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148Y1 - 판넬형 통신 장비 취부대 - Google Patents

판넬형 통신 장비 취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148Y1
KR200487148Y1 KR2020170000360U KR20170000360U KR200487148Y1 KR 200487148 Y1 KR200487148 Y1 KR 200487148Y1 KR 2020170000360 U KR2020170000360 U KR 2020170000360U KR 20170000360 U KR20170000360 U KR 20170000360U KR 200487148 Y1 KR200487148 Y1 KR 2004871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equipment
panel
panel support
fastening
equipment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3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294U (ko
Inventor
박효선
Original Assignee
박효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효선 filed Critical 박효선
Priority to KR20201700003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148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2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2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1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1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9Frames or mounting rack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5Cabin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6Cable ducts or 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exchange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통신 장비들을 취부하기 위한 통신 장비 취부대에 관한 것으로서, 통신 장비의 취부가 이루어지는 통신 장비 취부대를 평판 형상의 판넬 지지부 상에 고정 배치한 통신 장비 취부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통신 장비의 설치 및 정리 배선을 위하여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구조의 단순화를 통하여 종래 기술의 통신 장비 취부대에 비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판넬형 통신 장비 취부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판넬형 통신 장비 취부대 {Panel Type Fixture Body of Communications Equipment}
본 고안은 각종 통신 장비들을 취부하기 위한 통신 장비 취부대에 관한 것으로서, 통신 장비의 취부가 이루어지는 통신 장비 취부대를 평판 형상의 판넬 지지부 상에 고정 배치한 통신 장비 취부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통신 장비의 설치 및 정리 배선을 위하여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구조의 단순화를 통하여 종래 기술의 통신 장비 취부대에 비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판넬형 통신 장비 취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장비는 다수의 단말기들간의 통신을 위하여 설치되는 바, 이를 위한 다수의 통신 장치들을 포함하는 통신 장비과 상기 통신 장비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통신 라인들을 한 장소에 정리 배치하도록 이루어진 통신 장비 취부대에 설치된다.
통상적으로 통신 장비 취부대는 '통신 함' 또는 '통신 장비 랙'이라는 명칭으로도 일컬어지며, 다수의 통신 장비와 기타 전자부품들을 배열하여 구성한 다수개의 통신 유니트들을 상기 통신 장비 취부대에 적층 배치하여 정리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통신 장비들, 또는 통신 유니트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통신 라인들 역시 상기 통신 장비 취부대 내에 정리 배치하여 마감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통신 장비 취부대 내에서 모든 통신 관련 설비들이 정리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통신 장비 취부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면(예를 들어, 전방)에 개폐되는 도어를 설치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통신 장비의 취부를 위한 통신 장비 취부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이 배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통신 장비 취부부는 통신 장비가 개구부를 통하여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 상의 상부에 배치되어 통신 장비들이 적층되어 설치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통신 장비들을 연결하는 배선들이 정리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통신 장비 취부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통하여 정리된 통신 장비 및 배선들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상기 통신 장비들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를 차단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된 도어를 닫아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통신 장비 취부대는 상기 통신 장비를 보호하기 위하여 구비된 하우징의 부피로 인하여 소정의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사항은 다수의 통신 장비의 설치를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부피가 커질수록 또는 통신 장비 취부대의 설치 공간이 상대적으로 협소할 수록 더 큰 문제가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통신 장비의 취부가 이루어지는 통신 장비 취부대를 평판 형상의 판넬 지지부 상에 고정 배치한 통신 장비 취부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통신 장비의 설치 및 정리 배선을 위하여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구조의 단순화를 통하여 종래 기술의 통신 장비 취부대에 비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판넬형 통신 장비 취부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통신 장비 취부대에 있어서, 천공 형성된 사각 홀을 포함하는 평판 형상의 판넬 지지부; 및 상기 판넬 지지부의 사각 홀에 삽입 고정되고, 통신 장비의 취부가 가능하도록 일측에 개구부를 형성한 통신 장비 취부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장비 취부부는 상기 판넬 지지부와 수직 결합 되되, 상기 개구부가 상기 판넬 지지부의 일측면의 지향 방향과 평행하게 지향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넬 지지부의 사각 홀은, 상기 판넬 지지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장비 취부부는, 그 양단이 상기 판넬 지지부를 중심으로 서로 측방으로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도록 상기 판넬 지지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장비 취부부는, 통신 장비의 취부를 위하여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최소한 둘 이상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넬 지지부의 사각 홀의 외측에 형성되고, 최소한 하나 이상의 체결홀을 포함하는 제2체결부; 및 상기 통신 장비 취부부의 외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2체결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 및 체결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부와 제1체결부는 체결수단으로 체결되어 상기 판넬 지지부와 상기 통신 장비 취부부를 서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넬 지지부는, 최소한 둘 이상의 판넬 부재가 서로 부착된 2겹 이상의 겹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강성을 증대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이하의 특징적인 장점을 제공한다.
