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307Y1 - 안정적인 프레스드가 가능한 초박 광전 스위치 - Google Patents

안정적인 프레스드가 가능한 초박 광전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307Y1
KR200487307Y1 KR2020177000037U KR20177000037U KR200487307Y1 KR 200487307 Y1 KR200487307 Y1 KR 200487307Y1 KR 2020177000037 U KR2020177000037 U KR 2020177000037U KR 20177000037 U KR20177000037 U KR 20177000037U KR 200487307 Y1 KR200487307 Y1 KR 2004873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light
key cap
shielding member
infr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70000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821U (ko
Inventor
푸시 우
Original Assignee
동관 카이후아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410536104.4A external-priority patent/CN104362019B/zh
Application filed by 동관 카이후아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동관 카이후아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700038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8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3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3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7Optical touch switches
    • H03K17/9638Optical touch switches using a light guid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5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 H03K17/968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7Optical touch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22Miscellaneous with opto-electronic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 H01H3/122Push-buttons with enlarged actuating area, e.g. of the elongated bar-type; Stabilising means therefor
    • H01H3/125Push-buttons with enlarged actuating area, e.g. of the elongated bar-type; Stabilising means therefor using a scissor mechanism as stabili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안정적인 프레스드가 가능한 초박 광전 스위치를 제공하는 바, 시트 바디(10), 적외선 튜브(20), 키 캡(30), 밸런스 프레임 수단(40), 리셋 수단(50) 및 차광 부재(60)를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튜브(20)는 시트 바디(10)에 설치되며, 상기 적외선 튜브(20)는 발광단(21) 및 수광단(22)을 구비한다. 차광 부재(60)를 이용하여 적외선 튜브(20)의 광선 전파 방향을 개변하여 적외선 튜브(20)가 빛의 도통 또는 차단을 실현하여, 가동 접촉편과 접촉편이 서로 접촉하는 기존의 방식을 대체하였으며, 산화되어 산생되는 접촉이 양호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성이 더욱 훌륭하고 제품 사용 수명이 더욱 길어지며, 밸런스 프레임 수단(40)은 키 캡(30)을 가이드하여 안정적으로 프레싱하는 것을 동시에 매칭 이용하고, 차광 부재(60)는 키 캡(30), 밸런스 프레임 수단(40) 또는 리셋 수단(50)에 따라 상하 활동하며, 기존에 사용하는 가이드 핀의 형식을 대체하였고, 제품의 전체적인 두께가 슬림해졌으며, 또한 손가락이 키 캡(30)의 그 어느 위치에 작용할 지라도, 밸런스 프레임 수단(40)은 모두 연동을 실현할 수 있으며, 키 캡(30)의 안정적인 프레싱을 실현함으로써, 차광 부재(60)의 활동이 더욱 영민하고 제품 사용이 더욱 간편하게 된다.

Description

안정적인 프레스드가 가능한 초박 광전 스위치{ULTRA-THIN PHOTOELECTRIC SWITCH CAPABLE OF BEING STABLY PRESSED}
본 고안은 스위치 분야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는 안정적인 프레스드가 가능한 초박 광전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키보드 스위치는, 말 그대로 키보드에 응용되고 장착되는 스위치로서, 이러한 스위치의 구조는 주요하게 베이스, 상부 캡, 정적 접촉편, 가동 접촉편 및 버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캡과 베이스는 둘러싸고 수용 챔버를 형성하며, 상기 정적 접촉편, 가동 접촉편 및 버튼 부재는 상기 수용 챔버에 설치되고, 상기 버튼 부재의 일단은 수용 챔버에 노출되며, 버튼 부재를 눌러 제어하는 것을 통해, 버튼 부재로 하여금 상하로 활동하도록 하고, 또한 버튼 부재를 가동 접촉편에서 작용하도록 하여, 가동 접촉편과 정적 접촉편은 접촉 연결되거나 이탈 분리된다.
상기 기존의 키보드 스위치 구조는, 비록 사용자가 정적 접촉편과 가동 접촉편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거나 또는 도통하기 위한 기능으로 제공되기에, 진보성을 확실히 구비하지만, 실제 사용할 경우 자체 구조와 사용 성능에서 여전히 허다한 부족점이 존재하여, 기존의 키보드 스위치가 실제 사용상에서 최적의 사용 효과와 작동 효능에 다달하지 않는 것을 초래하는 바, 존재하는 흠결은 하기와 같이 귀납하였다.
