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772Y1 - 식재용 옹벽 블럭 - Google Patents

식재용 옹벽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772Y1
KR200406772Y1 KR2020050029502U KR20050029502U KR200406772Y1 KR 200406772 Y1 KR200406772 Y1 KR 200406772Y1 KR 2020050029502 U KR2020050029502 U KR 2020050029502U KR 20050029502 U KR20050029502 U KR 20050029502U KR 200406772 Y1 KR200406772 Y1 KR 2004067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taining wall
planting
fixing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5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금화
Original Assignee
한국바이오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바이오콘(주) filed Critical 한국바이오콘(주)
Priority to KR20200500295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7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7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7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재용 옹벽 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옹벽 시공시 자연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식재를 심을 수 있는 블럭을 간단한 구조에 의해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보다 간편하고 유동성 없으면서 안정성 있게 적재하여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식재를 심을 수 있도록 시공되는 옹벽 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전방 측의 폭이 후방 측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관통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되, 중간으로 격벽에 의해 분할되고, 상면 양측과 그와 대응되는 밑면 양측에는 고정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용 옹벽 블럭에 관한 것이다.
식재, 옹벽, 블록, 요철부, 고정수단

Description

식재용 옹벽 블럭{retaining wall for planting}
도 1은 본 고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설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6는 본 고안의 운반시 적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블록
12 : 방지턱 13 : 격벽
14 : 공간부 16 : 연결홈
20 : 고정수단
22 : 고정돌기 24 : 고정홈
본 고안은 식재용 옹벽 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옹벽 시공시 자 연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식재를 심을 수 있는 블럭을 간단한 구조에 의해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보다 간편하고 유동성 없으면서 안정성 있게 적재하여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식재용 옹벽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擁壁, retaining wall)은, 토압력(土壓力)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게 만든 벽체(壁體)를 일컫는 것으로, 즉 지표지반(地表地盤)의 안정된 경사를 그것보다 가파른 경사로 하였을 경우에 일어나는 지반 붕괴를 막기 위해 만든 구조물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옹벽은 주로 흙을 쌓아 올릴 때, 산을 깎아 낼 때, 해안을 메울 때 등에 필요한 것으로, 예로부터 널리 쓰이는 축벽(築壁)이 이것에 속하며 현재는 콘크리트 블록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근래 옹벽 시공시 사용되는 통상의 콘크리트 블록은 대부분이 하나의 객체로 제작된 블록을 고정수단인, 즉 몰타르하여 블록과 블록을 서로 고정하면서 시공하여 옹벽을 형성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시공방식은 콘크리트 블록 하나 하나를 몰타르하여 고정시킴에 따라 작업이 상당히 번거러울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 또한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블록과 블록 사이에 몰타르가 경화되기까지는 일정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그 경화되는 시간까지는 옹벽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함은 물론 그로 인한 시공기간도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최근에 들어서는 자연 친화적으로 옹벽에 식재 등을 심는 방식이 대 두되면서 상기와 같이 시공된 옹벽에 별도의 식재블럭 등을 고정수단 등을 사용하여 고정한 후 식재를 심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같은 방식에 있어서도, 별도의 식재 블록을 제작하여 구비해야 함은 물론 옹벽을 시공 후 그 별도의 식재 블록을 따로 설치해야 하므로서, 그에 따른 시공작업이 상당히 번거러울 뿐만 아니라 보다 오랜 시공기간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초래되었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종래에도 옹벽을 시공과 동시에 식재를 심을 수 있도록 하는 블록이 제작된 바 있으나, 이는 그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면서 부피 또한 상당히 커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옹벽 시공시 자연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식재를 심을 수 있는 블럭을 간단한 구조에 의해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보다 간편하고 유동성 없으면서 안정성 있게 적재하여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시공 후 보다 큰 지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식재를 심을 수 있도록 시공되는 옹벽 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전방 측의 폭이 후방 측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관통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되, 중간으로 격벽에 의해 분할되고, 상면 양측과 그와 대응되는 