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113Y1 - 베이비룸용 문고리 - Google Patents

베이비룸용 문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113Y1
KR200487113Y1 KR2020170001970U KR20170001970U KR200487113Y1 KR 200487113 Y1 KR200487113 Y1 KR 200487113Y1 KR 2020170001970 U KR2020170001970 U KR 2020170001970U KR 20170001970 U KR20170001970 U KR 20170001970U KR 200487113 Y1 KR200487113 Y1 KR 2004871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oss
locking
engaging member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9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일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엠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엠코프 filed Critical (주)에스엠코프
Priority to KR20201700019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1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1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1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6Children's play- pe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이비룸의 출입문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간단한 조작만으로 출입문을 잠가 놓으면 어린 아이들이 내부에서 출입문을 열고 나오지 못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베이비룸용 문고리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베이비룸용 문고리를 설치하면 어린 아이들이 출입문을 열고 나오지 못하기 때문에 어린 아이들이 스스로 베이비룸의 출입문을 열고 나와 생기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베이비룸용 문고리{DOOR LATCH FOR BABY ROOM}
본 고안은 베이비룸용 문고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비룸의 출입문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간단한 조작만으로 출입문을 잠가 놓으면 어린 아이들이 내부에서 출입문을 열고 나오지 못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베이비룸용 문고리에 관한 것이다.
어린 아이들이 노는 동안에는 다양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기어다니거나, 막 걸음마를 배운 유아는 사고 능력이 약하므로 보호자가 방심하는 사이에 안전사고가 일어날 확률이 높다.
따라서, 어린 아이들이 노는 동안 보호자의 시야에서 멀리 벗어나지 않고 제한된 공간에서 놀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베이비룸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베이비룸은 복수의 울타리부재가 서로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사방이 막혀 있는 울타리 구조로 이루어지고, 울타리의 일부분에는 출입문이 설치되어 출입문을 통해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출입문에는 문고리가 설치되어 부모가 선택적으로 출입문을 잠가 놓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베이비룸에 설치된 문고리의 일례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2010-0005309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의 공개실용신안공보에서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종래의 문고리(잠금부재)는 단순하게 직각으로 회전되게 구성되어 있으며,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출입문에 걸려 출입문이 열리지 않도록 잠그게 되고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이 해제되어 출입문을 열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단순하게 문고리를 회전시켜 걸리는 방식에 의해 출입문을 잠그게 되면, 어린 아이들이 베이비룸 내에서 스스로 문고리를 들어올려 출입문을 열고 나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어린 아이들이 안전을 위해 베이비룸 내에서 놀아야 하는데, 스스로 출입문을 열고 나오게 되면 안전사고가 일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2010-0005309호(등록일: 2010년05월25일), 발명의 명칭: "조립식 안전 울타리"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6695호(등록일: 2002년02월20일), 고안의 명칭: "플레이펜의 문잠금장치"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6201호(등록일: 2006년05월08일), 고안의 명칭: "조립구조를 갖는 놀이방의 울타리" 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8622호(등록일: 2015년10월22일), 고안의 명칭: "어린이 및 애완동물 보호용 펜스 어셈블리"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베이비룸 밖에서 출입문을 잠가 놓으면 베이비룸 내에서 어린 아이들이 출입문을 열고 나오지 못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베이비룸용 문고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은, 다수의 울타리부재가 서로 연결되게 조립되어 베이비룸을 형성하고, 베이비룸의 일부분에는 출입문부재가 설치되되, 출입문부재는 문틀 내에서 출입문이 일측에 설치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열고 닫히게 구성되며, 출입문과 문틀 사이에는 축과 대응되는 반대편에 문틈이 형성되고, 문틀의 일부분에는 보스결합공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 베이비룸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문틈이 형성된 출입문과 문틀의 전면 일부분에 설치되되, 보스결합공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전면보스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보스결합공에 삽입되게 조립되며, 전면보스를 기준으로 수평으로 회전하면 출입문과 문틀의 전면 일부분을 막게 되어 출입문이 전방으로 열리지 않도록 하고, 전면보스를 기준으로 수직으로 회전하면 문틀의 일부분만 막게 되어 출입문을 열 수 있게 하는 전면부재; 상기 전면부재와 세트로 구성되고, 상기 문틈이 형성된 출입문과 문틀의 후면 일부분에 설치되되, 