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449Y1 - 어깨 워머 - Google Patents

어깨 워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449Y1
KR200489449Y1 KR2020190000742U KR20190000742U KR200489449Y1 KR 200489449 Y1 KR200489449 Y1 KR 200489449Y1 KR 2020190000742 U KR2020190000742 U KR 2020190000742U KR 20190000742 U KR20190000742 U KR 20190000742U KR 200489449 Y1 KR200489449 Y1 KR 2004894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mer
shoulder
fixing part
worn
warm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7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희
Original Assignee
김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희 filed Critical 김영희
Priority to KR20201900007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4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4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4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1Heated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12Neck or shoulders ar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8Warming pads, pans or mats; Hot-water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29Arm or parts thereof
    • A61F2007/003Shoul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25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 A61F2007/023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connected to or incorporated in clothing or gar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체에 착용되면서 어깨 부위를 덮어서 보온할 수 있는 어깨 워머에 관한 것으로, 보온성을 갖는 섬유소재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폭 및 길이를 갖는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양 어깨를 덮을 수 있도록 착용되면서 착용부위를 보온하는 워머본체; 및 상기 워머본체의 양단부에 각각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양팔이 각각 끼워지면서 상기 워머본체를 신체에 착용시키는 팔끼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어깨 워머{SHOULDER WARMER}
본 고안은 어깨 워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에 착용되면서 어깨 부위를 덮어서 보온할 수 있는 어깨 워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체온이 찬 기운에 노출되면 각 감각기관으로부터 등줄기로 전해지는 찬 기운에 의해 오한과 두통 및 발열이 생기면서 쉽게 감기에 걸릴 수 있다.
특히, 한의학에서는 뒷목 아래(어깨뼈 사이의 제 2, 3번 흉추사이)에 위치한 풍문혈을 통해 찬바람이 체내로 들어오고 나가게 되면서 추위를 느끼거나 감기에 걸리는 원인으로 진단하였는바, 상기 풍문혈을 따듯하게 하여 감기를 예방 및 처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이 추위를 느낄 때 체온을 따뜻하게 유지되도록 속옷은 물론 여러겹의 겉옷을 겹쳐서 착용하고 있으나, 여러 겹으로 옷을 껴입을 경우에는 행동이 부자연스러운 불편함과 함께 옷에 의해 몸매가 가려지면서 맵시가 떨어지게 되는 취약점이 있었다.
또한, 의복문화의 발달과 더불어 건전지를 전원으로 발열작용을 하는 기능성 조끼 및 점퍼 등도 등장한 바 있으나, 이 경우에는 건전지의 사용으로 인하여 비용이 과중한 비경제적인 문제점과 더불어 건전지가 방전될 때 발열기능을 상실하여 보온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어깨에 오십견이 있거나 어깨 수술을 한 사람은 어깨에 찬 공기가 닿지 않도록 하는 어깨의 보온이 중요하며, 특히 수면 중에 어깨를 보온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수면시에는 이불만 덮고 자기 때문에 수면 중에 어깨 부분을 보호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1847호에 개시된 어깨 보온용 속옷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조끼 형태로 형성되어 상체 전체에 착용되는 것이어서 착용 상태로 활동이나 수면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1847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신체에 착용되면서 어깨 부위만을 덮어서 보온할 수 있는 어깨 워머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팔에 끼워져 착용되면서 어깨 부위를 보온함으로써 활동할 경우나 수면 중에도 분리됨이 없이 어깨 부위를 보온할 수 있는 어깨 워머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고안은 팔에 끼워지는 부분을 쉽게 분리하거나 고정할 수 있고, 팔에 끼워지는 부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어깨 워머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고안은 워머 본체의 보온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어깨 워머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어깨 워머는, 보온성을 갖는 섬유소재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폭 및 길이를 갖는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양 어깨를 덮을 수 있도록 착용되면서 착용부위를 보온하는 워머본체; 및 상기 워머본체의 양단부에 각각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양팔이 각각 끼워지면서 상기 워머본체를 신체에 착용시키는 팔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깨 워머는, 상기 워머본체의 양단부의 각각에 형성된 한 쌍의 꼭지점부를 고리형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시키면서 상기 팔끼움부를 형성하는 고리형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리형성부재는, 상기 한 쌍의 꼭지점부 중 하나의 꼭지점부에 구비되는 수형고정부; 및 상기 한 쌍의 꼭지점부 중 다른 하나의 꼭지점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형고정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워머본체의 양단부에 원통형의 상기 팔끼움부를 형성하는 암형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형고정부 또는 상기 암형고정부는, 상기 팔끼움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어깨 워머는, 상기 워머본체에 포켓형태로 형성되어 핫팩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핫팩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어깨 워머에 의하면, 워머본체의 양단부에 각각 팔끼움부가 형성되므로 신체에 용이하게 착용되면서 어깨 부위만을 덮어서 보온할 수 있으며, 활동할 경우나 수면 중에도 분리됨이 없이 어깨 부위를 보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고리형성부재에 의해 팔끼움부가 형성되므로 고리형성부재의 분리를 통해 워머본체를 용이하게 신체에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팔 끼움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신체에 맞게 착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워머본체에 형성되는 핫팩수용부에 핫팩이 삽입되므로 워머 본체의 보온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워머본체가 어깨 부분만을 덮을 수 있도록 장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외투나 상의에 비해 부피가 상대적으로 작아서 