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032Y1 -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용기 - Google Patents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032Y1
KR200488032Y1 KR2020170000827U KR20170000827U KR200488032Y1 KR 200488032 Y1 KR200488032 Y1 KR 200488032Y1 KR 2020170000827 U KR2020170000827 U KR 2020170000827U KR 20170000827 U KR20170000827 U KR 20170000827U KR 200488032 Y1 KR200488032 Y1 KR 2004880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prout
container
plate
gau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8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572U (ko
Inventor
박병찬
박병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스테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스테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스테이션
Priority to KR20201700008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032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5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5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0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0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 Y02P60/21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용기로서, 하부는 밀폐되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는 용기(10)의 안쪽으로 평평한 재배판(30)이 형성되고 재배판(30)의 위쪽으로 거즈(20)가 놓여 거즈(20)에 식물이 재배되는데 용기(10)의 일측면에 재배판(30)을 넘지않도록 급배수용홀(40)이 형성되고 재배판(30)의 아래쪽에는 충진재가 채워지고 물이 채워지며 거즈(20)로부터 연장된 잠김부(60)가 물쪽으로 늘어 뜨려진다.

Description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용기{BOWL FOR GROWING PLANTS}
본 고안은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용기로서 자세하게는 새싹채소 재배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는 밀폐되어 있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는 용기와, 용기 내부에는 용기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되는 새싹채소 재배판이 놓이게 되며, 용기 측면에는 새싹채소 재배판의 높이 이하로 급 배수용 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새싹채소 재배를 위하여 용기에 저장된 물의 부패와 새싹채소 종자와 뿌리 썩음을 방지할 수 있는 판촉용, 식용, 교육용, 관람용 및 인테리어용 등으로 보급할 수 있는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새싹채소는 씨앗을 발아시켜 순순한 물만으로 10cm 이내가 되게 5~15일 정도 재배하여 돋아난 새싹을 수확하여 먹는 속성재배채소를 의미한다. 이러한 새싹채소는 신선하고 부드러우며 향기가 독특하고 영양성분이 풍부하여 웰빙식품으로 좋고 건강 기능면에서도 매우 우수하여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현재 재배되고 있는 새싹채소로는 콩나물, 숙주나물, 무순, 배추, 메밀, 알팔파, 호로파, 브로콜리싹, 클로버등이 있다.
이러한 새싹채소를 재배하는 방법으로는 바구니 같은 곳에 씨앗을 담고 그 위에 빛을 차단하는 커버를 덮어씌운 후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하여 씨앗을 발아시켜서 재배하는 방법과, 육묘상자에 솜이나 스펀지 등을 일정한 두께로 깔고 물을 공급한 후 그 위에 씨앗을 뿌려 재배하는 방법과, 비닐하우스 내부에 상토와 모래 또는 흙 등을 골고루 뿌린 후 그 위에 씨앗을 조밀하게 뿌려 물을 공급하여서 재배하는 방법 등이 이용되어 왔다.
근래에는 가정에서 수경재배를 통해 직접 새싹채소를 재배할 수 있는 새싹 재배장치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89644호의 "새싹재배용 수경재배기" 및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43127호의 "식물 새싹 재배기" 등이 있다. 상기 재배기에서 공통적인 재배방법은 새싹채소 재배를 위한 물이 담기는 용기의 측면에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에 형성되는 걸침턱을 형성한 후 다수개의 구멍이 뚤려 있는 채반을 걸침턱에 올려놓고 채반에 씨앗을 파종하여 재배하는 방법으로 씨앗으로부터 나온 뿌리가 채반구멍을 통해 직접 채반하부의 물에 잠기어 수분을 흡수하면서 새싹채소가 성장하게 되는 형태이다.
통상 수경재배 방법의 씨앗 발아에 있어서 씨앗이 물에 완전히 장시간 잠겨있게 되면 씨앗이 썩게 되고 물기가 없으면 씨앗이 건조하게 되어 발아를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개된 상기 발명에 있어서 씨앗의 발아와 뿌리가 채반 하부로 내려가게 하기 위하여서는 필연적으로 채반의 직 상부에 까지만 물이 차 도록 만들어야 되고, 그러기 위하여 용기에 놓여진 채반 직 상부 높이의 용기 측면에 배수홀을 형성하여야 된다.
