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685Y1 - 사용면에 틈새가 없는 놀이 매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사용면에 틈새가 없는 놀이 매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685Y1
KR200487685Y1 KR2020180003658U KR20180003658U KR200487685Y1 KR 200487685 Y1 KR200487685 Y1 KR 200487685Y1 KR 2020180003658 U KR2020180003658 U KR 2020180003658U KR 20180003658 U KR20180003658 U KR 20180003658U KR 200487685 Y1 KR200487685 Y1 KR 2004876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auxiliary
cover
mat
matt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6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우
이재혁
허찬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림하우스프렌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림하우스프렌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림하우스프렌즈
Priority to KR20201800036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6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6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6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1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everal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to be put together in one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1Mattresses
    • A47D15/003Mattresses foldable, e.g. baby m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조 매트를 갖는 놀이 매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보조 매트를 갖는 놀이 매트 어셈블리는, 서로 연결된 복수의 메인 매트, 상기 메인 매트들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메인 매트 보다 더 작은 폭을 갖는 보조 매트, 상기 메인 매트들이 서로 연결된 복수의 제1 연결부, 및 상기 일측 메인 매트와 상기 보조 매트가 연결된 복수의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메인 매트들과 상기 보조 매트를 펼쳤을 때를 기준으로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 매트는 메인 매트리스와 상기 메인 매트리스를 감싸는 메인 커버와 상기 메인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커버를 개폐하는 메인 지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매트는 보조 매트리스와 상기 보조 매트리스를 감싸는 보조 커버와 상기 보조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 커버를 개폐하는 보조 지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부에는 상기 메인 커버, 상기 보조 커버, 상기 메인 지퍼부재, 상기 보조 지퍼부재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이들을 함께 고정하는 제1 상부 봉재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사용면에 틈새가 없는 놀이 매트 어셈블리{PLAYING MAT ASSEMBLY NOT HAVING CREVICE IN A USING SIDE}
본 고안은 놀이 매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는 방식이 개선된 보조 매트를 가지면서, 사용면에 틈새가 없어 그 틈새로 이물질이 침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놀이 매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놀이를 위한 매트는 주로 층간소음이나 영아, 유아, 어린이 등의 부상을 방지하도록 단순히 두텁게 평판 형태로 설치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단순한 구조를 개선하고 다용도로 사용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다수의 기능성 매트들이 제안되었으나, 제안된 기술들은 대부분 접이식 매트를 통해 침대 또는 쇼파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활용 기술들은 사용자의 안정성보다는 단순히 접었다 ?다를 반복하도록 함으로써, 용도적 전환 측면을 강조한 나머지 사용자의 안전 그리고 본래의 기능인 층간소음이나 부상 방지의 기능에 따른 효과가 반감되는 단점이 있어 왔다.
또한 접이식 놀이 매트의 경우, 접히는 부분에 이물질이 삽입될 수 있으며, 접히는 부분에 유아의 발이 걸려서 넘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02540호
본 고안의 목적은 안전성이 향상되고, 청소가 용이한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작이 용이하고 놀이 매트 내부에 설치된 매트리스의 상단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보조 매트를 갖는 놀이 매트 어셈블리는,
