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291Y1 - Prefabricated house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ho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291Y1
KR200489291Y1 KR2020170001284U KR20170001284U KR200489291Y1 KR 200489291 Y1 KR200489291 Y1 KR 200489291Y1 KR 2020170001284 U KR2020170001284 U KR 2020170001284U KR 20170001284 U KR20170001284 U KR 20170001284U KR 200489291 Y1 KR200489291 Y1 KR 2004892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loor
cylindrical member
lower structure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28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02771U (en
Inventor
박준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파종합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파종합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파종합건설
Priority to KR20201700012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291Y1/en
Publication of KR201800027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77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2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29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3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three-dimensio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1/3211Structures with a vertical rotation axis or the like, e.g. semi-spherical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2001/0053Build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layout grid
    • E04B2001/0061Buildings with substantially curved horizontal cross-section, e.g. circular

Abstract

본 고안은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은 간단하게 하부구조물, 그 내부에 실내공간을 구획하거나 복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획벽체, 하부구조물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지붕형성과 함께 하부구조물의 측면벽체부와 일체감 있는 둥근 외형의 주택을 간단히 현장에서 조립하는 시공으로 소형펜션, 방갈로, 임대주택 등의 활용도가 높고, 자연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시공 및 해체가 가능하며, 직사각형으로 된 기본 상자형의 조립식 주택의 실내 공간에 비해 외형미는 물론, 실내 측 인테리어가 뛰어나며, 외력 및 강풍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튼실한 조립식 주택을 제공하고, 나아가 소형 베란다 및 비상탈출기능을 제공하는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idea that an eco-friendly prefabricated house has a simple structure including a lower structure, a partition wall for dividing an indoor space or forming a multi-layer inside thereof, and a roof structure formed by covering an open upper portion of the lower structure with a side wall portion of the lower structur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nd disassemble a small-sized house with a simple structure in the field, and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nd dismantle a small pension, a bungalow, a rental house, etc. without hurting na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co-friendly type prefabricated house which provides a compact prefabricated house which is excellent in indoor interior, can withstand external force and strong wind, and further provides a small veranda and an emergency escape function.

Description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PREFABRICATED HOUSE}Environmentally Friendly Prefabricated House {PREFABRICATED HOUSE}

본 고안은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이동식으로 지면으로부터 안착시키는 조립식 주택을 제공하는 것으로, 주문에 의한 현장시공이 간단하고, 자연을 해치지 않는 친환경 공법에 의해 각종 방갈로, 평수가 작은 펜션 등으로 적합하며, 특히 실내 공간을 구획하는 공사 없이 단층 또는 복층의 선택에 따라 실내공간을 선택할 수 있으며, 강풍에 강한 외형의 미감을 갖고, 복층에 바닥 일체형 회동도어와, 이의 바닥에 마련된 비상탈출수단을 통해 화재 시 비상탈출로를 제공하는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co-friendly type prefabricated house,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prefabricated house which is movable from a floor to a floor, and is easy to construct by ordering, and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can be selected as a single room or a multi-storey room without any work for partitioning the interior space. The interior space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single room or the multi-store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co-friendly prefabricated house which provides an emergency escape route in case of a fire through a prepared emergency escape means.

일반적으로 지반에 고정되어 영구 혹은 반영구적으로 건축되는 건축물과 비교해, 이동이 가능하거나 조립과 해체가 용이한 건축물을 가설 건축물이라고 한다.Compared with buildings that are usually fixed on the ground and built permanently or semi-permanently, the buildings that can be moved or that are easy to assemble and dismantle are referred to as temporary buildings.

이러한 가설 건축물로는 컨테이너 하우스, 조립식 주택, 포터블 하우스 등이 있다.These hypothetical buildings include container houses, prefabricated houses, and portable houses.

컨테이너 하우스는 건축의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주택 건축 현장의 사무실, 경비실, 창고, 일반사무실, 대기실, 숙소, 간이 휴게실 등 다양한 용도로 제작,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주택, 별장, 캠핑장, 지자체 및 국제행사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전시실, 다용도실 등의 용도로도 적용되고 있다.Container house is constructed and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such as office building, security room, warehouse, general office, waiting room, accommodation, simple rest room, and so on. It is also used for exhibition rooms, utility rooms, etc. that can be used for camping grounds, municipalities and international events.

이하에서는 컨테이너 하우스 등의 가설 건축물을 조립식 주택으로 통칭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temporary building such as a container house will be referred to as a prefabricated house.

통상적으로 알고 있거나 흔히 보았던 조립식 주택은 박스 형태의 건축물을 특정 장소에서 미리 조립하고, 완성된 건축물을 필요한 장소로 운반시킨 후 현장에 설치하는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다. 조립식 주택은 박스 형태의 건축물을 그 제작 장소에서 설치 장소까지 이동시키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데, 이러한 운반, 이동 시 따르는 제약 등으로 인해 그 크기가 한정될 수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다.A prefabricated house, which is commonly known or commonly seen, is constructed by assembling a box-shaped building in a specific place, transporting the completed building to a required place, and installing it on the site. In the prefabricated house, it is essential that the process of moving the box-shaped building from the place of manufacture to the place of installation is required. The size of the prefabricated house is limited due to restrictions on transportation and movement.

이에 따라, 조립식 주택은 대형 구조물에 적용하기는 어려우며, 그 형상 또한 단순한 박스 형상으로 한정될 수밖에 없으며, 주거를 위한 주택이기보다는 별장, 고급형의 방갈로 시설물, 소형 펜션 개념으로 특정장소에 시설되어 운영된다.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prefabricated house to a large structure, and the shape of the prefabricated house is limited to a simple box shape. The prefabricated house is operated in a specific place with the concept of a cottage, a bungalow facility of a high- .

대부분 조립식 주택은 환경 및 지형, 사용자의 요구나 기호,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의 건축물이 적용되고 있는 시점에서, 조립식으로 시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음에 불구하고 그 적용이 한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Most of the prefabricated houses have a limited application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y are easy to construct in a prefabricated manner when a variety of design structures are applied depending on environment, topography, user needs, preferences, and applications .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조립식 주택과 관련된 기술로는,With the technology associated with prefabricated houses,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523946호(2015.05.22.등록) 『조립식 확장형 모듈하우스』와,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471039호(2014.12.03.등록) 『컨테이너형 조립식 모듈 주택』이 제시되어 있는바,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523946 (Registered on May 22, 2015) "Modular Expansion Module House" and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1471039 (Registered on December 3, 2014) "Container Type Modular Module Housing" ,

모두 조립식 주택을 완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부분이 내부 공간 활용이 좋은 상자형으로 제작되고, 이들은 단일 주택이든지 혹은 복층으로 컨테이너 위에 컨테이너를 구성하고, 난간을 구성하는 형태로 조립식 주택을 시설하는 타입이다.All of them are designed to complete a prefabricated house. Most of them are constructed in a box type with good internal space utilization. They are a type of building a prefabricated house in the form of a single house or a multi-story container.

