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132Y1 - 수거가 용이한 의류 수거함 - Google Patents

수거가 용이한 의류 수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132Y1
KR200489132Y1 KR2020180004980U KR20180004980U KR200489132Y1 KR 200489132 Y1 KR200489132 Y1 KR 200489132Y1 KR 2020180004980 U KR2020180004980 U KR 2020180004980U KR 20180004980 U KR20180004980 U KR 20180004980U KR 200489132 Y1 KR200489132 Y1 KR 2004891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box
collection
closing door
hanger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9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기진
Original Assignee
손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기진 filed Critical 손기진
Priority to KR20201800049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1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1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1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the receptacles being divided in compartments by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거가 용이한 의류 수거함에 관한 것으로서, 배출 개폐도어의 개방이 수평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내부에 보관되는 의류의 수거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의류 보관이 가능하도록 일정 크기의 보관공간을 형성하는 수거함 본체(10)와; 상기 수거함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의류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투입 개폐도어(20)와; 상기 수거함 본체(10) 내부에 복수의 개소에 구성되어 마대자루(31)가 걸려질 수 있도록 하는 마대걸이(30)와; 상기 수거함 본체(10)의 하부에 구성되어 내부에 보관되는 의류의 수거가 가능하도록 하되, 일측의 힌지부(41)를 기준으로 수평방향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배출 개폐도어(40)와; 상기 배출 개폐도어(40)의 잠금동작을 위한 잠금부재(50)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거가 용이한 의류 수거함{CLOTHES COLLECTION BOX}
본 고안은 의류 수거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거함 출구의 오픈방향을 개선시킴으로서 수거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수거가 용이한 의류 수거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수거함은 아파트나 주택가 등의 곳곳에 설치되어 헌 옷이나 신발, 이불, 커텐과 같은 의류를 수거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어지게 된다.
도 1은 종래 일 예에 따른 의류 수거함(1)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부에서 덥개역할과 투입공간을 형성시키는 아치형 덮개(100)와, 세로방향으로 직립되어 세워지고 아치형 덮개(100)의 양쪽 하단과 상단 일측이 결합되어 각 기기를 지지하는 수거함 몸체(200)와, 수거함몸체(200)의 정면 하단에 형성되어 개폐되며 내부의 의류를 수거할 수 있도록 도어를 형성시키는 수거 개폐도어(300)와, 수거함몸체(200)의 하단에 형성되어 수거함몸체의 바닥면이 지면에 직접 닿지 않도록 이격시키며, 내부의 수거물을 지지하는 받침판(400)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의류 수거함은 내부에 보관되는 의류를 수거하기 위해서 개폐도어(300)를 열어야 하는데, 도면을 통해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개폐도어(300)의 오픈방향이 수직방향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 수거작업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개폐도어(300)를 열고서 하부에 위치된 의류부터 수거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수거함몸체(200) 내부에 의류가 가득 채워져 있는 경우에는 의류 하중으로 인해 개폐도어(300)를 열었을 때 수거작업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선행기술 0001)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369817호(2014.02.26.등록) (선행기술 0002) 대한민국실용등록 제479171호(2015.12.21.등록)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배출구 개폐도어의 오픈이 수평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내부에 보관되는 의류의 수거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의 의류 수거함은, 내부에 의류 보관이 가능하도록 일정 크기의 보관공간을 형성하는 수거함 본체와; 상기 수거함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의류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투입 개폐도어와; 상기 수거함 본체 내부에 복수의 개소에 구성되어 마대자루가 걸려질 수 있도록 하는 마대걸이와; 상기 수거함 본체의 하부에 구성되어 내부에 보관되는 의류의 수거가 가능하도록 하되, 일측의 힌지부를 기준으로 수평방향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배출 개폐도어와; 상기 배출 개폐도어의 잠금동작을 위한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의류수거함은, 배출 개폐도어의 개방이 수평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내부에 보관되는 의류의 수거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종래 일 예에 따른 의류 수거함 외관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수거함 외관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 의류 수거함의 단면 구조도.
도 4는 본 고안 의류 수거함의 배출 개폐도어 개방시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변형된 실시 예에 따른 분할형 의류 수거함 외관 구조도,
도 6은 본 고안의 변형된 실시 예에 따른 분할형 의류 수거함 정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수거함 단면 구조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서 의류 수거함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수거함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류 수거함 본체 정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수거함의 구성을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의 의류수거함은, 내부에 의류 보관이 가능하도록 일정 크기의 보관공간을 형성하는 수거함 본체(10)와, 수거함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의류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투입 개폐도어(20)와, 수거함 본체(10) 내부에 복수의 개소에 구성되어 마대자루(31)가 걸려질 수 있도록 하는 마대걸이(30)와, 상기 수거함 본체(10)의 하부에 구성되어 내부에 보관되는 의류의 수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배출 개폐도어(40)로 구성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의 배출 개폐도어(40)는 일측의 힌지부(41)를 기준으로 수평방향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또한, 배출 개폐도어(40)의 타측에는 잠금동작을 위한 잠금부재(50)가 구성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2는 수거함 본체(10)를 일정 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다리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 의류 수거함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의류 수거함은 내부의 마대걸이(30)에 마대자루(31) 또는 그물망 등과 같은 수거부재를 걸어준 상태에서 잠금부재(50)를 잠궈줌으로서 배출 개폐도어(40)의 개방을 제한하는 가운데 의류 수거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투입 개폐도어(20)를 통하여 헌옷 등과 같은 의류를 투입하게 되면, 투입된 의류는 수거함 내부의 마대걸이(30)에 걸려진 마대자루(31)에 쌓여서 보관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일정량의 의류가 쌓이게 되면 잠금부재(50)의 잠금상태를 해제한 후, 배출 개폐도어(40)를 열고서 마대걸이(30)에 걸려져 있던 마대자루(31)를 외부로 인출시켜서 의류 수거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배출 개폐도어(40)는 수평방향으로 개방이 이루어지게 됨으로 마대자루(30)의 인출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의 의류 수거함은 내부에 투입된 의류의 수거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변형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수거함 본체(10) 내부 공간을 분리벽(11)으로 분할시킨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게 되면 투입되는 물품을 구분하여 의류 외에 신발이나 이불 등을 별도로 투입 보관토록 함으로서 수거 및 재활용을 위한 분류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수거함 본체(10) 내부에는 슬라이딩 입출이 가능한 내부함체(60)가 구비되고, 상기 마대걸이(30)는 내부함체(60)의 내벽면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배출 개폐도어(40)를 수평방향으로 개방시킨 상태에서 의류를 수거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고개를 숙이고 마대자루(31)를 마대걸이(30)로 부터 이탈시키는 번거로움 없이 내부함체(60)를 외부로 잡아당겨서 슬라이딩 인출시킨 상태에서 보다 손쉽게 의류 수거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또한,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수거함 본체(10) 내부에는 "ㄷ"형상을 이루는 걸이대(70)가 슬라이딩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마대걸이(30)는 걸이대(70)에 구비되며, 수거함 본체(10) 내벽면에는 걸이대(70)의 안내를 위한 안내홈(13)이 형성된다.
이와 함께 안내홈(13)에는 걸이대(70)의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 코팅층(13a)이 형성된다. 이때 안내 코팅층(13a)은 윤활성의 테프론 재질로 이루어지되, 코팅층의 내구성 증대를 위한 규조토 및 세라믹분말, 산화발생 방지를 위한 페놀프탈레인 그리고 페놀프탈레인 성분의 활성화를 위한 염화메틸렌 성분이 첨가됨이 바람직하다.
즉, 이때에는 테프론 분말 30~50중량%, 규조토 10~30중량%, 세라믹분말 10~30중량%, 페놀프탈레인 1~10중량%, 염화메틸렌 1~10중량%의 비율로 혼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마대자루(31)의 인출을 위해서 걸이대(70)를 안내홈(13)으로 부터 슬라이딩 이탈 시키는 동작으로 의류의 수거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안내홈(13)에는 윤활성의 안내 코팅층(13a)이 형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걸이대(70)의 슬라이딩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의류 수거함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수거함 내부 공간이 하나 또는 두개로 분할된 형태가 설명되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수거함 내부 공간은 3개 이상으로 분할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수거함 본체 11 : 분리벽
12 : 다리부 20 : 투입 개폐도어
30 : 마대걸이 31 : 마대자루
40 : 배출 개폐도어 41 : 힌지부
50 : 잠금부재

