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472Y1 - R타입 나사 - Google Patents

R타입 나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472Y1
KR200487472Y1 KR2020160003710U KR20160003710U KR200487472Y1 KR 200487472 Y1 KR200487472 Y1 KR 200487472Y1 KR 2020160003710 U KR2020160003710 U KR 2020160003710U KR 20160003710 U KR20160003710 U KR 20160003710U KR 200487472 Y1 KR200487472 Y1 KR 2004874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screw
thread
lead
lead fl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7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673U (ko
Inventor
용지우 후오
Original Assignee
둥관 관홍 하드웨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둥관 관홍 하드웨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둥관 관홍 하드웨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026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6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4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4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30Locking exclusively by special shape of the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3/00Features common to bolt and nut
    • F16B33/02Shape of thread; Special thread-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종의 체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나삿니의 양측 변이 각각 제1리드 플랭크 및 제2리드 플랭크이며 제1리드 플랭크와 제2리드 플랭크사이는 전이선을 통하여 연결되며, 전이선은 산봉우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꺼져들어가 있는 R타입의 나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R타입 나사는 종래의 나사가 장착 후 쉽게 풀리거나 탈락하는 흠결을 극복하여 진동에 의한 풀림방지 기능을 가진다.

Description

R타입 나사{R-Type Thread}
본 고안은 체결부재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R타입 나사에 관한 것이다.
제1차 산업혁명 이후 체결부재는 신속한 발전을 가져와 산업의 발전에 대해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체결부재는 모두 격렬한 진동에서 자체로 풀리거나 탈락하는 치명적인 약점을 가지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체결부재는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부재로서 체결부재가 풀리거나 탈락할 경우 작게는 부품이나 한대의 설비 전체가 파손 또는 해체될 수 있으며 심할 경우에는 중대한 안전사고를 야기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미국 보잉사는 737여객기의 빈번한 사고발생에 대해 조사 시 비행기 날개의 볼트 탈락이 그 주요 원인임을 발견하였다. 미국 플로리다주 세브링(Sebring)에서 진행한 미국 체육 항공 전시회에서 Remos GX 비행기는 촬영사 한명이 사망하고 비행사가 중상을 입은 치명적인 추락사고가 발생하였는데 사고의 원인은 보조날개의 체결부재가 제대로 조여지지 않은 것이였다. 이외, JR서일본철도사에 의하면 신오사카에서 출발하여 가고시마 중심으로 향하는" 사쿠라 561호 열차"는 알루미니움으로 제조된 외각의 볼트가 풀려 외곽이 탈락하여 날아가면서 후속 차량과 부딪친 후 주위에 설치된 전선에 부딪혀 단락으로 정전을 야기시켰다.
체결부재 산생 후 세계 각국의 과학자와 엔지니어들은 대량의 실험과 연구를 거쳐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체결부재가 자체로 풀리고 탈락하는 시간을 어느 정도 연장하였으나 근본적으로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이제 임박하고 있는 제4차 산업혁명은 체결부재에 대하여 더 높은 요구를 가질 것은 의심할 바 없다.
나사의 풀림과 탈락은 주요하게 나사의 교합 시 횡방향에서 틈새가 있어 진동 발생 시 나사의 기본 요소인 "나사 리드각"이 "나사 풀림각"으로 되였기 때문이다. 미국에서는 암나사의 산봉우리 끝단에 축선과 30도 각을 이루는 쐐기형 나사가 제안되었고, 이러한 나사는 나사의 셀프 잠금 기능을 확실히 제고하였으나, 받는 힘의 분석으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나사가 힘을 받을때 특히 힘을 받는 초기단계에서 아주 큰 측방향의 힘을 받는다. 단일 나사산의 국부적인 응력이 아주 커져 나사산은 분균일하게 힘을 받게 됨으로써 체결부재의 중복사용의 수명이 줄어들게 된다.
본 고안은 일종의 R타입 나사를 제공하여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나사산 모양의 양측 변이 각각 제1리드 플랭크와 제2리드 플랭크이고 제1리드 플랭크와 제2리드 플랭크사이는 전이선을 통해 연결되며, 전이선은 산봉우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꺼져들어가 있는 R타입 나사를 제공한다.
