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6473A - 치아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치아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6473A
KR20230166473A KR1020220066493A KR20220066493A KR20230166473A KR 20230166473 A KR20230166473 A KR 20230166473A KR 1020220066493 A KR1020220066493 A KR 1020220066493A KR 20220066493 A KR20220066493 A KR 20220066493A KR 20230166473 A KR20230166473 A KR 20230166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cleaning liquid
transfer passage
passage forming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6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택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씨덴탈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씨덴탈케어 filed Critical (주)케이티씨덴탈케어
Priority to KR1020220066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6473A/ko
Publication of KR20230166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647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17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having means for manually controlling the supply of two or more fluids, e.g. water and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05Devices for dental prophyl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2Air-blowing devices, e.g. with means for heating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8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with intermittent liquid f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을 생성하는 모터부와, 모터부에서 전달되는 힘으로 공기를 압축 배출하는 펌프부와, 세정액이 보관되는 세정액 수용부와, 펌프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세정액 수용부에 보관되는 세정액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이송통로 형성부와, 이송통로 형성부를 통해 공급된 물질이 배출되는 노즐와, 외부를 감싸 보호하는 외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치아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아 세정장치{Tooth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포터블한 형태로 제작되어 휴대가 용이하고, 공기와 세정액이 함께 배출되어 뛰어난 세정능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자동살균 기능을 가지고 있는 치아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아나 구강에 존재하는 음식물 찌꺼기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패하여 역한 입 냄새를 발생시키거나 충치, 잇몸병과 같은 각종 구강질환의 원인이 되므로, 건강한 치아와 구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주 칫솔질을 하고 구강세정제로 입안을 헹구는 등 구강을 늘 청결하게 해야 한다.
이렇게 치아를 세정할 때는 칫솔과 치실 등을 사용하는데, 칫솔과 치실을 이용하는 방법만으로는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 찌꺼기를 완전히 제거하기가 어렵고, 이들의 무리한 사용은 잇몸이나 치주 손상을 야기할 수도 있다.
따라서, 최근 세정수를 분사하여 구강을 보다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세정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세정장치는 화장실에 비치 사용하는 용도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휴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휴대가 용이한 새로운 형태의 치아 세정장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89457호(명칭: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 등록일: 2019.06.14) 특허문헌 2)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2095515호(명칭: 에어 분사식 휴대용 구강 세정기, 등록일: 2020.03.25)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가 용이한 치아 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작은 형태로도 충분한 세정능력을 가져 애완동물 치아 세정용으로 사용 가능한 치아 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자체적인 살균 능력을 가져 사용 후 발생할 수 있는 세균 번식을 차단 가능한 치아 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치아 세정장치는, 동력을 생성하는 모터부(100); 상기 모터부(100)에서 전달되는 힘으로 공기를 압축 배출하는 펌프부(200); 세정액이 보관되는 세정액 수용부(300); 상기 펌프부(200)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상기 세정액 수용부(300)에 보관되는 세정액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이송통로 형성부(400); 상기 이송통로 형성부(400)를 통해 공급된 물질이 배출되는 노즐(500); 및 외부를 감싸 보호하는 외부 하우징(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통로 형성부(400)는 상기 노즐(500)로 세정액과 공기를 분리 공급하는 제1 이송통로 형성부(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500)은 상기 제1 이송통로 형성부(410)를 통해 공급되는 기체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노즐 팁(510); 상기 노즐 팁(510) 내부에 수용되고 세정액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튜브(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통로 형성부(400)는 상기 세정액 수용부(300)로 상기 펌프부(20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세정액 수용부(300)에서 배출되는 세정액을 상기 노즐(500)로 제공하는 제2 이송통로 형성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500)은 상기 외부 하우징(600)에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하우징(600)은 상기 노즐(500)이 수용되는 노즐 수용홈(6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하우징(600)은 상기 노즐 수용홈(610)에 구비되어 노즐(500)을 