상기와 같은 타입의 조립식 주택은 상술한 바와 같이 운반성과 함께 지반이 고르게 다져진 특정장소에 설치가 다른 시공성이 뛰어나다는 이점이 있으나, 대부분 각진 형태의 주택형상으로 실내 인테리어성이 떨어지고, 외형은 물론, 실내 각진 부분으로 하여금 통풍 및 난방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특히 강풍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abricated house of the above type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where the ground is uniformly laid out evenly and has excellent workability. However, most of the prefabricated houses have an angular shap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angled interior portion is inferior in ventilation and heating efficiency, and is particularly vulnerable to strong winds.

문헌 1.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523946호(2015.05.22.등록)Document 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23946 (Registered on May 22, 2015) 문헌 2.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471039호(2014.12.03.등록)Document 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71039 (Registered on December 03, 2014)

본 고안은 이동식으로 지면으로부터 안착시키는 조립식 주택을 제공하는 것으로, 주문에 의한 현장시공이 간단하고, 자연을 해치지 않는 친환경 공법에 의해 각종 방갈로, 평수가 작은 펜션 등으로 적합하며, 특히 실내 공간 구획하는 공사 없이 단층 또는 복층의 선택에 따라 실내공간을 선택할 수 있으며, 강풍에 강한 외형의 미감을 갖고, 복층에 회동 도어 및 이에 마련된 비상탈출수단을 갖는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fabricated house which can be seated from the ground by a mobile type, and it is suitable for various bungalows and small-sized pensions by an eco-friendly construction method that does not hurt natu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co-friendly prefabricated house having a double-layered pivoting door and emergency escape means provided thereon, which can select an indoor spac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a single floor or a multi-layer without construction,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co-friendly prefabricated house,

상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지면에 안착되는 바닥부로부터 라운드형의 측면벽체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측면벽체부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안착턱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벽체부에는 현관출입구가 마련된 하부구조물;A bottom structure integrally formed with a bottom wall of the bottom wall and having a top opening and a bottom wall positioned on the bottom of the bottom wall, the side wall being formed with a seating edge at an upper edge of the side wall;

상기 하부 구조물 내부측 바닥면으로부터 기립되어 실내공간을 구획하거나, 실내를 통하는 실내출입구를 갖는 내부 구획벽체; 및An inner partition wall standing upr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structure to divide the indoor space or having an indoor entrance through the room; And

상기 하부구조물의 개방된 측면벽체부의 안착턱에 조합되는 결합턱이 개방된 하측 둘레에 형성되고,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천정부와 측면벽체부의 내외측이 둥근 돔(dome) 형태로 성형된 상부구조물;An upper structure formed on an opened lower periphery of a coupling jaw to be combined with a seating jaw of an open side wall portion of the lower structure, and a ceiling portion and a side wall portion formed on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ceiling portion and the side wall portion in a dome shape;

을 상호 조합하여 이루어지되,Are combined with each other,

상기 구획벽체에는 슬라브층이 횡으로 형성되어 복층으로 이루고, 계단부가 더 마련되어 복층으로 이어지는 통로가 일체로 형성되고,A slab layer is formed laterally on the partition wall to form a multi-layered structure, and a stepped portion is further provided to form a multi-layered passageway,

상기 하부구조물, 구획벽체, 상부구조물은 조립 및 해체를 위해 각 적소에 하나 이상의 견인고리가 구비되며,The lower structure, the partition wall, and the upper structure are provided with one or more pulling rings at respective places for assembly and disassembly,

상기 구획벽체의 가장자리는 하부구조물, 상부구조물의 바닥, 천정, 측면 내벽에 맞는 곡률에 맞게 라운딩 처리되고,The edge of the partition wall is rounded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lower structure, the bottom of the upper structure, the ceiling,

상기 상부구조물에 형성되는 도어틀과, 상기 도어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개폐용 도어와, 상기 슬라브층에서 상기 도어 하부 측 영역에 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되는 개구부(開口部)와, 상기 개구부에 은닉되는 플로어와, 상기 도어와 상기 플로어를 상호 연결하는 중계부재와, 상기 도어 개방 시 상기 도어와 함께 회동되는 상기 플로어의 회동 동작을 안내하게 되는 가이드로 이루어진 베란다구조물을 더 포함하고,An opening portion formed in the slab layer so as to be recessed inwardly in the lower portion side region of the door, and an opening portion formed in the opening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veranda structure including a floor to be concealed, a relay member for interconnecting the door and the floor, and a guide for guiding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floor rotated together with the door when the door is opened,

상기 도어 단부(端部)에 설치되는 수직고정바와, 상기 수직고정바에 연결되는 태엽스프링과, 상기 태엽스프링 단부에 연결되어 권취 되어 있고 수직걸림바를 갖는 펜스시트와,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언와인딩 된 상기 펜스시트의 수직걸림바가 걸려 고정되도록 상기 도어틀에 구비되는 후크형 스토퍼와, 상기 플로어 상면에 하방 요입되게 형성되는 은닉공간부와, 상기 은닉공간부에 상하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내부에 양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슬릿공간부를 갖는 포스트와, 회동되어 기립(起立)된 상기 포스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홀딩수단으로 이루어진 펜스유닛을 더 포함하며,A fence seat which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piral spring and has a vertical latching bar, and a door which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door, A hook-shaped stopper provided on the door frame so as to hang and fix a vertical catch bar of the wound fence seat; a concealed space part formed to be recessed downward on the floor surface; A post having a slit space portion formed through the slit portion and a holding means for holding the post which is rotated and is erected,

언와인딩 된 상기 펜스시트가 기립된 상기 포스트의 슬릿공간부를 통과하게 되면서 상기 포스트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nfrozen fence sheet is supported by the post while passing through the slit space portion of the standing post.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은,In the eco-friendly prefabricated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간단하게 하부구조물, 그 내부에 실내 공간을 구획하거나 복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획벽체, 하부구조물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지붕 형성과 함께 하부구조물의 측면벽체부와 일체감 있는 둥근 외형의 주택을 간단히 현장에서 조립하는 시공으로 소형펜션, 방갈로, 임대주택 등의 활용도가 높고, 자연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시공 및 해체가 가능하며, 직사각형으로 된 기본 상자형의 조립식 주택의 실내 공간에 비해 외형미는 물론, 실내 측 인테리어가 뛰어나며, 외력 및 강풍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튼실한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을 제공하는 가장 큰 효과가 있다.A simple structure of a lower structure, a partition wall for dividing an indoor space therein or forming a multi-layer structure, and a round-shaped housing integrated with a side wall portion of a lower structure together with a roof formation covering an open upper portion of the lower structur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nd disassemble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hurt the nature, and it is possible to use a small pension, a bungalow, a rental house, It has the greatest effect of provid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prefabricated house that is excellent in interior, and can withstand even external and strong winds.