밑면 양측에는 고정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면에 형성되는 고정돌기와, 밑면에 상기 고정돌기가 결합되도록 그 고정돌기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외측으로 틔여진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방 상면에는 상부로 틔여진 연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A-A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식재를 심을 수 있도록 시공되는 옹벽 블록에 있어서,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보다 간편하고 유동성 없으면서 안정성 있게 적재하여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블록(10)은 안정되게 적재되도록 전방 측의 폭(W)이 후방 측의 폭(w) 보다 넓게 형성되고, 중앙에는 식재와 토사 등을 심거나 채울 수 있도록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관통된 공간부(14)를 형성하되, 중간으로 격벽(13)에 의해 분할되고, 상면 양측과 그와 대응되는 밑면 양측에는 상호 적재시 유동성이 없도록 고정되는 고정수단(20)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미설명 부호 12는 상기 격벽에 의해 분할된 전방의 공간부로 채워지는 토사가 아래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시키도록 전면에서 공간부 측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방지턱이다.
상기 고정수단(20)은 상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적재시 격벽의 전방에 형성되는 공간부로 삽입되어 상기 방지턱이나 격벽으로 걸려져 블록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돌기(22)와, 밑면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결합되어 운반시 상호 수직선상으로 적재가 이루어지도록 그 고정돌기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외측으로 틔여진 고정홈(2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 상면에는 상부로 틔여진 연결홈(16)을 형성하여, 시공시 연결대 등을 걸쳐 토사 등이 그 연결대를 가압하여 보다 큰 지지력을 가지도록 함에 따라 빗물 등에 의한 토사압에 의해 옹벽이 전복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이 설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을 함에 따라, 먼저 본 고안의 블록을 시공하고자 하는 위치의 바닥면에 순차적으로 위치시켜 적재시킨 후 그 블록(10)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돌기(22)에 상부로 적재되는 블록(10)의 격벽(13)을 기준으로 전방에 형성된 공간부(14)를 삽입하여 적재시킨다. 이때, 상부로 적재되는 블럭은 하부의 블럭과 상호 어긋하게 교호로 적재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블록을 적재시에는 중앙의 격벽(13)을 사이에 두고 분할된 각 공간부(14)에 토사 등을 메워가면서 적재하거나 또는 필요로 하는 식재를 상기 공간부에 토사와 함께 심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식재는 격벽(13)에 의해 분할된 전방 측의 공간부에 심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록은 적재시 상부에 위치하는 블록의 전방에 형성되는 공간부가 하부의 블록 상면에 형성된 고정돌기로 삽입되어 적재됨에 따라 적재와 동시에 계단과 같은 방식으로 적재되어져 그 전방 측의 공간부에 식재를 심기에 더욱더 용이한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적재되는 블럭이 전방의 폭이 넓고 후방이 좁게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보다 안정된 상태로 적재되어질 뿐만 아니라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즉 상면에 형성된 고정돌기가 상부로 적재되는 전방의 공간부로 삽입되어 전방 측의 방지턱이나 격벽으로 걸려짐에 따라 블럭이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보다 간편하게 연결하면서 옹벽을 시공함은 물론 자연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식재 또한 별도의 블록 없이도 블록 자체에다 용이하게 심을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적층되어 시공이 완료된 후에 토사압 등에 의해 전복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블록(10)의 후방 상면에는 상부로 틔여진 연결홈(16)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블록을 적재시 상기 연결홈에 통상적인 연결대 등을 올려 놓고 토사 등을 메워 그 토사가 가압하도록 하므로서, 상기 블록의 후방을 상기 연결홈으로 설치된 연결대에 의해 보다 큰 지지력을 가지게 되어, 시공 후 빗물 등에 의한 토사압 등에 의해서도 적재된 블록이 전복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6는 본 고안을 운반시 적재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을 함에 따라, 본 고안의 블록을 운반시 최소한의 부피로 적재하여 전복됨 없이 원활하게 운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블록(10)을 운반에 따른 적재시 그 상면과 밑면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고정수단인 고정돌기(22)와 고정홈(24)을 서로 삽입하고, 이때 밑면에 형성된 고정홈의 직경이 고정돌기 보다 큰 직경을 가지게 됨에 따라 상부의 블록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에 따라 운반시에는 블록의 상면과 밑면에 형성된 고정수단인 고정돌기와 고정홈에 의해 수직선상으로 일률적인 적재가 이루어져 부피를 최소화함은 물론 더욱더 용이한 운반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옹벽 시공시 자연친화적으로 식재를 심을 수 있도록 사용되는 블럭을 간단한 구조에 의해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보다 간편하고 유동성 없으면서 안정성 있게 적재하여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간단한 시공작업을 통하여 신속하게 시공이 이루어짐에 따라 시공기간을 단축함은 물론 별도의 식재블럭 없이도 식재 또한 용이하게 심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블럭의 후방에 연결대 등을 연결시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시공 후 보다 큰 지지력을 가질 수 있게 됨에 따라 전복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 운반시에는 고정수단에 의해 서로 수직선상으로 결합시킴에 따라 최소한의 부피로 더욱더 용이한 운반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Claims (3)

