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055Y1 - 용기 캡 - Google Patents

용기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055Y1
KR200488055Y1 KR2020160007582U KR20160007582U KR200488055Y1 KR 200488055 Y1 KR200488055 Y1 KR 200488055Y1 KR 2020160007582 U KR2020160007582 U KR 2020160007582U KR 20160007582 U KR20160007582 U KR 20160007582U KR 200488055 Y1 KR200488055 Y1 KR 2004880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discharge path
discharge
container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5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039U (ko
Inventor
박진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1600075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055Y1/ko
Priority to CN201721812516.1U priority patent/CN207644966U/zh
Publication of KR201800020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0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0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0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3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the element being formed by a slit, narrow opening or constrictable spout, the size of the outlet passage being able to be vari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은,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 경로; 및 상기 토출 경로에 마련되는 톱니 형태의 가림막을 포함하고, 상기 가림막은, 상기 내용물의 토출압에 의하여 휘어지면서 상기 토출 경로를 확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용기 캡{Cap for vessel}
본 고안은 용기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낮은 점도를 가지는 내용물이 임의로 배출되거나 누액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어, 토출구 외부 주변에 내용물이 남지 않아 위생적이며 내용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용기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에센스, 로션, 크림 등과 같은 액상 화장품은,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여 피부를 건조하지 않게 하고, 외부의 해로운 공해나 기온차 및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면서도 피부에 진정 효과를 부여하므로, 사람들에 의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게다가 근래에는 펌핑 용기에 점도가 낮은 치약을 수용시켜 이용하기도 하며, 의약품 또한 낮은 점도의 물질이 용기에 수용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때 점도가 낮아 쉽게 흐르는 액상 물질(화장품, 치약, 의약품 등)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합성수지, 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용기에 담겨 판매되고, 용기는 액상 물질과 같은 내용물이 담겨진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출구에 마련된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용기 본체의 출구는 일반적으로 상방으로 돌출되어 주둥이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때 뚜껑은 주둥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체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사용자는 뚜껑을 돌려서 출구를 개방한 뒤 용기 본체를 기울여서 화장품을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뚜껑은 나사산 방식 외에도 주둥이에 맞물리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펌프가 마련되어 펌핑의 방식으로 내용물이 배출되기도 한다.
그런데 내용물의 점도가 낮은 경우 일례로 로션, 의약품 등의 경우 사용자가 펌핑한 이후 토출구 내부에 잔량된 내용물이 흘러 누액될 수 있으며, 튜브형의 용기를 눌러 사용자가 의약품을 배출한 이후 지속적으로 내용물이 빠져나와 용기 주변이 지저분해질 뿐만 아니라, 내용물을 추가로 배출시 이전에 배출되어 주변에 남은 내용물이 세균 등에 노출되어 혼합됨으로써 위생에 부적합할 뿐만 아니라, 과도하게 내용물이 배출되어 낭비되어 개선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점도가 낮게 이루어지더라도 토출구를 통해 내용물이 과도하게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토출구 내부에 남은 내용물이 흘러 누액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는 용기 캡을 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은,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 경로; 및 상기 토출 경로에 마련되는 톱니 형태의 가림막을 포함하고, 상기 가림막은, 상기 내용물의 토출압에 의하여 휘어지면서 상기 토출 경로를 확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림막은, 상기 토출 경로에 틈을 형성하며, 상기 내용물의 토출압에 의하여 휘어지면서 상기 틈을 확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림막은, 상기 토출 경로에서 토출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림막은, 복수 개가 상기 토출 경로를 가로지르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림막은, 상기 토출구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톱니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틈은, 3mm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틈은, 1mm 이하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용물의 토출압에 의해 벌어져 상기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림막은, 상기 토출 경로의 내벽과 일체로 사출되거나, 상기 가림막을 지지하는 둘레부재에 의해 상기 토출 경로에 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림막은 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틈은 상기 가림막에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토출구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들어 테이퍼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캡은, 복수의 가림막이 배출 경로 상에 톱니 형태(2개 빗의 빗살이 서로 대향하는 형태로)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사용시 외에 토출구 내부의 내용물이 가림막에 의해 배출이 차단되므로, 낮은 점도를 가지는 내용물이 임의로 배출되거나 누액되지 않아, 토출구 외부 주변에 내용물이 남지 않게 되어 위생적이며, 과도하게 내용물이 빠져나오지 않아 내용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토출 경로 내벽의 상하 각각에 가림막이 쌍을 이루어 톱니 형태를 이루고, 톱니 형상 사이의 틈이 가림막의 높이 변화로 인하여 내부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는 형태를 이루므로, 내용물은 토출 경로의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점차 이동 경로가 차단되는 형태를 이루어 내용물이 다중의 가림막에 의해 점진적으로 차단되어 누액 방지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가림막에 의해 토출 경로가 가로막혀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감소될 수 있으므로 내용물의 변질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의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100)은 토출 경로(110) 및 가림막(120)을 포함하며,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10)에 설치되거나 탈착될 수 있다. 여기서, 내용물은 액상 물질일 수 있으며 일례로 화장품(에센스, 로션, 크림 등), 세제, 샴푸, 치약, 의약품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용기(10)에 저장되는 물질의 용도나 조성 등은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액상 물질이 저점도로 이루어지는 경우 누액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어 점도가 낮은 액상 물질의 이용에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10)는 용기 본체(11)와 뚜껑(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는데, 용기 본체(11)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통(원통, 다면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 달리 튜브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하다.
