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583Y1 - 플레이트 및 그를 포함하는 퍼즐 - Google Patents

플레이트 및 그를 포함하는 퍼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583Y1
KR200488583Y1 KR2020160006194U KR20160006194U KR200488583Y1 KR 200488583 Y1 KR200488583 Y1 KR 200488583Y1 KR 2020160006194 U KR2020160006194 U KR 2020160006194U KR 20160006194 U KR20160006194 U KR 20160006194U KR 200488583 Y1 KR200488583 Y1 KR 2004885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engaging portions
present
plate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1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269U (ko
Inventor
허욱준
Original Assignee
허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욱준 filed Critical 허욱준
Priority to KR20201600061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583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2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2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5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5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066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matching elementary shapes to corresponding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2Three-dimensional jig-saw puzz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7/00Teaching read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완구용 퍼즐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퍼즐은, 상면에 이미지가 형성된 복수의 블록, 상기 복수의 블록이 끼움 결합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는, 테두리부, 상기 블록이 끼움 결합하는 블록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블록 결합부는, 전면 개구부, 및 끼움 결합된 블록을 상기 끼움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밀어서 분리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후면 개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레이트 및 그를 포함하는 퍼즐{Plate and Puzzle Comprising the Same}
본 고안은 플레이트 및 그를 포함하는 퍼즐에 관한 것으로 지지부 및 블록 결합부를 포함하는 플레이트와 이미지가 형성된 블록으로 구성된 플레이트 및 그를 포함하는 퍼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 또는 어린이의 지능발달을 위한 장난감으로서,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블록을 조립 하여 임의의 조형물을 만들 수 있는 조립식 블록세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립식 블록세트는 어린이의 상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조형물을 조립할 수 있고, 조립한 조형물을 다시 분해한 뒤 다른 조형물을 만들 수 있는 등 반복 사용이 가능하다.
상술된 조립식 블록세트 중에서도 가장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형태 중 하나는 퍼즐 조립체에 관련된 것이다. 특히, 퍼즐은 여러 개의 조각들을 이용하여 하나의 완성된 이미지를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부분과 전체의 관계를 이해하면서 관찰력과 사고력 및 공간 지각력등이 발달될 수 있다. 또한, 정교한 조작을 통해 눈과 손의 협응력 및 집중력과 인내력이 향상될 수 있다.
블록 또는 퍼즐과 관련된 종래의 많은 기술들이 개발되었지만, 블록 형태의 퍼즐은 결합하기는 용이하나, 결합된 블록을 다시 빼는 과정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자는, 결합 후에도 용이하게 블록을 빼낼 수 있는 완구용 퍼즐 조립체를 고안하게 되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결합된 블록을 분리하기 용이한 플레이트 및 그를 포함하는 퍼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여러 번 사용시에도 결합부의 개구 형상이 유지되는 플레이트 및 그를 포함하는 퍼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삽입된 블록에 의한 돌출 부위가 있더라도 지면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플레이트 및 그를 포함하는 퍼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는, 테두리부, 및 제1 방향으로 m 개 및 제2 방향으로 n개로 이루어진 m*n 어레이로 배열되며, 상기 테두리부 내에 형성되며 블록이 끼움 결합되는 블록 결합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블록 결합부는, 상기 블록이 끼움 결합하는 전면 개구부, 및 상기 전면 개구와 상기 블록의 끼움 방향인 상기 지지부의 두께 방향으로 연통(communicating)하며, 상기 전면 개구를 통하여 끼움 결합된 블록을, 상기 블록의 끼움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밀어서 분리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후면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m, n은 1 이상의 양의 정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블록 결합부들 중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 결합부들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의 두께 방향으로 개구된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는, 상기 블록이 상기 블록 결합부에 끼움 결합시 발생하는 기계적 변형을 흡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공간부에 형성되며, 상기 블록의 끼움 결합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 결합부 사이에 연장하는 브릿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브릿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 결합부 사이에 마련되되, 제2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 결합부의 경계에서 연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브릿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 결합부의 중심부에서 연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지지부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블록 결합부의 후면 개구부로부터 제1 소정 길이 돌출하며, 상기 블록은 상기 블록 결합부에 결합 시, 상기 블록 결합부의 후면 개구부로부터 제2 소정 길이 돌출하며, 상기 제1 소정 길이는 상기 제2 소정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퍼즐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퍼즐은, 상면에 이미지가 형성된 복수의 