또 복층에 마련된 회동 도어 개폐 시 바닥이 함께 회동되어 소형 베란다 공간을 제공하고, 비상탈출수단을 마련하여 비상 시 탈출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the floor is rotated together to provide a small veranda space, and an emergency escape means is provided to provide an escape route in an emergency.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의 실내를 복층으로 구성하기 위한 구획벽체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구획벽체를 하부구조물에 안치시킨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상부구조물 및 하부구조물이 상부형틀과 하부형틀에 의해 성형상태를 예시한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상부형틀과 하부형틀을 제거한 측면벽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에서 베란다구조물을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 구성도,
도 8은 도 7의 작동 상태 평단면 구성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에서 베란다구조물을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 구성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에서 펜스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 구성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에서 펜스시트 와인딩 및 언와인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 구성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에서 펜스시트가 펼쳐져 설치된 것을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 구성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에서 비상탈출유닛의 서브도어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 구성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에서 비상탈출유닛의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 구성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co-friendly type prefabricated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co-friendly prefabricated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partment wall for constructing a room of an environment-friendly type prefabricated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multi-layered structure,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artition wall is placed in a lower structure in FIG. 3,
FIG.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structure and the low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by the upper and lower molds,
FIG.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ide wall portion from which the upper and lower molds are removed in FIG. 5,
FIG. 7 is a plan sectional view for showing a veranda structure in an eco-friendly prefabricated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ectional view of the operating state of Fig. 7,
FIG. 9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veranda structure in an eco-friendly prefabricated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front view showing a fence unit in an eco-friendly prefabricated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lan sectional view for showing a fence sheet winding and an unwinding structure in an eco-friendly prefabricated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fence sheet spread out in an eco-friendly prefabricated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sub door of the emergency escape unit in the eco-friendly type prefabricated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an emergency escape unit in an eco-friendly prefabricated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sign the concept of the term appropriately to describe its own design in the best way possibl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a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stitu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은,As shown in Figs. 1 to 6, in the eco-friendly prefabricated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지면에 안착되는 바닥부(11)로부터 라운드형의 측면벽체부(12)가 일체로 형성되고, 측면벽체부(12)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안착턱(12a)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벽체부(12)에는 현관출입구(13)가 마련된 하부구조물(10);A round type side wall portion 12 is integrally formed from a bottom portion 11 that is seated on the ground in a top opened form and a seating edge 12a is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side wall portion 12, A lower structure 10 provided with a doorway opening 13 in the side wall portion 12;

상기 하부 구조물(10) 내부측 바닥면으로부터 기립되어 실내공간을 구획하거나, 실내를 통하는 실내출입구(21)를 갖는 내부 구획벽체(20); 및An inner partition wall (20) standing up from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lower structure (10) to divide the indoor space or having an indoor entrance (21) through the room; And

상기 하부구조물(10)의 개방된 측면벽체부(12)의 안착턱(12a)에 조합되는 결합턱(32a)이 개방된 하측 둘레에 형성되고,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천정부(31)와 측면벽체부(32)의 내외측이 둥근 돔(dome) 형태로 성형된 상부구조물(30);A coupling step 32a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open side wall portion 12 of the lower structure 10 so as to be combined with the seating step 12a of the open side wall portion 12 of the lower structure 10, An upper structure 30 formed in the form of a round dome inside and outside of the portion 32;

을 상호 조합하여 이루어진다.Are combined with each other.

상기 하부구조물(10) 및 상부구조물(30)은 둥근 형태로 된 외부틀(10a,30a)과 내부틀(10b,30b)이 한 조로 이루어진 상부형틀(30-1)과 하부형틀(10-1)내에서 성형되되, 상기 상부형틀(30-1) 및 하부형틀(10-1)을 이루는 외부틀(10a,30a)과 내부틀(10b,30b) 사이에는 수도배관, 전기배선, 공기순환을 위한 배관 시설을 위한 경질폼(F) 및 경질폼 내에 각재(P)가 매입되도록 한다.The lower structure 10 and the upper structure 30 are divided into an upper mold 30-1 and a lower mold 10-1 which are formed by a combination of outer molds 10a and 30a having a round shape and inner molds 10b and 30b, Electric wires and air circulation are formed between the outer frames 10a and 30a and the inner frames 10b and 30b constituting the upper and lower molds 30-1 and 10-1 (F) for the piping facility and the slabs (P) in the rigid foam.

상기 경질폼(F)은 각 배관을 수용할 수 있는 자리를 형성하기에 용이한 소재로 각 배관 및 배선이 수용된 상태에서 외측 메움이 용이한 이점이 있어 유지보수에도 유리하다.The rigid foam (F) is an easy material to form a pl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respective pipes, and is advantageous in maintenance because it has an advantage of being easily outwardly filled with each pipe and wiring accommodated therein.

상기와 같이 경질폼(F)에 의한 내벽이 형성됨에 있어, 내벽의 외측에는 복 배근된 철근을 포함한 상태이고, 여기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외벽이 동시에 성형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ner wall formed by the rigid foam (F) is formed, the outer wall of the inner wall includes reinforcing bars reinforced with reinforcing bars, and concrete is poured therein to simultaneously mold the outer walls.

상기 상부형틀(30-1)의 내부틀(30b) 외측에는 실내측 내부 장식을 위한 합판(W)이 내입된 상태로 상부구조물(30)의 성형이 이루어진다.The upper structure 30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ner frame 30b of the upper mold 30-1 with the plywood W for the inner side inner decoration being inserted therein.

