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408Y1 - 다용도 빗 및 이를 결합한 효자손 - Google Patents

다용도 빗 및 이를 결합한 효자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408Y1
KR200487408Y1 KR2020170002257U KR20170002257U KR200487408Y1 KR 200487408 Y1 KR200487408 Y1 KR 200487408Y1 KR 2020170002257 U KR2020170002257 U KR 2020170002257U KR 20170002257 U KR20170002257 U KR 20170002257U KR 200487408 Y1 KR200487408 Y1 KR 2004874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s
comb
regular intervals
main body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2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해종
Original Assignee
모해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해종 filed Critical 모해종
Priority to KR20201700022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4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4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4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04Multi-part combs
    • A45D24/10Multi-part combs combined with additional devices
    • A45D24/14Multi-part combs combined with additional devices with handle designed to be attached to the hand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3Hand-held or hand-drive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024/002Accessories therefor

Abstract

머리빗, 두피 마사지기, 비누 받침, 효자손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다용도 빗 및 이를 결합한 효자손이 개시된다.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빗은, 중앙 홀을 구비하고 원판형 프레임을 이루는 본체; 머리를 빗거나 감을 때 빗살 역할을 수행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 및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의 반대면인 하면에 상기 중앙 홀을 매개로 원통형으로 연장 돌출된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용도 빗 및 이를 결합한 효자손 {Versatile comb and scratchback having this comb}
본 고안은 머리빗, 두피 마사지기, 비누 받침, 효자손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다용도 빗 및 이를 결합한 효자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는 머리를 빗기 위한 빗이 적어도 몇 개씩은 구비하고 있다. 현대에 이르러 다양 헤어스타일과 외모를 중시하는 경향에 따라 특히 빗을 개인적으로 많이 소장하고 있다.
머리빗은 머리의 손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어 머리에 빗질을 함으로서 머리를 정리정돈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헤어 스타일링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물건이다. 이러한 머리빗은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연결된 빗대와, 상기 빗대의 하측에 연결 형성된, 다수의 빗살을 포함하는 있는 것이 보통이다. 머리를 감고 나서 머리를 정돈할 때에는 수건으로 모발을 닦은 후에도 모발에는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헤어 스타일링을 하기 위해서는 모발의 완벽한 건조가 필요하다.
머리빗은 여러 종류가 존재한다. 다수의 빗살이 일자형으로 형성된 것에서부터 쿠션을 갖는 평면에 복수개의 빗살들이 박혀 있는 것 등 머리빗은 많은 종류가 있다.
그러나, 머리빗은 그야말로 머리빗 외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 거의 없다. 머리빗에 거울을 붙인다거나, 칼날을 은폐 가능하게 설치한다든지, 다용도를 위하여 여러 종류의 머리빗이 제시되고 있으나, 단순한 결합에 의한 것이 대부분 이라 별다른 효과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10245호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머리를 빗거나 머리를 감을 때 빗과 마사지기로서, 비누의 받침대로서, 그리고 효자손으로서 사용이 모두 가능한 다용도 빗 및 이를 결합한 효자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중앙 홀을 구비하고 원판형 프레임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 및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의 반대면인 하면에 상기 중앙 홀로부터 원통형으로 연장 돌출된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라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상면 외곽에서 상기 중앙 홀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의 외곽에는 격벽이 테두리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는 상기 본체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는 상기 본체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제1돌출부와, 상기 복수개의 제1돌출부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 상기 복수개의 제1돌출부보다 내측의 원호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제2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제1돌출부와 상기 복수개의 제2돌출부는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되, 상기 복수개의 제1돌출부와 상기 복수개의 제2돌출부가 동일한 방사선 상에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방사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레일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부는 외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부 또는 홈부가 구비되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 다용도 빗의 손잡이부가 삽입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일정 거리 연장되는 막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고안은 방사형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돌출부들이 빗살 역할을 하기 때문에 평상시와 머리를 감을 때 머리빗이나 두피 마사지기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2) 본 고안은 비눗물이 빠져 나갈 수 있도록 중앙 홀을 구비하고 내측의 제2돌출부가 외곽의 제1돌출부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비누가 놓일 수 있기 때문에 비누 받침대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3) 본 고안은 다용도 빗에 구비된 손잡이를 효자손의 결합부에 결합하여 효자손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빗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빗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빗의 정면도이다.