블록 및 상기 복수의 블록이 끼움 결합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는 테두리부, 및 m*n 어레이로 배열되며, 상기 테두리부 내에 형성되며 상기 블록이 끼움 결합되는 블록 결합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블록 결합부는, 상기 블록이 끼움 결합하는 전면 개구부, 및 상기 전면 개구와 상기 블록의 끼움 방향인 상기 지지부의 두께 방향으로 연통(communicating)하며, 상기 전면 개구를 통하여 끼움 결합된 블록을, 상기 블록의 끼움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밀어서 분리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후면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퍼즐은, 복수의 블록, 상기 복수의 블록이 끼움 결합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블록이 끼움 결합되는 블록 결합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블록 결합부는, 상기 블록이 끼움 결합하는 전면 개구부 및 상기 전면 개구와 상기 블록의 끼움 방향인 상기 지지부의 두께 방향으로 연통하며, 상기 전면 개구를 통하여 끼움 결합된 블록을, 상기 블록의 끼움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밀어서 분리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후면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퍼즐은, 상기 후면 개구부로부터 돌출된 상기 블록의 길이가 상기 후면 개구부로부터 돌출된 테두리부의 길이보다 짧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퍼즐은, 상기 블록과 상기 블록 결합부가 끼움 결합된 경우, 상기 블록의 끼움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밀어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의 용이성은, 상기 퍼즐의 크기가 작을수록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퍼즐은, 삽입된 블록에 의한 돌출 부위가 있더라도 지면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퍼즐은 제1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 결합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공간부 및 상기 공간부 사이에 형성되되, 제2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 결합부의 경계 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 결합부의 중심부에서 연장하는 브릿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부 및 상기 브릿지는, 상기 블록과 상기 블록 결합부가 결합되는 경우 발생하는 기계적 변형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블록 결합부의 개구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의 전면 사시도 및 블록 결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의 후면 사시도 및 A-A'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퍼즐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퍼즐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형상 및 크기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400)은 이미지부(410) 및 돌출 패턴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400)은, 복수 개로 준비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상기 이미지부(410)는, 이미지 또는 글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미지부(410)는, 상기 블록(400)의 일면 상에 이미지 또는 글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프린팅 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부(410)는, 복수 개로 준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복수의 상기 이미지부(410)들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형상(이미지 또는 글자)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돌출 패턴부(420)는, 후술되는 플레이트의 블록 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출 패턴부(420)는, 상기 이미지부(410)와 대향하여 상기 블록(40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 패턴부(420)는, 상기 블록(400)의 일면으로부터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출된 부분의 형상은, 다양한 패턴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돌출 패턴부(420)는, 상기 블록(400)의 일면 상에 배치된 상기 이미지부(410)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이미지부(410)와 대향하는 일면에서 수직인 방향으로 다양한 패턴을 갖고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출 패턴부(420)의 단면은 상기 이미지부(410) 보다 좁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 패턴부(420)의 크기 및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크기 및 형상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당업자의 설계에 따라 상기 돌출 패턴부(420)의 크기 및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의 전면 사시도 및 블록 결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는, 블록 결합부(110), 공간부(120), 지지부(130), 및 테두리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상기 블록 결합부(11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블록(400)을 수용하여 끼움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블록 결합부(110)는, 지지부(130), 전면 개구부(112) 및 후면 개구부(114, 도 3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블록 결합부(110)에 대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상기 블록 결합부(110)의 지지부(130)는 내부에 전면 개구부(112) 및 후면 개구부(114)가 형성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면 개구부(112)는, 상기 블록(400)의 상기 돌출 패턴부(420)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면 개구부(112)의 개구 형태는, 상기 돌출 패턴부(420)의 패턴과 대응되는 패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후면 개구부(114)는, 상기 전면 개구를 통하여 끼움 결합된 상기 블록(400)을, 상기 블록(400)의 끼움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밀어 분리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후면 개구부(114)는, 상기 전면 개구와 상기 블록(400)의 끼움 방향인 상기 지지부(130)의 두께 방향으로 연통(communicating)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30)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방향은, 도 2의 (a)에 도시된 z 방향일 수 있다.
