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518Y1 - 휴대용 칫솔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용 칫솔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518Y1
KR200483518Y1 KR2020160001541U KR20160001541U KR200483518Y1 KR 200483518 Y1 KR200483518 Y1 KR 200483518Y1 KR 2020160001541 U KR2020160001541 U KR 2020160001541U KR 20160001541 U KR20160001541 U KR 20160001541U KR 200483518 Y1 KR200483518 Y1 KR 2004835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ower case
rim
toothbrush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5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익
Original Assignee
(주)주영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주영산업 filed Critical (주)주영산업
Priority to KR20201600015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5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5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5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4Protective covers for the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2Devices for holding brushes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칫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로 구성되고 일측으로 힌지 연결되며 타측을 누르면 개폐(開閉)될 수 있기 위한 휴대용 칫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칫솔 케이스는 내부에 칫솔이 수용되는 하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일측에 힌지부로 결합되는 상부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케이스 및 상부케이스의 대응되는 측면부에 각각 체결돌기와 체결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부가 형성된 상기 상부케이스의 측면부 내측에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면부 내측에 밀착되는 리브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면부 내측으로 완만하게 꺾어 들어가는 굴곡부(135)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를 견고하게 지지하며, 상기 체결홈부가 형성된 상기 상부케이스의 측면부 내측 좌우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케이스 및 상부케이스를 닫을 때 상호 겹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눌림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케이스 상단 내측으로 테두리를 따라 소정 높이의 테두리내측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스 하단 외측으로 테두리를 따라 상기 테두리내측부에 대응하여 안착하는 테두리외측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 하부면에 다수의 상하 관통하는 개구된 긴 슬롯(slot)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덧살부가 형성된 배수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케이스 하부면의 두께를 t라 하면, 상기 보조덧살부는 (1.3 ~ 1.5)×t의 두께로 하여 상기 배수부가 사람의 손가락 힘에 의해 쉽게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칫솔 케이스{Portable toothbrush case}
본 고안은 휴대용 칫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로 구성되고 일측으로 힌지 연결되며 타측을 누르면 개폐(開閉)될 수 있기 위한 휴대용 칫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칫솔은 브리태니커 사전에 이를 깨끗하기 위해 앞뒤로 움직여 사용하는 도구라고 되어 있다.
현대의 강모 칫솔은 일반적으로 15세기 중국에서 유래했다고 추정된다. 1498년 집필된 중국의 백과사전은 시베리아 야생 멧돼지의 목 부분에서 채취한 짧고 거친 강모를 동물의 뼈로 만든 손잡이에 심은 기구를 묘사하고 있는데, 이는 이를 닦는 데 사용된 것이었다. 중국 상인들은 이 브러시를 유럽에 가져갔으며, 멧돼지의 털이 예민한 유럽인의 잇몸에는 너무 거칠다고 여겨졌음에도 불구하고 큰 인기를 누렸다. 좀더 부드러운 말의 털이 대안으로 사용되기도 했지만 멧돼지 털이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 남아 있었다.
칫솔이 치위생을 위한 인류 최초의 시도는 아니었다. 기원전 3000년경으로 거슬러올라가는 '치아 막대기'들이 이집트 파라오의 무덤을 발굴하는 과정에서 출토되었다. 이들은 얇은 나뭇가지나 섬유질이 많은 관목의 목재로 만들어졌으며 치아 사이를 닦고 입 냄새를 없애기 위해 사용되었다. 구강 위생과 입 냄새 제거를 위해 향이 나는 관목으로 만들어진 '씹는 막대기'는 16세기에 중국인들이 사용했다.
최초로 대량 생산된 칫솔은 1780년에 영국의 발명가 윌리엄 애디스에 의해 만들어지고 상품화되었다. 이것은 멧돼지 털과 돼지의 광모를 소의 허벅지 뼈 끝에 부착한 것이었다. 1840년대 중반에는 보다 기하학적인 디자인이 등장하였으며, 이때 처음으로 칫솔모가 일렬로 정렬되었다. 1938년에 뒤퐁 드 느무르가 나일론을 발명하기 전까지는 계속해서 천연모가 사용되었다. 세계 최초의 전동 칫솔은 1939년에 등장했다.
