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375Y1 - 토낭 결속판 - Google Patents

토낭 결속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375Y1
KR200488375Y1 KR2020170001536U KR20170001536U KR200488375Y1 KR 200488375 Y1 KR200488375 Y1 KR 200488375Y1 KR 2020170001536 U KR2020170001536 U KR 2020170001536U KR 20170001536 U KR20170001536 U KR 20170001536U KR 200488375 Y1 KR200488375 Y1 KR 2004883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ed shaft
main body
shaft
rain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5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880U (ko
Inventor
김태희
Original Assignee
김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희 filed Critical 김태희
Priority to KR20201700015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375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8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8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3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3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옹벽의 사면 전방에 설치되는 토낭이 서로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토낭을 통해 옹벽의 사면이 보강되도록 하는 토낭 결속판이 개시된다. 본 토낭 결속판은,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하로 인접한 토낭의 사이에 끼워져 상기 상하로 인접한 토낭을 지지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측면과 하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상기 본체부가 상기 상하로 인접한 토낭의 사이에 끼워지면, 상기 상하로 인접한 토낭이 서로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상하로 인접한 토낭이 서로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경우, 상하로 인접한 토낭 중 상측의 토낭의 하중으로부터 가해지는 휨 모멘트에 의해 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빗물이 토낭에 포함된 나무들의 씨앗 또는 뿌리에게 빗물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생장되어 침투되는 나무들의 뿌리를 통해, 상하로 인접한 토낭과의 고정력이 강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토낭 결속판{Binding plate of Soil pocket}
본 고안은 토낭 결속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옹벽의 사면 전방에 설치되는 토낭이 서로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토낭을 통해 옹벽의 사면이 보강되도록 하는 토낭 결속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이란 지반의 흙이 토압에 의하여 무너지지 않도록 쌓아 올리는 벽체를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흙을 쌓아 올릴 때나, 산을 깎아내어 가파른 경사를 갖는 절개지(cutting area)나 사면(slope)이 형성되었을 때나 해안의 침수지(submerge land) 등을 메울 때에 축조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옹벽은 축조 구조 및 재료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되는데, 예를 들면 구조상으로는 중력식 또는 반중력식 옹벽, L형, T형, 버트레식 옹벽 등으로 분류되고, 재료적으로는 무근 콘크리트, 철근 콘크리트, 돌 벽돌 옹벽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러나 신속한 축조 작업이 필요하거나 식생재를 식재하여 자연 친화적인 옹벽을 구축하고자 하는 경우, 흙부대인 토낭을 사용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토낭을 사용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방식은 다수의 토낭들을 옹벽의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쌓되, 수직 또는 경사각에 맞추어 일반적인 벽돌쌓기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축조되나, 옹벽 축조시 토낭들을 단순히 포개어 쌓아 놓기만 하게 되면, 중력 작용의 불균형이나 토압 또는 수압 등과 같은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의하여, 토낭의 일부가 미끄러져 이탈되거나 옹벽 전체가 무너져 버릴 위험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61696호, 맞물린 축조유니트들을 갖춘 옹벽구조물과 이를 축조하는 방법'은 플라스틱 재질의 본체 상부면 및 하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는 토낭 이탈 방지용 돌기가 소정의 배열로 배치되고, 상부면에는 시트형 지오그리드 또는 지오네트를 고정하기 위한 횡단면 모양의 "ㄱ"자형 걸고리가 성형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선행기술은 토낭의 하중에 의해 가해지는 휨 모멘트에 의해 휨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판이 평편하기 때문에 빗물이 그대로 흘러버리게 되어, 토낭에 포함된 나무들의 씨앗 또는 뿌리에게 물을 공급해주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토낭의 하중으로부터 가해지는 휨 모멘트가 경감되도록 하고, 토낭에 포함된 나무들의 씨앗 또는 뿌리에게 물을 공급해주기 위한 배수 구조가 구비되는 토낭 결속판의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61696호'(2006. 03. 17. 