Claims (6)

  1. 내부에 의류 보관이 가능하도록 일정 크기의 보관공간을 형성하되, 내부에는 내부 공간을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벽(11)이 구비되고, 투입 개폐도어(20)는 분리벽(11)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분리되되;
    내부에는 "ㄷ"형상을 이루는 걸이대(70)가 슬라이딩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마대걸이(30)는 걸이대(70)에 구비되며, 수거함 본체(10) 내벽면에는 걸이대(70)의 안내를 위한 안내홈(13)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13)에는 걸이대(70)의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 코팅층(13a)이 형성되되, 상기 안내 코팅층(13a)은 윤활성의 테프론 분말 30~50중량%에 대하여 상기 안내 코팅층(13a)에는 내구성 증대를 위한 규조토 10~30중량%, 세라믹분말 10~30중량%, 산화발생 방지를 위한 페놀프탈레인 1~10중량%, 그리고 페놀프탈레인 성분의 활성화를 위한 염화메틸렌 1~10중량% 성분이 첨가된 수거함 본체(10)와;
    상기 수거함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의류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투입 개폐도어(20)와;
    상기 수거함 본체(10) 내부에 복수의 개소에 구성되어 마대자루(31)가 걸려질 수 있도록 하는 마대걸이(30)와;
    상기 수거함 본체(10)의 하부에 구성되어 내부에 보관되는 의류의 수거가 가능하도록 하되, 일측의 힌지부(41)를 기준으로 수평방향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배출 개폐도어(40)와;
    상기 배출 개폐도어(40)의 잠금동작을 위한 잠금부재(50);
    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거가 용이한 의류 수거함.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 본체(10) 내부에는 슬라이딩 입출이 가능한 내부함체(60)가 구비되고, 상기 마대걸이(30)는 내부함체(60)의 내벽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거가 용이한 의류 수거함.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80004980U 2018-11-02 2018-11-02 수거가 용이한 의류 수거함 KR2004891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980U KR200489132Y1 (ko) 2018-11-02 2018-11-02 수거가 용이한 의류 수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980U KR200489132Y1 (ko) 2018-11-02 2018-11-02 수거가 용이한 의류 수거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132Y1 true KR200489132Y1 (ko) 2019-08-23