여기서 "나사산 모양"은 나사의 기하학적 모양을 결정하며, 부속품의 직경(외경, 유효경 및 내경)을 포함하고, 주요한 파라미터는 나사의 각도, 플랭크각, 피치, 리드각, 나사의 개수 등을 포함한다. "제1리드 플랭크" 및 "제2리드 플랭크"는 나사의 산봉우리 양측에 위치한 측변을 말한다. "전이선103"은 "R타입 호"로 명명한다. "R타입 나사"는 나사산 모양이 제1리드 플랭크, 제2리드 플랭크 및 전이선이 연결되어 형성된 나사를 말한다. "R타입 면"은 R타입 나사의 골밑을 말한다.
본 고안에 따른 R타입 나사와 종래의 표준 나사의 차이점은 하기 여러 방면에서 구현된다: 첫째, R타입 암(수)나사는 그 골밑 부분에 R타입의 면을 설계하여 수(암)나사를 R타입의 암(수)나사와 상호 조임 시, 수(암)나사의 산봉우리 끝단이 안쪽으로 약간 수축하면서 R타입의 면에 받쳐지는데, 이는 30도 쐐기모양의 나사가 아주 큰 횡력을 산생하여 나사를 파괴하는 것과는 달리, 수(암)나사의 산봉우리 끝단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둘째, 수(암)나사와 R타입 암(수)나사를 상호 조임 시, 수나사의 산봉우리 끝단은 R타입의 면에 긴밀히 밀착되게 받쳐주어 아주 큰 잠금력을 생성한다. R타입의 구조를 통해 나사의 접촉으로 생성된 수직항력과 나사축선은 미터제 또는 미국제 나사와 같은 30도각에 의해 지지되거나 영국제 나사의 27.5도각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아니라 R타입의 면 부분에 의해 지지된다. 셋째, R타입의 면은 받는 힘에 대해 더욱 양호한 전도성을 가져, 힘을 암(수)나사 본체에 효과적으로 가하여 R타입 암(수)나사의 수직항력이 잠금압력보다 훨씬 크다. 따라서 생성되는 풀림방지 마찰력도 필연코 크게 증가된다. 넷째, 동시에 미터제, 미국제 또는 영국제의 수(암)나사의 산봉우리는 R타입의 암(수)나사와 교합 시, 산봉우리부분의 끝단이 수축하기 용이하여, 하중을 접촉된 나선형선의 전체 길이에 균일하게 분포되게 한다. 그러나 통상의 표준나사는 교합 시 80% 이상의 총 하중이 첫번째 나사산과 두번째 나사산의 나사의 면에 집중적으로 작용한다.
상기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R타입 나사 연결 쌍은 통상의 표준 나사 연결 쌍이 진동조건에서 쉽게 자체로 풀리는 흠결을 극복하였을 뿐만 아니라 사용수명을 연장하였다.
추가로 전이선은 호선이다.
호선는 암수나사의 비유효응력을 감소하고 나사 풀림 또는 탈락에 필요한 외력을 제고시켜 풀림방지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추가로 전이선은 복수의 선분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도 있다. 인접한 선분사이의 교차각의 범위는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다.
여기서, "교차각"이라 함은 산봉우리를 향한 각을 말한다. 전이선은 호형일 수도 있고 복수의 선분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자동으로 풀림방지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추가로 전이선은 복수의 곡선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도 있다.
전이선은 바람직하게는 호선이고, 복수의 곡선이 연결되어 형성된 전이선의 효과는 호선형의 전이선의 효과와 동등하다.
추가로, 전이선과 제1리드 플랭크가 만나는 점은 제1교차점이고 전이선과 제2리드 플랭크가 만나는 점은 제2교차점이다. 제1교차점과 제2교차점사이를 연결하는 선은 연결선이다. 연결선과 제2리드 플랭크는 서로 수직된다.
부동한 규격의 나사에 따라 전이선의 시작점과 끝점사이의 위치관계를 결정하는 것은 가공제조에 유리하고 풀림방지 효과가 더 현저하다.