공고)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상하로 인접한 토낭이 서로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하되, 상하로 인접한 토낭 중 상측의 토낭의 하중으로부터 가해지는 휨 모멘트가 경감되도록 하는 토낭 결속판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토낭에 포함된 나무들의 씨앗 또는 뿌리에게 빗물을 공급해주기 위해, 배수 구조가 구비되는 토낭 결속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낭 결속판은,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하로 인접한 토낭의 사이에 끼워져 상기 상하로 인접한 토낭을 지지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측면과 하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상기 본체부가 상기 상하로 인접한 토낭의 사이에 끼워지면, 상기 상하로 인접한 토낭이 서로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상하로 인접한 토낭 중 상측에 위치한 토낭의 하중으로부터 가해지는 휨 모멘트가 경감되도록 하기 위해, 폭이 단변(短邊)의 양측으로부터 중심부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측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가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복수의 본체부가 적층되도록,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어긋나게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측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고정축; 및 단면이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축의 상측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하로 인접한 토낭 중 상측의 토낭을 관통하여, 상기 상측의 토낭이 고정되도록 하는 제1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고정축; 및 단면이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축의 하측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하로 인접한 토낭 중 하측의 토낭을 관통하여, 상기 하측의 토낭이 고정되도록 하는 제2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축의 외주연에 결합되고, 빗물의 일부가 상기 제1 고정돌기에 형성되는 구멍을 따라 유입되는 경우, 상기 유입된 빗물이 상기 제1 고정축의 외주연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유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고정축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유동되는 빗물의 일부가 상기 제1 고정축의 내부에 유입되도록 하는 제1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고정축의 내부에 유입되는 빗물이 상기 제1 고정축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1 고정축의 하측에 제1 배출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는, 빗물의 일부가 상기 제2 고정축의 내부에 유입되도록, 상기 제2 고정축의 상측에 제2 배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2 고정축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배출홈을 통해 상기 제2 고정축의 내부에 유입된 빗물이 상기 제2 고정축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2 고정축의 외주연에 결합되며,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빗물이 상기 제2 고정축의 외주연을 따라 상기 제2 고정돌기를 향해 하측방향으로 유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측면이 중심부로부터 양측으로 갈수록, 하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배출홈에 유입되는 빗물을 제외한 빗물의 일부가 상측면을 따라 용이하게 하측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낭 결속판은, 상기 본체부의 하측면에 형성된 소정의 공간에 마련되되, 상기 제2 고정축이 상기 소정의 공간 내에서 상기 제1 고정축과 상기 제2 고정축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어긋나는 위치 또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2 고정축의 상측에 결합되며, 장변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재가 구비되는 이동체; 상기 소정의 공간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재가 끼움결합되어, 상기 이동체가 상기 소정의 공간 내에서 너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레일; 및 상기 소정의 공간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홈에 돌출되게 인입되어, 상기 이동레일을 통해 이동이 완료된 상기 이동체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동체의 유격을 방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이동레일을 통해 상기 소정의 공간 내에서 너비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고정축의 위치와 상기 제2 고정축의 위치가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제1 배출홈이 상기 이동체에 의해 폐쇄됨으로써,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고정축의 내부에 유입되는 빗물이 상기 제1 고정축의 내부에서 임시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하로 인접한 토낭이 서로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경우, 상하로 인접한 토낭 중 상측의 토낭의 하중으로부터 가해지는 휨 모멘트에 의해 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빗물이 토낭에 포함된 나무들의 씨앗 또는 뿌리에게 빗물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생장되어 침투되는 나무들의 뿌리를 통해, 상하로 인접한 토낭과의 고정력이 강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낭 결속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낭 결속판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낭 결속판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토낭 결속판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토낭 결속판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토낭 결속판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 및
도 9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2 고정부가 이동부를 통해 이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낭 결속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낭 결속판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낭 결속판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 전에,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토낭 결속판은, 상하로 인접한 토낭이 결속되도록 하되, 상하로 인접한 토낭 중 상측의 토낭의 하중으로부터 가해지는 휨 모멘트가 경감되도록 하는 결속판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토낭 결속판은 본체부(100) 및 고정부(200)로 구성된다.
본체부(100)는 상하로 인접한 토낭의 사이에 끼워지게 되면, 상하로 인접한 토낭이 지지되도록 한다.