이때 배수홀이 채반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면 씨앗은 건조해져 발아를 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뿌리가 채반하부로 내려갈 수 없어서 새싹채소 재배를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배수홀이 채반의 높이 보다 너무 높게 형성되어 있으면 씨앗이 물에 완전히 잠기게 되어 씨앗이 썩게된다.따라서, 용기 측면의 배수 홀은 채반의 직상부에 형성 할 수 밖에 없게 된다.
하지만, 수경재배용 실내 새싹채소 재배기는 천연가습기 대용으로 사용될 만큼 건조한 실내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공개 특허처럼 채반 직 상부에 형성된 배수홀의 수위는 한 두시간도 안 되어 수위가 떨어지게 되고 그때마다 물을 부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된다.
특히 가정에서 모두 출근하여 관리할 사람이 없거나, 사무실에 직원이 모두 퇴근하여 관리할 사람이 없는 경우 새싹채소는 발아를 못하여 모두 죽게 되는 낭패를 보게 된다.
상기 공개 특허들의 또 다른 문제점으로, 통상 식물의 뿌리들은 산소를 필요로 하는 호흡을 하게 되는데 새싹채소의 뿌리들이 채반 구멍을 통하여 직접 물에 잠기어 있는 경우 새싹채소 뿌리들은 오로지 용기에 담겨있는 물에서 산소를 흡수하기 때문에 용기 내부에 담겨있는 물에 용존 산소는 빠른 시간 내에 소진되게 되고, 물에 산소가 부족하게 되면 뿌리가 썩게 되기 때문에 용기 내부의 물을 빈번하게 갈아주지 않으면 새싹채소도 정상적으로 자라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물에서 악취가 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새싹채소는 잎, 줄기, 발아씨앗, 뿌리를 통째로 먹어야 영양적 측면에서 좋으나, 상기 인용특허와 같이 채반형태의 새싹채소 재배방법은 미세 채반 구멍 하부에서 자란 새싹채소 뿌리를 고정된 미세 채반 구멍으로부터 온전하게 뽑아내기가 힘들어 새싹채소를 잎, 줄기, 발아 씨앗, 뿌리까지 통째로 먹는 것을 어렵게 만드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새싹채소를 재배할 수 있는 용기와 상기 용기에 삽입되는 새싹채소 재배판 및 용기 하부의 물을 상부로 빨아올릴 수 있는 부직포로 구성된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에 있어서, 새싹채소 재배판의 높이 이하의 위치인 용기측면에 급배수용 홀을 형성시킴으로서,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에서 재배되는 새싹채소의 뿌리가 썩는 것이나 물의 부패를 막아주며, 물 관리를 쉽게 할 수 있는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재배용 키트는,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키트에 있어서, 하부는 밀폐되어 있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부에는 용기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되는 새싹 재배판과, 상기 용기 측면에는 식물 재배판의 높이 이하로 형성되어 있는 급배수용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재배용 키트는, 새싹채소 재배판이 용기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되도록 새싹채소 재배판 하부에 충진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진제는 물의 오염을 막아줄 수 있는 황토볼이나, 숫등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재배용 키트의 새싹 재배판의 상부에는 부직포가 덮히고 부직포의 일부분은 새싹 재배판의 태두리와 용기의 내측면 사이로 삽입되어 새싹채소 재배판 하부의 물에 잠기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재배용 키트의 새싹 재배판에는 1개이상의 심지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심지홀에는 심지가 삽입되어 새싹재배판 하부의 물에 잠기게 되고, 심지가 삽입된 새싹재배판 상부에 부직포 덮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용기로서, 하부는 밀폐되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는 용기(10)의 안쪽으로 평평한 재배판(30)이 형성되고 재배판(30)의 위쪽으로 거즈(20)가 놓여 거즈(20)에 식물이 재배되는데 용기(10)의 일측면에 재배판(30)을 넘지않도록 급배수용홀(40)이 형성되고
재배판(30)의 아래쪽에는 충진재가 채워지고 물이 채워지며 거즈(20)로부터 연장된 잠김부(60)가 물쪽으로 늘어 뜨려질 수 있다.