살균하는 살균수단(6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하우징(60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모터부(100)와 연동되어 모터부(100)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700); 상기 외부 하우징(600)에 형성되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속도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부(700)로 입력하는 세기조절 버튼(8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이송통로 형성부(410)는 상기 펌프부(200)와 상기 세정액 수용부(300)가 체결되고, 중앙에 공급통로(L1)가 형성되는 제1 이송통로 몸체(411); 상기 제1 이송통로 몸체(411) 중앙에 형성된 공급통로(L1)를 세정액 공급통로와 공기 공급통로로 구획하는 구획 플레이트(412); 상기 제1 이송통로 몸체(411) 전측에 결합되어 상기 공급통로(L1)를 폐쇄하되, 중앙과 가장자리에 각각 세정액 공급구와 공기 공급구가 형성되는 공급커버(4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이송통로 형성부(410)는 상기 세정액 공급구에 끼워져 배출되는 세정액 양을 조절하는 배출량 조절핀(4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량 조절핀(414)은 상기 세정액 공급구에 끼워지는 단부가 테이퍼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치아 세정장치는, 장치 구조가 단순화되어 휴대가 용이한 포터블한 형태로 제작 가능하므로, 실외에서도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세정액이 공기에 의해 미세 입자 상태로 분무되므로 높은 세정능력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높은 세정능력을 가지므로 반려동물 치아 관리에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사용된 노즐이 자동으로 살균되므로, 장치의 오염문제를 해결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A TYPE 치아 세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A TYPE 치아 세정장치의 외부 하우징을 제거한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인 A TYPE 치아 세정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A TYPE 치아 세정장치의 하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B TYPE 치아 세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B TYPE 치아 세정장치의 노즐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인 B TYPE 치아 세정장치의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세정장치(1000)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A TYPE 치아 세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A TYPE 치아 세정장치의 외부 하우징을 제거한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인 A TYPE 치아 세정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A TYPE 치아 세정장치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B TYPE 치아 세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인 B TYPE 치아 세정장치의 노즐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인 B TYPE 치아 세정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치아 세정장치(1000)는 동력을 생성하는 모터부(100)와, 상기 모터부(100)에서 전달되는 힘으로 공기를 압축 배출하는 펌프부(200)와, 세정액이 보관되는 세정액 수용부(300)와, 상기 펌프부(200)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상기 세정액 수용부(300)에 보관되는 세정액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이송통로 형성부(400)와, 상기 이송통로 형성부(400)를 통해 공급된 물질이 배출되는 노즐(500)과, 외부를 감싸 보호하는 외부 하우징(6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외부 하우징(600)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B)에서 모터부(100)로 전력을 주입하면, 모터부(10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펌프부(200)가 작동하며 공기를 압축 배출하고, 이러한 압축 공기가 배출되는 힘에 의해 세정액 수용부(300)에 보관되는 세정액이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인 치아 세정장치(1000)는 노즐(500)의 결합구조 및 세정액이 배출되는 형태에 따라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A TYPE과,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B TYPE으로 구분될 수 있고,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A TYPE의 치아 세정치와 B TYPE의 치아 세정장치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A TYPE의 치아 세정장치(1000)는 상기 이송통로 형성부(400)가 상기 노즐(500)로 세정액과 공기를 분리 공급하는 제1 이송통로 형성부(410)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500)은 상기 제1 이송통로 형성부(410)를 통해 공급되는 기체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노즐 팁(510)과, 상기 노즐 팁(510) 내부에 수용되고 세정액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튜브(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공기와 세정액이 각각 노즐 팁(510)과 튜브(520)를 통해 개별 이송된 후, 노즐 팁(510)의 단부에서 혼합 배출되게 함으로써, 세정액이 뭉치지 않고 스프레이 형태로 분무되어, 장치가 보다 높은 세정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이송통로 형성부(410)는 상기 펌프부(200)와 상기 세정액 수용부(300)에서 공급되는 공기 및 세정액을 상기 노즐 팁(510)과 튜브(520)로 개별 공급하기 위한 특수한 구조를 가져야 하고, 일 실시예로 제1 이송통로 형성부(4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공급통로(L1)가 형성되는 제1 이송통로 몸체(411)와, 상기 제1 이송통로 몸체(411) 중앙에 형성된 공급통로(L1)를 세정액 공급통로와 공기 공급통로로 구획하는 구획 플레이트(412)와, 상기 제1 이송통로 몸체(411)전측에 결합되어 상기 공급통로(L1)를 폐쇄하되, 중앙과 가장자리에 각각 세정액 공급구와 공기 공급구가 형성되는 공급커버(4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 이송통로 몸체(411) 상측에 세정액 수용부(300)가 형성되는 제1 체결부가 형성되고, 하측에 펌프부(200)가 체결되는 제2 체결부가 형성되어, 펌프부(200)에서 배출되는 공기 및 세정액 수용부(300) 상의 세정액이 체결부를 통해 공급통로(L1)로 이동하되, 유입되는 세정액과 공기는 상기 구획 플레이트(412)에 의해 분리 이송되는 것이다.