기존의 키보드의 스위치의 버튼 부재는 가이드 핀 형식으로서, 전체 제품의 두께가 비교적 두꺼우며, 또한 버튼 부재는 키 캡의 최저부 중심에 장착되어, 손가락이 키 캡의 일측 가장자리에 닿을 경우, 버튼 부재는 안정적으로 프레스드될 수 없으며, 또한 정적 접촉편과 가동 접촉편의 도통을 실현할 수 없어 사용이 비교적 불편하였다. 또한, 현재의 키보드 스위치는 모두 가동 접촉편과 정적 접촉편의 접촉 방식을 사용하고, 가동 접촉편과 정적 접촉편은 모두 금속 재질이기에, 산화되기 쉽고 접촉이 양호하지 않은 문제가 나타난다.
이에 감안하여, 본 고안은 선행기술에 존재하는 흠결에 한하여, 그 주요한 목적은 안정적인 프레스드가 가능한 초박 광전 스위치를 제공하여, 키보드 스위치 두께, 사용이 불편하고 또한 접촉이 양호하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하기와 같은 기술적 해결수단을 사용한다.
안정적인 프레스드가 가능한 초박 광전 스위치는, 시트 바디, 적외선 튜브, 키 캡, 밸런스 프레임 수단, 리셋 수단 및 적외선 튜브의 광선 전파 방향을 개변하여 적외선 튜브가 빛의 도통 또는 차단을 실현하기 위한 차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튜브는 시트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적외선 튜브는 발광단 및 수광단을 구비하고; 상기 키 캡은 적외선 튜브를 커버하며, 밸런스 프레임 수단과 리셋 수단은 모두 키 캡의 하방에 위치하고, 밸런스 프레임 수단은 키 캡을 가이드하여 안정적으로 프레싱하도록 하며, 차광 부재는 키 캡, 밸런스 프레임 수단 또는 리셋 수단에 따라 상하 활동하고, 상기 리셋 수단은 키 캡 또는 밸런스 프레임 수단이 리셋하도록 추진한다.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시트 바디에 지지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적외선 튜브와 지지체는 시트 바디에 서로 분리되어 설치되며, 지지체의 상단에 피벗 홈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밸런스 프레임 수단은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은 서로 교차되고 폴딩 가능하게 함께 핀 조인트되고, 상부 프레임의 하단과 하부 프레임의 하단은 각각 시트 바디의 양단과 핀 조인트되며, 상부 프레임의 상단과 하부 프레임의 상단은 각각 키 캡의 최저부 양단과 핀 조인트되고,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은 X형 구조를 이루며; 상기 리셋 수단은 오버턴 부재 및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오버턴 부재의 일단은 피벗 홈과 인접하며, 오버턴 부재는 지지체에 상대하여 상하로 뒤집어질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인장 스프링의 양단은 각각 오버턴 부재의 타단과 상부 프레임의 상단과 연결된다.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차광 부재는 오버턴 부재에서 일체로 연신된다.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차광 부재는 키 캡 최저부에서 일체로 연신된다.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차광 부재는 밸런스 프레임 수단에서 일체로 연신된다.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적외선 튜브는 굴절형 적외선 튜브이고, 발광단과 수광단은 동일한 주체에 패키징되며, 상기 차광 부재는 주체 상방에 상하로 활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적외선 튜브는 오퍼짓 타입 적외선 튜브이고, 발사 튜브 및 접수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단은 발사 튜브에 설치되고, 상기 수광단은 접수 튜브에 설치되며, 상기 차광 부재는 발사 튜브와 접수 튜브 사이에 상하로 활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고안과 선행기술을 비교하면 뚜렷한 장점과 유익한 효과를 구비하는 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은,
차광 부재 적외선 튜브의 광선 전파 방향을 개변하는 것을 통해 적외선 튜브가 빛의 도통 또는 차단하는 것을 실현하도록 하고, 가동 접촉편과 접촉편이 서로 접촉하는 기존의 방식을 대체하였으며, 산화되어 산생되는 접촉이 양호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성이 더욱 훌륭하고 제품 사용 수명이 더욱 길어지며, 밸런스 프레임 수단은 키 캡을 가이드하여 안정적으로 프레싱하는 것을 동시에 매칭 이용하고, 차광 부재는 키 캡, 밸런스 프레임 수단 또는 리셋 수단에 따라 상하 활동하며, 기존에 사용하는 가이드 핀의 형식을 대체하였고, 제품의 전체적인 두께가 슬림해졌으며, 또한 손가락이 키 캡의 그 어느 위치에 작용할 지라도, 밸런스 프레임 수단은 모두 연동을 실현할 수 있으며, 키 캡의 안정적인 프레싱을 실현함으로써, 차광 부재의 활동이 더욱 영민하고 제품 사용이 더욱 간편하게 된다.