서로 연결된 복수의 메인 매트, 상기 메인 매트들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메인 매트 보다 더 작은 폭을 갖는 보조 매트, 상기 메인 매트들이 서로 연결된 복수의 제1 연결부, 상기 일측 메인 매트와 상기 보조 매트가 연결된 복수의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메인 매트들과 상기 보조 매트를 펼쳤을 때를 기준으로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 매트는 메인 매트리스와 상기 메인 매트리스를 감싸는 메인 커버와 상기 메인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커버를 개폐하는 메인 지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매트는 보조 매트리스와 상기 보조 매트리스를 감싸는 보조 커버와 상기 보조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 커버를 개폐하는 보조 지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부에는 상기 메인 커버, 상기 보조 커버, 상기 메인 지퍼부재, 상기 보조 지퍼부재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이들을 함께 고정하는 제1 상부 봉재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매트리스의 측면에는 상기 메인 커버, 상기 보조 커버, 상기 메인 지퍼부재, 상기 보조 지퍼부재에 의하여 눌려져 제1 메인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상부 봉재부에 의하여 상기 메인 커버, 상기 보조 커버, 상기 메인 지퍼부재, 상기 보조 지퍼부재의 잉여 부분은 상기 메인 매트리스와 메인 지퍼부재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메인 커버, 상기 보조 커버, 상기 메인 지퍼부재, 상기 보조 지퍼부재의 하단은 상기 제1 메인 단차의 상면과 맞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메인 단차의 높이는 메인 매트리스 높이의 1/2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매트의 측면에는 상기 메인 매트의 하면에서 이어진 메인 커버가 접혀 중첩되고, 중첩된 메인 커버와 메인 지퍼부재의 하부를 함께 고정하는 제1 하부 봉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 하부 봉재부의 상부에는 한겹의 상기 메인 커버와 상기 메인 지퍼부재를 함께 고정하는 제2 하부 봉재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 하부 봉재부는 중첩된 메인 커버 중 내측에 위치하는 메인 커버와 메인 지퍼부재를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매트의 측면에는 2겹의 상기 메인 커버와 상기 메인 지퍼부재에 의하여 상기 메인 매트리스가 눌려져 제2 메인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놀이매트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상기 제2 연결부가 형성된 면이 사용면을 구성하고, 놀이매트 어셈블리는 상기 사용면를 기준으로만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놀이 매트 어셈블리는 4개의 메인 매트와 하나의 보조 매트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매트는 상기 놀이 매트 어셈블리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는 서로 연결된 복수의 메인 매트, 상기 메인 매트들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메인 매트 보다 더 작은 폭을 갖는 보조 매트, 상기 메인 매트들이 서로 연결된 복수의 제1 연결부, 및 상기 일측 메인 매트와 상기 보조 매트가 연결된 복수의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메인 매트들과 상기 보조 매트를 펼쳤을 때를 기준으로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 매트는 메인 매트리스와 상기 메인 매트리스를 감싸는 메인 커버와 상기 메인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커버를 개폐하는 메인 지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매트는 보조 매트리스와 상기 보조 매트리스를 감싸는 보조 커버와 상기 보조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 커버를 개폐하는 보조 지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매트리스의 측면에는 제2 연결부에서 상기 메인 커버와 상기 메인 지퍼부재 사이로 삽입된 잉여부분에 의하여 눌려져 제1 메인 단차가 형성되되, 상기 제1 메인 단차의 높이는 메인 매트리스 높이의 1/2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는 보조 매트를 구비하므로 매트들을 접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지만, 상면에는 틈새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소가 용이하다.
또한,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삼각형으로 접어서 놀이기구로 활용할 수 있으며, 연결 커버를 이용하여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제1 상부 봉재부가 형성되면 메인 커버, 보조 커버, 메인 지퍼부재, 보조 지퍼부재를 함께 고정하여 지지할 수 있으며, 잉여 부분이 외측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또한, 메인 매트리스의 측면에 단차가 형성되고, 단차가 잉여부분에 의하여 눌려지면 메인 매트리스의 측면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펼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메인 매트에 형성된 지퍼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가 삼각 터널 형태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되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매트 어셈블리의 커버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의 제2 연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의 제3 연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펼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매트 어셈블리(101)는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메인 매트(11)와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메인 매트(11)보다 작은 폭을 갖는 보조 매트(12), 메인 매트들(11)이 연결된 제1 연결부(21), 메인 매트(11)와 보조 매트(12)가 연결된 제2 연결부(23)를 포함한다.