도 4은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빗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빗의 저면도이다.
도 6는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빗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빗의 부분 절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빗을 결합하는 효자손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빗(1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빗(10)은, 도 1 내지도 7을 참고하면, 본체(20), 돌출부(30), 그리고 손잡이부(4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중앙 홀(20a)을 구비하고 원판(21)형 프레임을 이룬다. 상기 본체(20)는 도 6을 참고하면, 제1돌출부(31), 원판(21), 그리고 손잡이부(40)의 몸체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20)는 상면 외곽에서 상기 중앙 홀(20a)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에 의해 상부에 비누가 놓이는 경우, 비눗물이 원판(21)의 경사를 따라 중앙 홀(20a)로 흘러 내려 자연스러운 배수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본체(20)의 외곽에는 격벽(22)이 테두리를 따라 구비된다. 비누가 상부에 놓이는 경우 비눗물이 외곽으로 넘지는 것을 방지하여 모든 비눗물들이 중앙 홀(20a)을 경유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격벽(22)에 의해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20)의 상면에는 방사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레일(21a)이 구비된다. 상기 레일(21a)에 의해 비눗물이 더욱 중앙 홀(20a)로 신속하게 흘러가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20)의 원판(21)과 격벽(22)은 테두리 외관부분이 단순한 원호형이 아닌, 마치 웨이브처럼 굽이치는 형상으로 들어가고 나가는 부분이 연속적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사용자가 손으로 외곽부분을 잡을 때 좀 더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조력하게 된다.
여기서, 제1돌출부(31)가 형성된 부분은 외곽으로 나오고, 제1돌출부(31) 사이의 공간(22a)은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홈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3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머리를 빗거나 감을 때 빗살 역할을 수행하도록 상기 본체(20)의 상면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30)는 상기 본체(20)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30)는 상기 본체(20)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제1돌출부(31)와, 상기 제1돌출부(31)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 상기 제1돌출부(31)보다 내측의 원호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제2돌출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제2돌출부(32)가 상기 제1돌출부(31)보다 낮게 형성되어 머리가 구형인 점을 감안하면 머리의 표면 형태에 더욱 적합한 구조를 가지게 되어 인체공학적으로 머리를 빗을 때 효율을 증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돌출부(31)와 상기 제2돌출부(32)는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1돌출부(31)와 상기 제2돌출부(32)가 겹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돌출부(31)는 제2돌출부(32)는 8개가 45도 간격으로 각각 구비되어 있고, 제1돌출부(31) 사이에 제2돌출부(32)가 하나씩 위치하도록 22.5도의 위상차를 가진다. 따라서 머리를 빗을 때 더욱 많은 돌출부의 분포도를 가지게 된다.
상기 손잡이부(4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30)의 반대면인 하면에 상기 중앙 홀(20a)을 매개로 원통형으로 연장 돌출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40)는 외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부(41) 또는 홈부가 구비되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외에도 후술하는 다른 부품과의 결합시 겉돌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빗(10)은 머리를 감을 때, 머리를 빗을 때, 두피를 마사지 할 때, 상기 돌출부(30)들을 머리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머리를 빗거나 마사지 하게 된다.
상기 다용도 빗(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비누 받침대로도 사용이 가능한데, 이때 에는 상기 손잡이부(40)를 하부로 하고 세운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30) 위에 비누를 놓게 되면 비누의 비눗물이 본체(20)의 원판(21)으로 떨어진 다음, 상기 중앙 홀(20a)을 통하여 하부로 배출되어 그 주변의 외관상의 오염을 막아주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빗(10)을 결합한 효자손(2)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손잡이부(40)가 삽입되는 결합부(2a)와, 상기 결합부(2a)로부터 일정 거리 연장되는 막대부(2c)와, 막대부(2c)의 일단에 구비된 손잡이(2b)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결합부(2a)에는 다용도 빗(10)의 손잡이부(40)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구비되어 손잡이부(40)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다용도 빗(10)이 고정된다. 물론 이때에는 상기 손잡이부(40)의 돌출부(41) 또는 홈부가 이에 대응되는 상기 결합홈의 돌출부 또는 홈부에 서로 대응되도록 결합되어 결합 후, 겉돌지 않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다용도 빗(10) 본체를 상기 결합부(2a)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손잡이(2b)를 잡고 효자손으로 사용하면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2 : 효자손
10 : 다용도 빗 20 : 본체
21 : 원판 22 : 격벽
30 : 돌출부 31 : 제1돌출부
32 : 제2돌출부 40 : 손잡이부