그리고 용기 본체(11)는 주둥이(12)가 형성될 수 있고, 주둥이(12)에는 뚜껑이 마련되거나 펌핑 작동을 위한 펌프(13)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용물이 배출되는 구조로부터 내용물이 누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용기 본체(11)의 주둥이(12)와 펌프(13)의 토출구(14) 즉 내용물을 배출하는 구조를 토출부(90)로 명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의 용기 캡(100)은 내용물이 토출되는 토출부(90)에 설치되어 누액을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토출부(90)가 마련되는 구성은 한정되지 않아 용기 본체(11) 또는 펌프의 토출구(14) 등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토출 경로(110)는 내용물을 토출한다. 토출 경로(11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토출부(90)에서 내용물의 이동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토출부(90)의 형상, 구조 등은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통(예를 들어 30ml 내지 1000ml와 같이 용량이 튜브형에 비해 많을 수 있으며, 바닥에 세워서 사용하는 구조일 수 있음)의 형태를 이루는 용기(10)뿐만 아니라, 튜브형(예를 들어 5ml 내지 30ml로 이루어지며 바닥에 눕혀 사용하는 구조일 수 있음)의 용기(10)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토출부(90)에서 내용물의 배출을 가이드하는 토출 경로(110)는, 용기 본체(11)의 중공으로부터 연통되어, 내용물이 용기 본체(11)의 내부로부터 펌핑 작용(펌프 누름) 또는 사용자의 가압 작용(튜브 짜기) 등에 의해 내용물에 토출압이 발생시 내용물이 경유할 수 있다.
일례로 토출부(90) 및 토출 경로(110)의 단면은 공지된 주둥이 등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그 형상이 다양할 수 있고, 토출부(90)는 관, 주둥이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공지된 용기(10)의 배출 구조뿐만 아니라 그 형태가 어느 것이라도 무관하다. 즉, 용기(10)의 배출 구조는 제한되지 않는다.
가림막(120)은 누액을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토출 경로(110)의 내벽에 마련되는 톱니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톱니 형태는 톱니 치와 같이 다수의 돌출구조물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단면의 형상은 한 쌍의 빗(빗살)이 서로 대향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일례로 두 개의 톱니가 서로 맞물려 공간(토출 경로(110))을 간섭함으로써 즉 하나의 톱니에 마련되는 치와 다른 하나의 톱니에 마련되는 치가 서로 간섭되어 한 쌍의 톱니 치 사이에서 내용물이 임의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가림막(120)은 톱니가 맞물림되는 것과 유사하게 서로 겹쳐지는 형태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내용물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한편으로는 누액이 방지되도록, 가림막(120)에 틈(121)이 형성되고, 틈(121)이 마련되도록 가림막(120)이 쌍을 이루어 서로 대향하거나, 토출압에 의해 틈(121)이 생길 수 있는 정도로 마련되어(틈이 미세하여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을 수도 있음) 한 쌍의 가림막(120)이 서로 맞닿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가림막(120)은 토출 경로(110)에 틈(121)을 형성하여 내용물의 배출을 허용할 수 있는데, 다만 내용물의 토출압에 의하여 휘어지면서 틈(121)을 확장시킴으로써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틈(121)은 후술하도록 한다.