1) 통신 장비의 취부가 이루어지는 통신 장비 취부대를 평판 형상의 판넬 지지부 상에 고정 배치한 통신 장비 취부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통신 장비의 설치 및 정리 배선을 위하여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구조의 단순화를 통하여 종래 기술의 통신 장비 취부대에 비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고,
2) 상기 판넬 지지부와 통신 장비 취부부에 제2체결부와 제1체결부를 각각 추가 구성함으로써, 상기 판넬 지지부와 통신 장비 취부부를 서로 견고하게 체결하여 통신 장비를 안정적으로 설치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판넬형 통신 장비 취부대를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판넬형 통신 장비 취부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판넬형 통신 장비 취부대를 구성하는 판넬부를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판넬형 통신 장비 취부대의 통신 장비 취부부를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판넬형 통신 장비 취부대의 통신 장비 취부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판넬형 통신 장비 취부대의 통신 장비 취부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구체적으로 기술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또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해당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기술된 것이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기술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본 고안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 상에 단수 형태로 기재된 구성요소는 별도로 특정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은 각종 통신 장비들을 취부하기 위한 통신 장비 취부대에 관한 것으로서, 통신 장비의 취부가 이루어지는 통신 장비 취부대를 평판 형상의 판넬 지지부 상에 고정 배치한 통신 장비 취부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통신 장비의 설치 및 정리 배선을 위하여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구조의 단순화를 통하여 종래 기술의 통신 장비 취부대에 비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판넬형 통신 장비 취부대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판넬형 통신 장비 취부대를 나타내는 전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판넬형 통신 장비 취부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판넬형 통신 장비 취부대를 구성하는 판넬부를 나타내는 전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판넬형 통신 장비 취부대의 통신 장비 취부부를 나타내는 전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판넬형 통신 장비 취부대의 통신 장비 취부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판넬형 통신 장비 취부대의 통신 장비 취부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판넬형 통신 장비 취부대는 평판 형상의 판넬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판넬 부재의 소정 위치에 통신 장비 취부부(10)를 체결하기 위하여 천공 형성된 사각 홀(22)을 포함하는 판넬 지지부(20)와, 상기 판넬 지지부(20)의 사각 홀(22)에 삽입되어 체결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되 통신 장비의 취부가 가능하도록 일측에 개구부를 형성한 통신 장비 취부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평판 형상의 판넬 지지부(20)는 상기 통신 장비 취부부(10)를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서, 바람직하게는 세로 길이가 가로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의 판넬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넬 지지부(20)는 판넬 형상을 유지함과 동시에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최소한 둘 이상의 판넬 부재가 서로 부착된 2겹 이상의 겹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단일 구조, 즉, 하나의 판넬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판넬 지지부(20)의 사각 홀(22)은, 상기 판넬 지지부(20)의 상부에 위치되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넬 지지부(20)의 중심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사각 홀(22)은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통신 장비 취부부(10)를 체결하도록 예를 들어, 대략 가로 500mm 내지 600mm, 세로 600mm 내지 700mm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판넬 지지부(20)는 상기 통신 장비 취부부(10)를 체결하기 위한 최소한 하나 이상의 체결홀을 포함하는 제2체결부(21)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체결부(21)는 상기 사각 홀(22)의 외측에 형성된 구성요소, 바람직하게는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한쌍의 구성요소로서 구성되며, 후술할 제1체결부(11)와 겹쳐진 후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하여 결합되어 상기 통신 장비 취부부(10)를 체결하도록 최소한 하나 이상의 체결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체결부(21)는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성을 부여하는 금속, 합성수지 등을 포함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통신 장비 취부부(10)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통신 장비들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서,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일측면(전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개구된 일측면을 통하여 통신 장비들을 삽입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통신 장비 취부부(10)의 내부 구성은 이하,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통신 장비 취부부(10)의 구성에 대응하는 구성을 갖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통신 장비 취부부(10)는 상기 판넬 지지부(20)에 형성된 사각 홀(22)에 수직으로 체결되도록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그 양단이 상기 판넬 지지부(20)를 중심으로 서로 측방으로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도록 상기 판넬 지지부(20)에 체결된다. 