칫솔은 현재까지도 사용되는 가장 오래된 발명품 중 하나로, 없어서는 안될 물건의 리스트에서 자동차나 퍼스널 컴퓨터 등의 더 멋진 발명품들보다 상위를 차지한다.
이러한 칫솔은 유해한 세균들이 쉽게 번식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욕실 등에 별도의 칫솔살균기를 구비하여 위생을 유지한다.
한편, 사무실에서도 식후에 양치질을 하기 위해 칫솔을 구비하여 두는데, 이러한 사무실은 다양한 사람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이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가정에서 사용하는 칫솔살균기를 구비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여행, 출장시에도 칫솔을 구비하여 여행 등을 떠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도 칫솔을 위생적으로 보관할 케이스 등이 없어서 흔히 칫솔을 비닐봉지 등에 넣어서 임의로 보관한다.
따라서 외관상으로도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비위생적이므로 가정뿐만 아니라 사무실이나 여행 중에 자신의 칫솔을 위생적으로 휴대하기 위한 칫솔 케이스가 필요하였고 다양한 디자인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칫솔 케이스는 통기가 용이하지 못하거나 물기가 케이스 내부에 잔재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케이스를 바닥에 떨어뜨리거나 휴대 중 다른 소품과의 접촉이 발생할 경우에 체결부의 결합상태가 와해되어 힌지의 작용에 의해 뚜껑이 개방되어 버리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이로 인해 칫솔이 오염된 화장실 바닥에 떨어지거나 기타 외부의 오염원에 의해 오염됨으로써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1123호, 고안의 명칭 '칫솔 케이스' 공개일(2014.02.21.)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칫솔 케이스 내에 빠른 통기 및 배수를 위하여 통기구 및 배수구가 구비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쉽게 칫솔 케이스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칫솔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칫솔 케이스는 내부에 칫솔이 수용되는 하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일측에 힌지부로 결합되는 상부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케이스 및 상부케이스의 대응되는 측면부에 각각 체결돌기와 체결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부가 형성된 상기 상부케이스의 측면부 내측 좌우에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면부 내측에 밀착되는 리브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면부 내측으로 완만하게 꺾어 들어가는 굴곡부(135)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를 견고하게 지지하며, 상기 체결홈부가 형성된 상기 상부케이스의 측면부 내측 좌우에 돌출되어 상기 하부케이스 및 상부케이스를 닫을 때 상호 겹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눌림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케이스 상단 내측으로 테두리를 따라 소정 높이의 테두리내측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스 하단 외측으로 테두리를 따라 상기 테두리내측부에 대응하여 안착하는 테두리외측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 하부면에 다수의 상하 관통하는 개구된 슬롯(slot)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롯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덧살부가 구비된 배수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 하부면의 두께를 t라 하면, 상기 보조덧살부는 (1.3 ~ 1.5)×t의 두께로 하여 상기 배수부가 사람의 손가락 힘에 의해 쉽게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휴대용 칫솔 케이스는 떨어뜨리거나 외부 충격 등으로 쉽게 개방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외부 충격에 쉽게 개방되지 않으므로 수용된 칫솔 등이 쉽게 오염되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개폐(開閉) 소리를 통하여 열리고 닫힘을 알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보조덧살부(141)가 구비된 배수부가 형성되어 재료비를 절약하면서 쉽게 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굴곡부(135)는 하부케이스(110)의 측면부(130a) 주위에 완만하게 커브(curve)게 꺾어진 굴곡부(135)로 인하여 수직돌기(132a) 및 체결돌기(131a)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눌림부(136)가 구비되므로 하부케이스(110) 및 상부케이스(120)가 닫히면서 상호 겹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부케이스(110) 및 상부케이스(120)에 테두리내측부(138a) 및 테두리외측부(138b)가 서로 대응되는 결합 형상을 이루므로, 하부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20)가 닫힘이 용이하도록 안내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칫솔 케이스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일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 부분을 도시한 확대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칫솔 케이스의 상하부케이스 측면부 일부를 