여기서, 가림막(120)은 토출 경로(110)에서 토출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 개가 토출 경로(110)를 가로지르도록 마련될 수 있어, 가림막(120)은 토출구(부호 도시하지 않음, 토출부(90)의 단부일 수 있음)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톱니 형태일 수 있다.
이때, 톱니 형태는 톱니 치가 상하로 쌍을 이루어 마련된 형태일 수 있다. 물론, 가리막(120)은 토출 경로(110)를 간섭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토출 경로(110)에서 가림막(120)이 좌우로 쌍을 이루거나 상하 및 좌우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가림막(120)이 상하로 쌍을 이루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가림막(120)의 두께와 토출 경로(110)를 따라 복수로 마련되어 서로 이격되는 거리는 토출부(90)의 구조에 따라 달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토출 경로(110) 내벽의 상하 각각에 가림막(120)이 쌍을 이루어 마련될 수 있는데, 용기(10)의 용량이 작을수록 토출압은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용기(10)의 용량에 대응하여 토출 경로(110)의 단면적이 작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용기(10) 및/또는 토출 경로(110)의 단면적에 대비하여 가림막(120)의 두께는 얇고 토출 경로(110)를 따라 이격된 가림막(120)의 거리 또한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용량 및 단면적을 가지는 용기(10)에 있어서도 내용물의 점도에 따라 가림막(120)의 두께 및 이격거리가 달리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토출 경로(110)의 중심부에 틈(121)이 형성될 수 있고, 틈(121)은 가림막(120)의 높이 변화로 인하여 내부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용물은 토출 경로(110)의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점차 이동 경로가 차단되는 형태를 이루어 내용물이 다중의 가림막(120)에 의해 점진적으로 차단되는 형태를 이룸으로써 누액 방지를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틈(121)은 3mm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가장 작은 틈은 1mm 이하로 이루어지고, 내용물의 토출압에 의해 벌어져 내용물이 배출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틈(12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 길이 방향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가림막(120)이 상하 방향으로 쌍을 이루지 않고 좌우 방향으로 쌍을 이루는 경우 세로 방향으로 틈(121)이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하 및 좌우의 조합에 의해 틈은 세로 및 가로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가림막(120)은, 내용물의 누액을 방지하기 위해 평시에는 토출 경로(110)를 폐쇄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용물의 사용을 위해 펌핑 작동 등을 할 경우에는 펌핑 작동 등에 의한 내용물의 토출압에 의하여 가림막(120)이 휘어지면서 토출 경로(110)를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림막(120)은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내용물의 토출압에 의해 토출 경로(110)의 외부 방향으로 가림막(120)이 가압됨으로써, 상하 쌍을 이루는 가림막(120)이 서로 벌어져, 틈(121)이 확장됨으로써 가림막(120) 사이의 공간이 커져 내용물이 빠져나갈 수 있다.
물론, 내용물의 토출압이 약해져, 가림막(120)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없는 정도로 토출압이 낮아지는 경우, 즉 펌핑 작동 등이 없는 경우와 같이 내용물에 발생된 압력이 줄어드는 경우 벌어졌던 가림막(120)의 형상은 복원되고, 이에 따라 가림막(120) 사이의 틈(121)은 다시 줄어들어 내용물의 이동 경로가 차단됨으로써 누액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토출 경로(110)를 따라 복수로 마련되는 가림막(120)은 이웃한 가림막(120)과 틈(121) 사이즈가 달리 이루어질 수 있음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으며, 일례로 외부(토출구)로 갈수록 틈(121)이 감소되도록 틈(121)은 테이퍼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가림막(120)은, 토출 경로(110)의 내벽과 일체로 사출, 일례로 이중 사출로 성형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가림막(120)은 토출 경로(110)의 내벽에 탈착될 수도 있다. 가림막(120)이 탈착되는 경우, 가림막(120)은 외측 둘레를 따라 둘레부재(13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둘레부재(130)는 토출 경로(110)에 끼움되어 탈착될 수 있는데, 토출 경로(110)가 마련되는 토출부(90)와 둘레부재(130) 사이에 턱이 형성되지 않도록 둘레부재(130)와 토출부(90)는 동일한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즉, 가림막(120)은 용기(10)와 일체로 사출되어 이용될 수도 있으나, 기존 제품에 추가로 장착되어 이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복수의 가림막(120)이 배출 경로(110) 상에 톱니 형태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사용시 외에 토출구 내부의 내용물이 가림막에 의해 배출이 차단되므로, 낮은 점도를 가지는 내용물이 임의로 배출되거나 누액되지 않아, 토출구 외부 주변에 내용물이 남지 않게 되어 위생적이며, 과도하게 내용물이 빠져나오지 않아 내용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용기 11: 용기 본체