보스결합공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후면보스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보스결합공에 삽입 및 전면보스와 결합되게 조립되며, 후면보스를 기준으로 수평으로 회전하면 출입문과 문틀의 후면 일부분을 막게 되어 출입문이 후방으로 열리지 않도록 하고, 후면보스를 기준으로 수직으로 회전하면 문틀의 일부분만 막게 되어 출입문을 열 수 있게 하는 후면부재; 상기 전면부재의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후방으로 이동하면 출입문과 문틀 사이의 문틈으로 끼워지게 삽입되어 전면부재와 후면부재가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걸림 역할을 하는 걸림부재; 및 상기 걸림부재를 필요에 따라 전후로 이동시키는 걸림부재작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룸용 문고리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작동수단은, 상기 걸림부재의 일부분에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어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상단파지부와, 상기 전면부재의 전면 일부분에서 내부로 관통되게 형성된 레버노출공과, 상기 전면부재의 후면에 결합되고, 문틈과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부재관통공이 관통 형성되며, 전면보스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보스관통공이 관통 형성되고, 전면 중앙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한 쌍의 축지지대가 전방으로 돌출되고, 축지지대에는 내면에 축삽입홈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 베이스판과, 중심에는 양측으로 중심축이 돌출 형성되고, 이 중심축이 축지지대의 축삽입홈에 삽입되게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는 상기 레버노출공으로 노출되는 레버가 일체로 형성되어 레버를 밀거나 당기면 중심축을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설치되고, 하부 일부분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단파지부가 끼움홈에 끼워지게 결합됨으로 회전 방향에 따라 걸림부재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회전체를 포함하게 구성되어, 상기 레버를 조작하여 회전체를 회전시켜 걸림부재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걸림부재가 출입문과 문틀 사이의 문틈으로 끼워지게 삽입되어 전면부재와 후면부재가 걸림부재에 걸려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됨으로 출입문이 잠겨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걸림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걸림부재가 문틈에서 빠져나와 전면부재와 후면부재가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 출입문을 열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 일부분에는 잠금위치걸림홈과 열림위치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일부분에는 텐션바가 전후로 텐션 가능하게 설치되되, 텐션바의 일부분에는 잠금위치걸림홈 또는 열림위치걸림홈과 대응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를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걸림돌기가 회전체의 잠금위치걸림홈 또는 열림위치걸림홈에 삽입되면 회전을 멈추게 함으로 걸림부재의 이동을 정해진 위치에서 멈추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베이비룸용 문고리는 부모가 간단한 조작만으로 베이비룸 밖에서 출입문을 잠가 놓으면 베이비룸 내에서 어린 아이들이 출입문을 열고 나오지 못하기 때문에 어린 아이들이 스스로 베이비룸의 출입문을 열고 나와 생기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베이비룸용 문고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와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베이비룸용 문고리의 결합 상태를 보인 결합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작동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문고리가 설치된 베이비룸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베이비룸용 문고리가 출입문 잠금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베이비룸용 문고리가 출입문 열림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베이비룸용 문고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작동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베이비룸용 문고리는 베이비룸(10)의 출입문부재(30)에 설치된다. 즉, 베이비룸(10)은 다수의 울타리부재(20)가 서로 연결되게 조립되어 베이비룸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베이비룸(10)의 일부분에는 울타리부재(20) 대신 출입문부재(30)가 결합되는 데, 이 출입문부재(30)는 문틀(40) 내에서 출입문(50)이 일측에 설치된 축(5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열고 닫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출입문(50)과 문틀(40) 사이에는 축(52)과 대응되는 반대편에 문틈(60)이 형성되고, 문틀(40)의 일부분에는 보스결합공(4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바로 이렇게 구성된 출입문부재(30)에 본 고안에 따른 베이비룸용 문고리가 설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베이비룸용 문고리는 전면부재(100), 후면부재(200), 걸림부재(300), 걸림부재작동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면부재(100)는 문틈(60)이 형성된 출입문(50)과 문틀(40)의 전면 일부분을 막을 수 있게 설치되는 것으로, 보스결합공(42)과 대응되는 부분에 전면보스(110)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전면보스(110)를 전방에서 보스결합공(42)에 삽입되게 조립한 후, 보스결합공(42)의 후방에서 삽입되는 후면부재(200)의 후면보스(210)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전면부재(100)는 전면보스(110)를 기준으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다. 즉, 전면부재(100)를 수평으로 회전하면 출입문(50)과 문틀(40)의 전면 일부분을 막게 되어 출입문(50)이 전방으로 열리지 않게 되고, 전면부재(100)를 수직으로 회전하면 문틀(40)의 일부분만 가리게 되어 출입문(50)을 열 수 있게 된다.