도시한 확대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B-B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칫솔 케이스가 닫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을 아래서 위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C-C 단면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C-C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을 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7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의 도시에 있어서 요소들 간의 크기 비율이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하는 부품들 간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상에 나타나는 표현의 차이는 해당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 가능한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칫솔 케이스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일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A' 부분을 도시한 확대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칫솔 케이스의 상하부케이스 측면부(130a, 130b) 일부를 도시한 확대도면이며, 도 6은 도 2의 B-B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제안하는 휴대용 칫솔 케이스의 구조 및 개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칫솔(미도시)이 수용되는 하부케이스(110)와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일측에 힌지부(101)로 결합되는 상부케이스(120)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하부케이스(110) 및 상부케이스(120)의 대응되는 측면부(130a, 130b)에 각각 체결돌기(131a)와 체결홈부(131b)가 형성된 휴대용 칫솔 케이스(100)이다.
체결돌기(131a)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10) 측면부(130a)에 소정 높이 수직으로 돌출된 수직돌기(132a)의 일측면으로 돌기된다.
체결홈부(131b)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20) 측면부(130b) 내측으로 상기 체결돌기(131a)가 형성된 깊이까지 대응하여 체결턱(132b)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턱(132b)을 지나 형성된 홈(groove)부다.
체결홈부(131b)가 형성된 상부케이스(120)의 측면부(130b) 내측에 하부케이스(110)의 측면부(130a) 내측으로 밀착되는 리브(rib)부(134)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뼈대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부케이스(120)가 닫힌 상태에서 리브부(134)가 하부케이스(110)의 측면부(130a)를 외측으로 밀어내어 하부케이스(110)의 체결돌기(131a)가 상부케이스(120)의 체결홈부(131b)에 걸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이렇게 하므로 케이스(100)를 떨어뜨리거나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더라도 본 고안이 제안하는 휴대용 칫솔 케이스(100)가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 체결돌기(131a)와 체결홈부(131b)의 위치 즉, 체결돌기가 하부케이스(110)에 형성되고, 체결홈부가 상부케이스(120)에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체결돌기가 상부케이스(120)에 형성되고, 체결홈부가 하부케이스(110)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체결돌기와 체결홈부의 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 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서 상부케이스(120)의 측면부(130b) 내측에 형성되는 리브부(134)의 선단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하부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20)가 밀착될 때, 하부케이스(110)의 측면부(130a)가 상부케이스(120)의 측면부(130b)와 맞닿을 수 있도록 안내한다.
리브부(134)는 상부케이스(120)의 측면부(130b)에 형성된 체결홈부(131b)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 체결돌기(131a)와 체결홈부(131b)의 결합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돌기(131a)가 형성된 하부케이스(110)의 측면부(130a) 주위에 굴곡(curve)부(135)가 형성된다.
굴곡부(135)는 하부케이스(110)의 측면부(130a) 주위에 완만하게 굴곡지어 라운드지게 내측으로 꺾어 있는 형상이다.
이러한 완만하게 꺾어진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종래의 직선(linear) 구성보다 수직돌기(132a) 및 체결돌기(131a)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수직돌기(132a) 일측에 돌기된 체결돌기(131a)가 외측으로 소정 힘이 유지될 수 있어 측면부(130a, 130b)의 결합상태를 공고히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상부케이스(120)의 측면부(130b)에 형성된 체결홈부(131b)와 리브부(134) 사이에 눌림부(136)가 각각 구비된다.
눌림부(136)는 상부케이스(120) 측면부 일측에 측면으로 돌출되어 체결홈부(131b)에 체결돌기(131a)가 소정 텐션(tension)이 생성되도록 지지 부재 역할을 한다.