그리고, 분리 이송되는 세정액과 공기는 각각 공급커버(413) 상에 형성된 세정액 공급구(413-1)와 공기 공급구(413-2)를 통해 노즐 팁(510)과 튜브(520)에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세정액의 공급은 공기가 배출되며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해 세정액이 빨려들어오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공기와 세정액은 상기 노즐 팁(510) 단부에 형성된 노즐 팁 절곡부에서 서로 혼합 배출된다.
또한, 상기 세정액 공급구(413-1) 면적에 따라 튜브(520)로 제공되는 세정액의 양이 달라질 수 있도록, 상기 세정액 공급구(413-1)에는 단부가 테이퍼 구조를 갖는 배출량 조절핀(414)이 끼워질 수 있다.
이때, 배출량 조절핀(414)은 고정 타입일 수 있으나, 외부 하우징(600) 상에 형성된 세정액 배출량 조절버튼(미도시)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움직여 개방되는 세정액 공급구(413-1)의 면적이 조절되는 형태일 수도 있고, 전후방향으로 움직여 개방되는 세정액 공급구(413-1)의 면적을 조절하는 형태일 경우 세정액 공급구(413-1)로 삽입되는 배출량 조절핀(414)의 단부가 테이퍼 구조를 가지는 것을 권장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출량 조절핀(414)이 개방되는 세정액 공급구(413-1) 면적을 조절 가능한 구조를 가질 경우, 사용자가 세정에 사용되는 에어와 세정액 비율을 원하는 형태로 조절 가능하므로, 보다 높은 만족감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배출량 조절핀(414)이 전측으로 움직여 상기 튜브(520)와 접하도록 할 경우 튜브(520)를 폐쇄하여 세정액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도면 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배출량 조절핀(414)의 움직임은 배출량 조절핀(414)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직접 조절하는 형태와, 동력장치가 배출량 조절핀(414)에 결합되어 동력장치 작동에 의해 움직이는 형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공급커버(413)는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공기차단홈(A1, A2)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이송통로 몸체(411)와의 틈으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것이 제한되고, 전측에 상기 노즐 팁(510)이 끼워지는 제1 체결립(413-3)과, 튜브(520)가 체결되는 제2 체결립(413-4)이 형성되어, 노즐 팁(510)과 튜브(520)가 체결된다.
이때, 체결된 노즐(500)의 체결/분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튜브(520)의 후측 단부 및 이와 체결되는 제2 체결립(413-4)에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체결 과정에서 노틀 팁(510)이 제1 체결립(413-4)이 형성하는 홈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노즐 팁(510)의 후측 단부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변형홈(511)이 형성되는 것을 권장한다.