추가로, 제1교차점은 나사의 유효경에 놓인다.
전이선의 시작점과 끝점 및 제1리드 플랭크와 제2리드 플랭크의 길이를 결정하는 것은 나사의 가공에 편이를 가져다 주고 풀림방지 효과가 더 양호하다.
추가로 나사산 모양의 나사산 각도는 30도보다 크거나 같다.
"나사산 각도"라 함은 나사의 축단면에 있어서 나사산 모양의 양측 변이 이루는 각을 말한다. 제1리드 플랭크와 제2리드 플랭크가 이루는 각은 배합되는 수나사에 따라 변한다. 미터제, 미국제의 수나사와 배합 시 60도각이고, 영국제의 수나사와 배합 시에는 55도각이다. 미터제, 미국제 및 영국제등 삼각형 수나사를 본 고안에 따른 R타입 암나사에 조여 넣을 경우, 제2리드 플랭크를 따라 손쉽게 조일 수 있다. 꽉 조일 경우, 수나사의 산봉우리 끝단이 R타입의 면에 긴밀히 받쳐져 아주 큰 잠금력을 생성한다. 나사산 모양의 양측 변이 이루는 각은 30도보다 크커나 같을 경우, 부동한 규격의 나사와 배합하는데 편이하다.
추가로, 호선의 원호의 반경이 나사의 피치이다.
호선의 형상을 결정하는 것은 나사를 가공하는데 유리하고 풀림방지 효과가 더 양호하다.
추가로, 호선과 제1리드 플랭크가 만나는 점은 제1교차점이고 호선과 제2리드 플랭크가 만나는 점은 제2교차점이다. 제1교차점과 제2교차점사이를 연결하는 선은 연결선이다. 연결선과 제2리드 플랭크는 서로 수직되고 호선의 대응하는 원의 원심은 연결선의 수직이등분선에 놓인다.
호형의 형상을 정확히 결정하는 것은 나사의 실제 가공생산에 편이를 주고 풀림방지 효과가 더 양호하다.
추가로, 제1리드 플랭크 및 제2리드 플랭크는 모두 선분이다.
암나사와 수나사의 길밀한 접촉을 확보하여 마찰력을 증가시키고 유효응력을 증가시킨다.
본 고안의 기술방안은 종래의 나사가 장착 후 쉽게 풀리는 흠결을 극복하여 진동방지에 의한 풀림방지의 기능을 가지는 R타입 나사를 제공한다.
본 고안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 실시예에서 사용할 도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하기 도면은 본 고안의 부분적인 실시예만 도시하였기에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보아서는 안되며 본 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창조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 이 도면에 근거하여 기타 관련 도면을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면 1은 본 고안에 따른 나사산 모양의 모식도이다.
도면 2는 도면1의 나사산 모양의 기하학적 관계구조의 모식도이다.
도면 3은 본 고안에 따른 나사산 모양의 첫번째 구조의 모식도이다.
도면 4는 본 고안에 따른 나사산 모양의 두번째 구조의 모식도이다.
도면 5는 본 고안에 따른 나사산 모양의 세번째 구조의 모식도이다.
도면 6은 본 고안에 따른 나사산 모양와 삼각 나사의 장착구조 모식도이다.
도면 7은 도면 6의 국부적인 확대도이다.
도면 8은 본 고안에 따른 나사산 모양의 암나사와 수나나산 장착구조 모식도이다.
도면 9는 도면 8의 국부적인 확대도이다.
도면 10은 암나사와 수나사가 장착 후 받는 힘분석 모식도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 해결수단 및 효과에 대하여 더욱 명확히 하게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 중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전면적으로 설명한다. 아래에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전부의 실시예가 아니라 부분적인 실시예임은 자명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하기에 나오는 도면에서 설명하고 예시한 본 고안의 실시예의 부품은 여러가지 상이한 사양으로 배치하거나 디자인될 수 있다.
