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163Y1 - 의료용 고압 체크밸브 - Google Patents

의료용 고압 체크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163Y1
KR200489163Y1 KR2020170005040U KR20170005040U KR200489163Y1 KR 200489163 Y1 KR200489163 Y1 KR 200489163Y1 KR 2020170005040 U KR2020170005040 U KR 2020170005040U KR 20170005040 U KR20170005040 U KR 20170005040U KR 200489163 Y1 KR200489163 Y1 KR 2004891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discharge
pressure
protrus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0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833U (ko
Inventor
양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Priority to KR20201700050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163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8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8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1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1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16K15/141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the closure elements not being fixed to the valv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Abstract

본 고안은 일정 압력(고압) 이상에서만 개방되도록 설계한 의료용 고압 체크밸브에 관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측에 유체가 흐르는 길이방향으로 유입홀이 형성되고, 유입홀에는 폭이 좁게 형성되는 가압홀이 형성되며, 가압홀의 종단부(終端部)에는 배출방지돌기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유입관; 유입관과 밀폐결합되면서 내측에 유체가 흐르는 길이방향으로 유입홀과 연통되는 배출홀이 형성되고, 배출홀에는 유체가 흐르는 길이방향으로 배출홀과 연통된 절개홀을 갖는 단턱부가 형성되며, 단턱부의 시단부(始端部)에는 배출방지돌기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면서 배출홀의 둘레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형성되는 지지돌기가 구비된 배출관; 및 기(旣) 설정된 탄성을 가지며, 유입관과 배출관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배출방지돌기와 지지돌기에 밀착된 상태로 개재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개폐부재는, 평상시 배출방지돌기와 지지돌기에 밀착되어 유입관으로 유입된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고, 가압홀로 유입된 유체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일 경우에만 지지돌기에 테두리부가 지지되면서 배출방지돌기와 밀착된 면이 이격되어 유입홀 내부의 유체가 배출홀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고압 체크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료용 고압 체크밸브{HIGH-PRESSURE CHECK VALVE FOR MEDICAL}
본 고안은 의료용 고압 체크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정 압력(고압) 이상에서만 개방되도록 설계한 의료용 고압 체크밸브에 관한 것이다.
의료기기에 사용되는 체크밸브는 모두 저압용 체크밸브로써, 일정한 저압 상태에서 개방되도록 동작한다.
이러한 저압용 체크밸브는 대부분 홀의 중심에서 하나의 돌기가 일정 탄성력을 갖는 개폐판의 일측면을 지지하며 상기 개폐판의 타측면에 형성된 홀의 둘레부가 상기 개폐판을 밀착시키는 형태로써, 설정된 저압 상태일 경우 개폐판의 중심을 제외한 둘레부가 개방되는 구조이다.
즉, 본 고안의 구조와 비교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배출방지돌기와 지지돌기의 구조에서 지지돌기가 배출홀의 중심에 하나로 구성되며, 가이드지지봉이 배출홀이 아닌 유입홀의 가압홀 내부로 형성되어 일정 압력(저압 상태)시 지지돌기에 의해 배출방지돌기에 밀착된 개폐판이 지지돌기와 접촉된 부위를 제외한 둘레부가 배출방지돌기와 이격되어(우산 형상) 유체를 흐르게 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중심에 위치한 지지돌기에 의해 쉽게 개방되는 형태로써 저압용 체크밸브로만 사용할 수 있으며, 고압용 체크밸브에는 적용할 수 없는 구조이다.
(0001) 국내등록특허 제10-0954852호(고압용 체크밸브) (0002) 국내등록특허 제10-1151585호(고압유체용 일체형 체크밸브)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고압의 유체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구조의 의료용 고압 체크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인 의료용 고압 체크밸브는, 내측에 유체가 흐르는 길이방향으로 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홀에는 폭이 좁게 형성되는 가압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홀의 종단부(終端部)에는 배출방지돌기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과 밀폐결합되면서 내측에 유체가 흐르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유입홀과 연통되는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홀에는 유체가 흐르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배출홀과 연통된 절개홀을 갖는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의 시단부(始端部)에는 상기 배출방지돌기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면서 상기 배출홀의 둘레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형성되는 지지돌기가 구비된 배출관; 및 기(旣) 설정된 탄성을 가지며, 상기 유입관과 상기 배출관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배출방지돌기와 상기 지지돌기에 밀착된 상태로 개재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평상시 상기 배출방지돌기와 상기 지지돌기에 밀착되어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고, 상기 가압홀로 유입된 유체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일 경우에만 상기 지지돌기에 테두리부가 지지되면서 상기 배출방지돌기와 밀착된 면이 이격되어 상기 유입홀 내부의 유체가 상기 배출홀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개홀은, 십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배출방지돌기와 상기 지지돌기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지지돌기의 외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개폐판; 및 상기 개폐판의 중심에서 상기 절개홀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절개홀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가이드지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르면, 개폐판의 둘레부를 지지하는 지지돌기의 구성을 통해 개폐판의 둘레부를 제외한 중심부가 이격되어 유체가 흐르는 구조로써, 고압의 유체를 제어하는데 효율적이다.
