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1101A -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이용한 구강세정장치 - Google Patents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이용한 구강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1101A
KR20170101101A KR1020160171751A KR20160171751A KR20170101101A KR 20170101101 A KR20170101101 A KR 20170101101A KR 1020160171751 A KR1020160171751 A KR 1020160171751A KR 20160171751 A KR20160171751 A KR 20160171751A KR 20170101101 A KR20170101101 A KR 20170101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mouthpiece
cleaning
cleaning liquid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기봉
Original Assignee
현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기봉 filed Critical 현기봉
Priority to PCT/KR2016/01510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146366A1/ko
Publication of KR20170101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1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8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combined with means providing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8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of pulsating nature, e.g. delivering liquid in successive separate quantities ; Fluidic oscil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내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키고 치아 및 구강 내 전범위에 걸쳐 균일하게 세정될 수 있도록, 이중막 구조이면서 연통홀과 연결홀 내 직경을 달리한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이용한 구강세정장치구강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치열을 감싸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말발굽 형상이며, 치열 측으로 세정액이 통과하는 복수개의 연통홀이 형성된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외면을 감싸며, 세정액 유출입용 복수개의 연결홀이 형성된 덮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재와 덮개부재로 이루어진 이중막 사이의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부재와 덮개부재의 일부분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를 이용한 구강세정장치는,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 상기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와 세정액 탱크를 연결하는 공급라인; 상기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와 상기 세정액 탱크를 연결하는 배출라인; 상기 배출라인에 흡입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를 잇몸에 밀착시켜 진공압을 형성하고, 상기 진공압에 의하여 상기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에 세정액을 공급한 후 상기 배출라인을 통해 세정액을 배출시키는 흡입펌프; 및 상기 공급라인과 배출라인에 구비되어 세정액의 유동 방향을 전환시키는 유로전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이용한 구강세정장치{MOUTHPIECE FOR CLEANING THE ORAL CAVITY WITH DOUBLE MEMBRANE STRUCTURE AND CLEANING THE ORAL CAVITY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이용한 구강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 및 구강 내 전범위에 걸쳐 균일한 세정이 가능한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이용한 구강세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아나 구강에 존재하는 음식물 찌꺼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패해 역한 입 냄새를 유발하거나 충치, 잇몸병과 같은 각종 구강질환의 원인이 된다. 건강한 치아와 구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칫솔질과 구강세정제로 입안을 헹구는 등 구강 내를 늘 청결하게 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치아를 세정할 때에는 칫솔과 치실을 사용하는데, 칫솔과 치실의 사용만으로는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 찌꺼기를 완전히 제거하기 어렵고, 이들의 무리한 사용은 잇몸이나 치주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세정수를 분사하여 구강을 세척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구강세정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구강세정장치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써, 물이나 살균성 세정액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구강이나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로, 세정액이 수용된 용기, 분사노즐, 용기의 세정액을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구강세정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구강세정장치는 세정액을 분사하도록 한 분사노즐만으로 구성되어 세정액이 구강 외부로 튀어 욕실 등 제한된 장소에서만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구강세정장치는 사용자가 입을 벌렸다 다물며 분사노즐을 이동시키면서 세정액을 분사하여야 하므로, 어린 아이나 몸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않은 중증환자의 경우 사용상 어려움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52256호(공고일자: 2011.07.20)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강 내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키고 치아 및 구강 내 전범위에 걸쳐 균일하게 세정될 수 있도록, 이중막 구조이면서 연통홀과 연결홀 내 직경을 달리한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이용한 구강세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는, 치열을 감싸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말발굽 형상이며, 상기 치열 측으로 세정액이 통과하는 복수개의 연통홀이 형성된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외면을 감싸며, 세정액 유출입용 복수개의 연결홀이 형성된 덮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재와 덮개부재로 이루어진 이중막 사이의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부재와 덮개부재의 일부분이 접합된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를 이용한 구강세정장치는,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 상기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와 세정액 탱크를 연결하는 공급라인; 상기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와 상기 세정액 탱크를 연결하는 배출라인; 상기 배출라인에 흡입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를 잇몸에 밀착시켜 진공압을 형성하고, 상기 진공압에 의하여 상기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에 세정액을 공급한 후 상기 배출라인을 통해 세정액을 배출시키는 흡입펌프; 및 상기 공급라인과 배출라인에 구비되어 세정액의 유동 방향을 전환시키는 유로전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는, 베이스부재과 덮개부재의 이중막 구조이면서 연통홀과 연결홀 내 직경을 달리함으로써, 구강 내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키고 치아, 잇몸 등 구강 내 전범위에 걸쳐 균일하게 세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마우스피스 내부에 세정돌기를 구비함으로써, 세정액을 음압 조정하여 마우스피스 내부로의 유입 시, 마우스피스가 반복적으로 수축/ 팽창하는 동시에, 아울러 선택적으로 사용자에게 반복적으로 마우스피스를 약하게 물게 할 경우, 마우스피스의 변형에 따라 내측면의 세정돌기가 치아와 잇몸 사이의 이물질을 물리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구강 세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세정액 탱크에서 나온 세정액이 마우스피스를 통해 폐순환 경로를 따라 진공압에 의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이물이 포함된 세정액이 외부로 튀는 현상을 차단해 장소 구애에 상관없이 간편하게 구강 관리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로전환수단을 이용해 마우스피스 내부에 흐르는 세정액의 유동 경로를 가변시킴으로써 세정액은 물론 공기를 투입해 마우스피스 내부에서 와류와 공기방울을 형성해 구강 내 세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마우스피스 내부에 돌출 형성되거나 부착된 세정돌기가 치아와 잇몸의 이물을 물리적으로 제거 시, 세정액의 순환에 의해 세정돌기의 움직임을 부여해, 보다 효과적인 구강 세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를 이용한 구강세정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유로전환수단의 분리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유로전환수단의 동작 상태도,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에서 세정액의 유동경로를 보인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에서 세정액의 유동경로를 보인 단면도,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의 내부 수축, 팽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제어 유로전환수단이 구비된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를 이용한 구강세정장치의 개략적인 상태도,
도 11a 내지 도 11d는 도 10에서 전자제어 유로전환수단을 구동해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를 이용한 구강세정장치의 유동경로를 보인 상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내지 기능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를 이용한 구강세정장치(1)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10)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10)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10)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유로전환수단(510)의 분리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유로전환수단(510)의 동작 상태도,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10)에서 세정액의 유동경로를 보인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10)에서 세정액의 유동경로를 보인 단면도,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10)의 내부 수축, 팽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제어 유로전환수단(520)이 구비된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를 이용한 구강세정장치(1)의 개략적인 상태도, 도 11a 내지 도 11d는 도 10에서 전자제어 유로전환수단(520)을 구동해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를 이용한 구강세정장치(1)의 유동경로를 보인 상태도이다.