따라서 하기 도면에서 제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고안의 선택된 실시예를 예시할뿐 본 고안의 범위는 이런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분야의 당업자가 창조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 획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
유사한 부호 및 문자는 하기 도면에서 유사한 항목을 표시하며 따라서 어느 한 항목이 도면에서 정의되었다면 그 다음의 도면에서는 추가로 정의 또는 설명을 하지 않을 것임에 유의해야 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용어 "제1", "제2" 등은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상대적으로 중요함을 표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기타 명확한 규정이나 한정이 없을 경우, 용어 "설치", "연결"은 넓은 의미로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연결"이라함은 고정연결일 수도 있고 분리가능한 연결이나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기계적인 연결일 수도 있고 전기적인 연결일 수도 있다. 또 직접 연결되거나 기타 중간매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두 부재가 내부적으로 연통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상기 용어들이 본 고안에서의 구체적인 의미는 그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해석해야 한다.
실시예 1: 도면 1 내지 도면3, 및 도면 6 내지 도면10을 참조
도면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R타입 나사는 나사산 모양의 양측 변이 각각 제1리드 플랭크(101)과 제2리드 플랭크(102)이고 제1리드 플랭크(101)과 제2리드 플랭크(102)사이는 전이선(103)을 통해 연결되며 전이선(103)은 산봉우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꺼져들어가 있다 즉, 오목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나사산 모양"은 나사의 기하학적 모양을 결정하는데 부속품의 직경(외경, 유효경 및 내경)을 포함하고 주요 파라미터는 나사의 각도, 플랭크각, 피치, 리드각, 나사의 개수 등을 포함한다. "제1리드 플랭크" 및 "제2리드 플랭크"은 나사의 산봉우리 양측에 위치한 측변을 말한다. "전이선(103)"은 "R타입 호"로 명명한다. "R타입 나사"는 나사산 모양이 제1리드 플랭크(101), 제2리드 플랭크(102) 및 전이선(103)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나사를 말한다. "R타입 면"은 R타입 나사의 골밑을 말한다.
나사 쌍은 힘의 모멘트와 축방향의 하중의 작용하에서 상대적인 운동을 하는데 이는 유효경에 작용하는 수평력이 슬라이드블록을 밀어 나사 나선에 따라 운동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면 10을 참조하면, F는 외력, F1는 수직항력, fFn는 마찰력, Fa는 축방향의 하중, Φ는 리드각, p'는 등가 마찰 각도, F2는 총반력, β는 암나사(204)의 힘의 작용점과 나사 축선에 수직인 수선이 이루는 각이다. 삼각형의 나사의 경우, 슬라이드블록이 사면을 따라 등속으로 미끌어져 내릴 때 받는 힘에 대해 분석면 아래와 같은 식을 얻을 수 있다.
F=Fa*tg(p'-Φ), p'=arctgfcos β, 즉 F=Fa*tg(arctgfcosβ-Φ)
Fa가 동일할 경우, β의 수치가 클 수록 F의 수치가 크다. R타입 나사의 장점은 단일각도의 규제를 타파한 것이다. 힘을 받는 면에서 점을 취하여 분석한 결과, R타입 나사의 임의의 힘의 작용점과 나사 축선에 수직되는 수직선이 이루는 각β는 통상의 암나사(204)의 힘의 작용면에서의 β의 수치보다 크다. 따라서, 풀림방지 암나사(204)가 풀리거나 탈락함에 수요되는 외력F가 통상의 나사보다 훨씬 크다. 이에 따라 R타입의 나사는 아주 훌륭한 풀림방지 효과를 가진다.
