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887Y1 - 액츄에이터 자중 및 와이어 장력에 따른 와이어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액츄에이터 자중 및 와이어 장력에 따른 와이어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887Y1
KR200487887Y1 KR2020170001190U KR20170001190U KR200487887Y1 KR 200487887 Y1 KR200487887 Y1 KR 200487887Y1 KR 2020170001190 U KR2020170001190 U KR 2020170001190U KR 20170001190 U KR20170001190 U KR 20170001190U KR 200487887 Y1 KR200487887 Y1 KR 2004878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ntrol unit
tension
power contro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1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746U (ko
Inventor
라점민
이흥진
Original Assignee
이흥진
주식회사 에이스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진, 주식회사 에이스원테크 filed Critical 이흥진
Priority to KR20201700011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887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7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7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8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8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2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bending fo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조물 강도 실험에 있어서 액츄에이터를 와이어를 통해 지탱하기 위한 액츄에이터 자중 및 와이어 장력에 따른 와이어 제어 장치를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지주 구조물 강도 실험에 있어서 고정된 실험체와 상기 실험체의 마주보는 방향에 고정 설치된 가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실험체에 가력하여 하중값을 측정하는 동력 제어 유닛; 상기 가벽의 일측에서 상기 동력 제어 유닛의 상부에 평행방향으로 연결되고, 와이어를 통해 상기 동력 제어 유닛을 예정된 위치에 고정 시켜 주기 위한 베이스 프레임 유닛;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에 작용되는 장력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자중 및 와이어 장력에 따른 와이어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츄에이터 자중 및 와이어 장력에 따른 와이어 제어 장치{WIR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CTUATOR WEIGHT AND WIRE TENSION}
본 고안은 액츄에이터 자중 및 와이어 장력에 따른 와이어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물 강도 실험에 있어서 액츄에이터를 와이어를 통해 지탱하기 위한 액츄에이터 자중 및 와이어 장력에 따른 와이어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자재의 강도는 건축물 구조 설계 시 중요한 요인으로 활용되는데 이러한 자재의 강도를 측정하는 실험에는 여려 변수로 인해 자재 강도 측정값의 오차가 생길 수 있다.
철근 및 콘크리트 등의 파괴 및 휨 실험을 할 때, 일반적으로 액츄에이터를 통해 고정된 실험체의 상부를 가력하여 파괴 및 휨 실험을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철근 및 콘크리트 등에 가력하는 액츄에이터는 그 자중만 수 백Kg 이상으로 액츄에이터의 몸체부분의 자중은 실험체를 가력하는 부분에 하중을 주어 가력하는 진행 방향에 영향을 주게 된다. 즉, 액츄에이터는 실험체에 일정한 힘으로 가력을 하였어도 실제 실험체가 받는 힘에는 액츄에이터의 자중에 의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위와 같은 구조물 강도 실험 중 액츄에이터의 자중이 실험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와이어, 체인 등으로 벽면과 결합하여 액츄에이터의 몸체를 지탱하도록 한다.
그러나, 와이어 및 체인은 액츄에이터가 실험체에 가력하는 도중 실험체는 휨 또는 파괴됨에 따라 액츄에이터의 각도가 아래로 기울어질 경우, 액츄에이터에 일정한 길이로 결합된 와이어 및 체인은 액츄에이터의 자중을 견디지 못하고 파괴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의 각도가 위로 기울어질 경우에는 와이어 및 체인이 파괴되지는 않지만 와이어 및 체인이 위로 기울어진 액츄에이터의 자중을 지탱하지 않으므로 액츄에이터의 자중은 실험체를 가력하는 부분에 전달되어 실험에 오차가 생기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액츄에이터의 자중을 유지하기 위한 와이어 제어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9359호 및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2775호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9359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2775호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물 강도 실험에 있어서 실험체의 휨 정도에 따라 변경되는 액츄에이터의 자중을 가변되는 와이어를 통해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액츄에이터 자중 및 와이어 장력에 따른 와이어 제어 장치는 지주 구조물 강도 실험에 있어서 고정된 실험체와 상기 실험체의 마주보는 방향에 고정 설치된 가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실험체에 가력하여 하중값을 측정하는 동력 제어 유닛; 상기 가벽의 일측에서 상기 동력 제어 유닛의 상부에 평행방향으로 연결되고, 와이어를 통해 상기 동력 제어 유닛을 예정된 위치에서 지탱하기 위한 베이스 프레임 유닛;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에 작용되는 