중진재로는 황토볼(50)이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재배판(30)에는 한 개 이상의 심지홀(70)이 형성되어 잠김부(60)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거즈(20)에는 다수개의 잠김부(60)가 형성되어 잠김부(60)는 다수개의 황토볼(50)에 접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재배용 키트는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새싹 재배판이 형성되고, 새싹 재배판의 높이 이하의 위치로 용기측면에 급 배수 홀이 형성되고, 재배판의 상부에 덮힌 부직포의 일 부분이 새싹 재배판 하부의 물에 잠기는 형상이 되어 부직포에는 항시 표면이 축촉히 젖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부직포에 씨앗을 파종하면, 씨앗이 물에 완전히 잠기는 일이 없어 씨앗의 썩음을 방지 할 수 있고, 부직포의 표면이 새싹 재배판 하부의 물이 완전히 마르기 전까지는 건조되는 일이 없어 씨앗이 적당한 습윤상태에서 자라게 되는 것이다.
또한 부직포는 그 자체로 많은 공극을 갖고 있어 새싹채소 뿌리에 풍부한 산소를 공급해 줄수 있고, 새싹채소 뿌리들은 공극 사이로 얼키고 설키면서 새싹채소의 줄기를 지탱하는바 생육에 전혀 지장이 없게 된다.
또한 부직포에서 재배된 새싹채소의 뿌리는 부직포의 넓은 공극으로 인하여 쉽게 뽑을 수가 있어서, 새싹채소를 잎, 줄기, 발아씨앗, 뿌리를 통째로 먹을수 있어 영양가 높은 새싹채소를 온전히 섭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새싹채소 재배판의 하부에 물이 부족하여 물을 추가로 급수하는 경우, 물을 위에서 조리나 분무기로 부어주게 되면 연약한 새싹들의 줄기가 꺽이거나 상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재배용 키트에서는 급배수 홀이 새싹 재배판 하부에 형성되어 있어서 바가지등에 물을 담고 새싹 재배용 키트를 바가지에 담가 놓으면 자연스럽게 급배수 홀을 통하여 새싹채소 재배용기 하부에 물이 공급되게 되어 새싹의 줄기들이 상하지 않게 된다.
또한 급베수용 홀을 따라 과 유입되어 용기의 수위가 재배판 상부까지 높아졌다 하더라도, 물의 공급을 멈추고 바가지로부터 새싹채소 재배용기를 꺼내어 놓으면 재배판 보다 높아졌던 수위의 물들은 급배수 용 홀을 따라 용기 바깥으로 흘러 나감으로서 용기의 수위는 새싹재배판을 넘지 못하기 때문에 씨앗들이 물에 완전히 잠기어 썩게 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표도면으로, 용기내부에 충진제인 황토볼이 용기 측면에 형성된 급배수용 홀의 높이보다 높게 충진 시킨 후 황토볼의 상부에 새싹채소 재배판을 안착 시킨 후 새싹채소 재배판의 상부에는 부직포가 덮히고 부직포의 일부분은 새싹채소 재배판의 태두리와 용기의 내측면 사이로 삽입되어 새싹채소 재배판 하부의 물에 잠기게 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기존 수경재배 기술 도면으로, 용기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채반이 안착되고 채반의 높이 보다 반드시 배수홀이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용기내부에 충진제인 황토볼이 용기 측면에 형성된 급배수용 홀의 높이보다 높게 충진 시킨 후 황토볼의 상부에, 중앙에 심지홀이 형성되어 있는 새싹채소 재배판을 안착 시킨 후, 상기 심지홀에는 심지가 삽입되어 새싹채소 재배판 하부의 물에 잠기게 되고, 심지가 삽입된 새싹채소 재배판 상부에 부직포 덮혀 있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재배용 키트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에서, 용기(10)의 측면에는 급배수용 홀(40)을 형성하는데 용기의 내부에는 충진재인 황토볼(50)을 용기의 측면에 형성된 급배수용 홀(40)의 높이보다 높거나 같게 황토볼(50)을 충진 한다. 이 위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새싹재소 재배판(30)을 올려놓은후 재배판(30)위쪽에 부직포로 사용되는 순면 거즈(20)를 덮은 후, 새싹채소 재배판(30)의 상부를 덮은 부직포의 한쪽 단에 부직포로부터 연장된 잠김부(60)를 형성하여 잠김부(60)가 새싹채소 재배판의 테두리와 용기의 내측면 사이로 삽입되어 새싹채소 재배판 하부의 물에 잠기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용기(10)를 세팅한후에 부직포가 덮힌 새싹채소 재배판 상부에 새싹 씨앗을 파종하고 새싹채소를 재배하게 된다.