또한, 본 발명인 치아 세정장치(1000)는 외부 하우징(60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모터부(100)와 연동되어 모터부(100)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700)와, 상기 외부 하우징(600)에 형성되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속도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부(700)로 입력하는 세기조절 버튼(8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사람외에도 반려동물 치아 세정에 사용 가능한 장치이고, 반려동물의 경우 품종에 따라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치아를 효과적으로 세정하기 위한 파워가 다르므로, 사용자가 상기 세기조절 버튼(800)을 조작하여 모터부(100)와 연결된 펌프부(20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세기 및 양을 조절 가능하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외부 하우징(600)에는 상기 노즐(500)이 수용되는 노즐 수용홈(610)이 형성되고, 노즐 수용홈(610)에 살균수단(620)이 구비되어 노즐 수용홈(610) 상에 위치된 노즐(500)을 살균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노즐(500)의 경우 반려동물의 입안으로 삽입되어 쉽게 오염될 수 있는 부위로, 즉각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시 세균이 번식하거나 곰팡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노즐 수용홈(610)에 살균수단(620)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노즐(500)은 분리 후 노즐 수용홈(610)에 삽입하면 살균수단(620)이 노즐(500)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살균수단(620)은 자외선을 방출하여 노즐(500)을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램프일 수 있으나, 이 외에도 다양한 살균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살균수단(620)의 작동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 외에도 노즐 수용홈(610)에 제어부(700)와 연동되는 근접 센서 또는 하중센서가 구비되어, 노즐 수용홈(610)에 노즐(500)이 삽입된 것이 확인되면 제어부(700)에서 살균수단(620)을 정해진 시간동안 작동시키는 자동살균 방식으로 작동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부 하우징(600) 하측에 수용되는 배터리(B)의 충전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 형성된 충전단자(601)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 외에도 다양한 유선/무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B TYPE의 치아 세정장치(1000)는 상기 노즐(500)이 상기 외부 하우징(600)에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가 노즐(500)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노즐(500)과 외부 하우징(600)이 나사결합 구조를 가질 경우, 사용된 노즐(500)을 노즐 수용홈(610)에 삽입하여 살균하기 위해서, 노즐(500)을 외부 하우징(600)에서 분리해야하기 때문에 불편한 문제가 있으므로, 노즐(500)을 외부 하우징(600)에 힌지 결합하여,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시 노즐(500)을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수용홈(610)에 삽입 보관하고, 장치를 사용할 경우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운동 방식으로 노즐(500)을 노즐 수용홈(610)에서 빼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B TYPE의 치아 세정장치(1000)의 이송통로 형성부(400)는 세정액 수용부(300)로 상기 펌프부(20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세정액 수용부(300)에서 배출되는 세정액을 상기 노즐(500)로 제공하는 제2 이송통로 형성부(4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이송통로 형성부(420)는 상기 펌프부(20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관(421)과, 상기 세정액 수용부(300) 상의 세정액을 상기 노즐(500)로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관(4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펌프부(20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세정액 수용부(300)로 공급하면, 세정액 수용부(300) 압력이 높아지며 세정액 수용부(300)에 수용된 세정액이 자연스럽게 세정액 공급관(422)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B TYPE의 치아 세정장치(1000)는 위에서 설명한 A TYPE 세정장치와 동일한 살균방식 및 충전방식을 가질 수 있으나, 이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살균 및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B TYPE 치아 세정장치의 경우 세정액 수용부(300)에서 보관되는 세정액과 상기 펌프부(200)에서 공급되는 세정액이 상기 이송통로 형성부(400)에서 합쳐서 나오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세정액 수용부(300)에서 이송통로 형성부(400)로 공급되는 세정액의 양을 조절 가능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A TYPE 치아 세정장치와, B TYPE 치아 세정장치는 상기 노즐(500)이 치아에 닿을 시에만 에어와 세정액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방출하는 특수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노즐(500)이 치아에 닿거나 일정 거리 이하에 인접할 경우에만 에어와 세정액이 방출되는 구조는 기계식과 전자식을 포함할 수 있고, 기계식의 경우 노즐(500) 단부에 슬라이드 결합된 접촉부가 치아에 닿아 밀릴 시 에어와 세정액이 방출되는 통로에 결합된 밸브가 개방되는 형태와, 접촉부가 치아에 닿아 밀릴 시에만 모터로 전기가 공급되는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식의 경우 노즐(500) 단부에 접촉센서, 초음파센서 등의 센서가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700)에서 센서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노즐(500)이 치아에 닿거나 일정한 거리 이내에 위치된 것인지를 판단하고, 판단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모터 작동을 조저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모터부