도 1에 예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를 이용한 구강세정장치(1)는,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10)와 공급라인(20), 배출라인(30), 흡입펌프(40), 유로전환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라인(60)과 제2 라인(70), 세정액 탱크(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4에 예시된 것과 같이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이하, '마우스피스'라 명명한다)(10)는, 사용자의 치열을 감싸도록 잇몸에 삽입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마우스피스(10)가 치열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흡입펌프(40)를 동작시키면 배출라인(30)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게 되고, 마우스피스(10)와 치열 사이 공간에 공기가 흡입되면서 마우스피스(10)의 내측면이 잇몸에 밀착되며 진공압을 형성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진공압에 의해 공급라인(20)을 통해 세정액이 마우스피스(10)로 유입되어 치열 사이를 통과하며, 치아 세정에 사용된 세정액은 배출라인(30)을 통해 세정액 탱크(80)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마우스피스(10)는, 베이스부재(110)와 덮개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재(110)와 덮개부재(120)는, 실리콘과 같은 연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부재(110)와 덮개부재(120)는 흡입펌프(40)의 흡입력에 의하여 잇몸에 밀착되는 등 공간(E) 내부가 수축 또는 팽창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축에 의한 공간(E)에 진공압이 발생하면 덮개부재(120)의 테두리부가 베이스부재(110)의 삽입홈에 밀착 결합됨으로써, 세정액이 마우스피스(10) 외부로 누수 되지 않으면서도 공간(E) 내에서 유동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에 예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부재(110)는, 치열을 감싸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말발굽 형상일 수 있다. 더 나아가 베이스부재(110)는 외측과 내측에서 치열을 감싸는 구조인데, 치열에 맞닿는 내측면의 두께가 외측의 두께보다 길 수 있다. 이는 구강 구조상 입술이 닿는 외측보다 내측의 입천장이나 입 안쪽의 깊이가 깊기 때문이다.
마우스피스(10)는, 상부 치열과 하부 치열 각각에 장착시키는 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부재(110)의 내측면과 외측면의 길이를 달리함으로써, 구강 내측 안착면적을 높일 수 있고 사용자의 구강 내 장착 시에도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하부 치열에서는 내측에 혀가 위치해, 내측 치열을 내리누르는 구조로 내측 부위에 실링부재(115)가 불필요하며, 상부 치열의 경우 입천장이 경사져 있어, 베이스부재(110)의 내측 면이 길게 결착되면서 그 자체로 밀봉해주는 역할을 하므로 상부 내측을 위해서도 실링부재(115)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러한 베이스부재(110)는, 치열 측으로 세정액이 통과되도록 복수개의 연통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결합돌기(113)와 세정돌기(114), 실링부재(115)를 포함하며, 슬릿(116)과 소대 절개부(117)가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통홀(111, 112)은, 사용자 치열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1 연통홀(111)과, 치열의 외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2 연통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통홀(111)은, 복수개의 홀로, 제1 연결홀(121)과 제1 공간(E1)을 통해 제1 라인(60)에 연통될 수 있으며, 제2 연통홀(112)은, 제2 연결홀(122)과 제2 공간(E2)을 통해 제2 라인(70)에 연통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b에 예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부재(110)와 덮개부재(120) 사이의 공간(E)은, 길이방향의 치열을 중심으로 내측의 제1 공간(E1)과 외측의 제2 공간(E2)로 구획될 수 있다. 제1 공간(E1)은, 제1 연결홀(121)을 통해 제1 라인(6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공간(E2)은, 제2 연결홀(122)을 통해 제2 라인(7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b에 예시된 것과 같이 결합돌기(113)는, 베이스부재(110) 중에서 덮개부재(120)의 테두리에 맞닿는 부분을 따라 외측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돌기(113)는, 베이스부재(110) 또는 덮개부재(120) 중 어느 하나는 서로 맞닿는 공간부분을 향하여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삽입홈을 형성하고, 역으로 마주보는 덮개부재(120) 또는 베이스부재(110)의 테두리부가 삽입홈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도 2b, 도 4, 도 9a 내지 도 9b에 예시된 것과 같이, 세정돌기(114)는, 베이스부재(110)의 내측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데, 베이스부재(110)와 일체를 이루거나 별개의 구성으로 