이때 황토볼(50)과 같은 충진재는 그 자체로 물을 흡수하기 때문에 새싹채소 재배판 하부의 수위가 낮아져도 상당기간 물을 흡수하고 있어서 부직포가 용기 바닥까지 내려가지 않더라도 잠김부(60)는 황토볼(50)로 부터 수분을 흡수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급배수용홀(40)이 재배판(30)의 아래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새싹채소의 뿌리나 줄기부분은 물에 잠기지 않게 된다. 물을 아무리 많이 공급하여도 급배수용홀(40)위쪽으로 올라 올 수는 없기 때문에 거즈(20)로 공급되는 수분만을 공급받게 된다.
종래에는 도2에 도시된것과 같이 용기에 재배판(210)을 형성하고 재배판(210)에 새싹채소를 재배하면서 배수홀(200)을 재배판(210)의 위쪽에 두고 물을 주도록 하여 수위(300) 이하는 물에 잠기도록 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새싹채소의 뿌리는 항상 물에 잠기게 되어 뿌리가 썩을 위험이 있으며 그렇다고 수위가 뿌리 밑으로 내려가게 되면 뿌리가 말라서 새싹채소가 쉽게 죽을 위험이 있었다. 또한, 용기가 작으면 물이 쉽게 증발하여 수위가 쉽게 내려가기 때문에 자주 물을 주지 않으면 키우는 새싹채소가 쉽게 말라서 죽을 위험이 있었다.
그러나 본원 고안에 의한 경우에 물을 흡수하는 황토볼(50)을 채운뒤에 물을 붓기 때문에 수위가 내려가더라도 어느 정도까지는 잠김부(60)가 직접 물에 닿아서 재배판(30)으로 물을 공급하게 되며 잠김부(60)보다 더 아래쪽으로 내려간다고 하더라도 잠김부(60)는 황토볼에 닿아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이때에도 수분을 부직포를 통하여 제공하게 된다.
또한 잠김부(60)는 부직포를 연장한 것이기 때문에 그 길이를 길게 한다고 하여도 제작비가 크게 증가하거나 하지 않기 때문에 바닥까지 닿는 길이로 만들거나 황토볼(50)사이를 여러번 가로질러서 (많은 황토볼에 닿게 하여서) 형성할 수 있으며 여러개의 잠김부(6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용기내의 물의 모두 증발한다고 하여도 황토볼(50)로부터 수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꽤 오랜기간을 물 공급이 없어도 버틸수 있게 된다.
도3은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도3의 실시예에는 재배판(30)의 중앙부에 심지홀(70)을 형성하여 심지홀(70)을 통해서 잠김부(60)를 황토볼(50)쪽으로 늘어뜨리게 된다. 이와 같은 심지홀(70)은 여러개 형성하여 다수개의 황토볼(50)로부터 수분을 공급받도록 할 수 있다
도4는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보다 자세한 설치방법을 도시한다. .