휴대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워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워머의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워머의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설명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워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워머의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워머의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워머(10)는 신체에 착용되면서 어깨 부위를 보온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머본체(100) 및 팔끼움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워머본체(100)는 양 어깨를 덮을 수 있도록 착용되면서 착용부위를 보온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워머본체(100)는 보온성을 갖는 섬유소재로 이루어지면서 소정의 폭 및 길이를 갖는 장방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후술되는 팔끼움부(200)를 통해 신체에 착용되면서 어깨 부위를 덮어서 보온할 수 있다.
이러한 워머본체(100)는 울소재와 갖은 천연섬유나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프로필렌계 섬유와 같은 합성섬유로 제작될 수 있으며, 우모소재나 솜 등과 같은 보온재가 충전된 패딩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워머본체(100)는 축열 및 발열 기능을 갖는 소재를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인체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직물의 공기층에 의해 단열 보온하는 소재나 인체에서 발산한 복사열을 의복 외로 발산시키지 않는 적외선 반사소재 또는 인체 방사 에너지를 흡수하는 소재를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외에도, 워머본체(100)는 착용부위를 보온할 수 있는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라도 무방하다.
상기 팔끼움부(200)는 워머본체(100)를 신체에 착용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팔끼움부(200)는 팔이 끼워질 수 있도록 워머본체(200)의 양단부에 각각 고리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양팔이 끼워지면서 워머본체(200)를 어깨 부위에 착용시킬 수 있다.
즉, 워머본체(100)는 팔끼움부(200)에 의해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 중앙부분에 개구부(25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양팔이 개구부(250)를 통해 팔끼움부(200)에 끼워져 걸리면서 신체에 착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팔끼움부(200)는 고리형성부재(300)에 의해 고리형태로 형성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리형성부재(3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머본체(10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꼭지점부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형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시킴으로써 팔끼움부(2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고리형성부재(3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고정부(310) 및 암형고정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형고정부(310)는 워머본체(100)의 한 쌍의 꼭지점부 중 하나의 꼭지점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암형고정부(320)는 한 쌍의 꼭지점부 중 나머지 하나의 꼭지점부에 구비되어 수형고정부(31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수형고정부(310) 및 암형고정부(320)는 서로 암수 형태로 결합되면서 워머본체(100)의 양단부에 각각 원통형의 팔끼움부(2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수형고정부(310) 및 암형고정부(320)는 서로 암수구조로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수형고정부(310) 및 암형고정부(320)는 한 쌍의 벨크로테이프, 한 쌍의 스냅단추, 단추와 단추홈 등으로 구성되어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워머본체(100)는 신체에 착용시 수형고정부(310) 및 암형고정부(320)의 체결을 통해 팔끼움부(200)를 양단부에 각각 형성하여 신체에 착용되며, 신체에서 분리할 경우에는 수형고정부(310) 및 암형고정부(320)를 분리함으로써 신체에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수형고정부(310)나 암형고정부(3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수형고정부(310)나 암형고정부(320)는 복수를 이루면서 워머본체(100)의 폭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됨으로써 암형고정부(200)의 관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팔끼움부(200)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관경으로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어깨 워머(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핫팩수용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핫팩수용부(400)는 통상의 핫팻을 수용함으로써 워머본체(100)의 보온력을 보강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핫팩수용부(400)는 워머본체(100)에 포켓형태로 형성되어 미도시된 핫팩의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핫팩수용부(400)는 핫팩이 임의로 배출되지 않도록 개폐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핫팩 수용부(400)는 워머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어깨 워머(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넥워머(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넥워머(500)는 워머본체(100)가 신체에 착용된 상태에서 목에 감기면서 목을 보온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넥워머(500)는 워머본체(10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어 소정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워머본체(100)의 일부분에 고정된 상태로 양단부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고안에 따른 어깨 워머(10)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어깨 워머(10)를 착용할 경우, 수형고정부(310) 및 암형고정부(320)를 서로 체결시켜서 워머본체(100)의 양단부에 팔끼움부(200)를 형성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양팔을 팔끼움부(200)에 끼워서 착용한다.
이에 따라 워머본체(100)는 양팔에 끼워진 상태로 어깨부위를 보온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어깨 워머(10)를 벗을 경우, 양팔을 팔끼움부(200)에서 빼서 벗거나 수형고정부(310) 및 암형고정부(320)를 분리함으로써 워머본체(100)를 신체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어깨 워머(10)는 워머본체(100)의 양단부에 각각 팔끼움부(200)가 형성되므로 신체에 용이하게 착용되면서 어깨 부위만을 덮어서 보온할 수 있고, 활동할 경우나 수면 중에도 분리됨이 없이 어깨 부위를 보온할 수 있으며, 고리형성부재(300)에 의해 팔끼움부(200)가 형성되므로 고리형성부재(300)의 분리를 통해 워머본체(100)를 용이하게 신체에서 분리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어깨 워머
100 : 워머본체
200 : 팔끼움부
300 : 고리형성부재
310 : 수형고정부
320 : 암형고정부
400 : 핫팩수용부
500 : 넥워머

