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046Y1 - 용접 보조 기구 - Google Patents

용접 보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046Y1
KR200488046Y1 KR2020170003711U KR20170003711U KR200488046Y1 KR 200488046 Y1 KR200488046 Y1 KR 200488046Y1 KR 2020170003711 U KR2020170003711 U KR 2020170003711U KR 20170003711 U KR20170003711 U KR 20170003711U KR 200488046 Y1 KR200488046 Y1 KR 2004880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cover
disposed
container body
cov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7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형근
최재영
하성식
이태천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37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0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0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0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 B65D85/2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for welding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접 보조 기구에 관한 것으로, 용기바디와 용접 잔봉을 수거하도록, 상기 용기바디의 상부에 배치되는 수거부와 수거된 용접 잔봉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거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커버부와 용접 장비를 보관하도록, 상기 용기바디의 하부에 배치되는 보관부 및 상기 용기바디를 용접 공간에 거치토록, 상기 수거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고안에 따르면, 용접 작업 중 발생되는 용접 잔봉을 안정적으로 수거하고, 용접 관련 장비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용접 보조 기구{WELDING AIDS DEVICE}
본 고안은 용접 보조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 작업 중 발생되는 용접 잔봉을 안정적으로 수거하고, 용접 관련 장비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용접 보조 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작업 현장에서 많이 쓰이는 용접 방식 중의 하나는 아크(arc) 용접이다. 아크 용접은 소모성 용접봉을 용접홀더에 끼워 전기적 아크 발생을 통해 금속재질의 물체를 용접하는 방식이다.
소모성 용접봉은 용접이 진행될수록, 그 길이가 점점 짧아지게 되고, 용접홀더까지 접근하게 되면, 작업자는 용접 잔봉을 제거하고 새 용접봉을 갈아 끼운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용접 잔봉들은 별도의 수거함 없이 작업 현장 바닥에 그대로 버려지기도 하고, 혹은 간이바구니와 같은 용기에 담아져 수거되기도 한다. 전자의 경우 작업 현장을 오염시키게 되고, 후자의 경우 작업자가 부주의한 경우 수거 용기가 엎어져 수거된 용접 잔봉들이 흩어지기도 한다.
또한 작업자는 용접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여러 용접 관련 장비 및 악세서리를 구비해야 하는데, 이러한 장비 및 악세서리 용이하게 보관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국내실용신안 공개번호:20-2017-0001956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관련 기술분야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용접 작업 중 발생되는 용접 잔봉을 안정적으로 수거하고, 용접 관련 장비 및 악세서리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용접 보조 기구에 관한 것으로, 용기바디와 용접 잔봉을 수거하도록, 상기 용기바디의 상부에 배치되는 수거부와 수거된 용접 잔봉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거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커버부와 용접 관련 장비 및 악세서리를 보관하도록, 상기 용기바디의 하부에 배치되는 보관부 및 상기 용기바디를 용접 작업 공간에 거치토록, 상기 수거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걸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부는, 상기 수거부의 상측에 나사산 방식으로 결합되는 커버바디와 용접 잔봉이 수거되도록, 상기 커버바디의 중앙측에 형성되는 중앙홀 및 상기 중앙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커버바디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바디의 외주면에서 상기 중앙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깔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부는, 상기 중앙홀로 유입되는 용접 잔봉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커버바디의 하부에 배치되고, 외측에서 중앙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분할커버 및 상기 분할커버가 개폐되도록, 상기 커버바디의 내면과 상기 분할커버간에 연결 배치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관부는, 상기 수거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보관통과 상기 수거부의 하단에 나사산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보관통의 내부 용량을 조절하도록 제공되는 신축부 및 상기 수거부에 형성된 제1 고정홀과 상기 보관통에 형성된 제2 고정홀간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보관통의 내부 용량을 고정하도록 제공되는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용접 작업 공간에 상기 용기바디를 자력으로 고정하도록, 상기 보관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자력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용접 작업 중 발생되는 용접 잔봉을 안정적으로 수거하여 작업 현장의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 현장에서 용접 관련 장비 및 악세서리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어, 작업자의 용접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용접 보조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용접 보고기구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중 커버부를 나타낸 상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용접 보조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용접 보조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용접 보고기구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중 커버부를 나타낸 상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를 참고하면, 본 고안인 용접 보조기구(10)는 용기바디(20), 수거부(30), 커버부(40), 보관부(50) 및 걸이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바디(20)는 금속재질이고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 용기일 수 있다.