본 고안의 구조적 특징 및 효과를 더욱 분명하게 설명하기 위해, 아래 도면과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유 상태하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통 상태하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유 상태하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통 상태하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유 상태하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통 상태하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유 상태하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7의 구조 원리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4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통 상태하의 구조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구조 원리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5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유 상태하의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5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통 상태하의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6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유 상태하의 구조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6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통 상태하의 구조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고안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하였고, 시트 바디(10), 적외선 튜브(20), 키 캡(30), 밸런스 프레임 수단(40), 리셋 수단(50) 및 차광 부재(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바디(10)에 지지체(7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적외선 튜브(20)와 지지체(70)는 시트 바디(10)에서로 분리되게 설치되며, 지지체(70)의 상단에 피벗 홈(7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적외선 튜브(20)는 발광단(21) 및 수광단(22)을 구비하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튜브(20)는 굴절형 적외선 튜브이며, 발광단(21)과 수광단(22)은 동일한 주체(23)에 패키징된다.
상기 밸런스 프레임 수단(40)은 상부 프레임(41) 및 하부 프레임(42)을 포함하고, 상부 프레임(41)과 하부 프레임(42)은 서로 교차되고 폴딩 가능하게 함께 핀 조인트되며, 상부 프레임(41)의 하단과 하부 프레임(42)의 하단은 각각 시트 바디(10)의 양단과 핀 조인트되고, 상부 프레임(41)의 상단과 하부 프레임(42)의 상단은 각각 키 캡(30)의 최저부 양단과 핀 조인트되며, 상부 프레임(41)과 하부 프레임(42)은 X형 구조를 이룬다.
상기 리셋 수단(50)은 키 캡(30) 또는 밸런스 프레임 수단(40)이 리셋하도록 추진하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셋 수단(50)은 밸런스 프레임 수단(40)이 리셋되도록 추진함으로써 키 캡(30)이 리셋되도록 하며,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셋 수단(50)은 오버턴 부재(51) 및 인장 스프링(52)을 포함하고, 상기 오버턴 부재(51)의 일단은 피벗 홈(71)에 인접하며, 오버턴 부재(51)는 지지체(70)에 상대하여 상하로 뒤집어질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인장 스프링(52)의 양단은 각각 오버턴 부재(51)의 타단과 상부 프레임(41)의 상단과 연결된다.
상기 키 캡(30)은 적외선 튜브(20)를 커버하고, 밸런스 프레임 수단(40)과 리셋 수단(50)은 모두 키 캡(30)의 하방에 위치하고, 밸런스 프레임 수단(40)은 키 캡(30)이 안정적으로 프레싱되도록 가이드하며, 상기 차광 부재(60)는 적외선 튜브(20)의 광선 전파 방향을 개변하여 적외선 튜브(20)가 빛의 도통 또는 차단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고, 차광 부재(60)는 키 캡(30), 밸런스 프레임 수단(40) 또는 리셋 수단(50)에 따라 상하로 활동하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60)는 상하로 활동 가능하게 주체(23) 상방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차광 부재(60)는 오버턴 부재(51)에서 일체로 연신된다.