200 : 펌프부
300 : 세정액 수용부
400 : 이송통로 형성부 410 : 제1 이송통로 형성부
411 : 제1 이송통로 몸체 412 : 구획 플레이트
413 : 공급커버 414 : 배출량 조절핀
420 : 제2 이송통로 형성부
500 : 노즐 510 : 노즐 팁
520 : 튜브
600 : 외부 하우징 610 : 수용홈
620 : 살균수단
700 : 제어부
800 : 세기조절 버튼

Claims (9)

  1. 동력을 생성하는 모터부(100);
    상기 모터부(100)에서 전달되는 힘으로 공기를 압축 배출하는 펌프부(200);
    세정액이 보관되는 세정액 수용부(300);
    상기 펌프부(200)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상기 세정액 수용부(300)에 보관되는 세정액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이송통로 형성부(400);
    상기 이송통로 형성부(400)를 통해 공급된 물질이 배출되는 노즐(500); 및
    외부를 감싸 보호하는 외부 하우징(600);을 포함하는, 치아 세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통로 형성부(400)는 상기 노즐(500)로 세정액과 공기를 분리 공급하는 제1 이송통로 형성부(410);를 포함하는, 치아 세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500)은 상기 제1 이송통로 형성부(410)를 통해 공급되는 기체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노즐 팁(510);
    상기 노즐 팁(510) 내부에 수용되고 세정액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튜브(520);를 포함하는, 치아 세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통로 형성부(400)는 상기 세정액 수용부(300)로 상기 펌프부(20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세정액 수용부(300)에서 배출되는 세정액을 상기 노즐(500)로 제공하는 제2 이송통로 형성부(420);를 포함하는, 치아 세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500)은 상기 외부 하우징(600)에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세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600)은 상기 노즐(500)이 수용되는 노즐 수용홈(610);을 포함하는, 치아 세정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600)은 상기 노즐 수용홈(610)에 구비되어 노즐(500)을 살균하는 살균수단(620);을 포함하는, 치아 세정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60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모터부(100)와 연동되어 모터부(100)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700);
    상기 외부 하우징(600)에 형성되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속도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부(700)로 입력하는 세기조절 버튼(800);을 포함하는, 치아 세정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노즐(500)이 치아에 접촉할 때에만 상기 모터부(50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세정장치.



KR1020220066493A 2022-05-31 2022-05-31 치아 세정장치 KR202301664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493A KR20230166473A (ko) 2022-05-31 2022-05-31 치아 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493A KR20230166473A (ko) 2022-05-31 2022-05-31 치아 세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473A true KR20230166473A (ko) 2023-12-07

Family

ID=89163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6493A KR20230166473A (ko) 2022-05-31 2022-05-31 치아 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647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457Y1 (ko) 2018-11-28 2019-06-20 주식회사 권능정밀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
KR102095515B1 (ko) 2018-10-04 2020-03-31 주식회사 기현몰드테크 에어 분사식 휴대용 구강 세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515B1 (ko) 2018-10-04 2020-03-31 주식회사 기현몰드테크 에어 분사식 휴대용 구강 세정기
KR200489457Y1 (ko) 2018-11-28 2019-06-20 주식회사 권능정밀 직수형 구강 세정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3239B1 (ko) 석션 및 세정 기능을 갖는 칫솔
CN102548499B (zh) 为口腔提供有益效果的方法
RU261252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полости рта и ухода за ней
CN104220023B (zh) 口腔护理清洁和处理装置
CN103327931B (zh) 用于收集和分析得自口腔的流体样本的装置和方法
EP3338733B1 (en) Electric toothbrush with controlled suction and irrigation
CN104302243A (zh) 牙齿清洁装置和方法
CN104159539A (zh) 口腔护理装置
JPH03261469A (ja) 口腔内衛生装置
JP2008132099A (ja) 口腔洗浄器
US11622841B2 (en) Toothbrush with controlled suction and/or irrigation
CN108024848B (zh) 用于牙周清洁的装置和用于控制牙周清洁装置的方法
US20170238693A1 (en) New dental brush
JP2007144118A (ja) 介護用洗浄装置
US20130149662A1 (en) Dental Hygiene System
CN112716639A (zh) 一种牙齿清洁智能控制系统
KR101460227B1 (ko) 단일 콤프레셔 기반의 휴대용 구강 청결 장치
KR20230166473A (ko) 치아 세정장치
KR102057152B1 (ko) 구강 세정기
CN213787936U (zh) 一种带消毒功能的冲牙器
CN215080066U (zh) 一种牙齿清洁智能控制系统
CN216495789U (zh) 一种用于口腔护理的冲洗器具
KR101490317B1 (ko) 구강 청결 기구
CZ20012288A3 (cs) Ne-elektrická přenosná dentální pump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