상기 수거부(30)는 용접 작업 중에 발생되는 용접 잔봉을 수거하도록, 상기 용기바디(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거부(30)는 원통형이며 내부에 용접 잔봉이 수거되는 일정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40)는 상기 수거부(30)로 수거된 용접 잔봉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거부(3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커버부(40)는 커버바디(41), 중앙홀(43), 깔때기부(42), 분할커버(46) 및 탄성체(4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커버바디(41)는 금속재질의 원통형 덮개로서, 상기 수거부(30)의 상측에 나사산 방식(48)으로 결합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커버바디(41)를 잡고 돌림에 따라 상기 커버부(40)가 상기 수거부(30)에 체결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중앙홀(43)은 용접 잔봉이 수거되도록, 상기 커버바디(41)의 중앙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홀(43)의 직경은 상용되는 용접봉의 직경에 대응되거나 도는 약간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홀(43)의 직경은 수거된 용접 잔봉이 다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는 정도의 크기로 고려될 수 있다.
상기 깔때기부(42)는 상기 중앙홀(43)의 둘레를 따라 상기 커버바디(4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커버바디(41)의 외주면에서 상기 중앙홀(43)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용접 잔봉을 상기 깔때기부(42) 위에 떨어뜨리면, 용접 잔봉은 경사면을 따라 상기 중앙홀(43)로 이동하고, 상기 중앙홀(43)을 통과하며 상기 수거부(30)의 내부로 들어가며 수거되게 된다.
다음 상기 분할커버(46)는 상기 중앙홀(43)로 유입되는 용접 잔봉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커버바디(4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외측에서 중앙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45)는 상기 분할커버(46)가 개폐되도록, 상기 커버바디(41)의 내면과 상기 분할커버(46)간에 연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4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코일스프링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중앙홀(43)로 유입되는 용접 잔봉은 상기 분할커버(46)에 닿게 되고, 작업자 용접 잔봉을 밀어넣으면, 도 3에서와 같이, 4개의 영역으로 구획된 분할커버(46)가 각각 외측 방향으로 밀리면서, 용접 잔봉이 분할커버(46)의 중앙부상에서 상기 수거부(30)의 내부로 떨어지게 된다.
이후 상기 탄성체(45)가 다시 구획된 각각의 분할커버(46)를 중앙부로 밀어 서로 맞닿게 하며, 상기 수거부(30)를 밀폐하게 된다.
수거된 용접 잔봉은 작업자가 상기 커버바디(41)를 돌려 상기 수거부(30)에서 분리한 후에 제거하면 된다.
다음으로 상기 보관부(50)는 용접 관련 장비 및 악세서리를 보관하도록, 상기 용기바디(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보관부(50)는 보관통(51), 신축부(53) 및 고정핀(5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보관통(51)은 상기 수거부(30)의 하부에 배치되고 금속재질의 원통형 용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축부(53)는 상기 수거부(30)의 하단에 나사산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보관통(51)의 내부 용량을 조절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신축부(53)를 잡고 돌려 상기 보관통(51)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보관통(51)의 내부 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용접 관련 장비 및 악세서리의 개수와 크기에 따라 조절하면 된다.
상기 고정핀(55)은 상기 수거부(30)에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제1 고정홀(57a)과 상기 보관통(51)에 형성된 제2 고정홀(57b)간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보관통(51)의 내부 용량을 고정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핀(55)을 분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고리(56a)가 상기 수거부(30)외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핀(55)은 상기 연결고리(56a)와 와이어(56b)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신축부(53)를 돌려 상기 보관통(51)의 내부 용량을 조절한 후에, 상기 고정핀(55)을 상기 제1,2 고정홀(57a,57b)간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이부(70)는 상기 용기바디(20)를 용접 작업 공간에 거치토록, 상기 수거부(3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용접 작업 공간의 철제 프레임 거치를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부(70)는 손잡이가 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상기 걸이부(70)를 잡고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용접 작업 공간에 상기 용기바디(20)를 자력으로 고정하도록, 상기 보관부(50)의 하단에 배치되는 자력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력부재(60)는 영구자석이고 상기 보관부(50)의 보관통(51) 하단에 볼트체결(63)되어 결합될 수 있다. 물론 반드시 영구자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본 고안은 용접 작업 중 발생되는 용접 잔봉을 안정적으로 수거하여 작업 현장의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 현장에서 용접 관련 장비 및 악세서리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어, 작업자의 용접작업효율이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상의 사항은 용접 보조 기구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10:용접 보조기구
20:용기바디
30:수거부
40:커버부
41:커버바디
42:깔때기부
43:중앙홀
45:탄성체
46:분할커버
50:보관부
51:보관통
53:신축부
55:고정핀
60:자력부재
70:걸이부