도 1에는 매트 어셈블리(101)가 4개의 메인 매트(11)와 하나의 보조 매트(1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메인 매트(11)는 직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쿠션 매트리스와 쿠션 매트리스를 감싸는 커버, 및 지퍼부재(25)를 포함한다. 쿠션 매트리스(14)는 메모리 폼, 라텍스, 스펀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16)는 합성수지재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쿠션 매트리스(14)를 전체적으로 감싼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퍼부재(25)는 메인 매트(11)의 측면에 배치되는데, 메인 매트들(11)이 서로 마주하는 측면에 지퍼부재(25)가 설치된다. 지퍼부재(25)는 서로 맞물리는 이빨부분과 이빨부분(251)을 따라 이동하는 지퍼 슬라이더(252), 및 지퍼 슬라이더(25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지퍼 커버(253)를 포함할 수 있다. 지퍼 커버(253)는 지퍼부재(25)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설치되며 지퍼 슬라이더(252)를 덮는다. 이에 따라 지퍼 슬라이더(252)가 노출되어 사용자에게 상처를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조 매트(12)는 일방향으로 길게 이어진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쿠션 매트리스와 쿠션 매트리스를 감싸는 커버, 및 지퍼부재(25)를 포함한다. 쿠션 매트리스(14)는 메모리 폼, 라텍스, 스펀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16)는 합성수지재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쿠션 매트리스(14)를 전체적으로 감싼다. 지퍼부재(25)는 보조 매트(12)의 측면에 배치되는데, 보조 매트(12)와 메인 매트(11)가 마주하는 측면에 지퍼부재(25)가 설치된다.
2개의 메인 매트(11)가 이어지며, 이어진 메인 매트(11) 사이에 보조 매트(12)가 위치한다. 이에 따라 매트 어셈블리(101)에는 2개의 제1 연결부(21)와 제2 연결부(22)가 생성된다. 보조 매트(12)는 매트 어셈블리(101)의 중앙에 위치한다.
제1 연결부(21)와 제2 연결부(22)는 메인 매트(11)와 보조 매트(12)의 측면 상단에 위치한다. 제1 연결부(21)는 메인 매트들(11)이 연결된 부분으로서 제1 연결부(21)의 아래는 메인 매트들이 이격된 부분이 위치한다. 제2 연결부(22)는 메인 매트(11)와 보조 매트(12)가 연결된 부분으로서 제2 연결부(22)의 아래에는 메인 매트(11)와 보조 매트(12)가 이격된 부분이 위치한다.
제1 연결부(21)와 제2 연결부(22)는 매트 어셈블리(101)를 펼쳤을 때를 기준으로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매트 어셈블리(101)는 제1 연결부(21) 또는 제2 연결부(22)가 형성된 면이 사용자가 접촉하는 사용면을 구성하는데, 놀이매트 어셈블리는 접는 경우에 이러한 사용면를 기준으로만 절곡되고, 그 반대쪽 비 사용면에서는 절곡이 일어나지 않게 되므로 틈새가 노출되지 않아 사용면을 한번에 매우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21)와 제2 연결부(22)는 매트 어셈블리(101)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보조 매트(12)의 폭은 메인 매트(11)의 폭의 1/30 내지 1/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보조 매트(12)의 폭은 2개의 메인 매트(11)를 적층한 높이와 동일한 값을 갖는다.
매트 어셈블리(101)를 펼쳤을 때, 제일 외측에 위치하는 메인 매트(11)는 매트 어셈블리(101)를 접었을 때,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 어셈블리(101)를 접었을 때, 제일 외측에 위치하는 2개의 메인 매트(11)의 측면이 보조 매트(12)의 상면과 맞닿게 된다.
본 제1 실시예와 같이 제1 연결부(21)와 제2 연결부(22)가 매트 어셈블리의 상면에 위치하면 매트들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유아가 긁히는 등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매트들이 연결된 부분으로 먼지, 오물 등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청소가 용이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101)는 접어서 터널을 형성할 수 있다. 터널을 형성하면 놀이 매트 어셈블리(101)를 아동들이 놀이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매트 어셈블리(102)는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메인 매트(31)와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메인 매트(31)보다 작은 폭을 갖는 보조 매트(32), 메인 매트들(31)과 보조 매트(32)를 연결하는 연결 커버(40), 메인 매트들(31)이 연결된 제1 연결부(41), 메인 매트(31)와 보조 매트(32)가 연결된 제2 연결부(42)를 포함한다.
