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745B1 - 옹벽축조용 블록 - Google Patents

옹벽축조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745B1
KR101813745B1 KR1020140038849A KR20140038849A KR101813745B1 KR 101813745 B1 KR101813745 B1 KR 101813745B1 KR 1020140038849 A KR1020140038849 A KR 1020140038849A KR 20140038849 A KR20140038849 A KR 20140038849A KR 101813745 B1 KR101813745 B1 KR 101813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taining wall
block body
bottom plat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4315A (ko
Inventor
임종덕
Original Assignee
임종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덕 filed Critical 임종덕
Priority to KR1020140038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745B1/ko
Publication of KR20150114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탈면 및 절개지에 토사의 붕괴가 없도록 지지해주는 옹벽을 구축하는데 사용하는 옹벽축조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블록을 절개지의 절개면들을 따라 적층 상태로 축조시 바닥판과 전면판으로 이루어진 본체에 일체로 설치되는 지지판들로 하여금 안정적인 지지력을 갖게 하고, 또한 조립체로 인한 운반 및 보관에 따른 물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옹벽축조용 블록{Block For The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비탈면 및/혹은 절개지에 토사의 붕괴가 없도록 지지해주는 옹벽을 구축하는데 사용하는 옹벽축조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개면들을 따라 축조시 바닥판과 전면판으로 이루어진 본체에 일체로 설치되는 지지판들로 하여금 견실한 지지력을 갖게 하고, 또한 조립체로 인한 운반 및 보관에 따른 물류 비용 절감등의 경제성도 갖게 한 옹벽축조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절개지의 사면(斜面)에는 사면의 붕괴원인이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고자 석축이나 콘크리트 옹벽을 설치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목적으로 축조되는 석축이나 혹은 콘크리트 옹벽은 비록 구조적으로 안정감은 있으나, 석축의 경우 높이 제한을 받게 됨은 물론 경제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단점이 있고, 반면에 콘크리트 옹벽은 석축에 비하여 비용절감 효과는 있으나, 거푸집 설치 등의 부대 설비가 필요로 하고, 콘크리트 옹벽 역시 높이에 제한을 받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없도록 하고자 개발한 것이 하기 특허문헌에 기재한 바와 같은 옹벽용 블록이다, 옹벽용 블록은 이른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가격이 싸고 또한 쉽게 시공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절개지의 사면을 따라 높이 축조시 지지력의 약화로 붕괴의 위험성이 수반되는 경향이 있고, 또한 옹벽설치용 블록은 제조공장으로부터 옹벽을 구축하는 현장까지 트럭과 같은 차량을 이용하여 운반하는데, 옹벽 블록의 부피로 인한 공간의 점유는 운반공간을 증대시키어 물류비용의 증가를 가져오게 함은 물론 현장 출하 전의 옹벽 블록의 보관시에도 부피로 인한 점유공간의 증대는 반드시 넓은 보관장소를 구비하지 않으면 안되는 장소 확보에 대한 경제적인 부담도 따르고 있다.
따라서 절개지의 성토부(embankment)및 사면 부분에 대하여 견실한 지지력을 갖게 하면서도 운반 및 보관시에도 편리성과 아울러 경제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게 한 옹벽 축조용 블록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특허등록 10-0391834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절개 지역의 성토층과 사면에 대하여 견실한 지지력을 갖게 하고, 또한 블록 본체를 분리할 수 있는 조립체로 구성하여 운반 및 보관에 따른 비용 절감의 경제성을 갖게 함과 아울러 블록 본체로부터의 지지판의 선택적인 결합 사용을 가능하게 한 옹벽축조용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옹벽축조용 블록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옹벽축조용 블록은, 절개지의 붕괴를 막고자 절개지를 따라 적층되면서 옹벽을 구축하는, 중앙부위에 소정넓이의 구멍이 형성된 사각형의 바닥판과 이 바닥판의 일측단으로부터 직각을 이루면서 상방으로 입설되고 또한 바닥판과 인접부위에는 걸림턱부를 형성하는 전면판으로 이루어진 큰크리트 재질의 블록 본체; 상기 블록 본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 및 전면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입설되어 상부로 연속하여 적층되는 상기 본체들의 상호 간을 지지하면서 연속되는 지주(支柱)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본체의 적층시 상호연락되는 상기 구멍들을 통하여 각 본체의 내부로 흙이 채워져서 수용되게 하는 소정 넓이의 흙 채움 공간부들을 형성하는 지지판들;및 상기 전면판의 배면 및 바닥판의 상면에 걸쳐서 일정 길이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들을 상기 결합홈들에 하나 혹은 둘 이상을 이루도록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일체로 고정할수 있게 조립체로 구성되게 하는 결합홈들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절개 지역의 성토(embankment)부와 사면부에 대하여 견실한 지지력을 부여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블록 본체를 분리할 수 있는 조립체로 구성하여 운반 및 보관에 따른 비용 절감의 효과를 제공한다.
또 블록 본체로부터의 지지판체의 선택적인 결합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절개지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들로 하여금 블록에 대한 지지판들의 개수를 임의로 선택하여 결합할 수 있게 한 효과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을 조립체로 구성한 것을 후측에서 보아 표시한 분리 사시도 이다.