후면부재(200)는 문틈(60)이 형성된 출입문(50)과 문틀(40)의 후면 일부분을 막을 수 있게 설치되는 것으로, 전면부재(100)와 세트로 구성된다. 그리고 보스결합공(42)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후면보스(210)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후면보스(210)를 후방에서 보스결합공(42)에 삽입되게 조립한 후, 보스결합공(42)의 전방에서 삽입되는 전면부재(100)의 전면보스(110)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후면부재(200)는 후면보스(210)를 기준으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다. 즉, 후면부재(200)를 수평으로 회전하면 출입문(50)과 문틀(40)의 전면 일부분을 막게 되어 출입문(50)이 전방으로 열리지 않게 되고, 후면부재(200)를 수직으로 회전하면 문틀(40)의 일부분만 가리게 되어 출입문(50)을 열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전면보스(110)와 후면보스(210)는 보스결합공(42)에 삽입되어 서로 대면되게 조립된 상태에서 중앙을 관통하게 체결되는 고정나사(B1)를 통해 서로 결합되게 조립된다. 물론, 핀을 박아 고정되게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걸림부재(300)는 전면부재(100)의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후방으로 이동하면 출입문(50)과 문틀(40) 사이의 문틈(60)으로 끼워지게 삽입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걸림부재(300)는 전면부재(100)와 후면부재(200)가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걸림 역할을 하게 된다.
걸림부재작동수단(400)는 걸림부재(300)와 연동되게 설치되어, 걸림부재(300)를 필요에 따라 전후로 이동시키게 구성된다.
걸림부재작동수단(400)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걸림부재(300)의 일부분에는 삽입공(310)이 관통 형성되어 상단에 상단파지부(320)가 일체로 형성되게 구성되고, 전면부재(100)의 전면 일부분에는 내부로 관통되게 레버노출공(120)이 형성되게 구성된다. 걸림부재작동수단(400)은 베이스판(410)과 회전체(420)로 구성되어 걸림부재(300)의 상단파지부(320)를 잡고 걸림부재(300)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게 설치된다.
즉, 베이스판(410)은 전면부재(100)의 후면에 결합되어 출입문(50)과 문틀(40)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문틈(60)과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부재관통공(414)이 관통 형성되며, 전면보스(110)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보스관통공(412)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전면 중앙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한 쌍의 축지지대(416)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축지지대(416)에는 내면에 축삽입홈(418)이 형성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베이스판(410)은 전면부재(100)에 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베이스판(410)과 전면부재(100)의 일부분을 관통하게 체결되는 다수의 결합나사(B2)를 통해 서로 고정되게 설치된다. 물론, 핀을 박아 고정되게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계속해서, 회전체(420)는 중심에서 양측으로 중심축(422)이 돌출 형성되게 구성되고, 이 중심축(422)은 축지지대(416)의 축삽입홈(418)에 삽입되게 지지되어 중심축(422)을 중심으로 회전체(4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체(420)의 상부에는 레버노출공(120)으로 노출되는 레버(424)가 일체로 형성되어 레버(424)를 밀거나 당기면 중심축(422)을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체(420)의 하부 일부분에는 끼움홈(426)이 형성되어 상단파지부(320)가 끼움홈(426)에 끼워지게 결합됨으로 회전 방향에 따라 걸림부재(300)를 전후로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베이비룸용 문고리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424)를 조작해 회전체(420)를 회전시킬 때 회전체(420)가 정해진 위치에서 멈출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회전체(420)의 외주면 일부분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잠금위치걸림홈(428)과 열림위치걸림홈(429)이 형성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베이스판(410)의 일부분에는 텐션바(430)가 전후로 텐션 가능하게 설치되되, 텐션바(430)의 일부분에는 잠금위치걸림홈(428) 또는 열림위치걸림홈(429)과 대응되는 걸림돌기(432)가 돌출 형성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텐션바(430)가 전후로 텐션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해 베이스판(410)의 일부분에 전후로 