이때, 본체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낭을 지지하기 위해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체부(100)는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는 상하로 인접한 토낭의 사이에 끼워지게 되면, 상하로 인접한 토낭 중 상측의 토낭의 하중으로부터 가해지는 휨 모멘트가 경감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이 장변(長邊)과 단변(短邊)의 양측 중 단변의 양측으로부터 상측의 토낭의 하중에 의해 휨 모멘트가 가장 크게 작용하는 중심부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200)는 본체부(100)가 상하로 인접한 토낭의 사이에 끼워지게 되면, 상측의 토낭과 하측의 토낭이 서로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제1 고정부(210)와 제2 고정부(220)로 마련된다.
제1 고정부(210)는 본체부(100)의 상측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고, 본체부(100)가 상하로 인접한 토낭의 사이에 끼워지게 되면, 상측의 토낭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제1 고정축(211) 및 제1 고정돌기(212)가 마련된다.
제1 고정축(211)은 본체부(100)의 상측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상측에 제1 고정돌기(212)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고정돌기(212)는 제1 고정축(211)의 상측에 결합됨으로써, 본체부(100)가 상하로 인접한 토낭의 사이에 끼워지게 되면, 상측의 토낭을 관통하여 상측의 토낭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돌기(212)는 상측의 토낭을 용이하게 관통하기 위해, 단면의 형상이 삼각형인 원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고정부(220)는 본체부(100)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고, 본체부(100)가 상하로 인접한 토낭의 사이에 끼워지게 되면, 하측의 토낭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제2 고정축(221) 및 제2 고정돌기(222)가 마련된다.
제2 고정축(221)은 본체부(100)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며, 하측에 제2 고정돌기(222)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고정돌기(222)는 제2 고정축(221)의 하측에 결합됨으로써, 본체부(100)가 상하로 인접한 토낭의 사이에 끼워지게 되면, 하측의 토낭을 관통하여 하측의 토낭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2 고정돌기(222)는 하측의 토낭을 용이하게 관통하기 위해, 제1 고정돌기(212)와 마찬가지로, 단면의 형상이 삼각형인 원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첨언하여,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지만, 본 실시예의 토낭 결속판은 사용목적이나 작업현장의 상황, 토낭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복수로 마련되어 길이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토낭 결속판은 길이방향으로 적층이 가능해짐으로써, 보관이 용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고정부(210)와 제2 고정부(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토낭 결속판이 적층되는 방식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복수의 토낭 결속판 중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제1 토낭 결속판(미도시)의 제2 고정부(220) 간의 사이 공간에, 제1 토낭 결속판(미도시)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 토낭 결속판(미도시)의 제1 고정부(210)가 인입됨으로써, 제1 토낭 결속판(미도시)와 제2 토낭 결속판(미도시)이 적층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토낭 결속판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기 전에, 제2 실시예의 토낭 결속판을 포함한 이하의 토낭 결속판은, 본 실시예의 토낭 결속판과 다르게 토낭에 포함된 나무들의 씨앗 또는 뿌리에게 빗물을 공급하기 위한 배수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2 실시예의 제1 고정부(210)와 제2 고정부(220)는 본 실시예의 제1 고정부(210) 및 제2 고정부(220)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제1 고정부(210)는 구멍(213), 제1 가이드부(214) 및 제1 개구부(215)가 더 마련된다.
구멍(213)은 빗물의 일부가 제1 고정돌기(212)의 내부에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제1 고정돌기(212)의 외주연에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구멍(213)이 제1 고정돌기(212)의 상하 좌우 중 어느 한 방향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더 많은 양의 빗물이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더 많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가이드부(214)는 제1 고정돌기(212)의 내부로 유입된 빗물이 제1 고정축(211)의 외주연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유동되도록 가이드 하기 위해, 제1 고정축(211)의 외주연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부(214)는 빗물이 제1 고정축(211)의 외주연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해, 제1 고정축(211)의 외주연에 스크류(screw)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 고정돌기(212)는 내부에 유입된 빗물이 제1 고정축(211)의 외주연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해, 내벽이 제1 고정축(211)의 외주연과 인접할 수 있다.
즉, 제1 고정돌기(212)의 내부에 유입된 빗물은 제1 고정돌기(212)의 내벽을 따라 유동된 후에 제1 고정축(211)의 외주연에 접촉되어 하측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 것이다.