상기 상부형틀(30-1) 및 하부형틀(10-1)의 내부틀(10b,30b)은 합판(W) 혹은 경질폼(F)과의 고정을 위한 고정용 나사(S)가 상기 각재(P)에 체결 고정되어 경질폼과 외부틀과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외벽이 되는 콘크리트의 타설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inner frames 10b and 30b of the upper and lower molds 30-1 and 10-1 are fixed to the inner frame 10b and the inner frame 10b by fixing screws S for fixing the plywood W or the rigid foam F, P so that the concrete, which becomes the outer wall, can be poured while maintaining the gap between the rigid foam and the outer frame.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의 실내를 구성하기 위한 상기 구획벽체(20)에는 첨부된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브층(22)이 횡으로 형성되어 복층으로 이루고, 계단부(24)가 더 마련되어 복층으로 이어지는 통로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slab layer 22 is formed laterally to form a multi-layered structure in the partition wall 20 for constructing the interior of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prefabricated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nd a stepped portion (24) are provided so that a passageway extending in a multiple layer is formed integrally.

상기 구획벽체(20) 및 슬라브층(22), 계단부(24)는 실내 공간을 구획하는 벽으로 내부 디자인에 따라 각기 그 형태는 달라지며, 각 부분은 내부에 철근이 배근된 벽체와 같이 거푸집을 통해 콘크리트 타설하고, 거푸집을 해체시킨 형태이다.The partition wall 20, the slab layer 22, and the stepped portion 24 are walls dividing the interior space, and their shap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internal design. Each portion is formed of a wall, The concrete is laid through the concrete and the form is dismantled.

상기 하부구조물(10), 구획벽체(20), 상부구조물(30)은 조립 및 해체를 위해 각 적소에 하나 이상의 견인고리(H)를 구비한다. 상기 견인고리(H)는 각 하부구조물(10), 상부구조물(30), 구획벽체(20)의 성형 시 일부가 매입되는 형태로 구비된다.The lower structure 10, the partition wall 20, and the upper structure 30 are provided with one or more pulling rings H at respective places for assembly and disassembly. The pull ring H is partially embedded in each of the lower structure 10, the upper structure 30, and the partition wall 20 during molding.

상기 견인고리(H)의 위치는 상부구조물(30)을 이루는 천정부(31)의 외측 상부에, 하부구조물(10)은 실내측 바닥부(11)에 마련하여 별도의 크레인을 이용한 조립 시 운반과 해체 시에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osition of the pulling hook H is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eiling portion 31 forming the upper structure 30 and the lower structure 10 is provided at the bottom portion 11 of the room, It can be done at the time of disassembly.

상기 구획벽체(20)의 가장자리는 하부구조물(10), 상부구조물(30)의 바닥, 천정, 측면 내벽에 맞는 곡률에 맞게 라운딩 처리되어 상부구조물을 하부구조물에 덮어 고정 시 구획벽체(20)의 가장자리 측이 내측 벽면에 밀착되는 형태가 되게 조합하기 위함이다.The edge of the partition wall 20 is rounded in accordance with the curvature of the lower structure 10, the bottom of the upper structure 30, the ceiling, and the inner wall of the side wall so that the upper structure is covered with the lower structure, So that the edge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참고로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에 있어, 상부구조물, 하부구조물, 혹은 구획벽체에 형성할 수 있는 창호 등의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For reference, in the case of an eco-friendly prefabricated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on of windows, which can be formed in an upper structure, a lower structure, or a partition wall,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100)은 각각 단위별로 생산 작업 현장에서 상부형틀(30-1)과 하부형틀(10-1), 구획벽체(20)는 각각의 성형틀을 통해 하나의 세그먼트형태로 제작되며, 이들은 시공될 위치까지 운반이 이루어져 크레인장비를 이용한 하부구조물, 구획벽체, 하부구조물(10)의 안착턱(12a)에 상부구조물(30)의 결합턱(32a)을 상호 일치시켜 주면 기본 조립은 모두 완성된다.In the eco-friendly prefabricated house 10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form frame 30-1, the lower form frame 10-1, and the partition wall 20 are formed by respective molding frames, And they are transported to a site where they are to be constructed so that the joining jaws 32a of the upper structure 30 are connected to the seating jaw 12a of the lower structure, the partition wall, and the lower structure 10 using the crane equipment, All the basic assemblies are completed if they are matched.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100)은 별도의 땅을 파서 지반을 구축하는 기존의 주택시공작업을 생략한 것으로, 기본 조립이 완성된 주택의 실내 측 내벽이 되는 경질폼(F)에는 외부로부터 시설된 수도배관, 전기배선(도면에서 생략함)등을 시설하고, 그 외부에 내장재를 마감하며, 상부구조물 및 하부구조물, 그리고 구획벽체(20)의 실내 측은 도배, 혹은 도색작업하고, 바닥부(11)에는 난방장치를 구축하거나 마루를 시공하여 주택의 실내 측 바닥을 완성한다.The environmentally friendly prefabricated house 100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omits a conventional housing construction work for building a ground by digging another ground. The rigid foam F, which is the inner side wall of the house, (Not shown), and the like, and the interior material is closed on the exterior thereof, and the interior of the upper structure and the lower structure and the partition wall 20 is subjected to painting or painting, The floor 11 is provided with a heating device or a floor to complete the indoor floor of the house.

또한 하부구조물(10)의 측면벽체부(12)에 마련된 현관출입구(13) 및 구획벽체(20)에 마련되는 실내출입구(21)에는 출입 도어를, 천정 및 상부구조물의 내측에는 각종 장식물 등을 구축하고, 구획된 공간에는 주방의 싱크대, 욕조 등을 시설하는 실내 측 인테리어 작업을 통해 조립식 주택을 완성한다.The entrance door is provided in the doorway entrance 13 provided in the side wall portion 12 of the lower structure 10 and the doorway 21 provided in the partition wall 20 and various decorations and the like are provided inside the ceiling and the upper structure , And the prefabricated house is completed through the indoor interior work that includes kitchen sinks and bathtubs in the compartment space.

