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110Y1 - A camera housing - Google Patents

A camera hous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110Y1
KR200487110Y1 KR2020160003517U KR20160003517U KR200487110Y1 KR 200487110 Y1 KR200487110 Y1 KR 200487110Y1 KR 2020160003517 U KR2020160003517 U KR 2020160003517U KR 20160003517 U KR20160003517 U KR 20160003517U KR 200487110 Y1 KR200487110 Y1 KR 2004871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bracket
hook
guid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51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04422U (en
Inventor
황상복
Original Assignee
팅크웨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팅크웨어(주) filed Critical 팅크웨어(주)
Priority to KR20201600035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110Y1/en
Priority to CN201720720774.0U priority patent/CN207096660U/en
Publication of KR201700044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42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1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11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3Align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장치는 내부에 카메라를 수용하되 상기 카메라의 렌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카메라 수용부; 및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면에서 소정 길이로 상기 렌즈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양 측에서 상기 렌즈로 수집되는 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벽이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장치가 차량의 전방유리에 장착된 후 주행 도중에 차량이 흔들리는 경우에도 내부 구성을 통해 장치의 이탈을 방지하고,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보다 정확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중에 반사되는 외부의 잡광을 차단하여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식별력 높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운전 중인 사용자가 용이하게 경로 정보와 같은 주행 보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camera hou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receiving part for accommodating a camera therein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ns of the camera; And a guide portion having a bottom surface extending toward the front of the lens with a predetermined length on a surface of the camera receiving portion where the opening is formed and a guide wall guiding light collect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vehicle is shaken during driving after the apparatus is mounted on the front glass of the vehicle, the apparatus can be prevented from departing through the internal structure, and the camera shake can be minimized to obtain a more accurate imag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clear images by blocking external light reflected during driving, thereby providing highly discriminative information to the user, thereby enabling the driving user to easily obtain driving assistance information such as route information.

Description

카메라 하우징 장치{A CAMERA HOUSING}[0001] CAMERA HOUSING [0002]

본 고안은 카메라 하우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일 측에 부착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hou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mera apparatus attached to one side of a vehicle for photographing an image.

운전자의 편의를 위하여, 개발된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을 사용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미리 저장된 지도 정보에 매핑 시켜 사용자에게 표시해 준다.For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the developed navigation device maps the position of the vehicle to pre-stored map information by using position information usin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satellites and displays it to the user.

이를 통해 사용자는 현재 자신의 위치를 인식하고, 내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목적지에 대한 경로를 인지하여 운전시 도움을 받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recogniz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and can recognize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through the display device of the navigation device, and can receive assistance in driving.

다만, 일반적인 내비게이션 장치는 사용자의 식별력을 높이기 위하여, 실제 현실에 가깝게 주변 상황 정보를 이미지화 하거나, 시간에 따라 밤과 낮을 구분하여 표시하지만 주행 중 짧은 순간에 경로를 확인해야 하는 경우 실제 사용자의 눈에 보이는 현실과 내비게이션 장치 간의 이미지 정보 차이로 인해 주행 경로를 착각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However, in order to increase the discrimination power of a user, a general navigation device displays image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lose to actual reality, or displays night and day according to time. However, when a route should be checked at a short time during driving, There is a case where the traveling route is misunderstood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image information between the visible reality and the navigation device.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제 환경에 가상의 객체를 합성하여 가상의 객체가 실제 환경에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인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즉, 사용자가 주행 중에 인식하는 현실 상황을 카메라로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에 주행 경로에 관한 정보들을 겹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식별력을 높이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ugmented reality, which is a computer graphics technique for synthesizing virtual objects in a real environment so that a virtual object appears to exist in a real environment, And a technique of increasing the discrimination power of a user by displaying information on a traveling route in a superimposed manner on a photographed image has been developed.

예컨대,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10694(공개일 2016.01.28)는 의도와 특징을 살려 알림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증강 현실 알림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010694 (Publication Date 2016.01.28) proposes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notification capable of effectively expressing notification information by making use of intent and characteristics.

이와 관련하여, 고속으로 운행하는 차량 내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통한 정보의 표시를 위해서는 소프트웨어적인 영상 처리뿐만 아니라, 하드웨어적으로 고품질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의 구성 및 차량에 부착되는 카메라 장치의 내구성 및 사용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구성의 개발이 요구되는 바이다.In this regard, in order to display information through a video image captured in a vehicle running at high speed, not only software image processing but also a configuration of a camera for acquiring hardware high-quality images and a durability And development of a configuration for increasing the stability of use is required.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카메라와 같은 전자기기가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의 전방 유리에 장착 된 후 외부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amera from being detached by external vibration or impact after being mounted on a windshield of a vehicle running at high speed do.