12: 주둥이 13: 펌프
14: 토출구 90: 토출부
100: 용기 캡 110: 토출 경로
120: 가림막 121: 틈
130: 둘레부재

Claims (10)

  1.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 경로; 및
    상기 토출 경로에 마련되는 톱니 형태의 가림막을 포함하고,
    상기 가림막은, 상기 내용물의 토출압에 의하여 휘어지면서 상기 토출 경로를 확장시키며, 상하 한 쌍의 단위는 서로 마주하도록 마련되고, 복수 개가 상기 토출 경로를 가로지르도록 마련되며, 상기 토출 경로에 틈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가림막이 토출구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톱니 형태를 이루어, 서로 이웃한 상기 복수의 가림막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틈은 상기 토출구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들어 테이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은,
    상기 내용물의 토출압에 의하여 휘어지면서 상기 틈을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은,
    상기 토출 경로에서 상기 토출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틈은,
    3mm 이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틈은,
    1mm 이하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용물의 토출압에 의해 벌어져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은,
    상기 토출 경로의 내벽과 일체로 사출되거나, 상기 가림막을 지지하는 둘레부재에 의해 상기 토출 경로에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은 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10. 삭제
KR2020160007582U 2016-12-27 2016-12-27 용기 캡 KR2004880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582U KR200488055Y1 (ko) 2016-12-27 2016-12-27 용기 캡
CN201721812516.1U CN207644966U (zh) 2016-12-27 2017-12-22 容器盖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582U KR200488055Y1 (ko) 2016-12-27 2016-12-27 용기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039U KR20180002039U (ko) 2018-07-05
KR200488055Y1 true KR200488055Y1 (ko) 2018-12-07

Family

ID=62878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582U KR200488055Y1 (ko) 2016-12-27 2016-12-27 용기 캡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8055Y1 (ko)
CN (1) CN207644966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299Y1 (ko) * 2004-05-07 2004-08-06 고길성 펌프식 용기의 내용물 배출노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862U (ko) * 2008-08-12 2010-02-22 강성일 벌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디스펜서 용기
KR20120003791U (ko) * 2010-11-22 2012-06-01 이상준 고체화를 방지하는 누름장치
KR101289685B1 (ko) * 2011-12-09 2013-07-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299Y1 (ko) * 2004-05-07 2004-08-06 고길성 펌프식 용기의 내용물 배출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7644966U (zh) 2018-07-24
KR20180002039U (ko)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94012T3 (es) Envase que comprende un cierre de tipo empujar y tirar y una válvula de hendidura
TWI457105B (zh) Pumped foam spit out the container
FI91932C (fi) Kaksikammioinen sekoitusannostelulaite
TWI690467B (zh) 倒置瓶配給系統及方法
RU2452673C1 (ru) Обратный клапан
US20060006077A1 (en) Dispensing closure with integral piercing unit
KR20170078392A (ko) 화장품 용기
JP2017535329A (ja) スポイト型異液混合容器
TWI720944B (zh) 具有施配梢之管件
KR101234514B1 (ko)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주사기형 용기
TWI673212B (zh) 附有壺嘴之容器及再填充方法
CN110062738A (zh) 具有喷口的闭合件和用于将添加剂引入饮料容器的装置
US6431408B1 (en) Dispensing device and methods
JP7039432B2 (ja) 吐出容器
KR200488055Y1 (ko) 용기 캡
KR20120073669A (ko)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구조
JP4917002B2 (ja) 泡噴出容器
KR20200028838A (ko) 약액 디스펜서
JP6429708B2 (ja) スクイズフォーマー容器
CN207090106U (zh) 新型带止回阀结构的活塞式bb霜容器装置
JP4756955B2 (ja) 吐出キャップ
JP6125955B2 (ja) ブロー成形二重容器
CN103562093A (zh) 涂布容器
JP6019584B2 (ja) チューブ容器
JP6932454B2 (ja) 吐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