메인 매트(31)와 보조 매트(32)는 일체로 이루어진 판으로 이루어지고, 연결 커버(40)는 메인 매트(31)와 보조 매트(32)에 부착되는 필름, 직물, 합성 피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 매트(31)와 보조 매트(32)는 메모리 폼, 라텍스, 스펀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PU 외장재의 내부에 폼을 넣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커버(40)는 메인 매트(31)와 보조 매트(32)에 부착되어 메인 매트(31)와 보조 매트(32)를 연결하며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커버(40)는 매트 어셈블리(102)의 상면에 위치하며 이에 따라 제1 연결부(41)와 제2 연결부(42)도 매트 어셈블리(102)의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매트(32)가 설치되므로 하나의 연결 커버(40)만으로 메인 매트(31)와 보조 매트(32)를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과 같은 방식으로 놀이 매트 어셈블리(102)를 접어서 이용하거나 보관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커버(40)와 매트들을 접하는 것만으로 보다 용이하게 매트 어셈블리(101)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편,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매트 어셈블리의 커버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매트 어셈블리(103)는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메인 매트(51)와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메인 매트(51)보다 작은 폭을 갖는 보조 매트(52), 메인 매트들(51)이 연결된 제1 연결부, 일측 메인 매트(51)와 보조 매트(52)가 연결된 제2 연결부(62), 타측 메인 매트(51)와 보조 매트(52)가 연결된 제3 연결부(63)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측 메인 매트(51)는 보조 매트(52)와 마주하는 측면에 메인 지퍼부재(513)가 위치하는 메인 매트(51)이고 타측 메인 매트(51)는 보조 매트(52)와 마주하는 측면에 메인 지퍼부재(513)가 존재하지 않는 메인 매트이다.
메인 매트(51)는 직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메인 매트리스(511)와 메인 매트리스(511)를 감싸는 메인 커버(512), 및 메인 커버(512)에 결합되어 메인 커버를 개폐하는 메인 지퍼부재(513)를 포함한다. 메인 지퍼부재(513)는 메인 매트(51)의 측면을 따라 이어져 배치되는데, 메인 매트(51)와 보조 매트(52)가 마주하는 측면에 메인 지퍼부재(513)가 설치된다.
보조 매트(52)는 일방향으로 길게 이어진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보조 매트리스(521)와 보조 매트리스(521)를 감싸는 보조 커버(522), 및 보조 커버(522)에 결합되어 보조 커버를 개폐하는 보조 지퍼부재(523)를 포함한다. 보조 지퍼부재(523)는 보조 매트(52)의 측면을 따라 이어져 배치되는데, 보조 매트(52)와 메인 매트(51)가 마주하는 측면에 보조 지퍼부재(523)가 설치된다.
2개의 메인 매트(51)가 이어지며, 이어진 2개의 메인 매트들(51) 사이에 보조 매트(52)가 위치한다. 이에 따라 매트 어셈블리(103)에는 2개의 제1 연결부와 하나씩의 제2 연결부(62)와 제3 연결부(63)가 생성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의 제2 연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연결부(62)는 일측 메인 매트(51)와 보조 매트(52)가 연결된 부분으로서 제2 연결부(62)에는 제1 상부 봉재부(53)가 형성된다. 제2 연결부(62)에서 일측 메인 매트(51)의 측면에는 메인 지퍼부재(513)가 위치하며, 보조 매트(52)의 측면에는 보조 지퍼부재(523)가 위치한다. 메인 지퍼부재(513)와 보조 지퍼부재(523)는 서로 맞물리는 이빨부분, 이동 가능한 지퍼 슬라이더, 지퍼 커버, 및 이빨부분을 지지하는 직물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지퍼부재(513)와 보조 지퍼부재(523)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1 상부 봉재부(53)는 상면에서 이어진 메인 커버(512), 보조 커버(522), 메인 지퍼부재(513), 보조 지퍼부재(523)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이들을 함께 고정한다. 제1 상부 봉재부(53)에 의하여 메인 커버(512), 보조 커버(522), 메인 지퍼부재(513), 보조 지퍼부재(523)의 잉여 부분은 메인 매트리스(511)와 메인 지퍼부재(513) 사이에 삽입된다. 여기서 잉여 부분이라 함은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으며, 부재들의 가장자리 부분을 의미한다.