제1 개구부(215)는 제1 가이드부(214)를 통해 제1 고정축(211)의 외주연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유동되는 빗물의 일부가 제1 고정축(211)의 내부에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제1 고정축(211)의 외주연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체부(100)는 토낭에 포함된 나무들의 씨앗 또는 뿌리에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제1 개구부(215)를 통해 제1 고정축(211)의 내부에 유입된 빗물이 하측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부(100)는 제1 고정축(211)의 하측에 제1 고정축(211)의 내부를 관통하는 제1 배출홈(1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고정축(211)의 내부에 유입된 빗물은 제1 배출홈(10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제2 고정부(220)는 구멍(223), 제1 가이드부(224) 및 제1 개구부(225)가 더 마련된다.
제2 실시예의 제2 고정부(220)를 설명하기 전에, 본체부(100)는 상측면에 낙하되는 빗물의 일부가 제2 고정축(221)의 내부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부(100)는 제2 고정축(221)의 상측에 제2 고정축(221)의 내부를 관통하는 제2 배출홈(102)이 형성될 수 있다.
구멍(223)은 제1 가이드부(224)를 통해 하측방향으로 유동되는 빗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제2 고정돌기(222)의 외주연에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구멍(223)이 제2 고정돌기(222)의 상하 좌우 중 어느 한 방향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더 많은 양의 빗물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더 많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가이드부(224)는 제2 개구부(225)를 통해 제2 고정축(221)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빗물이 제2 고정축(221)의 외주연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유동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제2 고정축(221)의 외주연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가이드부(224)는 빗물이 제2 고정축(221)의 외주연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해, 제2 고정축(221)의 외주연에 스크류(screw)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개구부(225)는 제2 배출홈(102)을 통해 제2 고정축(221)의 내부에 유입된 빗물이 제2 고정축(221)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제2 고정축(221)의 외주연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제2 실시예의 제1 고정부(210)와 제2 고정부(220)를 통해, 토낭에 포함된 나무들의 씨앗 또는 뿌리에게 빗물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토낭에 포함된 나무들의 뿌리는 제1 고정부(210)와 제2 고정부(220)를 통해 공급되는 빗물을 통해 생장되어, 제1 고정부(210)와 제2 고정부(220)에 침투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토낭에 포함된 나무들의 뿌리는 생장되어 제1 고정돌기(212)에 형성된 구멍(213)과 제2 고정돌기(222)에 형성된 구멍(223)에 각각 침투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부(210)와 제2 고정부(220)는 침투된 나무들의 뿌리를 통해 상하로 인접한 토낭과의 고정력이 강화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토낭 결속판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의 토낭 결속판은 본 실시예와 제2 실시예의 토낭 결속판과 달리, 본체부(100)가 빗물이 용이하게 상측면을 따라 용이하게 하측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부(100)는 중심부로부터 장변(長邊)과 단변(短邊)의 양측을 향하게 될수록, 하측을 향하게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체부(100)의 상측면에 낙하되는 빗물 중 구멍(213)과 제2 배출홈(102)에 유입되는 빗물을 제외한 빗물의 일부가 상측면을 따라 용이하게 하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본체부(100)의 중심부가 평행한 상태로 도시되었으나, 상측면에 낙하는 빗물이 하측으로 더 용이하게 유동되도록 하기 위해, 중심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토낭 결속판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2 고정부가 이동부를 통해 이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4 실시예의 토낭 결속판은 상술한 토낭 결속판과 다르게, 제2 고정부(220)의 위치가 너비방향을 기준으로 변경되도록 하기 위한 이동부(30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설명하기 전에, 제4 실시예의 본체부(100)는 제2 실시예의 본체부(100)와 다르게, 제2 배출홈(102)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4 실시예의 고정부(200)는 제2 실시예의 고정부(200)와 다르게, 제2 고정부(220)에 구멍(223), 제2 가이드부(224) 및 제2 개구부(225)가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이동부(300)는 제2 고정부(220)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하기 위해, 이동체(310), 고정부재(320) 및 이동레일(330)이 마련된다.
그리고 이동부(300)는 제2 고정부(220)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제1 고정축(211)과 제2 고정축(221)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어긋나는 위치 또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동부(300)는 본체부(100)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335)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고정부(220)는 이동부(300)를 통해 소정의 공간(335) 내에서만 이동될 수 있다.