즉, 눌림부(136)는 상부케이스(120)의 측면부(130b) 내측에 구비되어 이에 대응되는 하부케이스(110)의 측면부(130a) 상단을 누른다.
눌림부(136)는 체결턱(132b) 좌우로 각각 구비되어 체결턱(132b)의 깊이만큼 이격된 거리를 보조한다.
이에 눌림부(136)는 체결돌기(131a)가 체결턱(132b)에 팽팽히 걸려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눌림부(136)는 측면부(130a, 130b)의 얇은 두께로 인해 상호 쉽게 겹쳐져 오버랩(overlap)되는 것을 방지하는 개입 부재이다.
테두리내측부(138a)는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10) 상단 내측으로 테두리를 따라 소정 높이(h1) 가이드턱이 형성된다.
테두리내측부(138a)는 가이드턱이 하부케이스(110)의 두께에 상응하는 높이(h1)를 가지도록 한다.
즉, 하부케이스(110)의 두께가 t라면, 테두리내측부(138a)의 가이드턱 높이(h1)가 (0.8 ~ 1.0)×t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케이스(100)가 열리고 닫힐 때,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소정의 힘에 의해 무리없이 개폐(開閉)가 가능하게 하고, 외부 충격에 쉽게 개폐(開閉)되지 않도록 보조한다.
테두리외측부(138b)는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20) 하단 외측으로 테두리를 따라 상기 테두리내측부(138a)의 가이드턱에 대응하는 안착부가 형성된다.
테두리내측부(138a)와 테두리외측부(138b)가 서로 대응하는 'ㄴ'과 'ㄱ' 결합 형상을 이루므로, 하부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20)가 닫힘이 용이하도록 안내한다.
이렇게 하므로 케이스(100)를 떨어뜨리거나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더라도 본 고안이 제안하는 휴대용 칫솔 케이스(100)가 쉽게 열리지 않도록 보조한다.
본 고안에서 테두리내측부(138a)와 테두리외측부(138b)의 위치 즉, 테두리내측부가 하부케이스(110)에 형성되고, 테두리외측부가 상부케이스(120)에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테두리내측부가 상부케이스(120)에 형성되고, 테두리외측부가 하부케이스(110)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테두리내측부와 테두리외측부의 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 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칫솔 케이스가 닫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을 아래서 위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의 C-C 단면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은 도 7의 C-C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7을 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도 7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제안하는 휴대용 칫솔 케이스의 구조 및 닫힌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휴대용 칫솔 케이스(100)가 닫혀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도 2, 도 6, 및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하부케이스(110) 하부면에는 칫솔 등에서 발생되는 물기 또는 액체 등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배수부(140)가 구비된다.
배수부(140)는 다수의 좁고 긴 슬롯(slot) 타입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폭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상하 관통하는 개구부를 형성한다.
특히, 배수부(140)는 도 6,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 개구부 사이 사이에 쉽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덧살부(141)가 구비되어 있다.
이는 슬롯 개구부가 슬롯 폭보다 상대적으로 긴 거리의 슬롯 길이를 가지므로 슬롯 사이의 연결부가 하부케이스(110)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이면, 슬롯(slot) 사이 연결부가 쉽게 휘어지거나 사람의 손가락 힘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슬롯 사이 연결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하부케이스(110)의 두께를 높이면 투입되는 재료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케이스의 무게가 증가하므로 재료비가 상승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현장 실험 및 연구 결과를 통하여 하부케이스(110)의 두께에 0.3 ~ 0.5배 정도의 증가된 보조덧살부(141)를 제안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10)의 두께를 t라 하면 보조덧살부(141)는 (1.3 ~ 1.5)×t의 두께(t1)를 제안하므로 배수부(140)가 쉽게 휘어지거나 사람의 손가락 힘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도 2, 도 6, 및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하부케이스(110) 하부면 좌우에 케이스(100) 내의 공기를 환기될 수 있는 통기부(150)가 구비된다.