  1. 식재를 심을 수 있도록 시공되는 옹벽 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10)은 전방 측의 폭(W)이 후방 측의 폭(w) 보다 넓게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관통되는 공간부(14)를 형성하되, 중간으로 격벽(13)에 의해 분할되고, 상면 양측과 그와 대응되는 밑면 양측에는 고정수단(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용 옹벽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0)은 상면에 형성되는 고정돌기(22)와, 밑면에 상기 고정돌기가 결합되도록 그 고정돌기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외측으로 틔여진 고정홈(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용 옹벽 블록.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상면에는 상부로 틔여진 연결홈(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용 옹벽 블록.
KR2020050029502U 2005-10-18 2005-10-18 식재용 옹벽 블럭 KR2004067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502U KR200406772Y1 (ko) 2005-10-18 2005-10-18 식재용 옹벽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502U KR200406772Y1 (ko) 2005-10-18 2005-10-18 식재용 옹벽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772Y1 true KR200406772Y1 (ko) 2006-01-24

Family

ID=49295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502U KR200406772Y1 (ko) 2005-10-18 2005-10-18 식재용 옹벽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7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622B1 (ko) 2006-06-23 2007-11-15 (주)장성산업 환경보호용 식생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622B1 (ko) 2006-06-23 2007-11-15 (주)장성산업 환경보호용 식생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37244A (zh) 一种陡坡地基上的梁柱板式路堤挡土墙及其构筑方法
CN102713080A (zh) 新建地下构造物的施工方法
AU1738699A (en)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KR200406772Y1 (ko) 식재용 옹벽 블럭
CN100540818C (zh) 建筑用空心砌块
KR101385172B1 (ko) 식재수단이 형성된 옹벽구조물
KR200495163Y1 (ko) 조립형 옹벽 구조물
KR200406771Y1 (ko) 옹벽용 블록
KR200394946Y1 (ko) 환경식생 옹벽블록
KR200491914Y1 (ko) 조립형 옹벽 구조물
JP3429230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からコンクリート構築物を構築するための工法
KR100786825B1 (ko) 결합수단을 구비한 옹벽블록
KR100960906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수직 옹벽 설치구조
KR101084203B1 (ko)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JP4693053B2 (ja) 地下水槽の充填材
KR920007982Y1 (ko) 레진콘크리트재 법면 보호용 원형블럭
CN215441951U (zh) 一种多级绿色拼装悬臂式加筋土挡墙
KR101589287B1 (ko) 식생용 호안블록의 결속구조
KR200474632Y1 (ko) 지하 연속벽의 안정액 저장용 싸일로 탱크에 설치되는 접이식 사다리 기구
KR100799910B1 (ko) 주철판넬 옹벽 구조물 및 그 축조 방법
KR100645326B1 (ko) 녹화가 이루어진 하천 옹벽지지구조
KR102294088B1 (ko) 현장의 조건에 맞게 따로 또는 합쳐서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옹벽블록 및 이들로 이루어진 중력식 옹벽블록유닛
CN216640631U (zh) 一种装配式抗滑桩
KR200408214Y1 (ko) 녹화가 이루어진 하천 옹벽지지구조
KR20130062586A (ko) 옹벽용 블럭 및 옹벽용 블럭의 옹벽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