상기 블록 결합부(110)는, 제1 방향으로 n 개 및 제2 방향으로 m 개로 이루어진 m*n 어레이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방향은, 도 2의 (a)에 도시된 x 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방향은, 도 2의 (a)에 도시된 y 방향일 수 있다. 상기 m 및 상기 n은 1 이상의 양의 정수 일 수 있다. 이로써, m이 3이고 n이 3인 경우, m*n 어레이는 블록(400)이 결합할 수 있는 9개의 조인트 포인트(jp)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블록 결합부(110)의 개구(112) 형상은, yx 면을 기준으로 십자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록 결합부(110)의 개구의 y 축 방향 길이는 x 축 방향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즉, 상기 블록 결합부(110)의 상변(112a)와 하변(112b) 사이의 거리는 좌변(112d)와 우변(112c) 사이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이 때, 상기 블록(140)의 돌출 패턴부(420)가 상기 블록 결합부(110)의 개구(112) 형상에 대응됨은 물론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블록 결합부(110)가 m*n 어레이로 배열되는 경우, n1xm1, n2xm1, n3xm1에 의해 정의되는 블록 결합부(110)의 개구부 상변(112a)는 테두리부(150)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또한, n1xm3, n2xm3, n3xm3에 의해 정의되는 블록 결합부(110)의 개구부 하변(112b)도 테두리부(150)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n1xm1, n1xm2, n3xm3에 의해 정의되는 개구부 좌변(112d) 및 n3xm1, n3xm2, n3xm3에 의해 정의되는 개구부 우변(112c)도 테두리부(150)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또한, y 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블록 결합부(110)의 개구는 연속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n1 라인에 위치하는 블록 결합부(110)의 개구는 전체적으로 단일의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n2 및 n3 라인에 위치하는 블록 결합부(110)의 개구도 전체적으로 단일의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블록 결합부(110)의 개구부(112)가 긴 방향으로 개구가 연속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간부(120)는, 상기 블록(400)이 상기 블록 결합부(110)에 끼움 결합시 발생하는 기계적 변형을 흡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계적 변형은, 상기 제1 방향으로 n 개 연결된 상기 블록 결합부(110)들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공간부(120)는, 상기 블록 결합부(110)들 중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블록 결합부(110)들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공간부(120)는, 상기 지지부(130)의 두께 방향으로 개구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블록 결합부(110)의 개구부(112)가 짧은 방향으로 공간부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테두리부(150)는 상기 블록 결합부(110)의 외측을 둘러싸며 전체적인 외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플레이트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의 후면 사시도 및 A-A'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블록(400)이 끼움 결합되는 지지부(130)의 두께는, 상기 블록(400)의 상기 돌출 패턴부(420)의 돌출된 길이 보다 얇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블록(400)과 상기 블록 결합부(110)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돌출 패턴부(420)는, 상기 후면 개구부(114)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150)는, 상기 퍼즐이 지면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테두리부(150)는, 상기 지지부(130)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150)는 상기 블록 결합부(100)의 상기 후면 개구부(114)로부터 제1 소정 길이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소정 길이는, 도 3의 (b)에 도시된 d1일 수 있다.
상기 블록(400) 및 상기 블록 결합부(110)가 결합된 경우, 상기 블록(400)은 상기 블록 결합부(110)의 상기 후면 개구부(114)로부터 제2 소정 길이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소정 길이는, 도 3의 (b)에 도시된 d2일 수 있다. 상기 제1 소정 길이는, 상기 제2 소정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블록(400) 및 상기 블록 결합부(100)가 결합된 경우, 상기 후면 개구부(114)로부터 돌출된 상기 돌출 패턴(420)부의 길이는, 상기 후면 개구부(114)로부터 돌출된 상기 테두리부(150)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로써 블록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테두리부(150)가 지지면에 대하여 안정적인 안착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퍼즐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블록(400) 및 상기 블록 결합부(110)가 결합된 상기 퍼즐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손가락으로 상기 블록(400)의 상기 돌출 패턴부(420)를 눌러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종래 기술에 따르면, 블록을 결합하는 면과 블록을 분리하는 면이 동일하기 때문에 결합된 블록을 분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400)을 삽입하는 전면 개구부(112)와 대향하여 블록(400)을 분리하는 후면 개구부(114)가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후면 개구부(114)를 통하여 용이하게 블록(400)을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장점은, 상기 블록(400) 및 상기 블록 결합부(110)의 크기가 작을수록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본 고안의 실시 예와 달리, 상기 후면 개구부(114)로부터 돌출된 상기 돌출 패턴(420)의 길이와, 상기 후면 개구부(114)로부터 돌출된 상기 테두리부(150)의 길이의 차이가 없는 퍼즐의 경우, 상기 블록(400)의 결합을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후면 개구부(114)로부터 돌출된 상기 돌출 패턴(420)의 길이가, 상기 후면 개구부(114)로부터 돌출된 상기 테두리부(150)의 길이보다 긴 경우, 상기 퍼즐이 지면 상에 용이하게 정착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퍼즐은, 테두리부(150)가 블록의 결합 마진보다 두껍게 제공되므로 플레이트가 안정적으로 지면에 안착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는 3D 프린팅으로 제조될 수 있다. 3D 프린팅 제조 기술은, 기판 내에 빈 공간이 많을수록 원가 재료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는, 상기 공간부(120), 상기 전면 개구부(112), 및 상기 후면 개구부(114)로 구성됨에 따라, 많은 빈 공간이 포함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는, 3D 프린팅으로 제조되는 경우, 원가 재료가 절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공간부 및 개구부들은 제조 원가를 절감시키면서 기계적 변형 최소화 및 블록 탈부착 용이성 향상이라는 상승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를 상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1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에 브릿지(240A, 240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와 비교하여 추가되는 구성을 중점으로 상술하기로 한다.