여기에서, 상기 통신 장비 취부부(10)의 수직 결합은 상기 통신 장비 취부부(10)의 개구부가 상기 판넬 지지부(20)의 일측면의 지향 방향과 평행하게 지향되도록 배치됨을 의미하며, 이러한 구조는 도면을 통하여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장비 취부부(10)는 통신 장비의 취부를 위하여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최소한 둘 이상의 개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신 장비 취부부(10)의 양측에 형성된 두개의 개구부를 통하여 통신 장비들을 어느 쪽으로도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사용자의 통신 장비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은, 본 고안의 통신 장비 취부대가 종래의 통신 장비 취부대의 하우징을 포함하는 구성과는 달리, 별도의 도어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통신 장비 취부부(10)가 어떠한 방향에서도 접근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구성상 특징에 대응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통신 장비 취부부(10)는 상기 제2체결부(21)와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판넬 지지부(20)에 상기 통신 장비 취부부(10)를 체결하도록 이루어진 제1체결부(1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체결부(11)는 상기 통신 장비 취부부(10)의 외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2체결부(2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 및 체결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따라서, 상기 제1체결부(11)와 제2체결부(21)는 별도의 체결수단으로 체결되어 상기 판넬 지지부(20)와 상기 통신 장비 취부부(10)를 서로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판넬 지지부(20)와 상기 통신 장비 취부부(10)를 서로 고정시키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공지의 어떠한 체결 수단, 예를 들어, 볼트, 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판넬형 통신 장비 취부대는,
통신 장비의 취부가 이루어지는 통신 장비 취부대를 평판 형상의 판넬 지지부(20) 상에 고정 배치한 통신 장비 취부부(1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통신 장비의 설치 및 정리 배선을 위하여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구조의 단순화를 통하여 종래 기술의 통신 장비 취부대에 비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고,
여기에서, 상기 판넬 지지부(20)와 통신 장비 취부부(10)에 제2체결부(21)와 제1체결부(11)를 각각 추가 구성함으로써, 상기 판넬 지지부(20)와 통신 장비 취부부(10)를 서로 견고하게 체결하여 통신 장비를 안정적으로 설치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판넬형 통신 장비 취부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특정한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통신 장비 취부부
11: 제1체결부
20: 판넬 지지부
21: 제2체결부
22: 사각 홀

Claims (6)

  1. 통신 장비 취부대에 있어서,
    천공 형성된 사각 홀을 포함하고 최소한 둘 이상의 판넬 부재가 서로 부착된 2겹 이상의 겹구조로 구성되어 강성을 증가시키는 평판 형상의 판넬 지지부; 및
    상기 판넬 지지부의 사각 홀에 삽입 고정되고, 통신 장비의 취부가 가능하도록 일측에 개구부를 형성한 통신 장비 취부부;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장비 취부부는 상기 판넬 지지부와 수직 결합 되되,
    상기 개구부가 상기 판넬 지지부의 일측면의 지향 방향과 평행하게 지향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형 통신 장비 취부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 지지부의 사각 홀은,
    상기 판넬 지지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형 통신 장비 취부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비 취부부는,
    그 양단이 상기 판넬 지지부를 중심으로 서로 측방으로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도록 상기 판넬 지지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형 통신 장비 취부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비 취부부는,
    통신 장비의 취부를 위하여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최소한 둘 이상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형 통신 장비 취부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 지지부의 사각 홀의 외측에 형성되고, 최소한 하나 이상의 체결홀을 포함하는 제2체결부; 및
    상기 통신 장비 취부부의 외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2체결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 및 체결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체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부와 제1체결부는 체결수단으로 체결되어 상기 판넬 지지부와 상기 통신 장비 취부부를 서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형 통신 장비 취부대.