따라서 미리 제작되거나 주문 설계에 의해 제작된 조립식 주택은 각 세그먼트형태로 제작되어 현장에서 빠른 시공이 가능하고, 최대한 자연을 해치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시설할 수 있고, 향후 조립의 역순으로 간단히 해체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장기간 혹은 단기간에 걸쳐 행사용 임대주택, 방갈로, 소형펜션, 음악연주실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시공이 간단한 장점과 더불어 내부시설에 대한 별도의 가설작업을 하지 않기 때문에 큰 부재비용이 들지 않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prefabricated houses or prefabricated houses designed by custom design can be constructed in the form of segments so that they can be installed quickly in the field, can be installed as environmentally friendly as possible without harming the natural environment, and can be easily disassembled in the reverse order of future assembly It can be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or for a short period of time such as a rental house, a bungalow, a small pension, a musical performance room, etc. The merit of the construction is simple, have.

한편, 상기 조립식 주택(100)은 슬라브층(22)과 계단부(24)를 일체로 구획벽체(20)에 마련하여 실내 측을 복층으로 꾸밀 수 있고, 최대한 실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주택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the meantime, the prefabricated house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lab layer 22 and the stepped portion 24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20 so that the indoor side can be decorated in a multi-layered structure, .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은 전반적으로 둥근 형태의 주택을 제공하는 것으로, 공간 창조적인 미감을 주고, 특히 강풍에도 훼손 혹은 파손될 위험이 적으며, 내부 공간은 외부와 반대로 둥근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일반적인 사각으로 된 실내공간에 비해 아기자기한 공간미 연출과 실내 공기 흐름에 대한 난방효과 및 환풍효과가 뛰어난 이점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co-friendly prefabricated house provides a rounded house as a whole, which gives a space aesthetic sense, particularly, it is less risk of being damaged or damaged even in strong winds, and the inside space provides a round spac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rectangular interior space, it provides an excellent effect of ventilation and ventilation effect on indoor air flow,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은 베란다구조물(40)을 더 포함하는데,Meanwhile, the eco-friendly prefabricated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veranda structure 40,

상기 베란다구조물(40)은The veranda structure (40)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7 to 9,

상기 상부구조물(30)에 형성되는 사각의 도어틀(41),A rectangular door frame 41 formed on the upper structure 30,

상기 도어틀(41)에 힌지 등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개폐용 도어(42),An opening / closing door 42 which is rotatably mounted on the door frame 41 by a hinge or the like,

상기 슬라브층(22)에서 상기 도어(42) 하부 측 영역에 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되는 개구부(開口部)(43),An opening 43 formed in the slab layer 22 so as to be recessed inwardly in a region below the door 42,

상기 개구부(43)에 은닉되는 플로어(44),A floor 44 concealed in the opening 43,

상기 도어(42)와 상기 플로어(44)를 상호 연결하는 중계부재(45), 그리고A relay member 45 for interconnecting the door 42 and the floor 44, and

상기 도어(42) 개방 시 상기 도어(42)와 함께 회동되는 상기 플로어(44)의 회동 동작을 안내하게 되는 가이드(46)A guide (46) for guiding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floor (44) rotated together with the door (42) when the door (4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개구부(43) 및 상기 플로어(44)는 대략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7, the opening 43 and the floor 44 are substantially fan-shaped.

그리고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중계부재(45)는 닫힌 상기 도어(42)의 단부에서 실내 측 내면에 상하 슬라이딩 되게 장착되는 승강핀(451)과, 상기 플로어(44)에서 상기 승강핀(45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하강된 상기 승강핀(451)이 삽입되는 승강핀홈(452)로 이루어진다.9, the relay member 45 includes a lift pin 451 slidably mount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door side at the end of the closed door 42 and a lift pin 451 slidably mounted on the lift pin 451 And a lifting pin groove 452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fting pin 451 and inserted into the lower lifting pin 451.

결국 하강된 상기 승강핀(451)이 상기 승간핀홈(452)에 끼워지게 되면 상기 도어(42) 개폐 시 상기 도어(42)와 상기 플로어(44)가 함께 움직이게 되고, 상기 승강핀홈(452)으로부터 상기 승강핀(451)이 빠져나오게 되면 상기 도어(42)만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The door 42 and the floor 44 are moved together when the door 42 is opened and closed when the lowered lift pin 451 is inserted into the lift pin groove 452, When the lifting pin 451 is pulled out, only the door 42 is opened and closed.

그리고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46)는 상기 개구부(43) 바닥에 구비되는 레일(461)과, 상기 플로어(44) 하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461)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롤러(462)로 이루어진다.9, the guide 46 includes a rail 461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opening 43, a roller 462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oor 44 and sliding along the rail 461, ).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은 펜스유닛(50)을 더 포함하는데,Meanwhile, the eco-friendly prefab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ence unit 50,

상기 펜스유닛(50)은The fence unit (50)

도 2,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2 and 10 to 12,

상기 도어(42) 단부(端部)에 설치되는 수직고정바(51),A vertical fixing bar 51 installed at an end of the door 42,

상기 수직고정바(51)에 연결되는 태엽스프링(52),A spring spring 52 connected to the vertical fixing bar 51,

상기 태엽스프링(52) 단부에 연결되어 권취 되어 있고 수직걸림바(53)를 갖는 펜스시트(54),A fence sheet 54 which is connected to and wound around the end of the spring 52 and has a vertical latching bar 53,

상기 도어(42)가 개방된 상태에서 언와인딩(unwinding) 된 상기 펜스시트(54)의 수직걸림바(53)가 걸려 고정되도록 상기 도어틀(41)에 구비되는 후크형 스토퍼(55),A hook stopper 55 provided on the door frame 41 for hooking and fixing the vertical latching bar 53 of the unfolded fence sheet 54 in a state where the door 42 is opened,

상기 플로어(44) 상면에 하방 요입되게 형성되는 은닉공간부(56),A concealed space portion 56 formed to be downwardly reces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44,

상기 은닉공간부(56)에 상하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내부에 양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슬릿공간부(57)를 갖는 포스트(58), 그리고A post 58 having a slit space portion 57 which is vertically rotatably installed in the concealed space portion 56 so as to be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post 58,

회동되어 기립(起立)된 상기 포스트(58)를 고정시키기 위한 홀딩수단(59)A holding means 59 for holding the post 58 which is turned and raised,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수직고정바(51)는 상기 도어(42) 단부에서 실내 측 내면에 은닉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상기 펜스시트(54)는 격자형 또는 판형의 직물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11, it is preferable that the vertical fixing bar 51 is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room at the end of the door 42 in a hidden manner, and the fence sheet 54 is a lattice- .

그리고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스토퍼(55)는 상기 수직걸림바(54)가 내부에 걸려 고정되도록 대략 C자형 구조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7 and 8, the stopper 55 has a substantially C-shaped structure so that the vertical latching bar 54 is hooked therein.