상기 브릿지(240A, 240B)는, 상기 블록(400)의 끼움 결합에 따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브릿지(240A, 240B)는, 상기 공간부(220)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블록 결합부(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브릿지(240A)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 결합부(210)의 중심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브릿지(240A)는, 도 2의 (b)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블록 결합부(210)의 우변(112c) 및/또는 상기 좌변(112d) 중심에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240A)는, 상기 우변(112c) 및 상기 좌변(112d) 사이의 상기 공간부(22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르면, 상기 브릿지(240B)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블록 결합부(210)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블록 결합부(210)의 경계에서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브릿지(240)는, 도 2의 (b)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블록 결합부(210)의 하변(112b) 및 상기 이웃하는 블록 결합부의 상변(112) 간의 접촉변에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240B)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접촉변들 사이의 상기 공간부(22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퍼즐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제2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브릿지의 기능/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나, 이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브릿지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블록(400) 및 상기 블록 결합부(210)가 결합된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퍼즐이 준비된다.
상기 블록(400) 및 상기 블록 결합부(210)가 결합된 경우, 상기 블록(400)의 끼움 결합에 따라, 물리적 힘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힘은, 상기 블록 결합부(210)를 중심으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힘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블록 결합부(210)의 개구 형상이 물리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브릿지(240B)는, 상기 힘의 발생에 대해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브릿지(240B)는, 상기 개구 형상의 물리적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퍼즐은, 상기 블록(400) 및 상기 블록 결합부(210)의 끼움 결합을 여러 번 수행한 경우에도, 상기 블록 결합부(210)의 개구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를 상술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2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에 완충부(36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결합부(310)가 제2 방향으로 독립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와 비교하여 차이점을 중심으로 상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블록 결합부(310)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되, 서로 독립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블록 결합부(310)가 m*n 어레이로 배열되는 경우, y 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블록 결합부(310)의 개구는 독립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n1 라인에 위치하는 블록 결합부(310)의 개구는 개별의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n2 및 n3 라인에 위치하는 블록 결합부(310)의 개구도 개별의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블록 결합부(310)들의 상기 상변(312a) 및 상기 하변(312b) 사이에는, 완충부(360)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완충부(360)는, 상기 블록(400) 및 상기 블록 결합부(310)가 결합될 경우, 상기 제2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발생되는 물리적 힘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힘의 발생에 따른 상기 불록 결합부(310)의 개구 형상의 물리적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200A, 200B, 300: 플레이트
110, 210, 310: 블록 결합부
112, 212, 312: 전면 개구부
114, 214, 314: 후면 개구부
120, 220, 320: 공간부
130, 230, 330: 지지부
150, 250, 350: 테두리부
360: 완충부

Claims (7)

  1. 테두리부; 및
    제1 방향으로 m 개 및 제2 방향으로 n개로 이루어진 m*n 어레이로 배열되며, 상기 테두리부 내에 형성되며 블록이 끼움 결합되는 블록 결합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블록 결합부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블록이 끼움 결합하는 전면 개구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전면 개구부와 상기 블록의 끼움 방향인 상기 지지부의 두께 방향으로 연통(communicating)하며, 상기 전면 개구부를 통하여 끼움 결합된 블록을, 상기 블록의 끼움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밀어서 분리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후면 개구부를 포함하되,
    상기 블록 결합부들 중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 결합부들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의 두께 방향으로 개구된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는, 상기 블록이 상기 블록 결합부에 끼움 결합시 발생하는 기계적 변형을 흡수하는 플레이트.