Family

ID=67763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980U KR200489132Y1 (ko) 2018-11-02 2018-11-02 수거가 용이한 의류 수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1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924B1 (ko) 2022-11-03 2023-02-14 김태삼 고효율 작업성과 월등한 경제성 및 노동 생산성과 작업 안전성이 우수한 친환경 헌옷 수거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171B1 (ko) 2002-07-04 2005-03-28 주식회사 파워텍시스 유무선 겸용 단말기를 사용한 원격제어감시시스템
KR20120006931U (ko) * 2011-03-30 2012-10-10 백현태 조립식 청소용 마대 걸이
KR200468697Y1 (ko) * 2013-03-14 2013-09-04 안강민 휴대용 분리수거대
KR101369817B1 (ko) 2012-06-20 2014-03-04 (주)비즈붐 리벳과 절곡을 통한 의류 수거함 및 제작방법
KR200473734Y1 (ko) * 2013-01-31 2014-07-24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재활용을 위한 분리수거함
WO2014122630A1 (en) * 2013-02-11 2014-08-14 Tesmapri Spa Bin for collecting garments
KR101470156B1 (ko) * 2013-05-15 2014-12-05 석낙완 쓰레기 분리 수거함
KR20150071999A (ko) * 2013-12-19 2015-06-29 김동봉 소독장치를 구비한 의류수거함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171B1 (ko) 2002-07-04 2005-03-28 주식회사 파워텍시스 유무선 겸용 단말기를 사용한 원격제어감시시스템
KR20120006931U (ko) * 2011-03-30 2012-10-10 백현태 조립식 청소용 마대 걸이
KR101369817B1 (ko) 2012-06-20 2014-03-04 (주)비즈붐 리벳과 절곡을 통한 의류 수거함 및 제작방법
KR200473734Y1 (ko) * 2013-01-31 2014-07-24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재활용을 위한 분리수거함
WO2014122630A1 (en) * 2013-02-11 2014-08-14 Tesmapri Spa Bin for collecting garments
KR200468697Y1 (ko) * 2013-03-14 2013-09-04 안강민 휴대용 분리수거대
KR101470156B1 (ko) * 2013-05-15 2014-12-05 석낙완 쓰레기 분리 수거함
KR20150071999A (ko) * 2013-12-19 2015-06-29 김동봉 소독장치를 구비한 의류수거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924B1 (ko) 2022-11-03 2023-02-14 김태삼 고효율 작업성과 월등한 경제성 및 노동 생산성과 작업 안전성이 우수한 친환경 헌옷 수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132Y1 (ko) 수거가 용이한 의류 수거함
CA2867606A1 (en) Refuse container cover
US1818525A (en) Wardrobe trunk
US6708819B1 (en) Closet storage device
US3437181A (en) Self-supporting luggage unit
US1959790A (en) Laundry receptacle
US20150048081A1 (en) Clothes catcher
US2702734A (en) Wardrobe garment hanger support
CN105747620A (zh) 一种方便拿取物品的橱柜
US2058682A (en) Portable receptacle conveyer
KR100748615B1 (ko) 쓰레기 운반용 카트
CN109956147A (zh) 工厂用存放快递的装置
US787476A (en) Mail-box.
CN211747901U (zh) 一种便于在房间拐角使用的家居柜
CN209324035U (zh) 浴室及住宿房屋
US1810563A (en) Laundry receptacle
CN207639915U (zh) 一种多功能鞋柜
KR100977144B1 (ko) 우산 분실 방지 신발장
CN209442047U (zh) 一种小型环保型垃圾回收站
CN206314808U (zh) 一种带暗格的衣柜
CN209018079U (zh) 一种集成功能柜
CN205418374U (zh) 一种高强度的杂物箱
CN210708994U (zh) 一种滑动式干湿分离垃圾桶
JPH0427384Y2 (ko)
JP3041548U (ja) ゴミ分別用多段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