Claims (5)

  1. 보온성을 갖는 섬유소재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폭 및 길이를 갖는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양 어깨를 덮을 수 있도록 착용되면서 착용부위를 보온하는 워머본체; 및
    상기 워머본체의 양단부에 각각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양팔이 각각 끼워지면서 상기 워머본체를 신체에 착용시키는 팔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워머본체의 양단부의 각각에 형성된 한 쌍의 꼭지점부를 고리형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시키면서 상기 팔끼움부를 형성하는 고리형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리형성부재는,
    상기 한 쌍의 꼭지점부 중 하나의 꼭지점부에 구비되는 수형고정부; 및
    상기 한 쌍의 꼭지점부 중 다른 하나의 꼭지점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형고정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워머본체의 양단부에 원통형의 상기 팔끼움부를 형성하는 암형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형고정부 또는 상기 암형고정부는,
    상기 팔끼움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워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 워머는,
    상기 워머본체에 포켓형태로 형성되어 핫팩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핫팩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어깨 워머.
KR2020190000742U 2019-02-22 2019-02-22 어깨 워머 KR2004894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742U KR200489449Y1 (ko) 2019-02-22 2019-02-22 어깨 워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742U KR200489449Y1 (ko) 2019-02-22 2019-02-22 어깨 워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449Y1 true KR200489449Y1 (ko) 2019-10-01

Family

ID=68164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742U KR200489449Y1 (ko) 2019-02-22 2019-02-22 어깨 워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449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4505U (ja) * 1991-03-19 1992-10-08 今新毛織株式会社 肩掛け
JP2001020111A (ja) * 1999-07-07 2001-01-23 Harue Kono 上 衣
JP2006299437A (ja) * 2005-04-18 2006-11-02 Tomokuni:Kk 肩掛け
JP2008063670A (ja) * 2006-08-07 2008-03-21 Hitomi Kato 日除け汗取りカバー
JP3147480U (ja) * 2008-09-29 2009-01-08 百合子 徳満 携帯用冷房風防護衣服
KR20130041847A (ko) 2013-03-11 2013-04-25 유태우 어깨 보온용 속옷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4505U (ja) * 1991-03-19 1992-10-08 今新毛織株式会社 肩掛け
JP2001020111A (ja) * 1999-07-07 2001-01-23 Harue Kono 上 衣
JP2006299437A (ja) * 2005-04-18 2006-11-02 Tomokuni:Kk 肩掛け
JP2008063670A (ja) * 2006-08-07 2008-03-21 Hitomi Kato 日除け汗取りカバー
JP3147480U (ja) * 2008-09-29 2009-01-08 百合子 徳満 携帯用冷房風防護衣服
KR20130041847A (ko) 2013-03-11 2013-04-25 유태우 어깨 보온용 속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872B1 (ko) 패터닝된 열 관리 재료
US9265654B2 (en) Cooling article of clothing and method of use for same
KR100666413B1 (ko) 다수개의 팬과 주머니를 가지는 에어 조끼
US20060213895A1 (en) Heater jacket
US201703036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iggering thermogenesis
US20110067163A1 (en) Convertible Sleep Shell
US7069598B1 (en) Necked garment having built-in receptacle for air activated heater
KR101142285B1 (ko) 발열위치조정이 용이한 건강 열 조끼
US20150313301A1 (en) Long-Acting Combination Lap, Body and Dual Hand Warmer
JP3177287U (ja) 全天候型電熱保温ウェア
KR200489449Y1 (ko) 어깨 워머
KR20120048070A (ko) 충전식 발열 귀마개
KR101632433B1 (ko) 발열조끼
KR200333706Y1 (ko) 면상발열체가 설치된 보온조끼
KR102052556B1 (ko) 보온성이 향상된 침낭
JP7024955B2 (ja) ブランケット
KR101203900B1 (ko) 보온의류
JP3168978U (ja) 簡易防寒ベスト
KR20130041847A (ko) 어깨 보온용 속옷
CN210581087U (zh) 一种保暖型毛呢风衣
KR102164069B1 (ko) 방한용 손가락 장갑
KR200386470Y1 (ko) 다수개의 팬과 주머니를 가지는 에어 조끼
TWM431584U (en) All-weather electric heated clothing
KR200476978Y1 (ko) 발열수단을 구비한 목 덮개
KR19990035271U (ko) 건전지/충전지를사용한전열소자가내장된의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