  6. 삭제
KR2020170000360U 2017-01-19 2017-01-19 판넬형 통신 장비 취부대 KR2004871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360U KR200487148Y1 (ko) 2017-01-19 2017-01-19 판넬형 통신 장비 취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360U KR200487148Y1 (ko) 2017-01-19 2017-01-19 판넬형 통신 장비 취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294U KR20180002294U (ko) 2018-07-27
KR200487148Y1 true KR200487148Y1 (ko) 2018-08-10

Family

ID=63047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360U KR200487148Y1 (ko) 2017-01-19 2017-01-19 판넬형 통신 장비 취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148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435Y1 (ko) * 2000-08-24 2001-03-15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전자통신장비 설치용 랙 어셈블리
KR200218370Y1 (ko) * 1999-02-24 2001-04-02 정재인 전자통신장비설치용 지지프레임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065U (ko) * 2007-03-20 2008-09-24 (합)동양아이텍 이중판넬구조와 자동 환기시스템을 갖춘 옥외 전신주부착형 랙마운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370Y1 (ko) * 1999-02-24 2001-04-02 정재인 전자통신장비설치용 지지프레임구조체
KR200215435Y1 (ko) * 2000-08-24 2001-03-15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전자통신장비 설치용 랙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294U (ko) 2018-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9543B2 (en) Vertical mounting rail with cable management features
US8605459B2 (en) Stackable cable tray
US6629614B2 (en) Mounting for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US20120012543A1 (en) Server rack assembly
US20100110621A1 (en) Rack with vertical mounting providing room for rack pdu
WO2002045225A2 (en) Earthquake resistant equipment rack
US20230134022A1 (en) Modular Saddle Mount Retained In A Frame Cross Member for Reducing Vibration in Heavy Equipment Cabs
US11840284B2 (en) Modular saddle mount with isolator retained in a frame for reducing vibration in heavy equipment cabs
US20230132968A1 (en) Isolator Adapter Insert For Retention In A Modular Saddle Mount Or An Isolator Mounting Plate For Reducing Vibration In Heavy Equipment Cabs
WO2018001890A1 (en) Cable tray assembly for a vehicle body of a rail vehicle and its method of assembly
US20110260018A1 (en) Two Post Rack with Floor Mounting Brackets
US8749957B2 (en) Device for holding at least one switch in an enclosure, e.g. a switch cabinet
KR200487148Y1 (ko) 판넬형 통신 장비 취부대
US20170215585A1 (en) Bracket assembly
EP3799436A1 (en) Ballasted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mounts and assemblies
KR101964219B1 (ko) 수변전 설비용 내진장치
JP2002319778A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のフレーム
US8254567B2 (en) Telecommunications mounting case
CN110915080B (zh) 开关柜底座和其上安装的开关柜机架的布置以及相应的开关柜列
JP7049896B2 (ja) 分電盤
EP2611272B1 (en) Bracket and electronic device
JP7246171B2 (ja) 電気機器収納用箱体
JP7220947B2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ラック
CN213694501U (zh) 电气设备机柜
CN217934711U (zh) 一种可调模块化电容补偿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