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523Y1 -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 - Google Patents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523Y1
KR200487523Y1 KR2020180001241U KR20180001241U KR200487523Y1 KR 200487523 Y1 KR200487523 Y1 KR 200487523Y1 KR 2020180001241 U KR2020180001241 U KR 2020180001241U KR 20180001241 U KR20180001241 U KR 20180001241U KR 200487523 Y1 KR200487523 Y1 KR 2004875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pters
chapter
contents
kanji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2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명계
Original Assignee
조명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명계 filed Critical 조명계
Priority to KR20201800012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5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5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5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3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2Back of leaves or signatures prepared for bind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래쉬 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래쉬 카드를 구성함에 있어 챕터별로의 구분이 가능하게 하는 한편, 목차를 통해 챕터의 순서 정리가 가능하게 하는 등 사용상의 편리함과 사용후 정리 정돈이 매우 편리하게 하며, 또한 챕터별 종이의 폭을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챕터별 사용 및 정리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Flash card}
본 고안은 플래쉬 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챕터를 구분함에 있어 각각의 챕터의 분리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만 6 세 이하 아이의 두뇌능력은 어른의 30~50배 이상이 된다고 한다. 이 시기에 이와 같은 엄청난 능력(직감, 4~5개 언어도 동시에 습득할수 있는 어학능력, 계산능력)을 개발시켜주기 위해 다양한 학습도구가 사용되고 있다.
이중 플래쉬 카드는 그림을 통해 각종 동물이나 식물 등 다양한 사물의 형상과 단어를 순간적으로 뇌에 사진을 찍듯이 각인시키는 학습도구로, 반복적인 학습을 통해 그 학습효과를 극대화시키게 된다.
이러한, 플래쉬 카드는 통상 다수의 낱장(학습지)이 하나의 챕터(일예로 동물, 식물)로 구분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플래쉬 카드는 단순히 각각의 챕터가 동일한 크기 형태로 구성된 것인바, 사용후 챕터별로 정리 정돈이 상당히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0331796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플래쉬 카드를 구성함에 있어 챕터별로의 구분이 가능하게 하는 한편, 목차를 통해 챕터의 순서 정리가 가능하게 하는 등 사용상의 편리함과 사용후 정리 정돈이 매우 편리하게 하기 위한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챕터별 종이의 폭을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챕터별 사용 및 정리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학습을 위한 사물 또는 단어가 인쇄된 다수의 학습지가 하나의 유닛을 이루는 다수의 챕터;
각각의 챕터를 구분하기 위해한 다수의 간지;
상기 챕터와 동일 크기를 이루며, 각각의 챕터에 해당하는 대목차가 기록되어 있는 목차지; 및
일측으로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챕터와 간지와 목차지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이루며, 개구는 덮개부로 마감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각각의 간지는,
학습지와 동일 크기를 이루며 각각의 챕터에 해당하는 학습지의 순서를 나타내는 소목차가 인쇄 형성된 소목차부; 및
소목차부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학습지와 구분되게 하는 식별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는, 다수의 학습지로 된 챕터와 각각의 챕터를 분류하는 간지와 챕터의 순서를 나타내는 목차지로 구성된 것인바, 챕터별로의 구분이 가능하게 하는 한편, 목차를 통해 챕터의 순서 정리가 가능하게 하는 등 사용상의 편리함과 사용후 정리 정돈이 매우 편리하게 하는 등 학습효율성의 향상과 사용후 정리정돈 능력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챕터를 구성하는 학습지의 폭이 각각의 챕터별로 서로 다르게 구성된 것인바, 챕터별 학습지의 크기에 따른 구분 사용 및 사용후 간편하고 신속한 정리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의 챕터 다른 실시예도.
도 4는 본 고안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의 간지 요부도.
도 5는 본 고안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의 간지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고안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의 간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관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 챕터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의 사용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1)는, 챕터(100)(100')와, 간지(200)(200')와, 목차지(300)와, 케이스(400)로 구성된다.
먼저, 챕터(100)(100')는 사각 판지 형태의 종이재로 구성된 것으로, 통상의 플래쉬 카드와 같이 학습을 위한 다양한 사물 또는 단어가 인쇄 형성된 다수의 학습지(110)(110')가 하나의 유닛을 이루게 구성된다.