통기부(150)는 다수의 슬롯(slot) 타입으로 배수부(140)의 좌·우에 상하 관통하는 개구부가 각각 형성한다.
특히, 통기부(15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부(140)의 좌·우에 각각 구비되어 공기의 원활한 순환을 유도한다.
도 1, 도 2, 도 6, 및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하부케이스(110) 하부면 일측에 칫솔(미도시)을 고정할 수 있는 홀더부(160)가 구비된다.
홀더부(160)는 칫솔의 목부분을 꽉 잡아 줄 수 있도록 2개의 돌출된 팔이 구비되되, 돌출되는 거리에 비례하여 상호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을 이룬다.
홀더부(160)는 칫솔을 끼울 때 소정 거리 벌어졌다가 좁아져 칫솔을 꽉 잡아줄 수 있는 탄성을 가진 재질을 사용한다.
이렇게 하므로 케이스가 사람의 손 등에 의해 이동될 때 칫솔이 케이스 내에서 흔들리거나 소음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도 2, 및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하부케이스(110) 하부면 일측에 케이스를 화장실 등에 걸어 놓을 수 있는 개구(開口)된 걸이부(170)가 형성된다.
걸이부(170)는 세면도구 등을 넣어 둘 수 있는 공간에 가지런히 정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후크(hook) 등에 걸 수 있는 관통된 개구(開口)의 홀(hole)을 형성한다.
도 3, 도 6, 도 8,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하부케이스(110) 하부면 모서리 부분에 바닥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높이(h2)를 유지하도록 하부로 돌출된 받침부(180)가 구비된다.
받침부(180)는 하부로 돌출되는 돌출돌기가 형성되어 케이스(100)가 소정 높이 이격 거리를 확보하여 배수부(140) 및 통기부(150)의 기능을 보강한다.
일반적으로 칫솔 케이스(100)를 바닥이나 실내 선반 등에 놓게 되는데, 케이스의 하부면이 바닥이나 선반에 소정 높이 이격되지 못하고 밀착되면 배수 및 통기가 되지 않아 케이스 내에 넣어 둔 칫솔이나 케이스 내부가 물기가 배출되거나 통기 되지 않아 오염을 유발시키게 된다.
특히, 배수부(140)의 기능이 효과적으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하부케이스(110)의 하부면이 바닥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하부케이스(110)의 두께에 0.4 ~ 0.6배 정도의 받침부(180)의 돌출 높이(h2)를 제안한다.
즉, 하부케이스(110)의 두께를 t라 하면, 받침부(180)의 높이(h2)는 (0.4 ~ 0.6)×t의 두께를 제안하므로 배수부(140) 및 통기부(150)가 원활하게 배수 또는 통기 될 수 있도록 바닥면과의 최소한의 거리를 마련해 준다.
본 고안은 도 1, 도 2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10) 및 상부케이스(120)를 연결하여 회전이 가능한 힌지부(101)가 형성되어 있다.
힌지부(10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힌 상태를 보여 주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휴대용 칫솔 케이스(100)는 다음과 같이 개폐(開閉)된다.
케이스(100)를 닫기 위해 손으로 하부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20)를 오므리게 되면, 1차로 체결돌기(131a)가 체결턱(132b)에 닿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힘을 주게 되면 체결돌기(131a)가 내측으로 밀리면서 체결턱(132b)을 지나 체결홈부(130b) 안으로 들어 가게 된다.
이와 동시에 하부케이스(110)의 측면부(130a) 선단이 상부케이스(120)의 측면부(130b) 선단 상측으로 돌출된 리브부(134)에 접촉하면서 원호형으로 형성된 가이드면에 닿으면서 눌리게 된다.
이때, 하부케이스(110) 상단 내측으로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ㄴ' 형상의 테두리내측부(138a) 및 상부케이스(120) 하단 외측으로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ㄱ' 형상의 테두리외측부(138b)는 하부케이스(110) 및 상부케이스(120)가 잘 닫히도록 유도한다.