사용 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 상태하에서, 차광 부재(60)는 적외선 튜브(20)의 상방에 위치하고, 이때, 수광단(22)은 발광단(21)에서 발송하는 적외선을 접수할 수 없고, 스위치는 차단 상태에 진입한다. 키 캡(30)를 누를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프레임(41)과 하부 프레임(42)은 하부로 활동하고 함께 폴딩되고, 동시에, 상기 인장 스프링(52)은 잡아당겨지며, 상기 오버턴 부재(51)는 하부로 뒤집어져, 차광 부재(60)가 하부로 뒤집어지도록 하고 적외선 튜브(20)에 근접하도록 하고, 이때, 발광단(21)에서 발송되는 적외선은 차광 부재(60)를 거쳐 반사된 후 수광단(22)을 향해 발사하며, 수광단(22)이 적외선을 접수할 수 있기에, 도통을 실현할 수 있다. 키 캡(30)에서 손을 뗄 경우, 인장 스프링(52)은 변형을 회복하고, 인장 스프링(52)의 작용하에, 상부 프레임(41)과 하부 프레임(42)은 상부를 향해 벌어지며, 키 캡(30)은 상부를 향해 리셋되고, 동시에, 차광 부재(60)도 상부를 향해 리셋되어, 수광단(22)으로 하여금 발광단(21)에서 발송하는 적외선을 접수할 수 없도록 하고, 다시 차단 상태에 진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고안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하였고, 본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조와 상기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조는 기본상 동일하며, 상이한 점은 하기와 같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60)는 키 캡(30)의 최저부에서 일체로 연신된다.
사용 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 상태하에서, 차광 부재(60)는 적외선 튜브(20)의 상방에 위치하고, 이때, 수광단(22)은 발광단(21)에서 발송하는 적외선을 접수할 수 없고, 스위치는 차단 상태에 진입한다. 키 캡(30)를 누를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프레임(41)과 하부 프레임(42)은 하부로 활동하고 함께 폴딩되고, 동시에, 상기 인장 스프링(52)은 잡아당겨지며, 상기 오버턴 부재(51)는 하부로 뒤집어져, 상기 차광 부재(60)는 키 캡(30)에 의해 하부를 향해 활동하고 적외선 튜브(20)에 근접하고, 이때, 발광단(21)에서 발송되는 적외선은 차광 부재(60)를 거쳐 반사된 후 수광단(22)을 향해 발사하며, 수광단(22)이 적외선을 접수할 수 있기에, 도통을 실현할 수 있다. 키 캡(30)에서 손을 뗄 경우, 인장 스프링(52)은 변형을 회복하고, 인장 스프링(52)의 작용하에, 상부 프레임(41)과 하부 프레임(42)은 상부를 향해 벌어지며, 키 캡(30)은 상부를 향해 리셋되고, 동시에, 차광 부재(60)도 키 캡(30)에 의해 상부를 향해 리셋되고, 수광단(22)으로 하여금 발광단(21)에서 발송하는 적외선을 접수할 수 없도록 하고, 다시 차단 상태에 진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고안의 제3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하였고, 본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조와 상기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조는 기본상 동일하며, 상이한 점은 하기와 같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60)는 밸런스 프레임 수단(40)에서 일체로 연신된다.
사용 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 상태하에서, 차광 부재(60)는 적외선 튜브(20)의 상방에 위치하고, 이때, 수광단(22)은 발광단(21)에서 발송하는 적외선을 접수할 수 없고, 스위치는 차단 상태에 진입한다. 키 캡(30)를 누를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프레임(41)과 하부 프레임(42)은 하부로 활동하고 함께 폴딩되고, 동시에, 상기 인장 스프링(52)은 잡아당겨지며, 상기 오버턴 부재(51)는 하부로 뒤집어져, 상기 차광 부재(60)는 밸런스 프레임 수단(40)에 의해 하부로 활동하고 적외선 튜브(20)에 근접하고, 이때, 발광단(21)에서 발송되는 적외선은 차광 부재(60)를 거쳐 반사된 후 수광단(22)을 향해 발사하며, 수광단(22)이 적외선을 접수할 수 있기에, 도통을 실현할 수 있다. 키 캡(30)에서 손을 뗄 경우, 인장 스프링(52)은 변형을 회복하고, 인장 스프링(52)의 작용하에, 상부 프레임(41)과 하부 프레임(42)은 상부를 향해 벌어지며, 키 캡(30)은 상부를 향해 리셋되고, 동시에, 차광 부재(60)도 밸런스 프레임 수단(40)에 따라 상부를 향해 리셋되고, 수광단(22)으로 하여금 발광단(21)에서 발송하는 적외선을 접수할 수 없도록 하고, 다시 차단 상태에 진입한다.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고안의 제4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하였고, 본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조와 상기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조는 기본상 동일하며, 상이한 점은 하기와 같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튜브(20)는 오퍼짓 타입 적외선 튜브로서 발사 튜브(24) 및 접수 튜브(25)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발광단(21)은 발사 튜브(24)에 설치되며, 상기 수광단(22)은 접수 튜브(25)에 설치되고, 상기 차광 부재(60)는 상하로 활동가능하게 발사 튜브(24)와 접수 튜브(25) 사이에 위치한다.