그리고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은닉공간부(56)는 부채꼴 형상의 상기 플로어(44)에 외주면을 따라 일자로 길게 파인 홈 구조로 이루어지고, 또 은닉공간부(56)의 외측 단부는 상기 플로어(44)의 외측 가장자리 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8, the concealed space portion 56 has a groove structure that is long in a lin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n-shaped floor 44, and an outer end portion of the concealed space portion 56 is formed in the floor (44).

그리고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홀딩수단(59)은 상기 포스트(58) 하단에 좌우 관통되되 상하로 긴 형태의 장공(591)과, 상기 은닉공간부(56)에서 상기 포스트(58) 하단 측이 위치하게 되는 영역의 내벽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장공(591)에 끼워지게 되는 회동핀(592)과, 상기 회동핀(592)을 기준으로 기립된 상기 포스트(58)가 하강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은닉공간부(56) 바닥에 하방 요입되게 형성되는 회동핀홈(593)으로 이루어진다.10, the holding means 59 includes elongated slots 591 which penetrate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post 58 and extend vertically downward, (592)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region where the pivot pin (592) is to be positioned and inserted into the elongated hole (591), and the post (58) And a pivot pin groove 593 which is formed to be recessed downward at the bottom of the concealed space portion 56.

결국 언와인딩 된 상기 펜스시트(54)는 상기 홀딩수단(59)에 의해 고정된 상기 포스트(58)의 슬릿공간부(57)로 상기 펜스시트(54)가 통과하게 되면서 상기 포스트(58)에 의해 지지되고 통과된 상기 펜스시트(54)는 이의 수직걸림바(53)가 상기 스토퍼(55)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안정적인 펜스로서의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The unfwined fence sheet 54 is moved to the post 58 as it passes through the slit space portion 57 of the post 58 fixed by the holding means 59. [ The vertical fence 53 of the fence seat 54, which is supported and passed by the stopper 55, is fixedly caught by the stopper 55, thereby providing a stable fence function.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은 비상탈출유닛(60)을 더 포함하는데,Meanwhile, the eco-friendly prefab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emergency escape unit 60,

상기 비상탈출유닛(60)은The emergency escape unit (60)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13 and 14,

상기 플로어(44)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되는 저장공간부(61),A storage space part 61 formed to pass through the floor 44,

상기 저장공간부(61)를 폐쇄하게 되는 서브도어(62),A sub door 62 closing the storage space 61,

상기 저장공간부(61)에 상단이 고정 설치되는 직물형 원통부재(63),A woven cylindrical member 63 having an upper end fixed to the storage space 61,

상기 원통부재(63)를 이루는 내피와 외피 사이에 내장되고 상기 원통부재(6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고정링(64),A plurality of retaining rings 64, which are embedded between the inner skin and the outer skin constituting the cylindrical member 63 and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member 63,

상기 원통부재(63)에 이의 하단을 막는 형태로 배치되는 쿠션패드(65), 그리고A cushion pad 65 disposed on the cylindrical member 63 so as to close the lower end thereof, and

압착된 상기 원통부재(63)의 하단을 고정 및 해제하기 위한 낙하유도수단(66)Dropping means (66) for fixing and releasing the lower end of the pressed cylindrical member (63)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서브도어(62)는 일측이 힌지에 의해 상기 플로어(44)에 장착되어 닫힘 시 상기 저장공간부(61)를 폐쇄하게 된다.14, one side of the sub door 62 is mounted on the floor 44 by a hinge and closes the storage space 61 when the sub door 62 is closed.

그리고 상기 원통부재(63)는 내구성이 뛰어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펼쳤을 때에 지면에 닿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ylindrical member 63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durability, and preferably has a length enough to touch the ground when unfolded.

도 14의 상부 측 원형쇄선 내의 도면은 상기 원통부재(63)가 압착되어 수납된 상태의 도면이고, 하부 측 원형쇄선 내의 도면은 상기 원통부재(63)가 펼쳐져 있는 상태의 도면이다.The figure in the upper side dashed line in Fig. 14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cylindrical member 63 is pressed and stored, and the figure in the lower side dashed line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cylindrical member 63 is unfolded.

상기 원통부재(63)의 수납 및 펼침 시 형태 고정을 위하여 상기 원통부재(63)를 이루는 내피와 외피 사이에 상기 다수의 고정링(64)이 일정 간격을 두고 내장된다.The plurality of retaining rings 64 are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cylindrical member 63 and the outer wall of the cylindrical member 63 at regular intervals to accommodate the cylindrical member 63 and to fix the shape of the cylindrical member 63 when it is unfolded.

결국 상기 원통부재(63)는 압착된 상태로 상기 낙하유도수단(66)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저장공간부(61)에 내장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cylindrical member 63 is fixed by the drop guiding means 66 in a compressed state, and is embedded in the storage space portion 61.

그리고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쿠션패드(65)는 대략 2~3미터 높이에서 뛰어내렸을 때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와 쿠션능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14, the cushion pad 65 preferably has a thickness and a cushioning ability to absorb shock when jumping at a height of about 2 to 3 meters.

그리고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낙하유도수단(66)은 상기 플로어(44)에서 상기 저장공간부(61) 양측에 각각 좌우로 이동케 설치되고 하단이 상기 원통부재(63)의 하단을 받치게 되는 서포트(661)를 갖는 2개의 조작부(662)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4, the drop guiding means 66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torage space 61 on the floor 44 so as to move left and right, and the lower end thereof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cylindrical member 63 And two support members 662 having a support 661 to be supported.

이때 상기 조작부(662)는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플로어(44)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은닉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ng portion 662 is installed so as not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44 when viewed from the side.

따라서 상기 낙하유도수단(66)에서 각 조작부(662)를 잡고 서로 마주보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서포트(661)가 상기 원통부재(63)의 하단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면서 고정 해제된 상기 원통부재(63)가 자유 낙하되면서 자동으로 펼쳐지게 됨으로써, 상기 원통부재(63) 내로 비상 탈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e support 661 is moved away from the lower end of the cylindrical member 63 and the cylindrical member 63 is released from the lower end of the cylindrical member 63 when the operation member 662 is moved by the fall- So that it is possible to escape into the cylindrical member 63 by emergency.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invention.