또한, 눌림부(136)는 테두리내측부(138a)가 테두리외측부(138b)를 지나쳐 상호 겹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하부케이스(110)의 측면부(130a) 선단의 테두리내측부(138a)와 상부케이스(120)의 측면부(130b) 선단의 테두리외측부(138b)가 맞닿게 되면서 최종적으로 체결돌기(131a)가 체결턱(132b)에 걸려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하부케이스(110)의 측면부(130a)가 리브부(134)에 의해 외측으로 밀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100)의 측면부(130a, 130b)에 의도하지 않은 외력 즉, 케이스를 바닥에 떨어뜨리거나 기타 케이스의 측면부(130a, 130b)에 강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체결돌기(131a)가 체결홈부(131b)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케이스(100)가 열리는 경우가 쉽게 발생하지 않게 된다.
케이스(100)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손가락을 하부케이스(110)의 측면부(130a) 중간부분 즉, 수직돌기(132a)가 형성된 부분에 힘을 주어 누르게 되면 체결돌기(131a)가 체결홈부(131b)로부터 이탈되면서 케이스(100)가 개방된다.
한편, 본 고안의 휴대용 칫솔 케이스(100)는 케이스(100)를 닫을 때는 리브부(134)의 가이드 작용에 의해 하부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20)가 맞닿으면서 발생하는 소리를 들을 수 있어서 견고하게 닫혔다는 것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0)의 개방시에도 하부케이스(110)의 측면부(130a)가 상부케이스(120)의 측면부(130b) 내측에 형성된 리브부(134)로부터 이탈되면서 소리가 발생함으로써 개폐시 발생하는 소리만으로도 닫히고 열린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칫솔 케이스(100)는 내부에 칫솔이 수용되는 하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10)의 일측에 힌지부(101)로 결합되는 상부케이스(120)로 이루어진다.
하부케이스(110) 및 상부케이스(120)의 대응되는 측면부(130a, 130b)에 각각 체결돌기(131a)와 체결홈부(131b)이 형성된다.
체결홈부(131b)가 형성된 상부케이스(120)의 측면부(130b) 내측 좌우에는 하부케이스(110)의 측면부(130a) 내측에 밀착되는 리브부(134)가 돌출 형성된다.
하부케이스(110)의 측면부(130a) 내측으로 완만하게 꺾어 들어가는 굴곡부(135)가 형성되어 체결돌기(131a)를 견고하게 지지한다.
상부케이스(120)의 측면부(130b) 내측 좌우, 체결홈부(131b) 및 리브부(134) 사이에 돌출 형성되어 하부케이스(110) 및 상부케이스(120)을 닫을 때 상호 겹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눌림부(136)가 형성된다.
하부케이스(110) 상단 내측으로 테두리를 따라 소정 높이의 테두리내측부(138a)가 형성되고, 상부케이스(120) 하단 외측으로 테두리를 따라 상기 테두리내측부(138a)에 대응하여 안착하는 테두리외측부(138b)가 형성된다.
하부케이스(110) 하부면에 다수의 상하 관통하는 개구된 긴 슬롯(slot)이 형성되어 상기 슬롯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덧살부(141)가 구비된 배수부(140)가 형성된다.
하부케이스(110) 하부면의 두께를 t라 하면, 보조덧살부(141)는 (1.3 ~ 1.5)×t의 두께(t1)로 하여 배수부(140)가 사람의 손가락 힘에 쉽게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케이스(110) 하부면 모서리 부분에 바닥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높이(h2)를 유지하도록 하부로 돌출된 받침부(1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110) 하부면의 두께를 t라 하면, 받침부(180)의 높이(h2)는 (0.4 ~ 0.6)×t의 두께로 상기 배수부(140)의 원활한 배수를 유도하는 공간을 마련하여 준다.