부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세정돌기(114)는, 베이스부재(110)의 내측면에 복수개가 이격되어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흡입펌프(40)의 흡입력 또는 유로전환수단(50)에 의하여 베이스부재(110)와 치열 사이의 공간을 수축과 팽창하게 되고 반복적인 수축, 팽창으로 인한 맥동 현상이 발생해, 치아나 치아 사이, 나아가 잇몸에서 세정돌기(114)의 움직임은 칫솔질과 같이, 구강 내 이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세정돌기(114)는, 흡입펌프(40)의 작동력에 따라 수축 및 팽창되는 마우스피스(10) 내측에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치아와 물리적 접촉 및 수류에 의한 구강 내 세정을 도모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b, 도 4에 예시된 것과 같이 실링부재(115)는, 베이스부재(110) 또는 덮개부재(120) 각각 또는 양측 모두의 테두리에서 외측 방면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실링부재(115)는, 외측 치열 면이 입술에 맞닿아 있고 이빨 뿌리 부분과 입술, 또는 볼 조직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구강 구조를 반영해, 마우스피스(10)를 구강 내 밀착시키기 위해 베이스부재(110)에 별도 접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에 예시된 것과 같이 슬릿(116)은, 베이스부재(110) 또는 덮개부재(120) 각각 또는 양측 모두에 형성되는데, 그중에서도 어금니 측 단부에 종 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된 절개부이다. 더욱 자세하게 슬릿(116)은, 베이스부재(110)가 길게 연장 형성될 경우 베이스부재(110)에, 덮개부재(120)가 길게 연장 형성될 경우 덮개부재(120)에, 베이스부재(110)와 덮개부재(120)의 높이를 같게 하여 접착할 경우에는 베이스부재(110)와 덮개부재(120) 양쪽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치열의 뒤쪽에 위치한 어금니와 맞닿는 잇몸은 끝이 움푹 파여 있는 반면, 하부의 경우 뒤쪽 어금니와 맞닿는 잇몸이 그대로 연장 형성되어 있어, 상부와 하부 구조는 서로 다르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을 고려해 베이스부재(110)의 단부에 슬릿(116)을 구비함으로써, 하부 치열에 마우스피스(10)를 안착시키면 베이스부재(10)에서 슬릿 절개부가 들리면서 잇몸 부위에 걸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b에 예시된 것과 같이 소대 절개부(117)은, 베이스부재(110)가 길게 연장 형성될 경우 베이스부재(110)에, 덮개부재(120)가 길게 연장 형성될 경우 덮개부재(120)에, 베이스부재(110)와 덮개부재(120)의 높이를 같게 하여 접착할 경우에는 베이스부재(110)와 덮개부재(120) 양쪽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b에 예시된 대로 소대 절개부(117)는, 베이스부재(110)의 외측과 내측 테두리 정중앙 끝단부, 실링부재(115)의 정중앙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위에서 제시한 대로 특정 위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소대 절개부(117)를 구비함으로써, 마우스피스(10)를 상부 치열과 하부 치열 각각에 장착시킬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 외측 소대 절개부(117)는, 상부 치열에 마우스피스(10)를 장착 시 외측 치열과 윗입술 내측 사이에 위치한 소대가 놓일 수 있도록 베이스부재(110) 또는 덮개부재(120), 실링부재(115)에 소정의 길이로 절개 형성될 수 있다. 내측 소대 절개부(117)는, 하부 치열에 마우스피스(10)를 장착 시 내측 치열과 혀 내측에 위치한 소대가 놓일 수 있도록 베이스부재(110) 또는 덮개부재(120)에 소정의 길이로 절개 형성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에 예시된 것과 같이 덮개부재(120)는, 베이스부재(110) 일정 면적부분의 외면을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덮개부재(120)는, 연결홀(121, 122)을 포함하며, 간극조절돌기(12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에 예시된 것과 같이 연결홀(121, 122)은, 덮개부재(120)의 외측 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홀(121, 122)은, 베이스부재(110)로 세정액을 유입하거나 외부로 세정액을 배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연결홀(121, 122)은, 치열을 기준으로 내측부의 제1 연결홀(121)과 외측부의 제2 연결홀(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홀(121)은, 제1 공간(E1)을 제1 라인(60)에 연결시킬 수 있다. 제2 연결홀(122)은, 제2 공간(E2)을 제2 라인(70)에 연결시킬 수 있다.
도 4에 예시된 것과 같이 간극조절돌기(123)는, 베이스부재(110)와 덮개부재(12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간극조절돌기(123)는, 베이스부재(110)의 외측 또는 덮개부재(120)의 내측 어느 한 방향에 구비되면 족하다.
더 나아가 간극조절돌기(123)는, 흡입펌프(40)의 작동으로 베이스부재(110)와 덮개부재(120) 사이에 수축 및 팽창이 반복적으로 일어날 경우에도, 베이스부재(110)와 덮개부재(120) 사이의 공간 상 내부 간극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 예시된 것과 같이 마우스피스(10)는, 베이스부재(110)와 덮개부재(120) 사이에 공간(E)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중 일부분의 접합부(124)를 형성할 수 있다.