사용 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 상태하에서, 차광 부재(60)는 발사 튜브(24)와 접수 튜브(25) 사이에 위치하고, 이때, 차광 부재(60)의 가려짐으로 인해, 수광단(22)은 발광단(21)에서 발송하는 적외선을 접수할 수 없고, 스위치는 차단 상태에 진입한다. 키 캡(30)를 누를 경우,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프레임(41)과 하부 프레임(42)은 하부로 활동하고 함께 폴딩되고, 동시에, 상기 인장 스프링(52)은 잡아당겨지며, 상기 오버턴 부재(51)는 하부로 뒤집어져, 상기 차광 부재(60)는 오버턴 부재(51)에 따라 하부를 향해 뒤집어지고, 이때, 차광 부재(60)는 더이상 적외선을 가리지 않으며, 발광단(21)에서 발송되는 적외선은 직접 수광단(22)을 비추고, 수광단(22)이 적외선을 접수할 수 있기에, 도통을 실현할 수 있다. 키 캡(30)에서 손을 뗄 경우, 인장 스프링(52)은 변형을 회복하고, 인장 스프링(52)의 작용하에, 상부 프레임(41)과 하부 프레임(42)은 상부를 향해 벌어지며, 키 캡(30)은 상부를 향해 리셋되고, 동시에, 차광 부재(60)도 오버턴 부재(51)에 따라 상부를 향해 리셋되며, 차광 부재(60)는 다시 발사 튜브(24)와 접수 튜브(25) 사이를 가로막아, 수광단(22)으로 하여금 발광단(21)에서 발송하는 적외선을 접수할 수 없도록 하고, 다시 차단 상태에 진입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고안의 제5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하였고, 본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조와 상기 제4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조는 기본상 동일하며, 상이한 점은 하기와 같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60)는 키 캡(30) 최저부에서 일체로 연신된다.
사용 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 상태하에서, 차광 부재(60)는 발사 튜브(24)와 접수 튜브(25) 사이에 위치하고, 이때, 수광단(22)은 발광단(21)에서 발송하는 적외선을 접수할 수 없고, 스위치는 차단 상태에 진입한다. 키 캡(30)을 누를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프레임(41)과 하부 프레임(42)은 하부로 활동하고 함께 폴딩되고, 동시에, 상기 인장 스프링(52)은 잡아당겨지며, 상기 오버턴 부재(51)는 하부로 뒤집어져, 상기 차광 부재(60)는 키 캡(30)에 따라 하부를 향해 활동하고, 이때, 차광 부재(60)는 더이상 적외선을 가리지 않으며, 발광단(21)에서 발송되는 적외선은 직접 수광단(22)을 비추고, 수광단(22)이 적외선을 접수할 수 있기에, 도통을 실현할 수 있다. 키 캡(30)에서 손을 뗄 경우, 인장 스프링(52)은 변형을 회복하고, 인장 스프링(52)의 작용하에, 상부 프레임(41)과 하부 프레임(42)은 상부를 향해 벌어지며, 키 캡(30)은 상부를 향해 리셋되고, 동시에, 차광 부재(60)도 오버턴 부재(51)에 따라 상부를 향해 리셋되며, 차광 부재(60)는 다시 발사 튜브(24)와 접수 튜브(25) 사이를 가로막아, 수광단(22)으로 하여금 발광단(21)에서 발송하는 적외선을 접수할 수 없도록 하고, 다시 차단 상태에 진입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고안의 제6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하였고, 본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조와 상기 제4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조는 기본상 동일하며, 상이한 점은 하기와 같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60)는 밸런스 프레임 수단(40)에서 일체로 연신된다.