10 : 하부구조물
11 : 바닥부
12 : 측면벽체부
12a : 안착턱
13 : 현관출입구
20 : 구획벽체
21 : 실내출입구
22 : 슬라브층
24 : 계단부
30 : 상부구조물
31 : 천정부
32 : 측면벽체부
32a : 결합턱
40 : 베란다구조물
41 : 도어틀
42 : 도어
43 : 개구부
44 : 플로어
45 : 중계부재
451 : 승강핀
452 : 승강핀홈
46 : 가이드
461 : 레일
462 : 롤러
50 : 펜스유닛
51 : 수직고정바
52 : 태엽스프링
53 : 수직걸림바
54 : 펜스시트
55 : 스토퍼
56 : 은닉공간부
57 : 슬릿공간부
58 : 포스트
59 : 홀딩수단
591 : 장공
592 : 회동핀
593 : 회동핀홈
60 : 비상탈출유닛
61 : 저장공간부
62 : 서브도어
63 : 원통부재
64 : 고정링
65 : 쿠션패드
66 : 낙하유도수단
661 : 서포트
662 : 조작부
10: Substructure
11:
12:
12a:
13: entrance doorway
20: compartment wall
21: Indoor entrance
22: Slab layer
24:
30: superstructure
31: Ceiling
32: side wall portion
32a: coupling jaw
40: Veranda structure
41: Door frame
42: Door
43: opening
44: Floor
45: Relay member
451: Lift pin
452: lifting pin groove
46: Guide
461: Rail
462: Rollers
50: Fence unit
51: Vertical fixing bar
52: Spring spring
53: Vertical jaw bar
54: fence sheet
55: Stopper
56:
57: Slit space part
58: Post
59: holding means
591: Slots
592: Pivot pin
593: Rotating pinhole
60: Emergency escape unit
61: Storage space
62: Sub door
63: cylindrical member
64: Retaining ring
65: Cushion Pad
66: Falling-inducing means
661: Support
662:

Claims (3)

상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지면에 안착되는 바닥부(11)로부터 라운드형의 측면벽체부(12)가 일체로 형성되고, 측면벽체부(12)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안착턱(12a)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벽체부(12)에는 현관출입구(13)가 마련된 하부구조물(10);
상기 하부 구조물(10) 내부측 바닥면으로부터 기립되어 실내공간을 구획하거나, 실내를 통하는 실내출입구(21)를 갖는 내부 구획벽체(20); 및
상기 하부구조물(10)의 개방된 측면벽체부(12)의 안착턱(12a)에 조합되는 결합턱(32a)이 개방된 하측 둘레에 형성되고,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천정부(31)와 측면벽체부(32)의 내외측이 둥근 돔(dome) 형태로 성형된 상부구조물(30);
을 상호 조합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구획벽체(20)에는 슬라브층(22)이 횡으로 형성되어 복층으로 이루고, 계단부(24)가 더 마련되어 복층으로 이어지는 통로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구조물(10), 구획벽체(20), 상부구조물(30)은 조립 및 해체를 위해 각 적소에 하나 이상의 견인고리가 구비되며,
상기 구획벽체(20)의 가장자리는 하부구조물(10), 상부구조물(30)의 바닥, 천정, 측면 내벽에 맞는 곡률에 맞게 라운딩 처리되고,
상기 상부구조물(30)에 형성되는 도어틀(41)과, 상기 도어틀(4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개폐용 도어(42)와, 상기 슬라브층(22)에서 상기 도어(42) 하부 측 영역에 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되는 개구부(開口部)(43)와, 상기 개구부(43)에 은닉되는 플로어(44)와, 상기 도어(42)와 상기 플로어(44)를 상호 연결하는 중계부재(45)와, 상기 도어(42) 개방 시 상기 도어(42)와 함께 회동되는 상기 플로어(44)의 회동 동작을 안내하게 되는 가이드(46)로 이루어진 베란다구조물(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42) 단부(端部)에 설치되는 수직고정바(51)와, 상기 수직고정바(51)에 연결되는 태엽스프링(52)과, 상기 태엽스프링(52) 단부에 연결되어 권취 되어 있고 수직걸림바(53)를 갖는 펜스시트(54)와, 상기 도어(42)가 개방된 상태에서 언와인딩 된 상기 펜스시트(54)의 수직걸림바(53)가 걸려 고정되도록 상기 도어틀(41)에 구비되는 후크형 스토퍼(55)와, 상기 플로어(44) 상면에 하방 요입되게 형성되는 은닉공간부(56)와, 상기 은닉공간부(56)에 상하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내부에 양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슬릿공간부(57)를 갖는 포스트(58)와, 회동되어 기립(起立)된 상기 포스트(58)를 고정시키기 위한 홀딩수단(59)으로 이루어진 펜스유닛(50)을 더 포함하며,
언와인딩 된 상기 펜스시트(54)가 기립된 상기 포스트(58)의 슬릿공간부(57)를 통과하게 되면서 상기 포스트(58)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
A round type side wall portion 12 is integrally formed from a bottom portion 11 that is seated on the ground in a top opened form and a seating edge 12a is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side wall portion 12, A lower structure 10 provided with a doorway opening 13 in the side wall portion 12;
An inner partition wall (20) standing up from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lower structure (10) to define an indoor space or having an indoor entrance (21) through the room; And
A coupling step 32a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open side wall portion 12 of the lower structure 10 so as to be combined with the seating step 12a of the open side wall portion 12 of the lower structure 10, An upper structure 30 formed in the form of a round dome inside and outside of the portion 32;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In the partition wall 20, a slab layer 22 is formed laterally to form a multi-layered structure, and a stepped portion 24 is further provided to form a multi-layered passageway,
The lower structure 10, the partition wall 20, and the upper structure 30 are provided with one or more pulling rings at respective places for assembly and disassembly,
The edge of the partition wall 20 is rounded to fit the curvature of the lower structure 10, the bottom of the upper structure 30, the ceiling, and the inner wall of the side wall,
An opening and closing door 42 rotatably mounted on the door frame 41 and an opening and closing door 42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door 42 in the slab layer 22, A floor 44 which is hidden in the opening 43 and a relay member 43 which interconnects the door 42 and the floor 44, Further comprising a veranda structure (40) comprising a door (45) and a guide (46) for guiding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floor (44) rotated together with the door (42)
A vertical fixed bar 51 installed at an end of the door 42, a spring spring 52 connected to the vertical fixing bar 51 and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pring spring 52 to be wound And the vertical locking bar 53 of the unfolded fence seat 54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42 is opened is hooked and fixed to the door frame A hooked stopper 55 provided on the floor 44 and a concealed space part 56 formed to be recessed downward on the floor 44 and a hinge part 56 fixed to the concealed space part 56 so as to be vertically rotatable, And a fence unit (50) comprising a post (58) having a slit space portion (57) formed therethrough and a holding means (59) for fixing the turned and raised post (58)
Wherein the unfrozen fence sheet (54) passes through the slit space (57) of the raised post (58) and is supported by the posts (5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44)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되는 저장공간부(61)와, 상기 저장공간부(61)를 폐쇄하게 되는 서브도어(62)와, 상기 저장공간부(61)에 상단이 고정 설치되는 직물형 원통부재(63)와, 상기 원통부재(63)를 이루는 내피와 외피 사이에 내장되고 상기 원통부재(6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고정링(64)과, 상기 원통부재(63)에 이의 하단을 막는 형태로 배치되는 쿠션패드(65)와, 압착된 상기 원통부재(63)의 하단을 고정 및 해제하기 위한 낙하유도수단(66)으로 이루어진 비상탈출유닛(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낙하유도수단(66)에 의해 고정 해제된 상기 원통부재(63)가 지면까지 자유 낙하하여 펼쳐지게 됨으로써, 상기 원통부재(63) 내로 비상 탈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torage space 61 formed to pass through the floor 44 and a sub door 62 to close the storage space 61 and an upper end fixed to the storage space 61 A plurality of fixing rings 64 which are embedded between the inner skin and the outer skin constituting the cylindrical member 63 and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member 63, A cushion pad 65 disposed on the cylindrical member 63 in such a manner as to block the lower end of the cylindrical member 63 and a fall-inducing unit 66 for fixing and releasing the lower end of the pressed- 60,
Wherein the cylindrical member (63) fixed by the falling guide means (66) freely falls down to the ground to be unfolded so that emergency escape is possible into the cylindrical member (6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구조물(10) 및 상부구조물(30)은 둥근 형태로 된 외부틀(10a,30a)과 내부틀(10b,30b)이 한 조로 이루어진 상부형틀(30-1)과 하부형틀(10-1)내에서 성형되되, 상기 상부형틀(30-1) 및 하부형틀(10-1)을 이루는 외부틀(10a,30a)과 내부틀(10b,30b) 사이에는 수도배관, 전기배선, 공기순환을 위한 배관시설을 위한 경질폼(F) 및 경질폼(F) 내에 각재(P)가 매입되어 내벽이 형성되고, 내벽의 외측에는 복배근된 철근을 포함하여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외벽이 동시에 성형되며,
상기 상부형틀(30-1)의 내부틀(30b) 외측에는 실내 측 내부 장식을 위한 합판(W)이 내입된 상태로 상부구조물(30)의 성형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ower structure 10 and the upper structure 30 are divided into an upper mold 30-1 and a lower mold 10-1 which are formed by a combination of outer molds 10a and 30a having a round shape and inner molds 10b and 30b, Electric wires and air circulation are formed between the outer frames 10a and 30a and the inner frames 10b and 30b constituting the upper and lower molds 30-1 and 10-1 The inner wall is formed by embedding the sheet material P in the rigid foam F and the rigid foam F for the piping facility for the piping facility and the outer wall is simultaneously formed by placing the reinforced concrete including the reinforced reinforcing bars at the outer side of the inner wall,
Wherein the upper structure (30)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inner frame (30b) of the upper mold (30-1) with the plywood (W)
KR2020170001284U 2017-03-17 2017-03-17 Prefabricated house KR20048929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284U KR200489291Y1 (en) 2017-03-17 2017-03-17 Prefabricated ho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284U KR200489291Y1 (en) 2017-03-17 2017-03-17 Prefabricated ho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771U KR20180002771U (en) 2018-10-01
KR200489291Y1 true KR200489291Y1 (en) 2019-06-13