도 2는 도 1의 블록을 사용하여 옹벽을 구축하는 설치 예를 후측에서 보아 표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절개 지역의 사면에 시공된 상태를 측면에서 보아 표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블록 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그 후측에서 보아 표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4의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을 구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의 전면판에 자연친화용 암반부와 식생용 홈을 각각 설치한 경우의 또 다른 예들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옹벽축조용 블록의 보다 바
람 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을 조립체로 구성한 것을 후측에서 보아 표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블록을 사용하여 옹벽을 구축하는 설치 예를 후측에서 보아 표시한 도면이고, 그리고 도 3은 절개 지역의 사면에 시공된 상태를 측면에서 보아 표시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100)은 철근들과 콘크리트로 제작되며, 절개지의 사면의 붕괴를 막고자 절개지의 사면을 따라 적층되면서 옹벽을 구축하는데 사용된다(도3참조). 이러한 옹벽 축조용 블록(100)은 중앙부위에 소정넓이의 구멍(116)이 형성된 대략 직각 혹은 정사각형의 바닥판(112)와 이 바닥판(112)의 어느 일측 단으로부터 직각을 이루면서 상방을 향하여 일체로 입설된 전면판(114)로 형성된 블록본체(11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블록본체(110)의 전면 하단부위 즉, 바닥판(112)와 전면판(114)의 결합부위에는 블록본체(110)을 상부로 쌓아 올릴시 하부에 위치되는 블록본체(110)의 상단에 걸리는 상태로 하여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한 걸림턱부(117)이 블록본체(110)의 전(全)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 도면1에서 보아 블록본체(110)의 후측으로는 소정 간격을 두고 지지판(120)이 일체로 결합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판(120)은 블록 본체(110)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112) 및 전면판(114)으로부터 소정 간격들을 두고 수직으로 입설되는 상태를 이루며 블록본체(110)과 하나의 몸체를 이룸에 의해, 블록본체(110)의 각 지지판(120)들의 사이로는 흙 채움공간부(122)들을 제공하여, 블록본체(110)의 내부로는 흙 채움공간부(122)들을 통하여 흙을 채울 수 있게 함으로서, 도3의 표시와 같이, 블록본체(110)가 절개지(E)면에 대하여 견실하게 지지될 수 있게 하고, 또한 바닥판(112)에 형성된 구멍(116)은 흙 채움공간부(122)에 채워지는 흙이 상하로 서로 연락되게 배치되는 구멍(116)들을 통해 흙 채움공간부(122)를 연결하는 연결밴드와 같은 작용을 하여, 블록본체(110)가 절개지(E)면에 대하여 견실하게 지지될 수 있게 한다. 특히 블록본체(110)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판(120)은 절개지(E)를 따라서 옹벽을 구축하고자 블록본체(110)을 쌓게될시 도2의 표시와 같이, 바로 위에 인접 배치되는 블록본체(110)의 지지판(120)과 연속하는 상태를 이루면서 지지하는 상태로 시공되므로 이 지지판(120) 또한 블록본체(110)을 절개지(E)에 대하여 견실하게 지지하여주는 기둥(支柱)역활을 한다.
상기 블록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판(120)은 도1의 표시와 같이 분리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블록 본체(110)의 바닥판(112)과 전면판(114)에는 블록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결합홈(118)들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판(120)들을 결합홈(118)들에 하나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블록본체(110)에 일체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블록본체(110)으로부터 지지판(120)의 분리 구성은 블록본체(110)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차량으로 운반시 더 많이 적재할 수 있어서 운반에 따른 물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보관 공간을 줄일 수 있어 보관 면적 감소에 따른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합홈(118)에 의한 지지판(120)의 선택적인 결합은,시공 지역에 따라서 블록본체(110)에 대한 지지판(120)의 설치 개수를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지지판(120)은 실제 시공시에는 블록본체(110)의 결합홈(118)에 대하여 시멘트 몰탈을 이용하여 일체로 결합되는 상태로 설치되므로, 지지판(120)이 블록본체(110)으로부터 분리 혹은 이탈되는 일은 없게 된다. 또한 블록본체(110)의 보강을 위하여 블록 본체(110)의 바닥판(112)와 전면판(114)의 결합부분에는 보강용 후육부(119)를 형성하였고, 보강용 후육부(119)의 양측으로는 옹벽 축조시 절개지(E)로부터 발생되는 배수를 위하여 배수홈(115)를 형성하였다.
도 4는 블록 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그 후측에서 보아 표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4의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을 구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블록(100a)는 블록본체(110a)에 형성된 결합홈(116a)에 하나의 지지판(120a)을 설치한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이 블록(100a)은 절개지의 절개 면이 그다지 크지 않은 작은 지역에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 밖의 구성이나 작용은 상기 일실시 예와 동일하여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의 전면판에 자연친화용 암반부와 식생부를 각각 설치한 경우의 또 다른 예들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도면6은 블록(100)에 자연 친화적인 기능을 부여하고자, 전면판(114)의 전면에는 자연친화용 암반부(123)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고, 도 7은 자연친화용 암반부(123)에 더하여 풀이나 작은 나무를 심어서 키울 수 있게 한 식생(植生)용 홈(125)를 설치한 것이다. 그 밖의 구성이나 작용은 도 1 내지 도3에 따른 실시 예와 동일하여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절개지에 설치시 지지판들로 하여금 견실하고 안정적인 지지력을 갖게 하고, 또한 조립체로 인한 운반 및 보관에 따른 물류 비용을 절감하는 등의 경제적 인 유용성을 제공한다.
100 : 옹벽용 블록
110 : 블록본체
112 : 바닥판
114 : 전면판
118 : 결합홈
120 : 지지판
122 : 흙채움공간부