사용 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 상태하에서, 차광 부재(60)는 발사 튜브(24)와 접수 튜브(25) 사이에 위치하고, 이때, 수광단(22)은 발광단(21)에서 발송하는 적외선을 접수할 수 없고, 스위치는 차단 상태에 진입한다. 키 캡(30)를 누를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프레임(41)과 하부 프레임(42)은 하부로 활동하고 함께 폴딩되고, 동시에, 상기 인장 스프링(52)은 잡아당겨지며, 상기 오버턴 부재(51)는 하부로 뒤집어져, 상기 차광 부재(60)는 밸런스 프레임 수단(40)에 따라 하부를 향해 활동하고, 이때, 차광 부재(60)는 더이상 적외선을 가리지 않으며, 발광단(21)에서 발송되는 적외선은 직접 수광단(22)을 비추고, 수광단(22)이 적외선을 접수할 수 있기에, 도통을 실현할 수 있다. 키 캡(30)에서 손을 뗄 경우, 인장 스프링(52)은 변형을 회복하고, 인장 스프링(52)의 작용하에, 상부 프레임(41)과 하부 프레임(42)은 상부를 향해 벌어지며, 키 캡(30)은 상부를 향해 리셋되고, 동시에, 차광 부재(60)도 밸런스 프레임 수단(40)에 따라 상부를 향해 리셋되며, 차광 부재(60)는 다시 발사 튜브(24)와 접수 튜브(25) 사이를 가로막아, 수광단(22)으로 하여금 발광단(21)에서 발송하는 적외선을 접수할 수 없도록 하고, 다시 차단 상태에 진입한다.
본 고안의 설계의 중점은 하기와 같다. 차광 부재 적외선 튜브의 광선 전파 방향을 개변하는 것을 통해 적외선 튜브가 빛의 도통 또는 차단하는 것을 실현하도록 하고, 가동 접촉편과 접촉편이 서로 접촉하는 기존의 방식을 대체하였으며, 산화되어 산생되는 접촉이 양호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성이 더욱 훌륭하고 제품 사용 수명이 더욱 길어지며, 밸런스 프레임 수단은 키 캡을 가이드하여 안정적으로 프레싱하는 것을 동시에 매칭 이용하고, 차광 부재는 키 캡, 밸런스 프레임 수단 또는 리셋 수단에 따라 상하 활동하며, 기존에 사용하는 가이드 핀의 형식을 대체하였고, 제품의 전체적인 두께가 슬림해졌으며, 또한 손가락이 키 캡의 그 어느 위치에 작용할 지라도, 밸런스 프레임 수단은 모두 연동을 실현할 수 있으며, 키 캡의 안정적인 프레싱을 실현함으로써, 차광 부재의 활동이 더욱 영민하고 제품 사용이 더욱 간편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고안의 기술 범위에 대해 그 어떤 제한도 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 실질은 상기 실시예에 의해 진행된 임의의 세부적인 보정, 동등한 변화 및 수식은 모두 본 고안의 기술적 해결수단의 범위에 속한다.
10: 시트 바디,
20: 적외선 튜브,
21: 발광단,
22: 수광단,
23: 주체,
24: 발사 튜브,
25: 접수 튜브,
30: 키 캡,
40: 밸런스 프레임 수단,
41: 상부 프레임,
42: 하부 프레임,
50: 리셋 수단,
51: 오버턴 부재,
52: 인장 스프링,
60: 차광 부재,
70: 지지체,
71: 피벗 홈.