접합부(124)는, 베이스부재(110)와 덮개부재(120)가 맞대어, 일부분, 예컨대 길이방향으로 일정 영역의 면적이 접착되는 것으로, 다른 나머지 영역은 분리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접합부(124)는 길이방향 이외 부분에 접합부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합부(124)는 2개 공간 이상으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합부(124)는, 베이스부재(110)와 덮개부재(120)가 마주하는 공간(E)을 세척하기 위하여 공간(E)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베이스부재(110)와 덮개부재(120) 두 부재를 서로 이격시킬 때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접합부(124)가 구비됨으로써, 베이스부재(110)와 덮개부재(120) 사이의 공간(E)은 2개의 공간(E1, E2)으로 분리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10)를 세척 시 접합부(124)로 고정된 상태에서 덮개부재(120)를 베이스부재(110)로부터 일부 분리하여, 베이스부재(110)와 덮개부재(120)가 마주하는 면을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마우스피스(10) 내 공간(E)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b에 예시된 것과 같이 제1 공간(E1)은, 제1 연결홀(121)을 통하여 제1 라인(6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공간(E2)은, 제2 연결홀(122)을 통하여 제2 라인(7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것과 같이 공급라인(20)은, 일 방향으로는 유로전환수단(50)을 사이에 두고 마우스피스(10)와 연결되고, 타 방향으로는 세정액 탱크(80)와 연결될 수 있다. 배출라인(30)도, 같은 방법으로 마우스피스(10)와 세정액 탱크(80)를 연결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 공급라인(20)은, 유로전환수단(50)의 제어를 통하여 제1 연통홀(111)과 제2 연통홀(112) 중 어느 하나와 세정액 탱크(80)를 연결하고, 배출라인(30)도 이와 마찬가지로 유로전환수단(50)의 제어를 통해 제1 연통홀(111)과 제2 연통홀(112) 중 공급라인(20)에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다른 하나와 세정액 탱크(80)를 연결할 수 있다.
공급라인(20)과 배출라인(30)은 상호 배타적으로, 유로전환수단(50)의 제어에 의하여 제1 연통홀(111) 및 제2 연통홀(112)에 교차 연결될 수 있다. 즉 공급라인(20)이 제1 연통홀(111)에 연결되면, 배출라인(30)은 제2 연통홀(112)에 연결될 수 있다. 흡입펌프(40)가 작동 시 세정액 탱크(80)의 세정액이 공급라인(20)과 제1 연통홀(111)을 통해 베이스부재(110) 내측에 유입된 후 치아를 세정하고 역으로 제2 연통홀(112)과 배출라인(30)을 통해 세정액 탱크(80)로 배출된다.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도 1에 예시된 것과 같이 흡입펌프(40)는, 배출라인(30)에 흡입력을 제공하여 베이스부재(110)의 삽입부(미도시), 즉 마우스피스(10)를 사용자의 잇몸에 밀착시키고, 공급라인(20)을 거쳐 세정액을 삽입부(미도시)로 흡입시키고 다시 배출라인(30)을 통해 세정액을 배출하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흡입펌프(40)는, 베이스부재(100)의 삽입부(미도시)와 치아 사이의 공간 내 진공압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흡입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러한 흡입펌프(40)의 흡입력 조정에 의해 세정액 탱크(80)에서 마우스피스(10)로 흐르는 세정액에 맥동 현상을 일으켜 보다 효과적으로 구강 내 치열을 세정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1d에 예시된 것과 같이 유로전환수단(50)은, 공급라인(20)과 배출라인(30)에 구비되어 세정액의 유동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유로전환수단(50)은, 공급라인(20)과 배출라인(30)에 구비되어 세정액의 순환 방향을 전환하고, 마우스피스(10)와 치열 사이의 공간에 와류 현상을 발생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즉 유로전환수단(50)은, 제1 연결홀(121)과 제2 연결홀(122)을, 공급라인(20)과 배출라인(30)에 각각의 유동경로를 형성하며 연결시킬 수 있다. 유로전환수단(50)은, 공급라인(20)과 제1 연결홀(121)을 연결하고 배출라인(30)과 제2 연결홀(122)을 연결하는 제1 유동경로와, 공급라인(20)이 제2 연결홀(122)을 연결하고 배출라인(30)과 제1 연결홀(121)을 연결하는 제2 유동경로로 세정액을 유동시키거나, 공급라인(20)을 차단시키고 제1 연결홀(121)과 제2 연결홀(122) 중 어느 하나를 공기 중에 연결시키며 다른 하나를 배출라인(30)에 연결하여 마우스피스(10)와 치열 사이의 공간에 공기를 유입시켜 공간이 팽창되도록 연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로전환수단(50)은, 기계식으로 유로를 전환하는 기계식 유로전환수단(510) 또는 전자식으로 유로를 전환하는 전자제어 유로전환수단(520) 일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5 내지 도 6c에 예시된 것과 같이 기계식 유로전환수단(510)은, 마우스피스(10)의 제1 연통홀(111)과 연통된 제1 라인(60)이 연결된 제1 라인 노즐(511c)과, 마우스피스(10)의 제2 연통홀(112)과 연통된 제2 라인(70)이 연결된 제2 라인 노즐(511d)이 형성 마련된 마우스피스 커넥터(511)와, 공급라인(20)이 연결된 공급라인 노즐(512e)과 배출라인(30)이 연결된 배출라인 노즐(512d)이 형성 마련된 세정액 탱크 커넥터(512), 그리고 마우스피스 커넥터(511)와 세정액 탱크 커넥터(512) 사이에 구비되어 축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세정액의 유동방향을 전환하는 유로전환 커넥터(5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유로전환 커넥터(513)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유로전환 구동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유로전환 구동수단(미도시)은, 유로전환 커넥터(513)에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우스피스 커넥터(511)는 제1 라인(60)을 통해 마우스피스(10)의 제1 연통홀(111)과 연통되며 복수개로 이루어진 제1 라인 연통홀(511a)과, 제2 라인(70)을 통해 마우스피스(10)의 제2 연통홀(112)과 연통되며 복수개로 이루어진 제2 라인 연통홀(511b)이 형성 마련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라인 연통홀(511a)과 제2 라인 연통홀(511b)은, 마우스피스 커넥터(51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어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제1 라인 연통홀(511a)은, 제1 라인 노즐(511c)과 연통되고, 복수개의 제2 라인 연통홀(511b)은, 제2 라인 노즐(511d)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라인 연통홀(511a)은 제1 라인 노즐(511c)을 통하여 제1 라인(60)과 연결되고, 제2 라인 연통홀(511b)은, 제2 라인 노즐(511d)을 통하여 제2 라인(70)과 연결될 수 있다.