R타입 나사는 타이트하게 조여질 경우, 수(암)나사의 산봉우리 끝단과 R타입 면은 긴밀히 접촉되므로 통상의 나사가 힘을 균일하게 받지 못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통상의 수(암)나사가 회전 시 주요하게 암나사의 첫번째 회와 두번째 회의 나사와 수나사(205)가 접촉하는 부분만 힘을 받고 기타 부분의 나사산은 힘을 아주 적게 받는다. R타입 나사는 회전 시 나사에 배합하여 각 나사산의 산봉우리 끝단이 모두 R타입의 호에 긴밀히 받쳐져 나선형선 접촉을 형성하고 나선형선의 모든 나사산이 받는 하중이 모두 수(암)나사에 효과적으로 전달됨으로써 횡방향의 진동에 대항할 수 있고 또 수(암)나사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분석으로부터 본 고안에 따른 R타입 나사와 종래의 표준 나사의 차이점은 하기 여러 방면에서 구현됨을 알 수 있다. 도면 6 내지 9를 참조하면: 첫째, R타입 암(수)나사는 그 골밑 부분에 R타입의 면 하나를 설계하여 수(암)나사가 R타입의 암(수)나사와 상호 예비 조임 시, 수(암)나사산의 산봉우리 끝단이 안쪽으로 약간 수축하면서 R타입의 면에 받쳐지는데, 이는 30도 쐐기모양의 나사가 아주 큰 측방향의 힘을 산생하여 나사를 파괴하는 것과는 달리, 수(암)나사의 산봉우리 끝단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둘째, 수(암)나사와 R타입 암(수)나사가 상호 조임 시, 수나사(205)의 산봉우리 끝단은 R타입의 면에 긴밀히 받쳐져 아주 큰 잠금력을 생성한다. R타입의 구조를 통해 나사의 접촉으로 생성된 수직항력과 나사축선은, 미터제 또는 미국제 나사와 같은 30도각에 의해 지지되거나 영국제 나사의 27.5도각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아니라, R타입의 면에 의해 지지되게 한다. 셋째, R타입의 면은 받는 힘에 대해 더욱 양호한 전도성을 가져 힘을 수(암)나사 본체에 효과적으로 가하여 R타입 암(수)나사의 수직항력이 잠금압력보다 훨씬 크다. 따라서 생성되는 풀림방지 마찰력도 필연코 크게 증가된다. 넷째, 미터제, 미국제 또는 영국제의 수(암)나사의 산봉우리는 R타입의 암(수)나사와 교합 시, 산봉우리부분의 끝단이 수축하기 용이하여 하중을 접촉된 나선형선의 전체 길이에 균일하게 분포되게 한다. 그러나 통상의 표준나사는 교합 시 80% 이상의 총하중이 첫번째 나사산과 두번째 나사산의 나사의 면에 집중적으로 작용한다.
상기로부터 볼 때, 본 고안에 따른 R타입 나사는 하기의 장점을 가진다: 1. 확실한 진동에 의한 풀림방지 성능, 2. 체결부재의 사용수명을 현저하게 제고함, 3. 스프링와셔, 스페이서와 같은 보조 잠금부재가 필요없이 풀림방지 목적을 실현함, 4. 급격한 온도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고 풀림방지의 목적을 실현하여 적용하는 환경의 범위가 넓음, 5. 표준의 미터제, 미국제, 영국제의 수나사(205)와 매칭됨, 6. 연성재질(예를 들어 구리재질, 알루미니움합금 등)의 나사산 풀림을 효과적으로 극복, 7. 나사를 다 죄일 경우에만 모멘트를 가하므로 부품을 해체하는데 편이함, 8. 수요에 따라 왼쪽 나사 또는 오른쪽 나사 모두 제조 가능함.
본 실시예에서 전이선(103)은 바람직하게는 호선(104)이다. 호선(104)는 암수나사의 비유효응력을 감소하고 나사 풀림 또는 탈락에 필요한 외력을 제고시켜 풀림방지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R타입 나사 중 제1리드 플랭크(101) 및 제2리드 플랭크(102)는 모두 선분으로서 암나사(204)와 수나사(205)의 길밀한 접촉을 확보하여 마찰력을 증가시키고 유효응력을 증가시킨다.
그 중 도면 2를 참조하면, 호선(104)의 원호의 반경이 나사의 피치이다. 호선 (104)의 형상을 결정하는 것은 나사를 가공하는데 유리하다. 추가로, 호선의 형상에 대하여 정확히 결정하는 것은 나사의 실제 가공생산에 편이를 준다. 호선(104)와 제1리드 플랭크(101)가 만나는 점은 제1교차점(107)이고 호선(104)와 제2리드 플랭크(102)이 만나는 점은 제2교차점(108)이다. 제1교차점(107)과 제2교차점(108)사이를 연결하는 선은 연결선(109)이다. 연결선(109)와 제2리드 플랭크(1020는 서로 수직되고 호선(104)가 대응하는 원의 원심은 연결선(109)의 수직이등분선(203)에 놓인다.