Claims (7)

  1. 시트 바디, 적외선 튜브, 키 캡, 밸런스 프레임 수단, 리셋 수단 및 적외선 튜브의 광선 전파 방향을 개변하여 적외선 튜브가 빛의 도통 또는 차단을 실현하기 위한 차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튜브는 시트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적외선 튜브는 발광단 및 수광단을 구비하고; 상기 키 캡은 적외선 튜브를 커버하며, 밸런스 프레임 수단과 리셋 수단은 모두 키 캡의 하방에 위치하고, 밸런스 프레임 수단은 키 캡을 가이드하여 안정적으로 프레싱하도록 하며, 차광 부재는 키 캡, 밸런스 프레임 수단 또는 리셋 수단에 따라 상하 활동하고, 상기 리셋 수단은 키 캡 또는 밸런스 프레임 수단이 리셋하도록 추진하고,
    상기 차광 부재는 밸런스 프레임 수단에서 일체로 연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인 프레스드가 가능한 초박 광전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바디에 지지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적외선 튜브와 지지체는 시트 바디에 서로 분리되어 설치되며, 지지체의 상단에 피벗 홈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밸런스 프레임 수단은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은 서로 교차되고 폴딩 가능하게 함께 핀 조인트되고, 상부 프레임의 하단과 하부 프레임의 하단은 각각 시트 바디의 양단과 핀 조인트되며, 상부 프레임의 상단과 하부 프레임의 상단은 각각 키 캡의 최저부 양단과 핀 조인트되고,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은 X형 구조를 이루며; 상기 리셋 수단은 오버턴 부재 및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오버턴 부재의 일단은 피벗 홈과 인접하며, 오버턴 부재는 지지체에 상대하여 상하로 뒤집어질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인장 스프링의 양단은 각각 오버턴 부재의 타단과 상부 프레임의 상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인 프레스드가 가능한 초박 광전 스위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부재는 오버턴 부재에서 일체로 연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인 프레스드가 가능한 초박 광전 스위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튜브는 굴절형 적외선 튜브이고, 발광단과 수광단은 동일한 주체에 패키징되며, 상기 차광 부재는 주체 상방에 상하로 활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인 프레스드가 가능한 초박 광전 스위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튜브는 오퍼짓 타입 적외선 튜브이고, 발사 튜브 및 접수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단은 발사 튜브에 설치되고, 상기 수광단은 접수 튜브에 설치되며, 상기 차광 부재는 발사 튜브와 접수 튜브 사이에 상하로 활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인 프레스드가 가능한 초박 광전 스위치.
KR2020177000037U 2014-10-13 2015-10-13 안정적인 프레스드가 가능한 초박 광전 스위치 KR20048730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536104.4 2014-10-13
CN201410536104.4A CN104362019B (zh) 2014-10-13 可平稳下压的超薄光电开关
PCT/CN2015/091845 WO2016058515A1 (zh) 2014-10-13 2015-10-13 可平稳下压的超薄光电开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821U KR20170003821U (ko) 2017-11-07
KR200487307Y1 true KR200487307Y1 (ko) 2018-08-31

Family

ID=52529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7000037U KR200487307Y1 (ko) 2014-10-13 2015-10-13 안정적인 프레스드가 가능한 초박 광전 스위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00034B2 (ko)
JP (1) JP6301556B2 (ko)
KR (1) KR200487307Y1 (ko)
DE (1) DE212015000219U1 (ko)
WO (1) WO20160585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307Y1 (ko) * 2014-10-13 2018-08-31 동관 카이후아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안정적인 프레스드가 가능한 초박 광전 스위치
CN110386522A (zh) * 2018-04-17 2019-10-29 三菱电机上海机电电梯有限公司 光电式限位开关及电梯系统
CN209071150U (zh) * 2018-05-24 2019-07-05 东莞市凯华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良好平衡性的高寿命按键开关
TWI802498B (zh) 2021-12-16 2023-05-11 達方電子股份有限公司 按鍵結構及其升降機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7116A (ja) 2001-08-23 2003-03-07 Toshiba Tec Corp キーボード
JP2006202751A (ja) * 2005-01-20 2006-08-03 Dafang Electronic Co Ltd 入力装置、キー構造およびその弾性機構