즉, 챕터(100)(100')는 일예로 플래쉬 카드(1)를 동물 플래쉬 카드로 구성시 포유류, 양서류, 조류, 어류 등 다양하게 챕터(100)(100')로 분류할 수 있게 구성며, 각각의 학습지(110)(110')에는 각 챕터(100)(100')에 해당하는 동물 사진 또는 단어가 인쇄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각각의 챕터(100)(100')를 구성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도 3을 참조하여 각각의 챕터(100)(100')는 서로 다른 크기를 이루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각각의 챕터(100)(100')를 이루는 학습지(110(110')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구성하되, 그 크기는 폭의 조절에 의해 가능하다.
일예로, 3종의 챕터(100)(100')로 구성시 높이×폭을 어느 하나의 챕터(100)는 24cm××17.6cm로 구성하고, 다른 하나의 챕터(100')는 24cm×17.8cm로 구성하며, 또 다른 하나의 챕터(100')는 24cm×18cm으로 구성함으로, 그 폭의 크기에 따른 챕터(100)(100')별 구분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간지(200)(200')는, 사각 판지 형태의 종이재로 구성되며, 각각의 챕터(100)(100')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챕터(100)(100')에 해당하게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챕터(100)(100')의 가장 앞장을 이루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간지(200)(200')는, 소목차부(210)와 식별부(220)를 이루게 구성된다.
먼저, 소목차부(210)는 상기 학습지(110)(110')와 동일한 크기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챕터(100)(100')에 해당하는 학습지(110)(110')의 순서를 나타내는 소목차(211)가 인쇄되어 있다.
또한, 식별부(220)는 상기 소목차부(210)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학습지(110)(110')와 구분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식별부(220)를 통해 각각의 챕터(100)(100')의 구분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식별부(220)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먼저 식별부(220)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각각의 챕터(100)(100')에 대하여 서로 다른 색상을 이루게 구성함으로, 그 색상을 통해 챕터(100)(100')의 구분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다른 색상을 이루는 식별부(220)에는 각각의 챕터(100)(100')에 해당하는 챕터명이 인쇄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별부(220)는 각각의 간지(200)(200')에 대하여 서로 다른 돌출 정도를 이루게 구성된다.
즉, 간지(200)(200')는, 각각의 챕터(100)(100')의 구분이 가능하게 하되, 소목차부(210)를 통해 각각의 학습지(110)(110')의 순서 정리가 가능하게 하는 등 정리 정돈이 용이하게 하는 한편, 학습을 위한 챕터(100)(100')를 선택시 식별부(220)를 통해 식별 선택이 용이하게 한다.
한편, 본 고안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각각의 간지(200)(200')는 각각의 챕터(100)(100')를 이루는 학습지(110)(110')를 하나로 묶어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를 참조하여 간지(200)(200')의 소목차부(210)와 식별부(220)의 경계면(230)에는 후방을 향하게 절개 형성되는 양측 한 쌍의 수평 절개선(231)(231')과, 그 양측의 수평 절개선(231)(231')의 끝단을 연결하는 수직 절개선(232)을 통해 북마커(240)가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북마커(240)는 각각의 챕터(100)(100')에 해당하게 정리된 학습지(110)(110')의 두께보다 더 길게 구성하며, 그 하부에는 정리된 학습지(110)(110')의 두께에 해당하는 길이 위치에 절곡부(241)를 이루게 구성된다.
즉, 북마커(240)는 경계선(230)의 절곡을 통한 정리된 학습지(110)(110')의 일측을 덮는 한편, 절곡부(241)를 통해 절곡 및 끝단의 학습지(110')에 걸어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목차지(300)는, 상기 챕터(100)(100')와 동일한 크기를 이루게 종이재로 구성되며, 일면에는 각각의 챕터(100)(100')의 순서 즉, 대목차(310)가 기록되어 있다.
즉, 각각의 챕터(100)(100')는, 상기 목차지(300)를 통해 그 순서의 정리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400)는, 상기 각각의 챕터(100)(100')와 간지(200)(200')와 목차지(300)의 수납 보관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케이스(400)는 먼저, 일측으로 개방되는 개구부(411)를 갖는 수납공간(410)이 구성되어 상기 각각의 챕터(100)(100')와 간지(200)(200')와 목차지(300)의 수납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그 개구부(411)는 절곡 개폐가 가능한 덮개부(420)로 개폐되게 구성된다.
또한, 케이스(400)를 구성함에 있어 개구부(411)의 반대측 단부 즉, 후단은 평면상 "호" 형태를 이루게 만곡한 곡률을 이루면서 융출되는 곡률부(430)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1)는 그 사용 및 사용 후, 정리가 매우 편리하게 된다.