도면 2를 참조하면, 제1교차점(107)은 나사 유효경에 놓인다. 전이선(103)의 시작점과 끝점 및 제1리드 플랭크(101)과 제2리드 플랭크(102)의 길이를 결정하는 것은 나사의 가공에 편이를 준다.
나사산 모양의 나사산 각도는 30도보다 크거나 같다. "나사의 각도"라 함은 나사의 축단면에 있어서 나사산의 양측 변이 이루는 각을 말한다. 제1리드 플랭크(101)과 제2리드 플랭크(102)가 이루는 각은 배합되는 수나사(205)에 따라 변한다. 미터제, 미국제의 수나사(205)와 배합 시 60도각이고, 영국제의 수나사(205)와 배합 시에는 55도각이다. 미터제, 미국제 및 영국제의 삼각형 수나사(205)를 본 고안에 따른 R타입 암나사(204)에 조여 넣을 경우, 제2리드 플랭크(102)측을 따라 손쉽게 조일 수 있다. 꽉 조일 경우, 수나사(205)의 산봉우리 끝단이 R타입의 면에 긴밀히 받쳐져 아주 큰 잠금력을 생성한다. 나사산의 양측 변이 이루는 각은 30도보다 크커나 같을 경우, 부동한 규격의 나사와 배합하는데 편이하다.
실시예 2: 도면 4와 5를 참조
도면 4와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R타입 나사의 전이선(103)은 복수의 선분(105)가 연결되어 형성될 수 도 있다. 인접한 선분사이의 교차각의 범위는 90도 내지 180도이다. 여기서, "교차각"이라 함은 산봉우리를 향한 각을 말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R타입 나사의 전이선(103)은 복수의 곡선(106)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도 있다. 전이선(103)은 호형일 수도 있고 복수의 선분(105)가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자체로 풀림방지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전이선(103)은 바람직하게는 호선(104)이고 복수의 곡선(106)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전이선(103)의 효과는 호선(104)형의 전이선(103)의 효과와 동등하다.
이때 부동한 규격의 나사에 따라 전이선(103)의 시작점과 끝점사이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나사의 가공제조에 편이를 준다. 전이선(103)과 제1리드 플랭크(101)가 만나는 점은 제1교차점(107)이고 전이선(103)과 제2리드 플랭크(102)가 만나는 점은 제2교차점(108)이다. 제1교차점(107)과 제2교차점(108)사이를 연결하는 선은 연결선(109)이다. 연결선(109)와 제2리드 플랭크(102)는 서로 수직된다.
그 중, 제1교차점(107)은 나사의 유효경에 놓이고, 전이선(103)의 시작점과 끝점 및 제1리드 플랭크(101)과 제2리드 플랭크(102)의 길이를 결정하는 것은 나사의 가공에 편이를 준다.
외경(200)은 수나사의 산봉우리 또는 암나사의 골밑과 중합되는 가상적은 원통의 지름이다. 내경은 수나사의 골밑 또는 암나사의 산봉우리와 중합되는 가상적인 원통의 지름이다. 유효경(202)는 나사 사이의 홈 폭이 산의 폭과 같게 되는 가상적인 원통의 지름이다.