Claims (4)

  1. 절개지의 붕괴를 막고자 절개지를 따라 적층되면서 옹벽을 구축하는, 중앙부위에 소정넓이의 구멍이 형성된 사각형의 바닥판과 이 바닥판의 일측단으로부터 직각을 이루면서 상방으로 입설되고 또한 바닥판과 인접부위에는 걸림턱부를 형성하는 전면판으로 이루어진 큰크리트 재질의 블록 본체로 이루어진 옹벽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 본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 및 전면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입설되어 상부로 연속하여 적층되는 상기 블록 본체의 상호 간을 지지하면서 연속되는 지주(支柱)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블록 본체의 적층시 상호연락되는 상기 구멍을 통하여 각 본체의 내부로 흙이 채워져서 수용되게 하는 소정 넓이의 흙 채움 공간부들을 형성하는 지지판들;및
    상기 전면판의 배면 및 바닥판의 상면에 걸쳐서 일정 길이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들을 하나 혹은 둘 이상을 이루도록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일체로 고정할수 있게 조립체로 구성되게 하는 결합홈들;을 포함하는 옹벽축조용 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40038849A 2014-04-01 2014-04-01 옹벽축조용 블록 KR101813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849A KR101813745B1 (ko) 2014-04-01 2014-04-01 옹벽축조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849A KR101813745B1 (ko) 2014-04-01 2014-04-01 옹벽축조용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315A KR20150114315A (ko) 2015-10-12
KR101813745B1 true KR101813745B1 (ko) 2017-12-29

Family

ID=54347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849A KR101813745B1 (ko) 2014-04-01 2014-04-01 옹벽축조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74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5048B1 (ko) * 1994-11-29 2000-02-15 김종천 보강토 구조물
JP2000336677A (ja) * 1999-05-27 2000-12-05 Paritei Zipangu:Kk 擁壁用l形積みブロック
KR100785908B1 (ko) * 2007-07-13 2007-12-17 이형훈 경사 지지부재를 이용한 옹벽 및 옹벽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5048B1 (ko) * 1994-11-29 2000-02-15 김종천 보강토 구조물
JP2000336677A (ja) * 1999-05-27 2000-12-05 Paritei Zipangu:Kk 擁壁用l形積みブロック
KR100785908B1 (ko) * 2007-07-13 2007-12-17 이형훈 경사 지지부재를 이용한 옹벽 및 옹벽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315A (ko) 201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397B1 (ko) 기초보강재
KR200399797Y1 (ko) 식생용 조립식 옹벽 블록
KR102135594B1 (ko)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KR20160050226A (ko) 절토 사면 보강공법
KR101813745B1 (ko) 옹벽축조용 블록
CN110678609A (zh) 组装式抗震挡土墙砌块系统
JP6335029B2 (ja) 基礎構造
JP4614928B2 (ja) 軽量盛土工法
US9267282B2 (en) Block for construction and method to build walls with said block
CN111511992A (zh) 薄而稳定的分段式墙块以及土壤加固系统和方法
KR101564352B1 (ko) 수직 옹벽 축조용 블록 유닛
US20220243447A1 (en) Module for drainage and method of assembly
KR101005352B1 (ko)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옹벽
KR200448904Y1 (ko) 옹벽용 조립식 블록
KR101148228B1 (ko) 강성그리드가 구비된 옹벽블럭의 장착구조
KR200491914Y1 (ko) 조립형 옹벽 구조물
US20090110491A1 (en)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KR200194534Y1 (ko) 조립식옹벽블럭
KR102192423B1 (ko) 모서리 보호구조를 갖는 옹벽 블럭
KR100650065B1 (ko) 건축공사용 흙막이 시설
KR100506501B1 (ko) 조적식 옹벽 축조용 보강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102048567B1 (ko) 식생블록과 이를 이용한 식생블록 구조물 및 옹벽 시공방법
KR200205731Y1 (ko) 중력식 보강토 옹벽구축용 및 법면 보호용 블록
KR200406772Y1 (ko) 식재용 옹벽 블럭
KR102614249B1 (ko) 현장 타설 강결 거더 구조를 갖는 피씨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370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623

Effective date: 201710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