장력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제어 유닛은 일측에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편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는 결합핀을 삽입하여 상기 가벽과 고정 결합되는 몸체부; 및 타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실험체에 가력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유닛은 양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홈 형태의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 측정부 및 상기 장력 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와이어의 장력값을 기초로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가변하도록 상기 리프트부를 제어하는 리프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제어부는 상기 동력 제어 유닛이 상기 실험체와 상기 가벽과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 초기 상태의 장력값을 와이어의 길이를 가변하는 기준 장력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기준 장력값을 기초로 변동된 장력값을 비교하여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가변하며, 상기 장력값을 기준 장력값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액츄에이터 자중 및 와이어 장력에 따른 와이어 제어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액츄에이터의 각도 변화에 따라 와이어 길이를 가변하여 액츄에이터의 자중이 실험체에 가력하는 돌출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액츄에이터의 각도 변화에 따라 와이어를 길이를 가변하여 와이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액츄에이터의 자중이 실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보다 정확한 실험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액츄에이터 유지 장치가 설치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액츄에이터 자중 및 와이어 장력에 따른 와이어 제어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액츄에이터 자중 및 와이어 장력에 따른 와이어 제어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액츄에이터 자중 및 와이어 장력에 따른 와이어 제어 장치의 컨트롤 유닛의 구성상태를 보인 구성도.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자중 및 와이어 장력에 따른 와이어 제어 장치에 대하여 도2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액츄에이터 자중 및 와이어 장력에 따른 와이어 제어 장치는 구조물 강도 실험에 있어서 고정된 실험체(e)와 실험체(e)의 마주보는 방향에 고정 설치된 가벽(b) 사이에 배치되고, 실험체(e)에 가력하여 하중값을 측정하는 동력 제어 유닛(100)과; 가벽(b)의 일측에서 동력 제어 유닛(100)의 상부에 평행방향으로 연결되고, 와이어(w)를 통해 동력 제어 유닛(100)을 예정된 위치에서 지탱하기 위한 베이스 프레임 유닛(200)과; 베이스 프레임 유닛(200)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w)와 연결되고, 와이어(w)에 작용되는 장력에 따라 와이어(w)의 길이를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 유닛(300)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동력 제어 유닛(100)은 구조물 강도 실험에서 실험체(e)와 가벽(b) 사이에서 지면과 평행으로 배치되어 실험체(e)를 가력하는 액츄에이터로 구성된다.
동력 제어 유닛(100)은 몸체부(120) 및 실험체(e)를 가력하기 위한 돌출부(140)를 포함하고, 실험체(e)의 휨 정도 또는 파괴 등의 피로도 성능을 평가하고 계측할 수 있다.
여기서, 실험체(e)는 지면에 고정된 고정판에 의해 실험체(e)의 하단이 결합되어 고정되고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다. 그리고, 가벽(b)은 실험체(e)와 마주보는 방향에 설치되고, 다수의 결합핀(p)이 삽입될 수 있는 결합공(h)이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벽(b)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공(h)에 의해 가벽(b)에는 동력 제어 유닛(100) 외에 여러 장치들이 결합핀(p)으로 가벽(b)의 일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동력 제어 유닛(100)은 돌출부(140)가 몸체부(120)의 연장선상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실험체(e)를 가력함으로써 측정값의 오차가 최소화될 수 있다. 그러나, 몸체부(120)의 자중은 일반적으로 500kg 이상으로 몸체부(120)의 자중을 지탱하는 장치가 없을 경우, 몸체부(120)의 자중으로 인해 돌출부(140)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질 수 있다. 즉, 몸체부(120) 일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40)는 몸체부(120)와 접촉되는 부분에 하중을 받게 되고, 돌출부(140)의 돌출방향은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서서히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동력 제어 유닛(100)은 돌출부(140)에 몸체부(120)의 하중이 덜 가해지도록 하기 위해 몸체부(120)의 일측에 와이어(w) 또는 체인 등을 연결하여 가벽(b)과 결합하게 된다. 그러나, 실험체(e)의 휨 정도를 측정하는 실험에서는 돌출부(140)가 실험체(e)를 가력하여 실험체(e)가 휘어지게 되면서 동력 제어 유닛(100)의 기울기가 변동될 수 있다.
동력 제어 유닛(100)은 실험체(e)를 당기는 실험 때와 미는 실험일 때 기울어지는 방향이 달라질 수 있는데, 동력 제어 유닛(100) 아래로 기울어질 경우, 가벽(b)과 몸체부(120)를 연결하고 있는 와이어(w) 또는 체인은 동력 제어 유닛(100)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동력 제어 유닛(100)은 실험 전에는 와이어(w) 또는 체인으로 몸체부(120)를 고정하고, 실험이 시작되면 와이어(w) 또는 체인을 느슨하게 풀어 파손을 방지한다.