또한, 절개홀을 십자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은 물론, 절개홀을 제외한 네 부위에서 지지돌기가 지지하는 형태로 설계되므로 안정적인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가압홀의 종단부에 배출방지돌기를 구성하고 이를 개폐판의 중심부가 밀착되어 지지하는 형태로써, 개폐판의 둘레부가 밀착되어 지지하는 형태에 비하여 밀착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지지봉의 구성으로 배출되는 유체의 양과 함께 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도 1은 본 고안인 의료용 고압 체크밸브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의료용 고압 체크밸브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의료용 고압 체크밸브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의료용 고압 체크밸브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해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의료용 고압 체크밸브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이고, 도 2a는 배출관(200)의 단턱부(211)와 절개홀(212) 및 지지돌기(220)의 형태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b는 유입관(100)의 가압홀(111)과 배출방지돌기(120)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의 (a)는 본 고안인 의료용 고압 체크밸브의 평상시 개폐부재(300)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의 (b)는 본 고안인 의료용 고압 체크밸브 내로 유체 흐름시 개폐부재(300)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의료용 고압 체크밸브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인 의료용 고압 체크밸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은 유입관(100), 배출관(200) 및 개폐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유입관(100)은 유체가 유입되는 관으로 유입관(100)의 내부에는 유체가 흐르는 길이방향(도 4를 기준으로 가로방향)으로 유입홀(110)이 형성된다. 도 4를 기준으로 하면, 유입홀(110)은 우측에서 넓어졌다가 좌측으로 갈수록 좁아진 후 다시 넓어지는 형상이며, 좁아진 부위가 가압홀(111)을 형성한다. 가압홀(111)은 유입홀(110)의 내부에 중공을 갖는 단턱형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홀(111)의 종단부(終端部)에는 가압홀(111)의 테두리방향으로 배출방지돌기(120)가 형성되며, 배출방지돌기(120)는 동일한 높이(도 4를 기준으로 좌우길이)로 형성된다. 가압홀(111)의 좁은 면적에 의해 유체의 압력이 높아지며,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의 압력이 일정 압력(설정된 고압) 이상일 경우 후술할 개폐부재(300)의 둘레부를 제외한 중심부위가 배출방지돌기(120)로부터 이격되어 가압홀(111)이 개방된다.
배출관(200)은 유입관(100)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관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유입관(100)의 일측에 그 타측이 결합되며, 배출관(200)의 내부에는 유체가 흐르는 길이방향(도 4를 기준으로 가로방향)으로 유입홀(110)과 연통되는 배출홀(210)이 형성된다. 도 4를 기준으로 하면, 배출홀(210)의 우측에는 단턱부(211)가 형성되며, 단턱부(211)의 시단부(始端部)에는 배출방지돌기(12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면서 배출홀(210)의 내측 둘레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형성되는 지지돌기(220)가 구비된다. 단턱부(211)에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홀(210)과 연통되는 열십자 형태(+)의 절개홀(212)이 형성된다.
개폐부재(300)는 가압홀(111)을 폐쇄 및 개방하는 것으로 본 고안인 의료용 고압 체크밸브에 적용하고자 하는 설정압력을 고려하여 기(旣) 설정된 탄성을 갖도록 제작하며, 유입홀(110)과 배출홀(210)의 내경도 설정압력을 고려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부재(300)는 유입관(100)과 배출관( 200)의 둘레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배출방지돌기(120)와 지지돌기(220)에 밀착된 상태로 개재된다.
개폐부재(300)는 개폐판(310) 및 가이드지지봉(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개폐판(310)은 배출방지돌기(120)와 지지돌기(220)의 사이에 개재되고, 유입관(100) 및 배출관(210)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며, 지지돌기(220)의 외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가이드지지봉(320)은 개폐판(310)의 중심에서 절개홀(212)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절개홀(212)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가이드지지봉(320)의 구성으로 배출홀(210)을 통해 유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가이드지지봉(320)은 절개홀(212)의 내경 내에서만 이동하므로 개폐판(31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개폐판(310)의 동작반경 이탈을 방지한다.
개폐부재(300)는 평상시 배출방지돌기(120)와 지지돌기(220)에 밀착되어 유입관(100)으로 유입된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고, 가압홀(111)로 유입된 유체의 압력이 일정 압력(설정된 고압) 이상일 경우에만 지지돌기(220)에 테두리부가 지지되면서 배출방지돌기(120)와 밀착된 면이 이격되어 유입홀(110), 즉 가압홀(111) 내부의 유체가 배출홀(210)로 이송되도록 동작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고안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의 (a)와 같이 위치한 상태에서 유체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도 3의 (b)와 같이 개폐판(310)의 중심부위가 배출방지돌기(120)로부터 이격되며, 유체는 이격된 공간을 통해 절개홀(212, 배출관의 내부 우측)과 배출홀(210, 배출관의 내부 좌측)을 거쳐 배출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를 한정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으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유입관
110 : 유입홀 111 : 가압홀
120 : 배출방지돌기
200 : 배출관
210 : 배출홀 211 : 단턱부
212 : 절개홀 220 : 지지돌기
300 : 개폐부재
310 : 개폐판 320 : 가이드지지봉