이를 위해 먼저 그 사용시에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각각의 챕터(100)(100')는 그 챕터(100)(100')들의 가장 앞장에 형성되는 간지(200)(200')를 통해 구분이 가능하되, 각각의 간지(200)(200')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식별부(220)에 의한 단차 구성으로 각각의 챕터(100)(100')에 대한 구분이 가능하게 되는 등 플래쉬 카드(1)를 사용함에 있어 필요한 챕터(100)(100')의 쉬운 선택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식별부(220)는 서로 다른 색상을 이루는 한편, 각각의 챕터(100)(100')에 해당하는 챕터명이 인쇄 형성된 것인바, 이러한 색상 및 챕터명을 통해 챕터(100)(100')에 대한 선택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간지(200)(200')에는 각각의 학습지(110)(110')에 해당하는 소목차(211)가 기록된 소목차부(210)가 구성된 것인바, 플래쉬 카드(1)를 이용한 학습시 순서에 따른 사용과 정리시 추후, 사용을 위한 정리가 매우 편리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1)는, 목차지(300)가 구성된 것인바, 사용된 각각의 챕터(100)(100')는 목차지(300)의 대목차(310)를 통해 항시 일정한 순서로의 배치 보관이 가능하게 되는 등 각각의 챕터(100)(100')에 대한 정리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1)는 각각의 챕터(100)(100')를 정리함에 있어 도 3을 참조하여 각각의 챕터(100)(100')는 그 폭을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에는 글이나 그림 등을 식별하기 곤란한 유아의 경우에도 사물의 크기를 통한 간편하고 신속한 정리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한편, 본 고안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1)는, 도 5를 참조하여 도 7의 도시와 같이 각각의 챕터(100)(100')를 구분함에 있어, 북마커(240)를 통해 보다 확실한 구분이 가능하게 된다.
즉, 북마커(240)는 소목차부(210)와 식별부(220)의 경계선(230)으로부터 절곡 및 챕터(100)(100')의 일측을 덮는 한편, 절곡부(241)를 통해 절곡하여 가장 끝단에 형성되는 학습지(110')의 후면에 걸어 고정하면 되는 것으로, 이러한 북마커(240)를 통해 각각의 챕터(100)(100')는 하나의 묶음 형태를 이루는 것인바, 보관시는 물론 사용시 각각의 챕터(100)(100')에 대한 인출 사용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각각의 챕터(100)(100')와 간지(200)(200')와 목차지(300)지는 미사용시 케이스(400)의 수납공간(410)에 수납 및 덮개부(420)를 덮어 보관함으로 외부로부터 안전한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챕터(100)(100')와 간지(200)(200')와 목차지(300)지가 수용된 케이스(400)를 보관시에는 도 8을 참조하여 후단의 곡률부(430)가 노출되도록 책꽂이 등에 꽂아 보관하면 되는 것으로, 이때 노출되는 곡률부(430)를 통해 통상의 책장의 단부가 접착 형성되는 제본부의 곡률과 동일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즉, 케이스(400)를 책꽂이에 꽂아 보관하는 과정에서 곡률부(430)를 통해 이웃하는 책(10)들과의 조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는, 각각의 챕터의 분리 보관에 따른 용이한 보관 및 사용시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100,100' : 챕터 110,110' : 학습지
200,200' : 간지 210 : 소목차부
211 : 소목차 220 : 식별부
230 : 경계선 231,231' : 수평 절개선
232 : 수직 절개선 240 : 북마커
241 : 절곡부
300 : 목차지 310 : 대목차
400 : 케이스 410 : 수납공간
411 : 개구부 420 : 덮개부
430 : 곡률부

Claims (6)

  1. 학습을 위한 사물 또는 단어가 인쇄된 다수의 학습지(110)(110')가 하나의 유닛을 이루는 다수의 챕터(100)(100');
    각각의 챕터(100)(100')를 구분하기 위해한 다수의 간지(200)(200');
    상기 챕터(100)(100')와 동일 크기를 이루며, 각각의 챕터(100)(100')에 해당하는 대목차(310)가 기록되어 있는 목차지(300); 및
    일측으로 개구된 개구부(411)가 형성되어 챕터(100)(100')와 간지(200)(200')와 목차지(300)가 수납되는 수납공간(410)을 이루며, 개구부(411)는 덮개부(420)로 마감되는 케이스(40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각각의 간지(200)(200')는,
    학습지(110)(110')와 동일 크기를 이루며 각각의 챕터(100)(100')에 해당하는 학습지(110)(110')의 순서를 나타내는 소목차(211)가 인쇄 형성된 소목차부(210); 및
    소목차부(210)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학습지(110)(110')와 구분되게 하는 식별부(22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소목차부(210)와 식별부(220)의 경계선(230)에는,
    후방을 향하게 절개 형성되는 양측 한 쌍의 수평 절개선(231)(231')과, 양측 수평 절개선(231)(231')의 끝단을 연결하는 수직 절개선(232)을 통해 북마커(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북마커(240)는 정리된 학습지(110)(110')의 두께보다 더 길게 구성하며,
    하부에는 정리된 학습지(110)(110')의 두께에 해당하는 길이 위치에 절곡부(241)를 이루게 구성하여,