몸체부(120)의 일측면에는 내부에 형성된 실린더에 의해 돌출되는 돌출부(140)를 포함하고, 타측면에는 가벽(b)과 결합할 수 있는 결합편(104)을 포함한다.
결합편(104)은 결합핀(p)이 관통되는 결합공(h)이 형성되고, 결합핀(h)을 통해 가벽(b)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120)는 결합편(104)과 상/하로 회동 가능한 회동부재(102)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120)는 일측 상부에 후크 등이 걸릴 수 있는 내부에 통공이 형성된 와이어 연결부재(12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20)의 와이어 연결부재(122)는 와이어(w) 및 체인 등이 연결될 수 있으며, 동력 제어 유닛(100)을 지탱하기 위한 용도로 쓰일 수 있다.
위에서 와이어 연결부재(122)는 몸체부(12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고 설명하였지만 와이어 연결부재(122)의 위치는 어느 한곳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와이어 연결부재(122)는 몸체부(120)의 상부에 다수개로 형성되고, 다수의 와이어(w)가 각각 연결되어 몸체부(120)를 지탱할 수 있다.
돌출부(140)는 몸체부(120) 내부의 실린더에서 몸체부(120) 일측의 연장선상으로 돌출되고 실험체(e)의 상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실험체(e)에 가력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140)는 변위제어방식으로 실험체(e)를 재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140)는 돌출부(140)의 끝단에 형성된 결합편(104)을 통해 실험체(e)의 상부에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140)는 결합편(104)과 회동 가능한 회동부재(102)를 포함하고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동력 제어 유닛(100)은 돌출부(140)가 실험체(e)에 서서히 하중을 가하고 실험체(e)가 휘어짐에 따라, 몸체부(120) 및 몸체부(120)의 연장선상으로 돌출된 돌출부(140)는 실험체(e)의 휨 정도에 대응하도록 회동부재(102)에 의해 기울어 질 수 있다.
한편, 베이스 프레임 유닛(200)은 장방향의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고, 베이스 프레임 유닛(200)에 연결된 와이어(w)를 동력 제어 유닛(100)의 몸체부(120) 일측에 연결하여 동력 제어 유닛(100)을 예정된 위치에서 지탱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 유닛(200)은 일측에 가벽(b)과 결합 가능한 결합편(204)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 유닛(200)의 결합편(204)은 위에서 설명한 가벽(b)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공(h)과 결합핀(p)에 의해서 체결됨에 따라 가벽(b)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 프레임 유닛(200)은 동력 제어 유닛(100)의 상부에서 동력 제어 유닛(100)과 평행한 방향으로 가벽(b)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 유닛(200)은 양 측면에 홈 형태의 슬롯이 베이스 프레임 유닛(2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슬롯에는 슬롯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이동부재(202)가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 유닛(300)은 동력 제어 유닛(100)의 몸체부(120)와 연결된 와이어(w)의 타단이 연결되고, 연결된 와이어(w)를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리기 위한 리프트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리프트부(320)는 전동 방식의 윈치(winch)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리프트부(320)의 상부는 베이스 프레임 유닛(200)의 양 측면에 설치된 이동부재(202)의 하부와 결합되고, 이동부재(202)를 통해 슬롯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력 제어 유닛(100)의 종류에 따라 동력 제어 유닛(100)의 몸체부(120) 길이가 달라질 경우, 리프트부(320)는 베이스 프레임 유닛(200)에 형성된 슬롯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고, 동력 제어 유닛(100)의 몸체부(120)에 연결된 와이어(w)를 수직 방향에서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릴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베이스 프레임 유닛(200)은 다수의 리프트부(320)가 연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이동부재(202)가 슬롯에 안착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2개의 리프트부(320)가 이동부재(202)를 통해 베이스 프레임 유닛(200)에 연결된 경우에 2개의 리프트부(320)는 슬롯을 따라 이동하고, 실험체(e)에 인접한 몸체부(120)의 일측과 가벽(b)과 인접한 몸체부(120)의 타측에서 각각에 연결된 와이어(w)를 수직 방향으로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릴 수 있다.
리프트부(320)는 동력 제어 유닛(100)과 연결된 와이어(w)의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 측정부(322)를 포함하고, 측정된 와이어(w)의 장력에 따라 리프트부(320)를 작동시켜 와이어(w)의 길이를 가변하는 리프트 제어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장력 측정부(322)는 동력 제어 유닛(100)의 몸체에 연결된 와이어(w)의 장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장력은 리프트 제어부(324)로 제공될 수 있다.