나사산 양측 변이 이루는 각도는 30도보다 크거나 같다. 제1리드 플랭크(101)과 제2리드 플랭크(102)가 이루는 각은 배합되는 수나사(205)에 따라 변한다. 미터제, 미국제의 수나사(205)와 배합 시 60도각이고, 영국제의 수나사(205)와 배합 시에는 55도각이다. 미터제, 미국제 및 영국제의 삼각형 수나사(205)를 본 고안에 따른 R타입 암나사(204)에 조여 넣을 경우, 제2리드 플랭크(102)를 따라 손쉽게 조일 수 있다. 꽉 조일 경우, 수나사(205)의 산봉우리 끝단이 R타입의 면에 긴밀히 받쳐져 아주 큰 잠금력을 생성한다. 나사산 양측 변이 이루는 각은 30도보다 크커나 같을 경우, 부동한 규격의 나사와 배합하는데 편이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일뿐 본 고안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본 고안은 여러가지 변형 또는 변경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원칙의 범위 내의 임의의 수정, 동등 수단의 교체, 개진 등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101: 제1리드 플랭크 102:제2리드 플랭크
103: 전이선 104: 호선
105: 선분 106: 곡선
107: 제1교차점 108: 제2교차점
109: 연결선 200: 외경
201: 내경 202: 유효경
203: 수직이등분선 204: 암나사
205: 수나사

Claims (10)

  1. 나사산 모양의 양측 변이 각각 제1리드(lead) 플랭크(flank) 및 제2리드(lead) 플랭크(flank)이며, 상기 제1리드 플랭크와 상기 제2리드 플랭크 사이는 전이선(transition line)을 통하여 연결되며,상기 전이선은 산봉우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전이선은 호선(arc line)이고,
    상기 호선과 제1리드 플랭크가 만나는 점은 제1교차점이고, 상기 호선과 제2리드 플랭크가 만나는 점은 제2교차점이며, 상기 제1교차점과 상기 제2교차점사이를 연결하는 선은 연결선이고, 상기 연결선과 상기 제2리드 플랭크는 상호 수직되며, 상기 호선은 원호이고 상기 원호의 중심은 상기 연결선의 수직이등분선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타입 나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선은 복수의 선분이 연결되어 형성되고, 인접한 상기 선분 사이의 교차각의 범위는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R타입 나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선은 복수의 곡선이 연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타입 나사.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선과 제1리드 플랭크가 만나는 점은 제1교차점이고, 상기 전이선과 제2리드 플랭크가 만나는 점은 제2교차점이며, 상기 제1교차점과 상기 제2교차점사이를 연결하는 선은 연결선이고, 상기 연결선과 상기 제2리드 플랭크는 상호 수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타입 나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차점은 나사의 유효경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타입 나사.
  7.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 모양의 나사산 각도는 30도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R타입 나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선의 원호의 반경은 나사의 피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타입 나사.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드 플랭크와 제2리드 플랭크는 모두 선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타입 나사.
KR2020160003710U 2016-01-18 2016-06-27 R타입 나사 KR20048747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031951.4A CN105485140B (zh) 2016-01-18 2016-01-18 一种r型螺纹
CN201610031951.4 2016-0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673U KR20170002673U (ko) 2017-07-26
KR200487472Y1 true KR200487472Y1 (ko) 2018-09-21

Family

ID=55411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710U KR200487472Y1 (ko) 2016-01-18 2016-06-27 R타입 나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45412B2 (ko)
EP (1) EP3193028A1 (ko)
JP (1) JP3206288U (ko)
KR (1) KR200487472Y1 (ko)
CN (1) CN105485140B (ko)
TW (1) TWM53575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4268B2 (en) * 2017-07-20 2022-09-27 Illinois Tool Works Inc. Coupler for threaded reinforcing bar
JP6684312B2 (ja) * 2018-06-19 2020-04-22 株式会社八幡ねじ ゆるみ防止金属製雄ねじ
US20210277930A1 (en) * 2020-03-04 2021-09-09 Production Spring, LLC Internally threaded fastener having a prevailing torque fea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176135U (zh) * 2013-04-02 2013-09-04 麦海东 一种抗高频振动的螺母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3402A (en) * 1965-10-08 1967-06-06 Standard Pressed Steel Co Thread forms