세정액 탱크 커넥터(512)는, 마우스피스 커넥터(511)와 동일 축 상에 배치되어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세정액 탱크 커넥터(512)는, 공급라인(20)과 연통된 복수개의 공급라인 연통홀(512a)과, 배출라인(30)과 연통된 복수개의 배출라인 연통홀(512b), 공기가 드나들 수 있도록 에어홀(512c)이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공급라인 연통홀(512a)과 배출라인 연통홀(512b), 에어홀(512c)은 제1 라인 연통홀(511a)과 제2 라인 연통홀(511b) 각각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 마련될 수 있다.
유로전환 커넥터(513)는, 마우스피스 커넥터(511)와 세정액 탱크 커넥터(512) 사이에 배치 마련되며, 동일 축 상에서 회전하며 마우스피스 커넥터(511)에 형성된 복수의 홀과 세정액 탱크 커넥터(512)에 형성된 복수의 홀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또한 유로전환 커넥터(513)는, 한 쌍의 연통홀(513a)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게 형성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식 유로전환수단(510)의 동작 방법을 살펴볼 경우, 마우스피스 커넥터(511)와 세정액 탱크 커넥터(512)는, 고정 결합되어 있고, 유로전환 커넥터(513)가 마우스피스 커넥터(511)와 세정액 탱크 커넥터(512) 사이에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연통홀(513a)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연통홀(513a)의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연결 유로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세정액의 유입, 배출되는 유로 방향의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피스 커넥터(511)는 3개의 제1 라인 연통홀(511a)이 서로 이웃하여 형성 마련되고, 3개의 제2 라인 연통홀(511b)도 서로 이웃하여 형성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세정액 탱크 커넥터(512)도 3개의 공급라인 연통홀(512a)과 3개의 배출라인 연통홀(512b), 1개의 에어홀(512c)이 형성 마련될 수 있다.
유로전환 커넥터(513)가 축 회전에 의하여 도 6a에 예시된 상태로 연통홀(513a)의 위치가 조절될 경우, 연통홀(513a)은, 제1 라인 연통홀(511a)과 공급라인 연통홀(512a)을, 제2 라인 연통홀(511b)과 배출라인 연통홀(512b)을 각각 연통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6a와 도 7b,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피스(10)의 제1 연통홀(111)을 통해 세정액이 유입되고, 제2 연통홀(112)을 통하여 세정액이 배출될 수 있다.
또 다른 동작 상태로 유로전환 커넥터(513)를 회전시켜 도 6b와 같이 연통홀(513a)을 배치시키면, 유로전환 커넥터(513)의 연통홀(513a)은 제1 라인 연통홀(511a)과 배출라인 연통홀(512b)을 연통시키고, 제2 라인 연통홀(511b)과 공급라인 연통홀(512a)을 연통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7a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피스(10)의 제2 연통홀(112)을 통하여 세정액이 유입되고, 제1 연통홀(111)을 통하여 세정액이 배출되어, 세정액의 유동 경로를 변경시킬 수 있다.
또 다른 동작 상태로 유로전환 커넥터(513)를 회전시켜 도 6c와 같이 연통홀(513a)을 배치시키면, 유로전환 커넥터(513)의 연통홀(513a)은 제1 라인 연통홀(511a)과 에어홀(512c)을 연통시키고, 제2 라인 연통홀(511b)과 배출라인 연통홀(512b)을 연통시켜 마우스피스(10)와 치열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진공 압력을 낮춰 수축되어 있던 마우스피스(10)와 치열 사이의 공간을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시킬 수 있다.
유로전환 구동수단(미도시)으로 유로전환 커넥터(513)를 반복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마우스피스(10)와 치열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세정액의 유동 경로(제1 유동경로와 제2 유동경로와의 전환)를 바꿔가며, 임의 시간동안 공기를 유입시켜 마우스피스(10)와 치열 사이의 공간에 유입되어 저장된 세정액 내 와류와 공기방울을 일으킴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구강 및 치아를 세정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10 내지 도 11d에 예시된 것과 같이 전자제어 유로전환수단(520)은, 제1 라인 분기수단(521)과 제2 라인 분기수단(522), 전자제어식 밸브(523), 전자제어식 밸브 제어부(5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공급라인 분기수단(525)과 배출라인 분기수단(526), 에어홀라인(52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라인 분기수단(521)은, 일 측에 제1 라인(60)을, 타 측으로 공급라인(20)과 배출라인(30), 대기(830)로 연통될 수 있다.