리프트 제어부(324)는 동력 제어 유닛(100)의 몸체부(120)에 연결된 와이어(w)의 초기 장력값을 기준 장력값으로 설정하고, 기준 장력값보다 장력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면 이에 대응하도록 리프트부(320)를 작동시켜 와이어(w)를 풀거나 감을 수 있다.
즉, 리프트 제어부(324)는 장력 측정부(322)에서 측정한 와이어(w)의 장력값을 제공 받고, 기 설정된 기준 장력값을 기초로 리프트부(320)를 작동시켜 와이어(w)의 길이를 가변함으로써 기 설정된 와이어(w)의 장력값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예로, 구조물 강도 실험에서 동력 제어 유닛(100)이 실험체(e)에 가력하는 실험을 할 경우, 리프트 제어부(324)는 동력 제어 유닛(100)이 실험체(e)에 가력하기 전 실험체(e)와 가벽(b)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몸체부(120)의 일측에 연결된 와이어(w)의 장력값을 와이어(w) 가변 기준 장력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동력 제어 유닛(100)은 구조물의 휨 실험을 진행하기 위해 실험체(e)의 상부에 결합된 돌출부(140)를 통해 실험체(e)를 뒤로 밀거나 앞으로 당기도록 가력할 수 있다. 동력 제어 유닛(100)은 실험체(e)가 앞 또는 뒤로 휘어 짐에 따라 실험체(e)의 상부에 결합된 돌출부(140)에 의해 아래 또는 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장력 측정부(322)는 연속해서 와이어(w)의 장력값을 측정하여 리프트 제어부(324)로 제공하고, 동력 제어 유닛(100)이 위로 기울어 지면서 와이어(w)의 장력값이 기준 장력값보다 감소하면, 리프트 제어부(324)는 리프트부(320)를 통해 와이어(w)를 감아 올림으로써 와이어(w)의 장력값을 기준 장력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리프트부(320)는 와이어(w)의 길이를 가변함으로써 몸체부(120)의 자중이 돌출부(140)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몸체부(120)를 지탱할 수 있다.
반대로, 동력 제어 유닛(100)은 실험체(e)를 당기는 실험에서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고, 이때, 와이어(w)의 장력값은 기준 장력값 보다 증가할 수 있다. 리프트 제어부(324)는 리프트부(320)를 통해 와이어(w)를 풀어 내림으로써 와이어(w)의 장력값을 기준 장력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 유닛(300)은 와이어(w)를 가변하여 동일한 장력값으로 동력 제어 유닛(100)을 지탱함으로써 몸체부(120)와 접촉하는 돌출부(140)에 자중의 영향을 주지 않아 돌출부(140)에서 실험체(e)로 가력하는 방향 및 몸체부(120)의 자중에 따른 측정값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고안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베이스 프레임
120: 몸체부
140: 돌출부
200: 베이스 프레임
202: 이동부재
320: 리프트부

Claims (6)

  1. 지주 구조물 강도 실험에 있어서 고정된 실험체와 상기 실험체의 마주보는 방향에 고정 설치된 가벽 사이에 양단이 각각 상기 실험체 및 상기 가벽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실험체에 가력하여 하중값을 측정하는 동력 제어 유닛;
    상기 가벽의 일측에서 상기 동력 제어 유닛의 상부에 평행방향으로 연결되고, 와이어를 통해 상기 동력 제어 유닛을 예정된 위치에서 지탱하기 위한 베이스 프레임 유닛; 및
    상기 와이어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 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프트부를 통해 상기 와이어에 작용되는 장력을 기초로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가변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 측정부; 및
    상기 동력 제어 유닛이 상기 실험체와 상기 가벽과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 초기 상태의 장력값을 기준 장력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동력 제어 유닛이 상기 실험체를 가력함으로써 상기 동력 제어 유닛의 기울어짐에 따라 변화된 상기 와이어의 장력값을 상기 기준 장력값이 유지되도록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제어하는 리프트 제어부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자중 및 와이어 장력에 따른 와이어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제어 유닛은
    일측에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편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는 결합핀을 삽입하여 상기 가벽과 고정 결합되는 몸체부; 및
    타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실험체에 가력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자중 및 와이어 장력에 따른 와이어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유닛은
    양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홈 형태의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을 따라 상기 리프트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자중 및 와이어 장력에 따른 와이어 제어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70001190U 2017-03-14 2017-03-14 액츄에이터 자중 및 와이어 장력에 따른 와이어 제어 장치 KR2004878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190U KR200487887Y1 (ko) 2017-03-14 2017-03-14 액츄에이터 자중 및 와이어 장력에 따른 와이어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190U KR200487887Y1 (ko) 2017-03-14 2017-03-14 액츄에이터 자중 및 와이어 장력에 따른 와이어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746U KR20180002746U (ko) 2018-09-27