또한, 주행 중에 차량 내 위치하는 유리 등의 다른 구성으로부터 반사 되는 외부의 잡광을 차단하여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식별력 높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btain clear images by blocking external light reflected from other components such as glass located in a vehicle while driving, thereby providing users with high discriminating informa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장치는 내부에 카메라를 수용하되 상기 카메라의 렌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카메라 수용부; 및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면에서 소정 길이로 상기 렌즈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양 측에서 상기 렌즈로 수집되는 광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벽이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mera housing unit including a camera housing unit having a camera housing therein and an opening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lens of the camera, And a guide portion having a bottom surface extending toward the front of the lens with a predetermined length on a surface of the camera receiving portion where the opening is formed and a guide wall guiding light collect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상기 카메라 수용부는 상기 개구부의 양 측에서 상기 카메라 하우징에 결합되는 브라켓의 고정핀을 결속시키기 위한 고정홈을 더 포함한다.The camera receiving portion further includes fixing grooves for fastening the fixing pins of the bracket coupled to the camera housing at both sides of the opening.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벽에서 바깥 방향을 향하여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의 끼움 홈과 결속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한다.The guide part further includes a protruding part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guide wall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fitting groove of the bracket.

상기 카메라 수용부는 상기 브라켓의 후크와 결합을 위하여 양 측면에 미리 결정된 폭과 깊이의 후크 결합홈을 더 포함하되, 상기 후크의 고리부는 바깥을 향하게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이 결합되는 커버의 후크 걸림부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mera receiv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hook engagement grooves having predetermined widths and depths on both sides for engaging with the hooks of the bracket, wherein the hook portion of the hook is formed outward so that the hook engagement portion of the cover to which the bracket is coupled .

상기 가이드 벽은 연장되는 방향으로 높이 및 폭이 감소하고,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벽 수용홈과 끼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uide wall may be reduced in height and width in a direction in which the guide wall extends, and is preferably fitted to the guide wall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bracke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장치는 내부에 카메라를 수용하는 카메라 수용부 및 상기 카메라의 렌즈로 수집되는 광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하우징; 및 상기 카메라 하우징과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으로 상기 제1 가이드부를 수용하고 상기 렌즈의 전방으로 선단부에 이르기까지 단차를 갖는 연속하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제2 가이드부가 형성된 브라켓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mera housing device including a camera housing including a camera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a camera therein and a first guide part for guiding light collected by the camera lens; And a bottom surface coupled to the camera housing, the bottom surface being comprised of a plurality of continuous layers having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guide portion and receiving the first guide portion and having a step up to the front end of the lens 2 guide portion.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면에서 소정 길이로 상기 렌즈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양 측에서 상기 렌즈로 수집되는 광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바닥면의 양 측에서 상기 렌즈로 수집되는 광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벽을 포함한다.The first guide portion includes a bottom surface extending forwardly of the lens with a predetermined length on a surface of the camera receiving portion where the opening is formed and a first guide wall guiding light collected by the lens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includes a second guide wall for guiding light collected on both sides of a bottom surface of the plurality of layers.

상기 카메라 수용부는 상기 카메라의 렌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개방된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의 양 측에서 소정 깊이로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고정홈에 결속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amera receiving portion includes an opening portion ope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ns of the camera, and a fixing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portion, and the bracket includes a fixing pin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가이드 벽에서 바깥방향을 향하여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양측면에 상기 돌기부에 결속되는 끼움홈을 포함한다.The first guide portion includes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 from the first guide wall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brackets include fitting grooves that are coupled to the protrusions on both sides.

상기 카메라 수용부는 양 측면에 미리 결정된 폭과 깊이의 후크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후크 결합홈의 폭과 깊이에 대응되는 후크를 포함하되, 상기 후크의 고리부는 바깥을 향하게 형성되어 상기 후크는 상기 브라켓이 결합되는 커버의 후크 걸림부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camera accommodating portion includes a hook engagement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on both sides and the bracket includes a hook corresponding to a width and a depth of the hook engagement groove and the hook portion of the hook is formed to face outward, Preferably, the hook is engaged with the hook engagement portion of the cover to which the bracket is coupled.

상기 제1 가이드벽 및 상기 제2 가이드벽은 연장되는 방향으로 높이 및 폭이 감소하고, 상기 제1 가이드벽은 상기 제2 가이드벽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벽 수용홈과 끼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guide wall and the second guide wall are reduced in height and width in the extending direction, and the first guide wall is fitted to the guide wall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second guide wall.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렌즈의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되, 상기 확보되는 시야각은 32도 내지 47도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econd guide portion has a width wider toward the front in order to secure a viewing angle of the lens, and the ensured viewing angle is in a range of 32 to 47 degrees.

상기 제2 가이드부의 바닥면은, 미리 결정된 임계치 이하의 반사율을 갖는 무광의 패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bottomless surface of the second guide portion is formed with a matte pattern having a reflectance low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상기 브라켓의 제1 면은 상기 차량의 윈도우에 부착되는 면이다.The first surface of the bracket is a surface attached to the window of the vehicl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장치는 내부에 카메라를 수용하는 카메라 수용부 및 상기 카메라의 렌즈로 수집되는 광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하우징; 상기 카메라 하우징과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으로 상기 제1 가이드부를 수용하고 상기 렌즈의 전방으로 선단부에 이르기까지 단차를 갖는 연속하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제2 가이드부가 형성된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을 수용하고, 내부에서 상기 브라켓의 양측면에서 바깥을 향하여 형성된 후크의 고리부와 결합되는 후크 걸림부가 형성된 커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mera housing device including a camera housing including a camera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a camera therein and a first guide part for guiding light collected by the camera lens; And a second surface including a bottom surface, the bottom surface being comprised of a plurality of successive layers having a stepped portion which is coupled to the camera housing and has a groove corresponding in shape to the guide portion and accommodates the first guide portion, A bracket formed with a guide portion; And a cover for receiving the bracket and formed therein with hooks engaging with the hooks of the hook formed outwardly from both sides of the bracket.