이동체(310)는 제2 고정부(220)의 상측에 결합되되, 이동레일(330)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이때, 이동체(310)는 이동레일(330)에 끼움결합되기 위해, 장변의 양측에 너비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돌출부재(315)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돌출부재(315)는 이동레일(330)에 끼움결합되기 위해, 이동레일(330)에 형성되는 홈의 내벽에 밀착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돌출부재(315)가 이동체(310)의 장변의 양측에 구비되는 것은, 이동체(310)가 너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고정부재(320)는 이동체(310)의 이동이 완료되면, 이동이 완료된 이동체(310)가 고정되도록 하여, 이동체(310)의 유격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320)는 이격된 상태의 이동체(310)의 유격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고정부재(320)는 이동체(310)의 유격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공간(335)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홈(337)에 돌출되게 인입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고정부재(320)는 본체부(100)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홈(337)에 돌출되게 인입됨으로써, 이동이 완료된 이동체(310)의 유격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레일(330)은 소정의 공간(335) 내부에 인입된 이동체(310)가 너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공간(335) 내벽에 형성되어 돌출부재(315)가 끼움결합 될 수 있다.
한편, 소정의 공간(335)은 이동체(310)의 이동이 가능토록, 장변의 길이가 이동체(310)의 장변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4 실시예의 토낭 결속판은 이동부(300)를 통해 제2 고정부(220)의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빗물이 배출되거나 빗물이 임시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제4 실시예의 토낭 결속판은,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부(220)가 이동체(310)에 의해 소정의 공간(335) 내에서 너비방향으로 이동이 완료되어, 제1 고정축(211)과 제2 고정축(221)의 위치가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대응되는 경우, 제1 배출홈(101-1,101-2)이 이동체(310)에 의해 폐쇄됨으로써, 제1 개구부(215)를 통해 제1 고정축(221)의 내부에 유입된 빗물이 제1 고정축(221)의 내부 공간에 임시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예의 토낭 결속판은,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부(220)가 이동체(310)에 의해 소정의 공간(335) 내에서 너비방향으로 이동이 완료되어, 제1 고정축(211)과 제2 고정축(221)의 위치가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어긋나는 경우, 제1 배출홈(101-1,101-2)이 개방됨으로써, 제1 개구부(215)를 통해 제1 고정축(221)의 내부에 유입된 빗물이 제1 배출홈(101-1,10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4 실시예의 토낭 결속판은, 비가 오지 않는 기간 동안에 제1 고정축(211)에 임시 저장된 빗물을 통해 토낭에 포함된 나무들의 씨앗 또는 뿌리에게 빗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본체부 101: 제1 배출홈
102: 제2 배출홈 200: 고정부
210: 제1 고정부 211: 제1 고정축
212: 제1 고정돌기 213: 구멍
214: 제1 가이드부 215: 제1 개구부
220: 제2 고정부 221: 제2 고정축
212: 제2 고정돌기 223: 구멍
224: 제2 가이드부 225: 제2 개구부
300: 이동부 310: 이동체
315: 돌출부재 320: 고정부재
330: 이동레일 335: 소정의 공간
337: 고정홈

Claims (10)

  1.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하로 인접한 토낭의 사이에 끼워져 상기 상하로 인접한 토낭을 지지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측면과 하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상기 본체부가 상기 상하로 인접한 토낭의 사이에 끼워지면, 상기 상하로 인접한 토낭이 서로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측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가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복수의 본체부가 적층되도록,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어긋나게 돌출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측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고정축; 및
    단면이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축의 상측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하로 인접한 토낭 중 상측의 토낭을 관통하여, 상기 상측의 토낭이 고정되도록 하는 제1 고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고정축; 및
    단면이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축의 하측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하로 인접한 토낭 중 하측의 토낭을 관통하여, 상기 하측의 토낭이 고정되도록 하는 제2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축의 외주연에 결합되고, 빗물의 일부가 상기 제1 고정돌기에 형성되는 구멍을 따라 유입되는 경우, 상기 유입된 빗물이 상기 제1 고정축의 외주연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유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고정축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유동되는 빗물의 일부가 상기 제1 고정축의 내부에 유입되도록 하는 제1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고정축의 내부에 유입되는 빗물이 상기 제1 고정축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1 고정축의 하측에 제1 배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낭 결속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상하로 인접한 토낭 중 상측에 위치한 토낭의 하중으로부터 가해지는 휨 모멘트가 경감되도록 하기 위해, 폭이 단변(短邊)의 양측으로부터 중심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낭 결속판.