KR200487887Y1 true KR200487887Y1 (ko) 2018-11-16

Family

ID=63708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190U KR200487887Y1 (ko) 2017-03-14 2017-03-14 액츄에이터 자중 및 와이어 장력에 따른 와이어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88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000B1 (ko) * 2020-07-21 2021-01-26 대한민국 구조물의 수직하중 및 수평변위에 따른 수평하중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수직하중 및 수평변위에 따른 수평하중 평가 방법
KR102508559B1 (ko) * 2022-11-14 2023-03-10 (주)엠테스 부유식 해상풍력 다이나믹케이블 파워코어 인장-굽힘 회전 피로 시험 구조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2438B2 (ja) * 1990-10-01 1999-06-28 大和製衡株式会社 校正装置を備える線状体の張力測定装置
KR101468385B1 (ko) 2014-06-09 2014-12-0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조물의 내진성능 실험장치
KR101556244B1 (ko) 2015-04-07 2015-10-0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조물 성능 실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6914U (ja) * 1983-08-23 1985-03-14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搬送装置における荷重調整装置
JP3114358B2 (ja) * 1992-06-04 2000-12-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構造物の振動試験装置及び方法
KR20120053125A (ko) * 2010-11-17 2012-05-2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표점거리 조절이 자유로운 미세 변위 측정기
KR101200250B1 (ko) * 2011-03-25 2012-11-09 한국전기연구원 액츄에이터 자중에 대한 하중 보상이 가능한 피로시험기
KR20150002775U (ko) 2014-01-06 2015-07-1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수평조절 인양장치
KR101808666B1 (ko) 2015-04-30 2018-01-18 쌍용건설 주식회사 구조물 인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2438B2 (ja) * 1990-10-01 1999-06-28 大和製衡株式会社 校正装置を備える線状体の張力測定装置
KR101468385B1 (ko) 2014-06-09 2014-12-0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조물의 내진성능 실험장치
KR101556244B1 (ko) 2015-04-07 2015-10-0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조물 성능 실험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도현민 외, 로봇 설치면 자세 변화에 대응 가능한 자중 보상 기반 안전 매니퓰레이터, 한국생산제조학회지제25권제6호, 한국생산제조학회, 2016.12. pp511-516
유승남 외, 와이어 구동방식 원격조작기용 그리퍼의 반자동 파지 및 해제 동작을 위한 스프링 강성 분석, 대한기계학회논문집A권제36권제11호, 대한기계학회, 2011.11, pp1405-14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746U (ko) 2018-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0033B1 (ko) 가설대 승강장치
KR200487887Y1 (ko) 액츄에이터 자중 및 와이어 장력에 따른 와이어 제어 장치
US7591190B2 (en) Test stand
US7811040B2 (en) Safety device applied to appliances for lifting boards onto ceilings and walls
JP7064962B2 (ja) ガイドレール据付用作業台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CN102677879A (zh) 建造面板定位及支撑系统和工具
KR20140028835A (ko) 신축길이 조절형 잭을 이용한 빔의 긴장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빔의 긴장 보강방법
WO2008126999A1 (en) Vertical transferring device for heavy load
JP7409930B2 (ja) レール位置決め装置及びレール位置決め方法
PL174502B1 (pl) Urządzenie do ustawiania pojazdu i sposób ustawiania pojazdu
JP3865742B2 (ja) 下弦ケーブルによる既設橋梁の撓み回復補強工法
KR200393396Y1 (ko)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의 안내 걸림 슈
KR20110046622A (ko) 가설대 조임 장치 및 방법
EP1786717A1 (en) Manually operated jacking device
KR101613425B1 (ko) 프로파일 걸림 장치
JP2009270398A (ja) ハンドジャッキ
JP4762096B2 (ja) 門型クレーン
JP4474261B2 (ja) エレベーター用調速機のガバナロープ引上げ装置
KR100911827B1 (ko) 건축용 판넬 고정장치
EP1336702A2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a cladding panel
JP6246707B2 (ja) ブーム取付装置およびクレーン
JP4795865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用吊上具
KR102629882B1 (ko) 조적수평장치
JP4722891B2 (ja) 天井作業用梯子
KR101306590B1 (ko) 프로파일 안내 걸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