CN101247120A (zh) * 2008-03-07 2008-08-20 李玉平 一种煤矿信息装置用按键
US20140267053A1 (en) 2013-03-14 2014-09-18 Aimpad, LLC Force Sensitive Input Device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18067U (ko) * 1973-02-07 1974-10-09
JPS6087122U (ja) * 1983-11-15 1985-06-15 ソニー株式会社 光学式スイツチ装置
JPH02309517A (ja) * 1989-05-23 1990-12-25 Nec Corp 押しボタンスイッチ
US6765193B2 (en) * 2001-08-21 2004-07-20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Agency Optical touch switch structures
US8059015B2 (en) * 2006-05-25 2011-11-15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Capacitance sensing matrix for keyboard architecture
CN101154940A (zh) * 2006-09-27 2008-04-02 冯孝勤 钮子开关
US20110278147A1 (en) * 2010-05-13 2011-11-17 Global Lighting Technologies, Inc. Keyboard device
US20120075125A1 (en) * 2010-09-27 2012-03-29 Lenovo (Singapore) Pte. Ltd. Handgrip keyboard
TWM443218U (en) * 2012-05-17 2012-12-11 Chicony Power Tech Co Ltd Multiple-color input device
US9368300B2 (en) * 2013-08-29 2016-06-14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lighting spring loaded mechanical key switches
JP2016006719A (ja) * 2014-05-28 2016-01-14 大光電気株式会社 押しボタンスイッチ
KR200487307Y1 (ko) * 2014-10-13 2018-08-31 동관 카이후아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안정적인 프레스드가 가능한 초박 광전 스위치
CN204130402U (zh) * 2014-10-13 2015-01-28 东莞市凯华电子有限公司 可平稳下压的超薄光电开关
EP3264602A4 (en) * 2015-02-27 2019-01-09 Dong Guan Longideal Industrial Co., Ltd. SWITCHING MODULE FOR INTEGRATED PHOTOELECTRIC KEYBOARD WITH MECHANICAL AXIS
CN106611672A (zh) * 2015-10-22 2017-05-03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学式开关键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7116A (ja) 2001-08-23 2003-03-07 Toshiba Tec Corp キーボード
JP2006202751A (ja) * 2005-01-20 2006-08-03 Dafang Electronic Co Ltd 入力装置、キー構造およびその弾性機構
CN101247120A (zh) * 2008-03-07 2008-08-20 李玉平 一种煤矿信息装置用按键
US20140267053A1 (en) 2013-03-14 2014-09-18 Aimpad, LLC Force Sensitive Input Device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01556B2 (ja) 2018-03-28
WO2016058515A1 (zh) 2016-04-21
KR20170003821U (ko) 2017-11-07
CN104362019A (zh) 2015-02-18
US20170222646A1 (en) 2017-08-03
JP2017530537A (ja) 2017-10-12
US10200034B2 (en) 2019-02-05
DE212015000219U1 (de) 201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7307Y1 (ko) 안정적인 프레스드가 가능한 초박 광전 스위치
WO2017035934A1 (zh) 光电式键盘按键
KR200487308Y1 (ko) 유성음, 무성음의 전환이 가능한 광전 스위치
KR101517111B1 (ko) 확산판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WO2022266782A1 (zh) 一种超薄按键
WO2021203519A1 (zh) 光电开关按键及键盘
CN202796586U (zh) 发光键盘装置
CN204130402U (zh) 可平稳下压的超薄光电开关
TW201742092A (zh) 發光鍵盤
CN104362019B (zh) 可平稳下压的超薄光电开关
CN212305287U (zh) 一种新型光电式微动开关
TWM554585U (zh) 可平穩下壓的超薄光電開關
JPH042013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3124452U (ja) 遮蔽機構を有する光学式マウス
JPS60658Y2 (ja) ライトペン
CN219194089U (zh) 一种空中成像两用电梯按键
CN217277863U (zh) 一种防蓝光ab胶保护膜加工用检测装置
JP5932684B2 (ja) 電気部品の照光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る押ボタンスイッチ
CN214043488U (zh) 一种防尘按钮开关
TWM469688U (zh) 光學指向模組
TW201419345A (zh) 鍵帽發光的發光鍵盤
CN217991278U (zh) 一种防止误触开关的手持激光焊接枪
RU1786655C (ru) Оптронный переключатель
US8586927B2 (en) Switch modu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215911342U (zh) 一种具有聚光效果的键盘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