    경계선(230)의 절곡을 통한 정리된 학습지(110)(110')의 일측을 덮는 한편, 절곡부(241)를 통해 절곡 및 끝단의 학습지(110')에 걸어 고정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
  2. 제 1항에 있어서,
    간지(200)(200')의 식별부(220)에는,
    각각의 챕터(100)(100')에 대하여 서로 다른 색상을 이루게 구성하며,
    각각의 챕터(100)(100')에 해당하는 식별부(220)에는 각각의 챕터(100)(100')에 해당하는 챕터명이 인쇄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
  3.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간지(200)(200')에 형성되는 식별부(220)는,
    서로 다른 돌출 정도를 이루게 구성하며, 챕터(100)(100')별 구분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
  4.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챕터(100)(100')는,
    챕터(100)(100')별 학습지(110)(110')의 폭을 달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케이스(400)는,
    개구부(411)의 반대측 단부는 평면상 만곡한 곡률을 이루며 돌출되는 곡률부(430)를 이루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
KR2020180001241U 2018-03-22 2018-03-22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 KR2004875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241U KR200487523Y1 (ko) 2018-03-22 2018-03-22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241U KR200487523Y1 (ko) 2018-03-22 2018-03-22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523Y1 true KR200487523Y1 (ko) 2018-10-01

Family

ID=63861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241U KR200487523Y1 (ko) 2018-03-22 2018-03-22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523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0852A (ja) * 1996-05-15 1997-11-25 Fuji Photo Film Co Ltd アルバムケース
KR200331796Y1 (ko) 2003-07-24 2003-11-01 이희도 시선 집중력을 높이는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
JP2016193577A (ja) * 2015-04-01 2016-11-17 株式会社ウイル・コーポレーション 見出し付きシート及びバインダ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0852A (ja) * 1996-05-15 1997-11-25 Fuji Photo Film Co Ltd アルバムケース
KR200331796Y1 (ko) 2003-07-24 2003-11-01 이희도 시선 집중력을 높이는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
JP2016193577A (ja) * 2015-04-01 2016-11-17 株式会社ウイル・コーポレーション 見出し付きシート及びバインダ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18919B1 (en) Indexing system package and display system
US4307972A (en) Looseleaf books with plastic posts
KR100200389B1 (ko) 다분할 책
KR200487523Y1 (ko) 챕터 분리 구조를 갖는 플래쉬 카드
US3028178A (en) Book constructions
US20020094226A1 (en) Indexing system package and display system
Cevolini Indexing as preadaptive advance: a socio-evolutionary perspective
US3595554A (en) Template for use in impaling sheet materials on binding elements of looseleaf binders
US2930146A (en) Arithmetical aid for teaching fractions
JPS63262294A (ja) 折りたたみ形の記録担体
JPH0971065A (ja) ページに索引用片の切込みを入れた帳面類及び本
US8845336B2 (en) Learning concept organizer
US20120217735A1 (en) Indexed Book
US3465460A (en) File structure
US3282268A (en) Index device
US20130288209A1 (en) Booklet assembly with grid box and method to help children to write and create
US2922234A (en) Educational aid for teaching reading
US4504235A (en) Educational device for teaching collating skills
KR200492100Y1 (ko) 합권과 분권이 가능한 책
KR100557332B1 (ko) 오답노트
KR200352770Y1 (ko) 오답노트
CN216579858U (zh) 一种分类文件套
KR200467069Y1 (ko) 휴대용 암기장 및 학습 진도 체크 기능을 갖는 학습카드 수납용 학습 세트
JP2605401Y2 (ja) 索引片付き辞書
WO2017089822A1 (en) Personal note organiser with index tab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