즉, 메인 지퍼부재(513)의 잉여 부분은 제1 상부 봉재부(53)에서 접혀 메인 지퍼부재(513)와 메인 매트리스(511)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측 메인 매트(51)의 측면에는 메인 매트(51)의 하면에서 이어져 접힌 메인 커버(512)가 중첩된 부분이 형성된다. 일측 메인 매트(51)의 측면에는 2겹의 메인 커버(512)와 메인 지퍼부재(513)를 함께 고정하는 제1 하부 봉재부(514)가 형성된다. 제1 하부 봉재부(514)는 메인 지퍼부재(513) 중 외측으로 노출된 부분의 하부와 메인 매트(51)의 하면에서 이어져 접힌 부분을 고정한다.
또한, 제1 하부 봉재부(514)의 상부에는 한겹의 메인 커버(512)와 메인 지퍼부재(513)가 함께 고정된 제2 하부 봉재부(515)가 형성된다. 제2 하부 봉재부(515)는 중첩된 메인 커버(512) 중 내측에 위치하는 메인 커버(512)와 메인 지퍼부재(513)를 고정한다.
제2 하부 봉재부(515)는 제1 하부 봉재부(514) 보다 더 위에 위치하며, 제1 하부 봉재부(514)는 메인 매트(51)의 모서리에서 상부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2 하부 봉재부(515)는 제1 상부 봉재부(53)의 하부에 위치하며 메인 매트(51) 높이의 1/2보다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시접 부분이 노출되는 모서리에 형성되지 않고 접히는 측면에 형성되어 시접 부분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커버(512), 보조 커버(522), 메인 지퍼부재(513), 보조 지퍼부재(523)의 잉여부분이 제1 상부 봉재부(53)의 내측으로 삽입되므로 불필요하게 돌출된 부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메인 매트리스(511)의 측면에는 제1 메인 단차(71)와 제1 메인 단차(71)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2 메인 단차(7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메인 단차(71)는 상면에서 이어진 메인 커버(512), 보조 커버(522), 메인 지퍼부재(513), 보조 지퍼부재(523)의 잉여부분에 의하여 메인 매트리스(511)가 눌려져 형성된다. 상면에서 이어진 메인 커버(512), 보조 커버(522), 메인 지퍼부재(513), 보조 지퍼부재(523)의 잉여부분의 하단은 제1 메인 단차(71)의 상면과 맞닿도록 설치되어 메인 매트리스(511)를 지지한다.
제2 메인 단차(72)는 2겹의 메인 커버(512)와 메인 지퍼부재(513)에 의하여 메인 매트리스(511)가 눌려져 형성된다. 하면에서 이어진 메인 커버(512), 메인 지퍼부재(513)의 하단은 제2 메인 단차(72)의 상면과 맞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지퍼부재(513)의 하단은 측면으로 노출된 부분의 하단이며, 접혀서 내측에 삽입된 메인 지퍼부재(513)의 하단은 제1 메인 단차(71)의 하단과 맞닿는다. 즉, 메인 지퍼부재(513)에서 외측으로 노출된 부분의 하단은 접혀서 내측에 삽입된 부분의 하단보다 더 아래에 위치하여 각각 제1 메인 단차(71)와 제2 메인 단차(72)를 형성한다.