    (m, n은 1 이상의 양의 정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에 형성되며, 상기 블록의 끼움 결합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 결합부 사이에 연장하는 브릿지를 더 포함하는 플레이트.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 결합부 사이에 마련되되, 제2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 결합부의 경계에서 연장하는 플레이트.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 결합부의 중심부에서 연장하는 플레이트.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지지부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블록 결합부의 후면 개구부로부터 제1 소정 길이 돌출하며,
    상기 블록은 상기 블록 결합부에 결합 시, 상기 블록 결합부의 후면 개구부로부터 제2 소정 길이 돌출하며, 상기 제1 소정 길이는 상기 제2 소정 길이보다 더 긴 플레이트.
  7. 상면에 이미지가 형성된 복수의 블록; 및
    상기 복수의 블록이 끼움 결합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는 테두리부, 및
    제1 방향으로 m 개 및 제2 방향으로 n개로 이루어진 m*n 어레이로 배열되며, 상기 테두리부 내에 형성되며 상기 블록이 끼움 결합되는 블록 결합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블록 결합부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블록이 끼움 결합하는 전면 개구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전면 개구부와 상기 블록의 끼움 방향인 상기 지지부의 두께 방향으로 연통(communicating)하며, 상기 전면 개구부를 통하여 끼움 결합된 블록을, 상기 블록의 끼움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밀어서 분리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후면 개구부를 포함하되,
    상기 블록 결합부들 중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블록 결합부들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의 두께 방향으로 개구된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는, 상기 블록이 상기 블록 결합부에 끼움 결합시 발생하는 기계적 변형을 흡수하는 퍼즐.
    (m, n은 1 이상의 양의 정수)
KR2020160006194U 2016-10-25 2016-10-25 플레이트 및 그를 포함하는 퍼즐 KR2004885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194U KR200488583Y1 (ko) 2016-10-25 2016-10-25 플레이트 및 그를 포함하는 퍼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194U KR200488583Y1 (ko) 2016-10-25 2016-10-25 플레이트 및 그를 포함하는 퍼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269U KR20180001269U (ko) 2018-05-04
KR200488583Y1 true KR200488583Y1 (ko) 2019-02-22

Family

ID=62166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194U KR200488583Y1 (ko) 2016-10-25 2016-10-25 플레이트 및 그를 포함하는 퍼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583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596485Y (zh) * 2003-01-09 2003-12-31 杨涌 组合拼画板
JP2004267399A (ja) 2003-03-07 2004-09-30 Optonica Kobo Kk パズル
JP3154746U (ja) 2009-08-11 2009-10-22 株式会社オークマ 多機能ボー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596485Y (zh) * 2003-01-09 2003-12-31 杨涌 组合拼画板
JP2004267399A (ja) 2003-03-07 2004-09-30 Optonica Kobo Kk パズル
JP3154746U (ja) 2009-08-11 2009-10-22 株式会社オークマ 多機能ボ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269U (ko) 2018-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4644Y1 (ko) 조립식 퍼즐 축구공에 있어서 퍼즐 연결구조
KR102245463B1 (ko) 완구 조립 세트용 조립판 및 이러한 조립판을 구비하는 완구 조립 세트
JP7100621B2 (ja) 玩具組立要素
JP3205533U (ja) 組み立て玩具
US9555339B2 (en) Building block system and building block units thereof
KR20110003888U (ko) 조립식 안전 울타리
KR200488583Y1 (ko) 플레이트 및 그를 포함하는 퍼즐
KR101714642B1 (ko) 조립 유닛
RU2468848C1 (ru) Элемент конструктора (варианты)
KR20170142421A (ko) 중첩결합을 갖는 적층블록
US5857673A (en) Logical plaything for improving spatial orientation and joint for coupling flexible plates
KR101698498B1 (ko) 창의적 놀이학습교구
KR20140109064A (ko) 자석퍼즐
KR200404640Y1 (ko) 조립용 큐브
JP2004008613A (ja) 3次元ジグソーパズル
US20060163809A1 (en) Jigsaw puzzle assembly
KR20160029424A (ko) 종이 완구
KR101410675B1 (ko) 분할형 조립식 완구 블럭 세트
JP2004008442A (ja) 知育用ブロック
JP2013094572A (ja) 組立式サイコロ
KR200468181Y1 (ko) 테트리스 종이 벽돌
KR102450381B1 (ko) 다방면으로 조립이 가능한 놀이블럭
KR200174448Y1 (ko) 놀이용 블록세트
KR100740408B1 (ko) 학습용 조립블록
EP1543869A1 (en) Laminated 3D jigsaw puzz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