Claims (3)

  1. 내측에 유체가 흐르는 길이방향으로 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홀에는 폭이 좁게 형성되는 가압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홀의 종단부(終端部)에는 배출방지돌기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과 밀폐결합되면서 내측에 유체가 흐르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유입홀과 연통되는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홀에는 유체가 흐르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배출홀과 연통된 절개홀을 갖는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홀은 배출홀과 연통되게 열십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의 시단부(始端部)에는 상기 배출방지돌기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면서 상기 배출홀의 둘레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형성되는 지지돌기가 구비된 배출관; 및
    기(旣) 설정된 탄성을 가지며, 상기 유입관과 상기 배출관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배출방지돌기와 상기 지지돌기에 밀착된 상태로 개재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배출방지돌기와 상기 지지돌기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지지돌기의 외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개폐판; 및 상기 개폐판의 중심에서 상기 절개홀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절개홀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가이드지지봉;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평상시 상기 배출방지돌기와 상기 지지돌기에 밀착되어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고, 상기 가압홀로 유입된 유체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일 경우에만 상기 지지돌기에 테두리부가 지지되면서 상기 배출방지돌기와 밀착된 면이 이격되어 상기 유입홀 내부의 유체가 상기 배출홀로 이송되어 유체를 제어하는데 효율적이고, 지지돌기의 안정적인 지지력을 확보하고, 개폐판의 중심부가 밀착되어 밀착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고압 체크밸브.
  2. 삭제
  3. 삭제
KR2020170005040U 2017-09-25 2017-09-25 의료용 고압 체크밸브 KR2004891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040U KR200489163Y1 (ko) 2017-09-25 2017-09-25 의료용 고압 체크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040U KR200489163Y1 (ko) 2017-09-25 2017-09-25 의료용 고압 체크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833U KR20190000833U (ko) 2019-04-03
KR200489163Y1 true KR200489163Y1 (ko) 2019-05-10

Family

ID=66103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040U KR200489163Y1 (ko) 2017-09-25 2017-09-25 의료용 고압 체크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163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44453A1 (en) * 2005-01-06 2006-07-06 Dynamic Air Inc. Booster valve
US20080265064A1 (en) * 2005-12-27 2008-10-30 Ron Keren Fluid Flow Control Regula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852B1 (ko) 2007-10-09 2010-04-28 광신기계공업 주식회사 고압용 체크밸브
KR101151585B1 (ko) 2011-12-21 2012-05-31 보영에이치에스주식회사 고압유체용 일체형 체크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44453A1 (en) * 2005-01-06 2006-07-06 Dynamic Air Inc. Booster valve
US20080265064A1 (en) * 2005-12-27 2008-10-30 Ron Keren Fluid Flow Control Regu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833U (ko)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3361B1 (ko) 연료 차단 밸브
EP1372375B1 (en) Water inlet filter in an emitter
KR960031858A (ko) 다이어프램밸브
JP2006057682A (ja) 逆止弁
US20160153576A1 (en) Solenoid valve
KR101884508B1 (ko) 액체 배출 장치
EP3283800B1 (en) Valve seat
JP2009154064A (ja) 液滴塗布ディスペンサ
RU2638255C2 (ru) Пусковой клапан,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й для машины, работающей с текучей средой, и работающий в вакуумной системе
KR200489163Y1 (ko) 의료용 고압 체크밸브
JP2012017800A (ja) リリーフバルブ
JP5594626B2 (ja) リリーフバルブ
JP2018179195A (ja) 環状弁
JP2019011885A (ja) 膨張弁
KR102524079B1 (ko) 밸브
KR102151124B1 (ko) 릴리프밸브
JP7012367B2 (ja) 切り替え弁
JP2010112405A (ja) 逆止弁
WO2011051933A1 (en) A dripper and a flow resistance mechanism thereof
JP4360108B2 (ja) 定流量弁
US7810678B2 (en) Dispensing device and pumping element
KR100356058B1 (ko) 체크밸브의 구조
US10180195B2 (en) Solenoid valve with progressive spring inside anchor
WO2018218493A1 (zh) 单向流量阀
JP6063224B2 (ja) チェック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