도 5 는 넓은 면적의 용기에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을 적용한 것으로서 대량재배를 위하여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새싹채소 재배용 키트에서 재배된 새싹채소의 수확 사진으로 거즈 위쪽에 새싹채소가 재배된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쉽게 분리되어 거즈에 형성된 구멍이큰편이기 때문에 작은힘으로도 뽑으면 뿌리까지 쉽게 뽑히기 때문에 수확도 쉽게 될 수 있게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도시된 새싹 재배용 키트는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용기 20:거즈
30:재배판 40:급배수용홀
50:황토볼 60:잠김부
70:심지홀

Claims (5)

  1.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용기로서, 하부는 밀폐되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는 용기(10)의 안쪽으로 평평한 재배판(30)이 형성되고
    재배판(30)의 위쪽으로 거즈(20)가 놓여 거즈(20)에 식물이 재배되는데
    용기(10)의 일측면에 재배판(30)을 넘지않도록 급배수용홀(40)이 형성되고
    재배판(30)의 아래쪽에는 물이 채워지며, 거즈(20)로부터 연장된 잠김부(60)가 물쪽으로 늘어 뜨려지며
    재배판의 아래쪽에는 충진재가 채워지며
    충진재로는 황토볼(50)이 사용되며
    재배판(30)에는 한 개 이상의 심지홀(70)이 형성되어 잠김부(60)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거즈(20)에는 다수개의 잠김부(60)가 형성되어 잠김부(60)는 다수개의 황토볼(50)에 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용기


KR2020170000827U 2017-02-18 2017-02-18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용기 KR2004880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827U KR200488032Y1 (ko) 2017-02-18 2017-02-18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827U KR200488032Y1 (ko) 2017-02-18 2017-02-18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572U KR20180002572U (ko) 2018-08-28
KR200488032Y1 true KR200488032Y1 (ko) 2018-12-06

Family

ID=63405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827U KR200488032Y1 (ko) 2017-02-18 2017-02-18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0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532B1 (ko) * 2020-09-24 2021-03-0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그린 심지를 이용한 관상용 수경식물 재배 키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087Y1 (ko) 2000-03-10 2001-03-02 이광성 콩나물류 채소재배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734U (ko) * 1994-08-25 1996-03-13 양순옥 모세 현상을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100825823B1 (ko) * 2007-03-21 2008-04-29 남주희 가습기 기능이 구비된 철망화분
KR20160001113U (ko) * 2014-09-26 2016-04-05 주식회사 꿈쟁이 테이크아웃 컵을 이용한 미니 화분 세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087Y1 (ko) 2000-03-10 2001-03-02 이광성 콩나물류 채소재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532B1 (ko) * 2020-09-24 2021-03-0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그린 심지를 이용한 관상용 수경식물 재배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572U (ko) 201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1845A (ko) 채소재배 및 새싹재배 겸용 가정용 다기능 식물재배기
US20210345568A1 (en) Hydroponic System for Bulb Horticulture
JP3727327B1 (ja) もやしの製造方法
KR200488032Y1 (ko)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용기
KR100653373B1 (ko) 원예다농재배용 조립식 화분
KR20220146395A (ko) 텃밭과 수경의 복합재배 및 가습기능을 병행하는 고온소성볼 상토를 이용한 복합재배 키트
KR101821014B1 (ko) 추비 가능한 교체비료팩을 갖는 식물 재배관리기
KR101685568B1 (ko) 스크린컵이 구성된 수경재배용 베드 세트
KR101462350B1 (ko)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위한 재배관리기
KR20130022838A (ko) 채소 재배용 포트 및 이를 이용한 채소 재배 장치
KR20180093528A (ko) 딸기 육묘시 저면관수시스템을 이용한 적정 관수 방법
JP3262724B2 (ja) 栽培装置
JP3673251B2 (ja) 鉢植栽培方法
CN216018340U (zh) 一种家庭用的水上漂浮无土种植结构
KR20220070165A (ko) 새싹채소 재배 키트
KR200146621Y1 (ko) 가정용 콩나물 재배기
JP2018074987A (ja) 水遣り要らずの鉢植え栽培。
KR200480932Y1 (ko) 천연 숯을 이용한 식용새싹 재배장치
KR200362222Y1 (ko) 새싹채소 배양기
KR200273611Y1 (ko) 배지셀을 이용한 셀성목 재배관리기
KR20150001237U (ko) 식용의 숙근 초화류 및 구근류를 위한 재배관리기
KR200170451Y1 (ko) 작물재배용 팩
KR200274996Y1 (ko) 수경재배장치
CN2466889Y (zh) 植物吸水容器
KR20220046742A (ko) 식물 재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