제2 라인 분기수단(522)은, 일 측에 제2 라인(70)을, 타 측으로 공급라인(20)과 배출라인(30), 대기(830)로 연통될 수 있다.
전자제어식 밸브(523)는, 전자제어식 밸브 제어부(524)의 가변 제어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전자제어식 밸브(523)는, 세정액 탱크(80) 내 세정액과 대기(830) 중의 공기를 제1 라인(60)과 제2 라인(70)을 통해 마우스피스(10)로 선택적으로 공급 내지 배출 제어할 수 있다.
전자제어식 밸브 제어부(524)는, 사용자의 동작 신호에 의해 제1 유동경로에서 제2 유동경로로, 또는 제2 유동경로에서 제1 유동경로로 전자제어식 밸브(523)의 유로를 전환시킬 수 있다.
공급라인 분기수단(525)은, 일 측에 공급라인(20)을, 타 측으로는 제1 라인(60) 또는 제2 라인(70)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배출라인 분기수단(526)은, 일 측에 배출라인(30)을, 타 측으로는 제1 라인(60) 또는 제2 라인(70)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에어홀라인(527)은, 일 측은 대기(830)와 연결되고, 타 측으로는 제1 라인(60) 또는 제2 라인(70)과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전자제어 유로전환수단(520)의 동작 상태를 살펴볼 경우, 제1 라인 분기수단(521)과 제2 라인 분기수단(522)은, 일단은 제1 라인(60)과 제2 라인(70) 각각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급라인(20)과 배출라인(30) 각각에 연결되도록 공급라인 분기수단(525)과 배출라인 분기수단(526)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홀라인(527)은 별도의 분기수단 없이 대기(830) 중으로 각각 개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1 라인 분기수단(521)과 제2 라인 분기수단(522)은, 전자제어식 밸브(523)의 개폐 조작에 의 개폐 작동될 수 있다.
전자제어식 밸브 제어부(524)는, 마우스피스(10)로 세정액을 주입시키기 위하여 전자제어식 밸브(52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1a에 예시된 대로 전자제어식 밸브(523) 조작에 의해 제1 라인 분기수단(521)에서 제1 라인 공급 밸브(523a)를 개방시키고, 제1 라인 배출 밸브(523c)와 제1 라인 에어홀 밸브(523e)를 차단시키며, 그와 동시에 제2 라인 배출 밸브(523d)를 개방시키고, 제2 라인 공급 밸브(523b)와 제2 라인 에어홀 밸브(523f)를 차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11a에 도시된 대로 세정액 탱크(80)의 세정액 공급부(810)로부터 마우스피스(10)의 제1 연통홀(111)로 세정액이 유입되고, 제2 연통홀(112)을 통하여 세정액 배출부(820)로 이물이 포함된 세정액이 배출될 수 있다.
도 11b에 예시된 대로 전자제어식 밸브(523) 조작에 의해 제1 라인 에어홀 밸브(523e)를 개방시키고, 제1 라인 공급 밸브(523a)와 제1 라인 배출 밸브(523c)를 차단시키며, 그와 동시에 제2 라인 배출 밸브(523d)를 개방시키고, 제2 라인 공급 밸브(523b)와 제2 라인 에어홀 밸브(523f)를 차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 라인 공급 밸브(523a)와 제2 라인 공급 밸브(523b)는 공급라인(20)과 3방 분기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3방 분기식 연결로 인하여 제1 라인 공급 밸브(523a)와 제2 라인 공급 밸브(523b) 중 어느 하나는 반드시 개방되므로, 그로 인하여 마우스피스(10)로 공급되는 공기에 일부 세정액이 포함될 수 있으나, 마우스피스(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흡입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러한 3방 분기식 연결은, 각각의 2방 밸브인 경우에 비해 전체 밸브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830) 중으로부터 마우스피스(10)의 제1 연통홀(111)로 공기가 유입되며, 마우스피스(10)와 치열 사이의 공간 내 진공 압력을 낮추어 수축되어 있던 마우스피스(10) 내부 공간(E) 및 마우스피스(10)와 치열 사이의 공간을 팽창시키며, 제1 공간(E1)에서 제2 공간(E2)으로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도 11c에 예시된 대로 전자제어식 밸브(523) 조작에 의해 제1 라인 배출 밸브(523c)를 개방시키고, 제1 라인 공급 밸브(523a)와 제1 라인 에어홀 밸브(523c)를 차단시키며, 그와 동시에 제2 라인 공급 밸브(523b)를 개방시키고, 제2 라인 배출 밸브(523d)와 제2 라인 에어홀 밸브(523f)를 차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액 탱크(80)의 세정액 공급부(810)로부터 마우스피스(10)의 제2 연통홀(112)로 세정액이 유입되고, 제1 연통홀(111)을 통하여 세정액 배출부(820)로 이물이 포함된 세정액이 배출될 수 있다.