US3385340A (en) * 1966-04-22 1968-05-28 Lock Thread Corp Lock fastener
US4076064A (en) * 1975-10-08 1978-02-28 Holmes Horace D Locking thread construction
US4171012A (en) * 1975-11-25 1979-10-16 Holmes Horace D Locking thread construction
US4023914A (en) * 1976-01-15 1977-05-17 Holmes Horace D Locking thread forming tap
US4549754A (en) * 1983-06-20 1985-10-29 Reed Tubular Products Company Tool joint
US4907926A (en) * 1985-02-15 1990-03-13 Wing George S Thread form and fastener system using the form
JPH0686916B2 (ja) * 1988-11-01 1994-11-02 エスエムシー株式会社 管継手
US5127784A (en) * 1989-04-19 1992-07-07 Halliburton Company Fatigue-resistant buttress thread
US5060740A (en) * 1990-05-29 1991-10-29 Sandvik Rock Tools, Inc. Screw thread coupling
JPH09291918A (ja) * 1996-04-30 1997-11-11 Dandori Seisakusho:Kk タッピンねじ
US6467818B1 (en) * 1999-10-01 2002-10-22 Grant Prideco, L.P. Drill collar box
US7416374B2 (en) * 2003-01-29 2008-08-26 Grant Prideco, L.P. Fast make-up fatigue resistant rotary shouldered connection
FR2863681B1 (fr) * 2003-12-11 2006-02-24 Vallourec Mannesmann Oil & Gas Joint tubulaire a filetages coniques resistant a la fatigue
ATE482341T1 (de) 2004-11-03 2010-10-15 Wabco Gmbh Gewinde für eine schraubverbindung
TWI400394B (zh) * 2009-02-12 2013-07-01 Yugen Kaisha Art Screw Fastening members and fastening structures
WO2010133116A1 (zh) * 2009-05-21 2010-11-25 上海底特精密紧固件有限公司 具有内螺纹的紧固构件和螺纹紧固组件
CN103069179B (zh) * 2010-02-26 2015-02-25 艺术螺丝钉有限会社 紧固构件及紧固构造
KR101218911B1 (ko) * 2010-07-16 2013-01-07 대구텍 유한회사 나사 체결 장치
CN102536994A (zh) * 2010-12-17 2012-07-04 上海底特精密紧固件有限公司 具有外螺纹的紧固构件和螺纹紧固组件
CN202991800U (zh) * 2012-11-19 2013-06-12 上海振高螺母有限公司 一种变牙型防松螺纹
JP2014206234A (ja) * 2013-04-13 2014-10-30 辻坂 宏 締結部材
CN205478844U (zh) * 2016-01-18 2016-08-17 霍永久 一种r型螺纹结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176135U (zh) * 2013-04-02 2013-09-04 麦海东 一种抗高频振动的螺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04894A1 (en) 2017-07-20
TWM535755U (zh) 2017-01-21
CN105485140B (zh) 2018-03-06
JP3206288U (ja) 2016-09-08
US9945412B2 (en) 2018-04-17
EP3193028A1 (en) 2017-07-19
CN105485140A (zh) 2016-04-13
KR20170002673U (ko) 201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7472Y1 (ko) R타입 나사
EP1918595B1 (en) Controlled shear bolt assembly
US8408938B2 (en) Electric plug-in connector with a union nut
CN106065894B (zh) 一种防振式快卸锁机构
GB2140523A (en) Shear head screws or bolts, or shear head adapter
CA2862709C (en) Torque controlling break screw
US8425264B2 (en) Electrical connector
CN206060126U (zh) 一种球头挂环
US20110266389A1 (en) Pin system for the connection assembly of an engine pylon underneath a wing of an aircraft
US5749670A (en) Method for fastening parts together and resulting structure
WO2013114687A1 (ja) ターミナル接続固定構造
CN114893488A (zh) 一种基于锁止装置的防松紧固螺栓
CN205478844U (zh) 一种r型螺纹结构
WO2017088785A1 (zh) 锥形螺纹连接副
CN108006051B (zh) 防松螺纹副及防松螺纹件
CN108612729A (zh) 多功能防松动螺栓螺母
CN2791329Y (zh) 一种可拆卸永不松动脱落的螺纹联接件
CN205895850U (zh) 一种防振式快卸锁机构
CN102278349A (zh) 紧固螺栓的连接装置和方法
CN114630966A (zh) 用于断开螺栓的扭矩限制螺母
CN220286171U (zh) 固定螺栓和紧固组件
CN205918737U (zh) 一种螺钉及螺母组合件
CN205977933U (zh) 金属组件以及具有其的车辆
SU1017177A3 (ru) Штуцерное соединение дл электрода печи
JP2020133661A (ja) ね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