제1 메인 단차(71)의 높이는 메인 매트리스(511) 높이의 1/2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제1 메인 단차(71)의 높이가 메인 매트리스(511) 높이의 1/2보다 더 작게 형성되면 제1 메인 단차(71)에서 메인 매트리스(511)가 지지되어 상단 모서리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메인 커버(512), 보조 커버(522), 메인 지퍼부재(513), 보조 지퍼부재(523)의 잉여부분의 높이는 메인 매트리스(511) 높이의 1/2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메인 매트리스(511)의 상단 모서리는 사용자가 밟거나 메인 커버(512)가 당겨지는 등의 외력이 작용할 때, 돌출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메인 단차(71)와 제2 메인 단차(72)가 형성되에 메인 매트리스(511)를 지지하므로 므로 메인 매트리스(511)의 상단 모서리가 눌려져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연결부(62)의 아래에서 보조 매트(52)의 측면에는 하면에서 이어진 보조 커버(522)가 접혀 중첩된 2겹의 보조 커버(522)와 보조 지퍼부재(523)와 함께 고정된 제1 보조 봉재부(524)가 형성된다. 또한, 제1 보조 봉재부(524)의 상부에는 한겹의 보조 커버(522)와 보조 지퍼부재(523)가 함께 고정된 제2 보조 봉재부(525)가 형성된다. 제2 보조 봉재부(525)는 제1 보조 봉재부(524) 보다 더 위에 위치하며, 제1 보조 봉재부(524)는 보조 매트(52)의 모서리에서 상부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보조 매트리스(521)의 측면에는 제1 보조 단차(73)가 형성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의 제3 연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3 연결부(63)는 타측 메인 매트(51)와 보조 매트(52)가 연결된 부분으로서 제3 연결부(63)에는 제2 상부 봉재부(54)가 형성된다. 제3 연결부(63)에서 일측 메인 매트(51)의 측면에는 메인 지퍼부재(513)가 위치하며, 보조 매트(52)의 측면에는 보조 지퍼부재(523)가 위치하지 않는다. 즉 보조 지퍼부재(523)는 제2 연결부(62)에만 위치한다.
제2 상부 봉재부(54)는 메인 커버(512), 보조 커버(522), 메인 지퍼부재(513), 보조 지퍼부재(523)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이들을 함께 고정한다. 또한, 일측 메인 매트(51)의 측면에는 접힌 메인 커버(512)가 중첩되어 2겹의 메인 커버(512)와 메인 지퍼부재(513)와 함께 고정된 제3 하부 봉재부(516)가 형성된다.
또한, 제3 하부 봉재부(516)의 상부에는 한겹의 메인 커버(512)와 메인 지퍼부재(513)가 함께 고정된 제4 하부 봉재부(517)가 형성된다. 제4 하부 봉재부(517)는 제3 하부 봉재부(516) 보다 더 위에 위치하며, 제3 하부 봉재부(516)는 메인 매트(51)의 모서리에서 상부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4 하부 봉재부(517)는 제2 상부 봉재부(54)의 하부에 위치하며 메인 매트(51) 높이의 1/2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시접 부분이 측면에 형성되어 시접 부분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커버(512), 보조 커버(522), 메인 지퍼부재(513), 보조 지퍼부재(523)의 잉여부분이 제2 상부 봉재부(54)의 내측으로 삽입되므로 불필요하게 돌출된 부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메인 매트리스(511)의 측면에는 제3 메인 단차(75)와 제3 메인 단차(75)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4 메인 단차(76)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메인 단차(75)는 메인 커버(512), 보조 커버(522), 메인 지퍼부재(513), 보조 지퍼부재(523)에 의하여 메인 매트리스(511)가 눌려져 형성된다. 상면에서 이어진 메인 커버(512), 보조 커버(522), 메인 지퍼부재(513), 보조 지퍼부재(523)의 하단은 제3 메인 단차(75)의 상면과 맞닿도록 설치되어 메인 매트리스(511)를 지지한다.
제4 메인 단차(76)는 2겹의 메인 커버(512)와 메인 지퍼부재(513)에 의하여 메인 매트리스(511)가 눌려져 형성된다. 하면에서 이어진 메인 커버(512), 메인 지퍼부재(513)의 하단은 제2 메인 단차(72)의 상면과 맞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지퍼부재(513)의 하단은 측면으로 노출된 부분의 하단이다.