관통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텐션바(430)의 단부는 베이스판(410)에 고정되고 텐션바(430)의 걸림돌기(432) 부분은 공간에 위치하게 설치하여 걸림돌기(432) 부분이 전후로 텐션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회전체(420)의 외주면은 텐션바(430)에 밀착되게 설치하여 회전체(420)가 회전하면서 걸림돌기(432)를 누를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회전체(420)를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걸림돌기(432)가 눌리면서 텐션바(430)가 밀렸다가 잠금위치걸림홈(428) 또는 열림위치걸림홈(429)에 도달하게 되면 텐션바(430)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걸림돌기(432)가 회전체(420)의 잠금위치걸림홈(428) 또는 열림위치걸림홈(429)에 삽입되어 회전체(420)의 회전이 정해진 위치에서 정확하게 멈출 수 있게 된다. 그러면 걸림부재(300)의 이동도 정해진 위치에서 정확하게 멈출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베이비룸용 문고리의 설치 및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베이비룸용 문고리를 설치할 때는 전면부재(100)에 회전체(420)와 걸림부재(300)와 베이스판(410)이 조립되도록 설치한다. 즉, 베이스판(410)의 축지지대(416)에 회전체(420)의 중심축(422)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조립한 상태에서 회전체(420)의 끼움홈(426)에 걸림부재(300)의 상단파지부(320)가 끼워져 조립되도록 한다. 이때, 걸림부재(300)는 베이스판(410)의 삽입공(310)에 삽입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체(420)와 걸림부재(300)가 조립된 베이스판(410)을 전면부재(100)에 대고 결합나사(B2)를 통해 결합한다. 그러면 회전체(420)의 레버(424)는 전면부재(100)의 레버노출공(120)을 통해 전방으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다음으로, 전면부재(100)는 문틀(40)의 전방에서 전면보스(110)가 보스결합공(42)에 삽입되도록 조립하고, 후면부재(200)는 문틀(40)의 후방에서 후면보스(210)가 보스결합공(42)에 삽입되도록 조립한다. 그러면 전면보스(110)와 후면보스(210)는 보스결합공(42) 내에서 서로 마주보고 대면되게 조립되는 데, 이 상태에서 고정나사(B1)를 관통하게 체결하여 서로 결합하면 된다. 이렇게 조립된 전면부재(100)와 후면부재(200)는 전면보스(110)와 후면보스(210)를 축으로 수평 또는 수직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고안에 따른 베이비룸용 문고리는 전면부재(100)와 후면부재(200)를 도 6과 같이 수평으로 놓이게 회전시키게 되면 출입문(50)이 전면부재(100)와 후면부재(200)에 걸려 전후로 열 수 없게 되고, 전면부재(100)와 후면부재(200)를 도 7과 같이 수직으로 놓이게 회전시키게 되면 출입문(50)이 전면부재(100)와 후면부재(200)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전후로 열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해, 본 고안은 전면부재(100)와 후면부재(200)를 수평을 회전시켜 출입문(50)을 열 수 없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상태에서 도 3과 같이 회전체(420)의 레버(424)를 밀어서 회전체(4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걸림부재(30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문틀(40)과 출입문(50) 사이의 문틈(60)으로 끼워지게 삽입된다. 그러면 걸림부재(300)가 문틈(60)에 걸려 전면부재(100)와 후면부재(200)가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확실하게 출입문(50)이 잠겨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회전체(420)의 레버(424)가 베이비룸(10)의 외측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베이비룸(10)의 내부에 놀고 있는 어린 아이들은 레버(424)를 조작할 수 없으며, 따라서 어린 아이들이 출입문(50)을 스스로 열고 나오는 문제점이 개선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출입문(50)을 열어 주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회전체(420)의 레버(424)를 당겨서 회전체(4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걸림부재(30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문틈(60)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그러면, 걸림부재(300)가 문틈(60)에 걸려 있지 않기 때문에 전면부재(100)와 후면부재(200)는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부모가 전면부재(100)와 후면부재(200)를 수직으로 회전시켜 출입문(50)이 걸리지 않도록 하면, 어린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출입문(50)을 열고 베이비룸(10) 밖으로 나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같이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베이비룸 20: 울타리부재