도 11d에 예시된 대로 전자제어식 밸브(523) 조작에 의해 제1 라인 배출 밸브(523c)를 개방시키고, 제1 라인 공급 밸브(523a)와 제1 라인 에어홀 밸브(523e)를 차단시키며, 그와 동시에 제2 라인 에어홀 밸브(523f)를 개방시키고, 제2 라인 공급 밸브(523b)와 제2 라인 배출 밸브(523d)를 차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 라인 공급 밸브(523a)와 제2 라인 공급 밸브(523b)는 공급라인(20)과 3방 분기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3방 분기식 연결로 인하여 제1 라인 공급 밸브(523a)와 제2 라인 공급 밸브(523b) 중 어느 하나는 반드시 개방되므로, 그로 인하여 마우스피스(10)로 공급되는 공기에 일부 세정액이 포함될 수 있으나, 마우스피스(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흡입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러한 3방 분기식 연결은, 각각의 2방 밸브인 경우에 비해 전체 밸브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830) 중으로부터 마우스피스(10)의 제2 연통홀(112)로 공기가 유입되며, 마우스피스(10)와 치열 사이의 공간 내 진공 압력을 낮추어 수축되어 있던 마우스피스(10) 내부 공간(E) 및 마우스피스(10)와 치열 사이의 공간을 팽창시키며 제2 공간(E2)에서 제1 공간(E1)으로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d에 예시된 대로, 유로전환 과정이 반복되면서 계속적이며 끊임없는 세정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전자제어식 밸브(523)를 구상하는 각각의 밸브(523a 내지 523f)는 필요에 따라 각각 낱개의 밸브이거나, 다수의 밸브가 결합된 일체의 것으로 기능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것과 같이 세정액 탱크(80)의 세정액 공급부(810)로부터 마우스피스(10)의 제1 연통홀(111)로 세정액이 유입되고 제2 연통홀(112)을 통하여 세정액 배출부(820)로 이물이 포함된 세정액이 배출되거나, 역으로 제2 연통홀(112)로 세정액이 유입되고 제1 연통홀(111)을 통하여 세정액 배출부(820)로 이물이 포함된 세정액이 배출될 수 있다.
세정액 탱크(80)는, 사용 전 세정액을 수용하는 세정액 공급부(810)와 사용자의 구강 세정에 따른 이물이 포함된 세정액을 수용하는 세정액 배출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정액 공급부(810)는, 공급라인(20)을 통해 제1 라인(60) 또는 제2 라인(70)과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세정액 배출부(820)는, 세정액 공급부(810)와 상보적으로 작동하며, 배출라인(30)을 통해 제1 라인(60) 또는 제2 라인(70)과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를 이용한 구강세정장치
10 :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
110 : 베이스부재 111 : 제1 연통홀
112 : 제2 연통홀 113 : 결합돌기
114 : 세정돌기 115 : 실링부재
116 : 슬릿 117 : 소대 절개부
120 : 덮개부재 121 : 제1 연결홀
122 : 제2 연결홀 123 : 간극조절돌기
124 : 접합부
E : 공간 E1 : 제1 공간
E2 : 제2 공간
20 : 공급라인
30 : 배출라인
40 : 흡입펌프
50 : 유로전환수단 510 : 기계식 유로전환수단
511 : 마우스피스 커넥터 511a : 제1 라인 연통홀
511b : 제2 라인 연통홀 511c : 제1 라인 노즐
511d : 제2 라인 노즐
512 : 세정액 탱크 커넥터
512a : 공급라인 연통홀 512b : 배출라인 연통홀
512c : 에어홀 512d : 배출라인 노즐
512e : 공급라인 노즐
513 : 유로전환 커넥터 513a : 연통홀
520 : 전자제어 유로전환수단
521 : 제1 라인 분기수단 522 : 제2 라인 분기수단
523 : 전자제어식 밸브 523a : 제1 라인 공급 밸브
523b : 제2 라인 공급 밸브 523c : 제1 라인 배출 밸브
523d : 제2 라인 배출 밸브 523e : 제1 라인 에어홀 밸브
523f : 제2 라인 에어홀 밸브
524 : 전자제어식 밸브 제어부
525 : 공급라인 분기수단 526 : 배출라인 분기수단
527 : 에어홀라인
60 : 제1 라인 70 : 제2 라인
80 : 세정액 탱크 810 : 세정액 공급부
820 : 세정액 배출부 830 : 대기

Claims (15)

  1. 치열을 감싸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말발굽 형상이며, 상기 치열 측으로 세정액이 통과하는 복수개의 연통홀이 형성된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외면을 감싸며, 세정액 유출입용 복수개의 연결홀이 형성된 덮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재와 덮개부재로 이루어진 이중막 사이의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부재와 덮개부재의 일부분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와 덮개부재는 일부분에서 접합부가 맞대어 상기 공간이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와 덮개부재 중 어느 하나는 서로 맞닿는 공간부분을 향하여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덮개부재는 마주보는 방향에 복수개의 간극조절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간극조절돌기는 상기 베이스부재와 덮개부재 사이의 공간 상 간극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세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와 덮개부재 중 하나 이상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와 덮개부재 중 하나 이상의 어금니 측 단부에는 종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 및 덮개부재, 실링부재 중 하나 이상에 소대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
  9.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
    상기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와 세정액 탱크를 연결하는 공급라인;
    상기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와 상기 세정액 탱크를 연결하는 배출라인;
    상기 배출라인에 흡입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를 잇몸에 밀착시켜 진공압을 형성하고, 상기 진공압에 의하여 상기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에 세정액을 공급한 후 상기 배출라인을 통해 세정액을 배출시키는 흡입펌프; 및
    상기 공급라인과 배출라인에 구비되어 세정액의 유동 방향을 전환시키는 유로전환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펌프의 작동력에 따른 세정돌기에 의한 물리적 접촉과 수류에 의한 세정을 도모하는,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를 이용한 구강세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는 베이스부재와 세정액 유출입용 복수개의 연결홀이 형성된 덮개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의 공간은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연결홀은 제1 연결홀과 제2 연결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제1 연결홀을 통해 제1 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제2 공간은 상기 제2 연결홀을 통해 제2 라인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를 이용한 구강세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홀과 제2 연결홀은, 상기 유로전환수단을 통해 상기 제1 라인과 제2 라인에 각각의 유동경로를 형성하며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를 이용한 구강세정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수단은 기계식 유로전환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기계식 유로전환수단은,