또한, 테두리내측부(138a)의 소정 높이(h1)는 하부케이스(110) 하부면의 두께가 t라면, (0.8 ~ 1.0)×t가 되어 외부 충격에 쉽게 개방되지 않도록 보조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칫솔 케이스(100)에 대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휴대용 칫솔 케이스는 떨어뜨리거나 외부 충격 등으로 쉽게 개방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외부 충격에 쉽게 개방되지 않으므로 수용된 칫솔 등이 쉽게 오염되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개폐(開閉) 소리를 통하여 열리고 닫힘을 알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보조덧살부(141)가 구비된 배수부가 형성되어 재료비를 절약하면서 쉽게 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굴곡부(135)는 하부케이스(110)의 측면부(130a) 주위에 완만하게 커브(curve)게 꺾어진 굴곡부(135)로 인하여 수직돌기(132a) 및 체결돌기(131a)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눌림부(136)가 구비되므로 하부케이스(110) 및 상부케이스(120)가 닫히면서 상호 겹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부케이스(110) 및 상부케이스(120)에 테두리내측부(138a) 및 테두리외측부(138b)가 서로 대응되는 결합 형상을 이루므로, 하부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20)가 닫힘이 용이하도록 안내하는 이점이 있다.
지금까지 실시 예를 통하여 본 고안이 제안하는 휴대용 칫솔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실용신안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휴대용 칫솔 케이스
110 : 하부케이스 120 : 상부케이스
130a, 130b : 측면부 140 : 배수부
150 : 통기부 160 : 홀더부
170 : 걸이부 180 : 받침부

Claims (3)

  1. 내부에 칫솔이 수용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측에 힌지부로 결합되는 상부케이스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칫솔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 및 상부케이스의 대응되는 측면부에 각각 체결돌기와 체결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부가 형성된 상기 상부케이스의 측면부 내측 좌우에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면부 내측에 밀착되는 리브(rib)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면부에는 내측으로 완만하게 꺾어 들어가는 굴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의 측면부 내측 좌우, 상기 체결홈부 및 상기 리브부 사이에 돌출되어 상기 하부케이스 및 상부케이스를 닫을 때 상호 겹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눌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 상단 내측으로 테두리를 따라 소정 높이의 테두리내측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스 하단 외측으로 테두리를 따라 상기 테두리내측부에 대응하여 안착하는 테두리외측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 하부면에 다수의 상하 관통하는 개구된 슬롯(slot)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롯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덧살부가 구비된 배수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 하부면의 두께를 t라 하면, 상기 보조덧살부는 (1.3 ~ 1.5)×t의 두께로 하여 상기 배수부가 사람의 손가락 힘에 의해 쉽게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칫솔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 하부면 모서리 부분에 바닥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부로 돌출된 받침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하부케이스 하부면의 두께를 t라 하면, 상기 받침부의 높이는 (0.4 ~ 0.6)×t의 두께로 하여 상기 배수부의 원활한 배수가 가능하도록 공간을 마련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칫솔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 하부면의 두께가 t라면, 상기 테두리내측부의 소정 높이는 (0.8 ~ 1.0)×t가 되어 외부 충격에 쉽게 개방되지 않도록 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칫솔 케이스.