30: 출입문부재 40: 문틀
50: 출입문 60: 문틈
100: 전면부재 200: 후면부재
300: 걸림부재 400: 걸림부재작동수단
410: 베이스판 420: 회전체
430: 텐션바

Claims (3)

  1. 다수의 울타리부재가 서로 연결되게 조립되어 베이비룸을 형성하고, 베이비룸의 일부분에는 출입문부재가 설치되되, 출입문부재는 문틀 내에서 출입문이 일측에 설치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열고 닫히게 구성되며, 출입문과 문틀 사이에는 축과 대응되는 반대편에 문틈이 형성되고, 문틀의 일부분에는 보스결합공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 베이비룸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문틈이 형성된 출입문과 문틀의 전면 일부분에 설치되되, 보스결합공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전면보스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보스결합공에 삽입되게 조립되며, 전면보스를 기준으로 수평으로 회전하면 출입문과 문틀의 전면 일부분을 막게 되어 출입문이 전방으로 열리지 않도록 하고, 전면보스를 기준으로 수직으로 회전하면 문틀의 일부분만 막게 되어 출입문을 열 수 있게 하는 전면부재;
    상기 전면부재와 세트로 구성되고, 상기 문틈이 형성된 출입문과 문틀의 후면 일부분에 설치되되, 보스결합공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후면보스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보스결합공에 삽입 및 전면보스와 결합되게 조립되며, 후면보스를 기준으로 수평으로 회전하면 출입문과 문틀의 후면 일부분을 막게 되어 출입문이 후방으로 열리지 않도록 하고, 후면보스를 기준으로 수직으로 회전하면 문틀의 일부분만 막게 되어 출입문을 열 수 있게 하는 후면부재;
    상기 전면부재의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후방으로 이동하면 출입문과 문틀 사이의 문틈으로 끼워지게 삽입되어 전면부재와 후면부재가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걸림 역할을 하는 걸림부재; 및
    상기 걸림부재를 필요에 따라 전후로 이동시키는 걸림부재작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룸용 문고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작동수단은,
    상기 걸림부재의 일부분에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어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상단파지부와,
    상기 전면부재의 전면 일부분에서 내부로 관통되게 형성된 레버노출공과,
    상기 전면부재의 후면에 결합되고, 문틈과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부재관통공이 관통 형성되며, 전면보스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보스관통공이 관통 형성되고, 전면 중앙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한 쌍의 축지지대가 전방으로 돌출되고, 축지지대에는 내면에 축삽입홈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 베이스판과,
    중심에는 양측으로 중심축이 돌출 형성되고, 이 중심축이 축지지대의 축삽입홈에 삽입되게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는 상기 레버노출공으로 노출되는 레버가 일체로 형성되어 레버를 밀거나 당기면 중심축을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설치되고, 하부 일부분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단파지부가 끼움홈에 끼워지게 결합됨으로 회전 방향에 따라 걸림부재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회전체를 포함하게 구성되어,
    상기 레버를 조작하여 회전체를 회전시켜 걸림부재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걸림부재가 출입문과 문틀 사이의 문틈으로 끼워지게 삽입되어 전면부재와 후면부재가 걸림부재에 걸려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됨으로 출입문이 잠겨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걸림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걸림부재가 문틈에서 빠져나와 전면부재와 후면부재가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 출입문을 열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룸용 문고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 일부분에는 잠금위치걸림홈과 열림위치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일부분에는 텐션바가 전후로 텐션 가능하게 설치되되, 텐션바의 일부분에는 잠금위치걸림홈 또는 열림위치걸림홈과 대응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를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걸림돌기가 회전체의 잠금위치걸림홈 또는 열림위치걸림홈에 삽입되면 회전을 멈추게 함으로 걸림부재의 이동을 정해진 위치에서 멈추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룸용 문고리.