제1 메인 단차(71)의 높이는 메인 매트리스(511) 높이의 1/2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제1 메인 단차(71)의 높이가 메인 매트리스(511) 높이의 1/2보다 더 작게 형성되면 제1 메인 단차(71)에서 메인 매트리스(511)가 지지되어 상단 모서리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1, 102, 103: 매트 어셈블리
11, 31, 51: 메인 매트
12, 32, 52: 보조 매트
21, 41, 61: 제1 연결부
22, 42, 62: 제2 연결부
25: 지퍼부재
251: 이빨부분
253: 지퍼커버
40: 연결 커버
53: 제1 상부 봉재부
제2 상2부 봉재부(54)
63: 제3 연결부
71: 제1 메인 단차
72: 제2 메인 단차
75: 제3 메인 단차
76: 제4 메인 단차
511: 메인 매트리스
512: 메인 커버
513: 메인 지퍼부재
514: 제1 하부 봉재부
515: 제2 하부 봉재부
516: 제3 하부 봉재부
517: 제4 하부 봉재부
521: 보조 매트리스
522: 보조 커버
523: 보조 지퍼부재
524: 제1 보조 봉재부
525: 제2 보조 봉재부

Claims (10)

  1. 서로 연결된 복수의 메인 매트;
    상기 메인 매트들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메인 매트 보다 더 작은 폭을 갖는 보조 매트;
    상기 메인 매트들이 서로 연결된 복수의 제1 연결부; 및
    상기 일측 메인 매트와 상기 보조 매트가 연결된 복수의 제2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메인 매트들과 상기 보조 매트를 펼쳤을 때를 기준으로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 매트는 메인 매트리스와 상기 메인 매트리스를 감싸는 메인 커버와 상기 메인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커버를 개폐하는 메인 지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매트는 보조 매트리스와 상기 보조 매트리스를 감싸는 보조 커버와 상기 보조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 커버를 개폐하는 보조 지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부에는 상기 메인 커버, 상기 보조 커버, 상기 메인 지퍼부재, 상기 보조 지퍼부재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이들을 함께 고정하는 제1 상부 봉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매트를 갖는 놀이 매트 어셈블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매트리스의 측면에는 상기 메인 커버, 상기 보조 커버, 상기 메인 지퍼부재, 상기 보조 지퍼부재에 의하여 눌려져 제1 메인 단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매트를 갖는 놀이 매트 어셈블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봉재부에 의하여 상기 메인 커버, 상기 보조 커버, 상기 메인 지퍼부재, 상기 보조 지퍼부재의 잉여 부분은 상기 메인 매트리스와 메인 지퍼부재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메인 커버, 상기 보조 커버, 상기 메인 지퍼부재, 상기 보조 지퍼부재의 하단은 상기 제1 메인 단차의 상면과 맞닿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매트를 갖는 놀이 매트 어셈블리.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 단차의 높이는 메인 매트리스 높이의 1/2보다 더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매트를 갖는 놀이 매트 어셈블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매트의 측면에는 상기 메인 매트의 하면에서 이어진 메인 커버가 접혀 중첩되고, 중첩된 메인 커버와 메인 지퍼부재의 하부를 함께 고정하는 제1 하부 봉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매트를 갖는 놀이 매트 어셈블리.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1 하부 봉재부의 상부에는 한겹의 상기 메인 커버와 상기 메인 지퍼부재를 함께 고정하는 제2 하부 봉재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 하부 봉재부는 중첩된 메인 커버 중 내측에 위치하는 메인 커버와 메인 지퍼부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매트를 갖는 놀이 매트 어셈블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매트의 측면에는 2겹의 상기 메인 커버와 상기 메인 지퍼부재에 의하여 상기 메인 매트리스가 눌려져 제2 메인 단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매트를 갖는 놀이 매트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놀이매트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상기 제2 연결부가 형성된 면이 사용면을 구성하고, 놀이매트 어셈블리는 상기 사용면를 기준으로만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매트 어셈블리.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놀이 매트 어셈블리는 4개의 메인 매트와 하나의 보조 매트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매트는 상기 놀이 매트 어셈블리의 중앙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매트를 갖는 놀이 매트 어셈블리.
  10. 서로 연결된 복수의 메인 매트;
    상기 메인 매트들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메인 매트 보다 더 작은 폭을 갖는 보조 매트;
    상기 메인 매트들이 서로 연결된 복수의 제1 연결부; 및
    상기 일측 메인 매트와 상기 보조 매트가 연결된 복수의 제2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메인 매트들과 상기 보조 매트를 펼쳤을 때를 기준으로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 매트는 메인 매트리스와 상기 메인 매트리스를 감싸는 메인 커버와 상기 메인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 커버를 개폐하는 메인 지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매트는 보조 매트리스와 상기 보조 매트리스를 감싸는 보조 커버와 상기 보조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 커버를 개폐하는 보조 지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매트리스의 측면에는 제2 연결부에서 상기 메인 커버와 상기 메인 지퍼부재 사이로 삽입된 잉여부분에 의하여 눌려져 제1 메인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메인 단차의 높이는 메인 매트리스 높이의 1/2보다 더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매트를 갖는 놀이 매트 어셈블리.