    상기 제1 라인에 연통된 복수개의 제1 라인 연통홀과, 상기 제2 라인에 연통된 복수개의 제2 라인 연통홀이 형성된 마우스피스 커넥터;
    상기 마우스피스 커넥터와 동축 상에 구비되며, 상기 공급라인에 연통된 복수개의 공급라인 연통홀과, 상기 배출라인에 연통된 배출라인 연통홀 및 에어홀이 형성된 세정액 탱크 커넥터; 및
    상기 마우스피스 커넥터와 세정액 탱크 커넥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마우스피스 커넥터에 구비된 제1 라인 연통홀과 제2 라인 연통홀을, 공급라인 연통홀과 배출라인 연통홀 및 에어홀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연통홀을 구비한 유로전환 커넥터를 포함하는,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를 이용한 구강세정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 커넥터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유로전환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유로전환 커넥터가 회전하며, 상기 연통홀의 연결 유로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를 이용한 구강세정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수단은 전자제어 유로전환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자제어 유로전환수단은,
    일단은 상기 제1 라인과 제2 라인과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공급라인과 배출라인, 에어홀에 연결되거나 상기 공급라인과 배출라인, 에어홀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전자제어식 밸브; 및
    상기 전자제어식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를 이용한 구강세정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인과 제2 라인은,
    세정액 공급부와, 세정액 배출부, 대기로 분기되도록 형성된 분기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기수단은 상기 전자제어식 밸브에 의해 상기 공급라인, 배출라인 및 에어홀 간 유로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를 이용한 구강세정장치.
KR1020160171751A 2016-02-26 2016-12-15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이용한 구강세정장치 KR201701011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15100 WO2017146366A1 (ko) 2016-02-26 2016-12-22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이용한 구강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23175 2016-02-26
KR1020160023175 2016-0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101A true KR20170101101A (ko) 2017-09-05

Family

ID=59924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751A KR20170101101A (ko) 2016-02-26 2016-12-15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이용한 구강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110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262A (ko) * 2017-06-27 2019-01-04 주식회사 닥터픽 구강 관리 장치 및 구강 관리 방법
US20210153993A1 (en) * 2018-04-13 2021-05-27 Koninklijke Philips N.V. Manifold assembly for applying whitening gels and other oral care compounds to mouthpieces
KR20210097404A (ko) 2020-01-30 2021-08-09 이효동 튜브 마우스피스
WO2023167462A1 (ko) * 2022-03-02 2023-09-07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구강세정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262A (ko) * 2017-06-27 2019-01-04 주식회사 닥터픽 구강 관리 장치 및 구강 관리 방법
US20210153993A1 (en) * 2018-04-13 2021-05-27 Koninklijke Philips N.V. Manifold assembly for applying whitening gels and other oral care compounds to mouthpieces
JP2021520912A (ja) * 2018-04-13 2021-08-2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マウスピースにホワイトニングジェル及び他のオーラルケア化合物を塗布するためのマニホールドアセンブリ
KR20210097404A (ko) 2020-01-30 2021-08-09 이효동 튜브 마우스피스
WO2023167462A1 (ko) * 2022-03-02 2023-09-07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구강세정기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724B1 (ko) 구강세정장치
CN104220023B (zh) 口腔护理清洁和处理装置
CN104302243B (zh) 牙齿清洁装置和方法
CN102573696B (zh) 口腔护理装置
KR20170101101A (ko)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이용한 구강세정장치
US3731675A (en) Dental cleaning apparatus
EP1506746B1 (en) Dental system for supplying a cleaning solution to a user&#39;s teeth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US201602963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al of dental biofilm using irrigation
CN113766895B (zh) 用于定制化和个性化的口腔冲洗器的系统和方法
KR20190014870A (ko) 마우스피스 및 구강 관리 장치
KR101460227B1 (ko) 단일 콤프레셔 기반의 휴대용 구강 청결 장치
KR101410048B1 (ko) 구강살균세정기
KR101967914B1 (ko) 구강 관리 장치 및 구강 관리 방법
JPH0664522U (ja) 歯科用口腔内清掃具
KR20190065678A (ko)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 장치
CN215080031U (zh) 一种牙齿清洁牙套
KR20180118323A (ko) 구강세정장치
TWI749457B (zh) 注射清潔劑的方法以及相關聯的口腔護理器械
CN215080066U (zh) 一种牙齿清洁智能控制系统
CN215130608U (zh) 一种用于清洁的牙套
KR102611517B1 (ko) 틀니 세척기
CN211023241U (zh) 一种多方位冲牙器
CN209059499U (zh) 一种急危重症口部护理装置
KR20230161533A (ko) 스마트 구강 세정기
KR101651599B1 (ko) 구강 세척기를 이용한 잇몸 마사지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