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빗물의 일부가 상기 제2 고정축의 내부에 유입되도록, 상기 제2 고정축의 상측에 제2 배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2 고정축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배출홈을 통해 상기 제2 고정축의 내부에 유입된 빗물이 상기 제2 고정축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2 고정축의 외주연에 결합되며,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빗물이 상기 제2 고정축의 외주연을 따라 상기 제2 고정돌기를 향해 하측방향으로 유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낭 결속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측면이 중심부로부터 양측으로 갈수록, 하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배출홈에 유입되는 빗물을 제외한 빗물의 일부가 상측면을 따라 용이하게 하측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낭 결속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하측면에 형성된 소정의 공간에 마련되되, 상기 제2 고정축이 상기 소정의 공간 내에서 상기 제1 고정축과 상기 제2 고정축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어긋나는 위치 또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낭 결속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2 고정축의 상측에 결합되며, 장변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재가 구비되는 이동체;
    상기 소정의 공간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재가 끼움결합되어, 상기 이동체가 상기 소정의 공간 내에서 너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레일; 및
    상기 소정의 공간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홈에 돌출되게 인입되어, 상기 이동레일을 통해 이동이 완료된 상기 이동체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동체의 유격을 방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낭 결속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이동레일을 통해 상기 소정의 공간 내에서 너비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고정축의 위치와 상기 제2 고정축의 위치가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제1 배출홈이 상기 이동체에 의해 폐쇄됨으로써,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고정축의 내부에 유입되는 빗물이 상기 제1 고정축의 내부에서 임시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낭 결속판.
KR2020170001536U 2017-03-29 2017-03-29 토낭 결속판 KR2004883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536U KR200488375Y1 (ko) 2017-03-29 2017-03-29 토낭 결속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536U KR200488375Y1 (ko) 2017-03-29 2017-03-29 토낭 결속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880U KR20180002880U (ko) 2018-10-10
KR200488375Y1 true KR200488375Y1 (ko) 2019-01-21

Family

ID=63861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536U KR200488375Y1 (ko) 2017-03-29 2017-03-29 토낭 결속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375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331B1 (ko) * 2011-05-06 2013-08-27 도일산업 주식회사 토사백 연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68509A1 (en) 1999-04-08 2000-10-08 Versa-Lok Asia Inc. Retaining wall system with interlocked sandbags
KR200475679Y1 (ko) * 2012-12-04 2015-01-14 이내성 토낭 결속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331B1 (ko) * 2011-05-06 2013-08-27 도일산업 주식회사 토사백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880U (ko) 2018-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10522A1 (en) Retaining wall constructed using sandbags
KR101221944B1 (ko) 적층식 채움재를 구비한 개비온
KR102135594B1 (ko)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KR200488375Y1 (ko) 토낭 결속판
KR101678127B1 (ko) 토목용 블록
KR100481160B1 (ko) 옹벽용 블록
KR102194293B1 (ko) 옹벽구조물
US9243380B2 (en) Reinforced arch with floating footer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KR100927819B1 (ko) 토낭 축조식 옹벽 구축용 연결 패널
KR200475679Y1 (ko) 토낭 결속판
JP2023544968A (ja) 擁壁構造物
US20170002529A1 (en) Roadside barrier
KR101564352B1 (ko) 수직 옹벽 축조용 블록 유닛
KR200194534Y1 (ko) 조립식옹벽블럭
KR100607605B1 (ko)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
KR200381308Y1 (ko)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
KR102244753B1 (ko) 친환경 목재 옹벽
JP5923825B2 (ja) 重力式ケーソン防波堤の捨石層保護構造
KR101813745B1 (ko) 옹벽축조용 블록
KR102616531B1 (ko) 케이슨에 적용가능한 회전식 변위허용 연결장치
KR101385025B1 (ko) 적층식 채움재를 구비한 개비온을 이용하여 축벽을 시공하는 방법
KR200205731Y1 (ko) 중력식 보강토 옹벽구축용 및 법면 보호용 블록
JP3057013U (ja) 地盤法面からの水抜き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H0656024B2 (ja) 発泡樹脂ブロックにより構築物を構築する方法
KR100748926B1 (ko) 콘크리트 타설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