KR2020180003658U 2018-08-07 2018-08-07 사용면에 틈새가 없는 놀이 매트 어셈블리 KR2004876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658U KR200487685Y1 (ko) 2018-08-07 2018-08-07 사용면에 틈새가 없는 놀이 매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658U KR200487685Y1 (ko) 2018-08-07 2018-08-07 사용면에 틈새가 없는 놀이 매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685Y1 true KR200487685Y1 (ko) 2018-10-22

Family

ID=64049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658U KR200487685Y1 (ko) 2018-08-07 2018-08-07 사용면에 틈새가 없는 놀이 매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68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759U (ko) 2019-01-29 2020-08-06 주식회사 크림하우스프렌즈 논슬립 커버를 갖는 매트
KR20220129356A (ko) * 2021-03-16 2022-09-23 주식회사아이벤 다기능 층간 소음 방지용 매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2540A (ko) 2010-03-11 2011-09-19 주식회사 삼보모토스 자동 변속기용 마찰 일체형 클러치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KR101300608B1 (ko) * 2011-09-01 2013-08-28 (주)디자인스킨 하우스로 변형 가능한 매트
KR20160109178A (ko) * 2015-03-10 2016-09-21 이재혁 놀이 매트 어셈블리
KR20160115879A (ko) * 2016-09-19 2016-10-06 이재혁 놀이 매트
KR20180080756A (ko) * 2017-01-05 2018-07-13 정준규 위생 매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2540A (ko) 2010-03-11 2011-09-19 주식회사 삼보모토스 자동 변속기용 마찰 일체형 클러치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KR101300608B1 (ko) * 2011-09-01 2013-08-28 (주)디자인스킨 하우스로 변형 가능한 매트
KR20160109178A (ko) * 2015-03-10 2016-09-21 이재혁 놀이 매트 어셈블리
KR20160115879A (ko) * 2016-09-19 2016-10-06 이재혁 놀이 매트
KR20180080756A (ko) * 2017-01-05 2018-07-13 정준규 위생 매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759U (ko) 2019-01-29 2020-08-06 주식회사 크림하우스프렌즈 논슬립 커버를 갖는 매트
KR20220129356A (ko) * 2021-03-16 2022-09-23 주식회사아이벤 다기능 층간 소음 방지용 매트
KR102630733B1 (ko) * 2021-03-16 2024-01-29 주식회사아이벤 다기능 층간 소음 방지용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7685Y1 (ko) 사용면에 틈새가 없는 놀이 매트 어셈블리
US20130084413A1 (en) Anti-fatigue mat with removable resilient cushioning member
KR200485388Y1 (ko) 가변형 매트 세트
US11317726B2 (en) Protective, collapsible, lightweight bed finishing frame
KR20180017758A (ko) 유아용 범퍼침대
US2231381A (en) Crib attachment
US20180199726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eds
KR20160115879A (ko) 놀이 매트
KR200477927Y1 (ko) 적층식 침대용 매트리스
KR101766003B1 (ko) 놀이 매트 어셈블리
EP1779748A1 (en) Sofa bed, advantageously for children
KR20130006366U (ko) 유아용 공간놀이 범퍼매트
KR102081290B1 (ko) 침구
JP7029045B2 (ja) 椅子
KR20160000566U (ko) 모빌대가 장착되는 유아용 범퍼침대
KR200455081Y1 (ko) 아기용 놀이 매트
US7441740B2 (en) Corner protector
JP3212236U (ja) クッション体セット
US9226584B2 (en) Folding book holder for chair
KR200490388Y1 (ko) 범퍼 침대
US2365848A (en) Convertible furniture set
KR200495028Y1 (ko) 논슬립 커버를 갖는 매트
KR101757666B1 (ko) 다용도 형상 변형이 가능한 매트
US1430740A (en) Convertible furniture
KR20210001419U (ko) 다용도 범퍼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