Claims (9)

  1. 중앙 홀을 구비하고 원판형 프레임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의 반대면인 하면에 상기 중앙 홀로부터 원통형으로 연장 돌출된 손잡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면 외곽에서 상기 중앙 홀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상기 복수개의 돌출부는 상기 본체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제1돌출부와, 상기 복수개의 제1돌출부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 상기 복수개의 제1돌출부보다 내측의 원호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제2돌출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본체의 외곽부분을 잡을 때 좀 더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테두리가 웨이브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돌출부가 형성된 부분은 외곽으로 돌출되고, 제1돌출부 사이의 공간은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는 외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부 또는 홈부가 구비되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다용도 빗.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곽에는 격벽이 테두리를 따라 구비된 다용도 빗.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돌출부와 상기 복수개의 제2돌출부는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되, 상기 복수개의 제1돌출부와 상기 복수개의 제2돌출부가 동일한 방사선 상에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된 다용도 빗.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방사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레일이 구비된 다용도 빗.
  8. 삭제
  9. 제1항, 제3항, 제6항, 제7항 중의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의한 다용도 빗을 결합한 효자손으로서,
    상기 다용도 빗의 손잡이부가 삽입되되 결합 후 겉돌지 않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돌출부 또는 홈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결합홈이 형성된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일정 거리 연장되는 막대부;
    를 포함하는 다용도 빗을 결합한 효자손.
KR2020170002257U 2017-05-08 2017-05-08 다용도 빗 및 이를 결합한 효자손 KR2004874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257U KR200487408Y1 (ko) 2017-05-08 2017-05-08 다용도 빗 및 이를 결합한 효자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257U KR200487408Y1 (ko) 2017-05-08 2017-05-08 다용도 빗 및 이를 결합한 효자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408Y1 true KR200487408Y1 (ko) 2018-09-12

Family

ID=63588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257U KR200487408Y1 (ko) 2017-05-08 2017-05-08 다용도 빗 및 이를 결합한 효자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40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2601U (ja) * 1997-04-17 1997-10-31 震勳 林 多機能按摩器
JP2007111260A (ja) * 2005-10-20 2007-05-10 Eiji Matsumoto 石けん置き
KR20080010245A (ko) 2006-07-28 2008-01-30 차대용 드라이 전용 빗
JP2013202172A (ja) * 2012-03-28 2013-10-07 Kao Corp 頭皮マッサージ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2601U (ja) * 1997-04-17 1997-10-31 震勳 林 多機能按摩器
JP2007111260A (ja) * 2005-10-20 2007-05-10 Eiji Matsumoto 石けん置き
KR20080010245A (ko) 2006-07-28 2008-01-30 차대용 드라이 전용 빗
JP2013202172A (ja) * 2012-03-28 2013-10-07 Kao Corp 頭皮マッサージ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8224B1 (en) Exfoliating brush assembly
US5575034A (en) Foot cleaning and massaging mat system
US20110138556A1 (en) Hair Brush
USD834832S1 (en) Hair brush bristle configuration
KR200487408Y1 (ko) 다용도 빗 및 이를 결합한 효자손
KR101762851B1 (ko) 세면기용 목과 머리 받침장치
US4947799A (en) Apparatus for grooming animals
KR101167115B1 (ko) 세척기능을 갖는 샤워기 헤드
US10349730B2 (en) Juicer Brush
KR101620213B1 (ko) 변기 겸용 욕조를 구비한 샤워부스
US20080196740A1 (en) Shave Cream Applicator
KR101675943B1 (ko) 이중 빗
KR200483518Y1 (ko) 휴대용 칫솔 케이스
KR200318658Y1 (ko) 헤어 브러쉬의 캡 결합구조
US1801196A (en) Toilet equipment
JP3206162U (ja) 歯ブラシのヘッド
KR101691704B1 (ko) 화장품 용기
US20170239805A1 (en) Hair Brush
KR102367961B1 (ko) 스프레이용 페이스 커버
KR200338765Y1 (ko) 샴푸대용 샴푸 보관장치
KR101903550B1 (ko) 발 세척도구
KR102629926B1 (ko) 세척이 용이한 샴푸대
KR200326389Y1 (ko) 헤어브러쉬 청소장치
KR200483265Y1 (ko) 지지부가 구비된 브러쉬
KR102146160B1 (ko) 지지대가 구비된 화장용 브러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