부측 몸체의 면 중 상기 제 2 연결측 밀착체가 굽혀진 방향의 면에서 일정 길이 돌출되되, 상기 제 1 연결부측 삽입 홈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 2 연결부측 돌기와,
    상기 제 1 연결부측 연통 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 2 연결부측 몸체의 중앙부에서 관통 형태로 형성되는 제 2 연결부측 연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세정수 유동 부재는
    그 내부가 빈 상태로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된 세정수 유동 몸체와,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에서 관통되고,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 내로 유동된 상기 세정수를 상기 구강으로 배출시키는 세정수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세정수 유동 부재가 상기 제 2 연결부를 관통한 다음 상기 제 1 연결부에 상기 세정수 유동 부재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상기 세정수 유동 부재와 상기 제 1 연결부가 연결되고, 상기 세정수 유동 부재가 상기 제 1 연결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연결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 2 연결부측 돌기가 상기 제 1 연결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 1 연결부측 삽입 홈에 삽입됨과 함께 상기 제 2 연결부측 밀착체가 상기 제 1 연결부측 몸체의 외측 일부와 밀착되어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와, 상기 세정수 유동 부재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은
    상기 수도 꼭지 또는 상기 샤워기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세정수의 수압을 조절하기 위한 수압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노즐은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유동 부재는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 내에서 유동되는 상기 세정수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 조절부는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의 일부분이 외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압력 조절 케이스와,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 내부 중 상기 압력 조절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유동되는 상기 세정수의 유동 압력에 따라 탄성 변형되는 탄성 변형 수단과,
    상기 탄성 변형 수단을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의 내벽에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세정수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에 비해 임의로 상대적으로 높아진 상태로 상기 세정수가 상기 수도 꼭지 또는 상기 샤워기에서 공급될 경우, 상기 탄성 변형 수단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 내부의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좁아지고, 상대적으로 좁아진 단면적에서 유동되는 상기 세정수의 유동 압력이 상대적으로 감소되고, 그에 따라 상기 구강으로 공급되는 상기 세정수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감소됨으로써, 상기 구강으로 배출되는 상기 세정수의 압력이 임의로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노즐은 상기 세정수 유동 몸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연결 부재 쪽으로 점진적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
KR2020180005475U 2018-11-28 2018-11-28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 KR2004894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475U KR200489457Y1 (ko) 2018-11-28 2018-11-28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475U KR200489457Y1 (ko) 2018-11-28 2018-11-28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457Y1 true KR200489457Y1 (ko) 2019-06-20

Family

ID=67002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475U KR200489457Y1 (ko) 2018-11-28 2018-11-28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45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605A (ko) 2019-09-16 2021-03-25 주식회사 이바이오테코 전기분해수를 이용한 구강 세정과 가글 그리고 미백용 분사장치
KR20230166473A (ko) 2022-05-31 2023-12-07 (주)케이티씨덴탈케어 치아 세정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6536A (ja) 2001-07-17 2003-01-29 Pola Chem Ind Inc 2つの使用形態を有する化粧料
US20030204155A1 (en) * 2002-04-30 2003-10-30 Zoltan Egeresi Oral cleansing device
KR100696069B1 (ko) 2006-06-29 2007-03-20 김행주 샤워헤드 겸용 워터픽
KR20130020112A (ko) * 2011-08-19 2013-02-27 김상덕 워터식 구강 위생기
KR20130005839U (ko) * 2012-03-28 2013-10-08 박길수 잇몸 세정장치
KR20180110422A (ko) * 2017-03-29 2018-10-10 신춘우 구강 세정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6536A (ja) 2001-07-17 2003-01-29 Pola Chem Ind Inc 2つの使用形態を有する化粧料
US20030204155A1 (en) * 2002-04-30 2003-10-30 Zoltan Egeresi Oral cleansing device
KR100696069B1 (ko) 2006-06-29 2007-03-20 김행주 샤워헤드 겸용 워터픽
KR20130020112A (ko) * 2011-08-19 2013-02-27 김상덕 워터식 구강 위생기
KR20130005839U (ko) * 2012-03-28 2013-10-08 박길수 잇몸 세정장치
KR20180110422A (ko) * 2017-03-29 2018-10-10 신춘우 구강 세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605A (ko) 2019-09-16 2021-03-25 주식회사 이바이오테코 전기분해수를 이용한 구강 세정과 가글 그리고 미백용 분사장치
KR20230166473A (ko) 2022-05-31 2023-12-07 (주)케이티씨덴탈케어 치아 세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1095B1 (ko) 물 분사 칫솔
US6315556B1 (en) Toothbrush with fluid supply and suction
ES2528102T3 (es) Dispensador para el cuidado bucal
US4564005A (en) Oral irrigating device
US5387182A (en) Faucet mounted water jet dental hygiene apparatus
US6932603B2 (en) Interproximal squirt brush
KR200489457Y1 (ko)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
KR20050043930A (ko) 일회용 칫솔
US4265229A (en) Oral hygiene apparatus for showers
US7901153B1 (en) Disposable toothbrush apparatus
CN109152627B (zh) 用于口腔卫生的水供应喷嘴
KR20120031098A (ko) 칫솔
RU260829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KR20170101101A (ko)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이용한 구강세정장치
CN205993890U (zh) 喷水牙刷
GB2340399A (en) A hand-held cleaning device for personal hygiene
KR20060065411A (ko) 세척 및/또는 살균제 투여장치를 구비한 화장실용 브러시
GB2033216A (en) Cleansing and/or massaging device
WO2008096960A1 (en) Tool for cleansing scalp
KR200326536Y1 (ko) 세척용 물 분사기
JP2016526938A (ja) 携帯用歯間ブラシ
CN104433178B (zh) 便携式牙间刷
KR101764392B1 (ko) 구강세정기의 일회용 노즐
RU192334U1 (ru) Ирригатор ротовой полости
KR100495471B1 (ko) 샤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