Claims (5)

  1. 용기바디;
    용접 잔봉을 수거하도록, 상기 용기바디의 상부에 배치되는 수거부;
    수거된 용접 잔봉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거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커버부;
    용접 관련 장비 및 악세서리를 보관하도록, 상기 용기바디의 하부에 배치되는 보관부; 및
    상기 용기바디를 용접 작업 공간에 거치토록, 상기 수거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걸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관부는,
    상기 수거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보관통;
    상기 수거부의 하단에 나사산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보관통의 내부 용량을 조절하도록 제공되는 신축부; 및
    상기 수거부에 형성된 제1 고정홀과 상기 보관통에 형성된 제2 고정홀간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보관통의 내부 용량을 고정하도록 제공되는 고정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보조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수거부의 상측에 나사산 방식으로 결합되는 커버바디;
    용접 잔봉이 수거되도록, 상기 커버바디의 중앙측에 형성되는 중앙홀; 및
    상기 중앙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커버바디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바디의 외주면에서 상기 중앙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깔때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보조 기구.
  3. 용기바디;
    용접 잔봉을 수거하도록, 상기 용기바디의 상부에 배치되는 수거부;
    수거된 용접 잔봉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거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커버부;
    용접 관련 장비 및 악세서리를 보관하도록, 상기 용기바디의 하부에 배치되는 보관부; 및
    상기 용기바디를 용접 작업 공간에 거치토록, 상기 수거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걸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는,
    상기 수거부의 상측에 나사산 방식으로 결합되는 커버바디;
    용접 잔봉이 수거되도록, 상기 커버바디의 중앙측에 형성되는 중앙홀;
    상기 중앙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커버바디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바디의 외주면에서 상기 중앙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깔때기부;
    상기 중앙홀로 유입되는 용접 잔봉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커버바디의 하부에 배치되고, 외측에서 중앙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분할커버; 및
    상기 분할커버가 개폐되도록, 상기 커버바디의 내면과 상기 분할커버간에 연결 배치되는 탄성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보조 기구.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용접 작업 공간에 상기 용기바디를 자력으로 고정하도록, 상기 보관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자력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보조 기구.


KR2020170003711U 2017-07-17 2017-07-17 용접 보조 기구 KR2004880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711U KR200488046Y1 (ko) 2017-07-17 2017-07-17 용접 보조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711U KR200488046Y1 (ko) 2017-07-17 2017-07-17 용접 보조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046Y1 true KR200488046Y1 (ko) 2018-12-06

Family

ID=64668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711U KR200488046Y1 (ko) 2017-07-17 2017-07-17 용접 보조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04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2066A1 (ko) * 2019-05-31 2020-12-03 이상록 혼합 용기 유니트
KR20200138098A (ko) * 2019-05-31 2020-12-09 이상록 혼합 용기 유니트
US11884472B2 (en) 2020-11-17 2024-01-30 Sangrok Lee Mixing container combined with drinking contain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469Y1 (ko) * 2001-07-31 2001-11-22 류인일 용접기 보조 장치
KR20120137992A (ko) * 2011-06-14 2012-12-2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용접 잔봉 수거기
KR20170001956U (ko) 2015-11-26 2017-06-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용접 보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469Y1 (ko) * 2001-07-31 2001-11-22 류인일 용접기 보조 장치
KR20120137992A (ko) * 2011-06-14 2012-12-2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용접 잔봉 수거기
KR20170001956U (ko) 2015-11-26 2017-06-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용접 보조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2066A1 (ko) * 2019-05-31 2020-12-03 이상록 혼합 용기 유니트
KR20200138098A (ko) * 2019-05-31 2020-12-09 이상록 혼합 용기 유니트
KR102271487B1 (ko) * 2019-05-31 2021-06-30 이상록 혼합 용기 유니트
US11884472B2 (en) 2020-11-17 2024-01-30 Sangrok Lee Mixing container combined with drinking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8046Y1 (ko) 용접 보조 기구
JP5323285B1 (ja) ワイヤ放電加工装置
KR20170054343A (ko) 쓰레기봉투 거치 쓰레기통
CN112374164B (zh) 金属冶炼送样装置
US4462906A (en) Filler for electromagnetic filters
HU211012B (en) Holder for welding wire and cover plate bearing against the bobbin
US4326575A (en) Disposable waste receptacle
CN209969112U (zh) 料桶清洗用推车
JPS59639Y2 (ja) 原子核技術設備用でケ−シング内に気密的に収容される浮遊物フイルタパトロ−ネの交換及び廃物の搬出のための装置
CN104588930B (zh) 一种用于辅助焊接的工具
CN213443271U (zh) 一种一步法硅烷交联电缆料真空包装机
KR20170025749A (ko) 일회용 종이컵 수거함
KR20190041848A (ko) 마늘쪽 분리장치
NO774141L (no) Sterkfelt-magnetseparator for vaatbearbeidelse av magnetiserbare, faste partikler
CN104986474B (zh) 一种环保型收集垃圾装置
CN204638351U (zh) 除杂装置
CN211711842U (zh) 一种电子元件自动筛选排序装置
KR200469467Y1 (ko) 중앙부가 개폐되는 쓰레기통
RU86496U1 (ru) Магнитный сепаратор
CN211140101U (zh) 转子定位包装料桶
KR101771167B1 (ko) 동전기제염장치 거치대
CN113333433B (zh) 一种环保型生活垃圾免分拣处理设备
CN216072228U (zh) 一种不锈钢铸件加工用边角料收集装置
CN212797417U (zh) 节能高效型定量灌装机
CN210187401U (zh) 一种环烷烃机械配件切削加工用金属废屑回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