Family

ID=63861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284U KR200489291Y1 (en) 2017-03-17 2017-03-17 Prefabricated hou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291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847B1 (en) * 2018-11-21 2019-09-03 주식회사 서해관광개발 Glass glamping facility
KR102557237B1 (en) * 2021-01-20 2023-07-26 (주)대우건설 A structure using two pc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859Y1 (en) 1999-07-05 2000-03-15 정명용 Rotating structure styled the unidentified flying saucer model
KR101542717B1 (en) 2015-02-23 2015-08-06 박준신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house
KR101635088B1 (en) 2015-02-24 2016-06-3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Assembly type escap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059B1 (en) * 2008-08-19 2011-06-21 유한회사 우리목재산업 Mvable assembling house multi-floor house
KR101471039B1 (en) 2013-10-16 2014-12-09 엽성식 Container type prefabricated housing modules
KR101523946B1 (en) 2015-01-12 2015-06-01 주식회사 에스컴텍 Extendable assembly type module hou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859Y1 (en) 1999-07-05 2000-03-15 정명용 Rotating structure styled the unidentified flying saucer model
KR101542717B1 (en) 2015-02-23 2015-08-06 박준신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house
KR101635088B1 (en) 2015-02-24 2016-06-3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Assembly type escap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771U (en)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7718B2 (en) Modular building
US8826601B2 (en) Modular assembly
US7882659B2 (en) Modular assembly
EP2780516B1 (en) Non-bearing modular construction system
CA2795035C (en) Multi-dwelling structure
KR101401209B1 (en) The movable container house
KR200489291Y1 (en) Prefabricated house
KR20150072650A (en) Apartment Remodeling Method Using Prefabricated Units
US3402515A (en) Folding multi-storeyed buildings
WO2008143496A1 (en) Room unit, building comprising such a room unit, use of such a room unit as well as method of building a hotel
JP2015514170A (en) A framework that functions as a structural support and a space for various facilities
KR20220151391A (en) Prefab egg type pc housing module
JP5524498B2 (en) building
JP3146988U (en) Building structure
KR200463746Y1 (en) Assembly type refuge tool for Height conditioning
JP4966369B2 (en) housing complex
JP5905439B2 (en) Residential
JPH04136339A (en) Stowage type simplified house
JP6296586B1 (en) Disaster shelter
WO2017010808A2 (en) Prefabricated house
RU2296201C1 (en) Method for mobile developing house erection
JP2003041866A (en) Blinder structure
JPH1171918A (en) Building and construction thereof
UA77837U (en) Construction v.m
KR20170055451A (en) Device inducing an object to protrude of Apartment veranda and living room ceil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