KR2020170001970U 2017-04-19 2017-04-19 베이비룸용 문고리 KR2004871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970U KR200487113Y1 (ko) 2017-04-19 2017-04-19 베이비룸용 문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970U KR200487113Y1 (ko) 2017-04-19 2017-04-19 베이비룸용 문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113Y1 true KR200487113Y1 (ko) 2018-08-06

Family

ID=63208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970U KR200487113Y1 (ko) 2017-04-19 2017-04-19 베이비룸용 문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11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050Y1 (ko) 2018-08-16 2019-04-22 이강일 베이비룸용 문고리장치
KR20210000156U (ko) 2019-07-10 2021-01-20 주식회사 에이치엔씨엔 베이비룸용 출입문 잠금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695Y1 (ko) 2001-11-23 2002-03-04 (주)햇님토이 플레이펜의 문잠금장치
KR20040016201A (ko) 2002-08-16 2004-02-21 유도실업주식회사 사출기용 핫 런너 시스템에 사용되는 노즐 게이트에 가열장치와 냉각장치를 장착한 개폐식 노즐 게이트와 그 개폐방법
KR20040078622A (ko) 2004-08-19 2004-09-10 명 석 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JP3112427U (ja) * 2005-05-12 2005-08-11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固定具及び該固定具を用いたゲート
JP2006061207A (ja) * 2004-08-24 2006-03-09 Richell Corp 幼児用ゲート
KR20100005309U (ko) 2008-11-14 2010-05-25 권영한 조립식 안전 울타리
KR101745271B1 (ko) * 2016-07-14 2017-06-09 김옥일 유아 및 애완동물 보호펜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695Y1 (ko) 2001-11-23 2002-03-04 (주)햇님토이 플레이펜의 문잠금장치
KR20040016201A (ko) 2002-08-16 2004-02-21 유도실업주식회사 사출기용 핫 런너 시스템에 사용되는 노즐 게이트에 가열장치와 냉각장치를 장착한 개폐식 노즐 게이트와 그 개폐방법
KR20040078622A (ko) 2004-08-19 2004-09-10 명 석 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JP2006061207A (ja) * 2004-08-24 2006-03-09 Richell Corp 幼児用ゲート
JP3112427U (ja) * 2005-05-12 2005-08-11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固定具及び該固定具を用いたゲート
KR20100005309U (ko) 2008-11-14 2010-05-25 권영한 조립식 안전 울타리
KR101745271B1 (ko) * 2016-07-14 2017-06-09 김옥일 유아 및 애완동물 보호펜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050Y1 (ko) 2018-08-16 2019-04-22 이강일 베이비룸용 문고리장치
KR20210000156U (ko) 2019-07-10 2021-01-20 주식회사 에이치엔씨엔 베이비룸용 출입문 잠금장치
KR200495587Y1 (ko) * 2019-07-10 2022-07-05 홍세일 베이비룸용 출입문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2909B2 (ja) ロック/アンロックの表示機能が備えられた建具用ロック装置
KR200489050Y1 (ko) 베이비룸용 문고리장치
KR200487113Y1 (ko) 베이비룸용 문고리
KR101793629B1 (ko) 안전 방충망 잠금장치
US6105406A (en) Latch security device
KR200492142Y1 (ko) 울타리용 문고리
KR200489898Y1 (ko) 방충망용 잠금장치
JP3657035B2 (ja) 開放状態引戸用ロック装置
KR101599896B1 (ko) 방충망 도어의 잠금장치
KR101849097B1 (ko) 미닫이 창호용 안전 크리센트
KR101626120B1 (ko) 모티스
JP4462625B2 (ja) 両開きドア
KR101130512B1 (ko) 영유아용 펜스
KR200456204Y1 (ko) 안전창의 잠금장치
KR101502664B1 (ko) 창호용 잠금 장치
KR101990693B1 (ko) 방범 방충망용 잠금장치
JP2008202337A (ja) ベビーゲート
KR200495587Y1 (ko) 베이비룸용 출입문 잠금장치
KR200336823Y1 (ko) 도어잠금장치를 가지는 유아보호용 안전도어
KR102286550B1 (ko) 안전용 출입문장치
JP4135878B2 (ja) スライディングサッシ
KR102151620B1 (ko) 방 개폐 장치
JP4206255B2 (ja) 扉の錠前
JP2014012949A (ja) 引戸錠
JPS611718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