KR2020160001541U 2016-03-22 2016-03-22 휴대용 칫솔 케이스 KR2004835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541U KR200483518Y1 (ko) 2016-03-22 2016-03-22 휴대용 칫솔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541U KR200483518Y1 (ko) 2016-03-22 2016-03-22 휴대용 칫솔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518Y1 true KR200483518Y1 (ko) 2017-05-25

Family

ID=59021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541U KR200483518Y1 (ko) 2016-03-22 2016-03-22 휴대용 칫솔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51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684A (ko) 2017-11-23 2019-05-31 김길중 칫솔 보관용 케이스
KR20210091421A (ko) * 2020-01-14 2021-07-22 엔피씨(주) 어패류용 상자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8717U (ja) * 1982-06-10 1983-12-1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携帯用歯刷子ケ−ス
JPH0255820U (ko) * 1988-10-12 1990-04-23
JPH07255526A (ja) * 1994-03-18 1995-10-09 Mutoo Seiko Kk 歯ブラシ用ケース
JP2004049582A (ja) * 2002-07-22 2004-02-19 Tatsumiya Shikki:Kk 箸携帯用のキャップ状体
CN200938918Y (zh) * 2006-08-14 2007-08-29 谢琼萱 一种便携式牙刷盒
JP2010011920A (ja) * 2008-07-01 2010-01-21 Komori Jushi:Kk 箸キャップ
JP2010099424A (ja) * 2008-09-26 2010-05-06 Tatsumiya Shikki:Kk 箸収納ケース
JP2012115298A (ja) * 2010-11-29 2012-06-21 Sunstar Inc 歯ブラシケース
KR20140001123U (ko) 2012-08-13 2014-02-21 에스엘텍 주식회사 칫솔 케이스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8717U (ja) * 1982-06-10 1983-12-1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携帯用歯刷子ケ−ス
JPH0255820U (ko) * 1988-10-12 1990-04-23
JPH07255526A (ja) * 1994-03-18 1995-10-09 Mutoo Seiko Kk 歯ブラシ用ケース
JP2004049582A (ja) * 2002-07-22 2004-02-19 Tatsumiya Shikki:Kk 箸携帯用のキャップ状体
CN200938918Y (zh) * 2006-08-14 2007-08-29 谢琼萱 一种便携式牙刷盒
JP2010011920A (ja) * 2008-07-01 2010-01-21 Komori Jushi:Kk 箸キャップ
JP2010099424A (ja) * 2008-09-26 2010-05-06 Tatsumiya Shikki:Kk 箸収納ケース
JP2012115298A (ja) * 2010-11-29 2012-06-21 Sunstar Inc 歯ブラシケース
KR20140001123U (ko) 2012-08-13 2014-02-21 에스엘텍 주식회사 칫솔 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684A (ko) 2017-11-23 2019-05-31 김길중 칫솔 보관용 케이스
KR20210091421A (ko) * 2020-01-14 2021-07-22 엔피씨(주) 어패류용 상자
KR102400758B1 (ko) 2020-01-14 2022-05-24 엔피씨(주) 어패류용 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1271B1 (en) Oral care device portable apparatus with sanitizing towelettes
US6039050A (en) Disposable toothbrush and flossing device
WO2008062935A1 (en) A portable toothbrush
KR200483518Y1 (ko) 휴대용 칫솔 케이스
KR100962796B1 (ko) 유아용 젖병 세척솔
KR200466641Y1 (ko) 결합력이 향상된 분리형 칫솔
US20130230349A1 (en) Toothpaste tube clip attachment device for storing a toothbrush unto stand-up cap toothpaste tube
KR200456552Y1 (ko) 위생 항균 칫솔
KR101326453B1 (ko) 구강 관리기구 홀더를 구비한 치약 용기
KR20100130827A (ko) 치약이 내장된 일회용 칫솔
JP3124807U (ja) 歯用ブラッシング器具
KR102421574B1 (ko) 다용도 구강 위생기구
KR200417701Y1 (ko) 치간칫솔
KR20130006411A (ko) 치간 칫솔을 포함하는 칫솔
KR101585415B1 (ko) 구강세척장치
KR20210001803U (ko) 미니 칫솔케이스
KR20130006445U (ko) 다기능 칫솔
KR200453662Y1 (ko) 충진용 치약이 구비된 칫솔
KR101993996B1 (ko) 입술 세척솔을 구비한 칫솔
KR102214587B1 (ko) 양치용 컵 결합형 칫솔세트
KR200404379Y1 (ko) 치솔대가 없는 일회용 치솔
KR200472528Y1 (ko) 휴대용 칫솔
KR20090009112A (ko) 다기능 칫솔
CN209135616U (zh) 一种有语音提示的儿童牙刷
EP1768511A1 (en) A foldable toothbrush, a toothpaste sachet and a dental care k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