상기 커버는 상기 수용되는 브라켓을 고정하기 위하여 내부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부재를 더 포함한다.The cover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engaging members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to fix the received bracket.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카메라 수용부에서 소정 길이로 상기 렌즈의 전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면에서 소정 길이로 상기 렌즈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양 측에서 상기 렌즈로 수집되는 광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바닥면의 양 측에서 상기 렌즈로 수집되는 광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벽을 포함한다.Wherein the first guide portion includes a bottom surface extending toward the front of the lens at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camera accommodating portion and extending toward the front of the lens at a predetermined length on a surface where the opening of the camera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And a second guide wall for guiding light collected by the lens at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constituted by the plurality of layers, .

상기 카메라 수용부는 양 측면에 미리 결정된 폭과 깊이의 후크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후크 결합홈의 폭과 깊이에 대응되는 후크를 포함하되, 상기 후크의 고리부는 바깥을 향하게 형성되어 상기 후크는 상기 브라켓이 상기 카메라 하우징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의 후크 걸림부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camera accommodating portion includes a hook engagement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on both sides and the bracket includes a hook corresponding to a width and a depth of the hook engagement groove and the hook portion of the hook is formed to face outward, And the hook is engaged with the hooking portion of the cover in a state where the bracket is engaged with the camera housing.

결합에 따라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제1 면은 상기 커버의 내측을 향하고, 상기 브라켓의 제1 면은 상기 커버의 외측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face of the camera housing faces the inside of the cover, and the first face of the bracket faces the outside of the cover.

상기 커버는 사용자의 나사 조작을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상기 카메라의 설치 각도는 조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ver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s operation of a screw, and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camera is adjustable through operation of the user.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의 전방 유리에 장착된 후 주행 도중에 차량이 흔들리는 경우에도 내부 구성을 통해 장치의 이탈을 방지하고,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보다 정확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vehicle is shaken during driving after being mounted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prevent deviation of the apparatus through the internal structure and minimize the shaking to obtain a more accurate image.

또한, 주행 중에 반사되는 외부의 잡광을 차단하여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식별력 높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운전 중인 사용자가 용이하게 경로 정보와 같은 주행 보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clear images by blocking external light reflected during driving, thereby providing highly discriminative information to the user, thereby enabling the driving user to easily obtain driving assistance information such as route informa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의 정면을 기준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의 측면을 기준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과 결합된 카메라 하우징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의 상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커버 및 브라켓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mer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ide of a camer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surface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mera housing apparatus combined with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surface of a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surface of a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camera housing, a cover, and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 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The technical effect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technical structure thereof, will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que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limited thereto, but also may enable others skilled in the art to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시의 간략화 및 명료화를 위해, 도면은 일반적 구성 방식을 도시하고, 본 발명의 설명된 실시예의 논의를 불필요하게 불명료하도록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지된 특징 및 기술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면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축척에 따라 그려진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는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유사한 참조부호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For simplicity and clarity of illustration, the drawings illustrate the general manner of construction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eatures and techniques may be omitted so as to avoid unnecessarily obscuring the discussion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dditionally, elements of the drawings are not necessarily drawn to scale. For example,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mensions of some of the elements in the figures may be exaggerated relative to other ele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in different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and like reference numbers may indicate similar elements, although not necessari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100)을 나타내는 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camera housing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100)은 카메라 수용부(110), 가이드부(1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amera housing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amera receiving portion 110 and a guide portion 120.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수용부(110)는 내부에 카메라를 수용하되 상기 카메라의 렌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개방된 개구부(112)가 형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mera accommodating unit 110 is formed with an opening 112 that accommodates the camera therein and is ope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ns of the camera.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120)는 상기 카메라 수용부(110)에서 소정 길이로 상기 렌즈의 전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카메라 수용부(110)의 상기 개구부(112)가 형성된 면에서 소정 길이로 상기 렌즈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바닥면(122) 및 상기 바닥면의 양 측에서 상기 렌즈로 수집되는 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벽(124)이 형성된다.The guide unit 120 is extended from the camera accommodating unit 110 to the front of the lens with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camera unit 110 can be rotated in a predetermined length A bottom surface 122 extending forward of the lens and a guide wall 124 guiding light collect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are formed.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100)은 실제 카메라가 수용되는 부분과, 카메라의 렌즈 전방으로 형성되는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amera housing 100 according to FIG. 1 can be divided into a portion where an actual camera is accommodated and a portion formed with a lens front of the camera.

구체적으로 두 부분은 연속되어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부(112)가 형성되는 면을 기준으로 카메라 하우징(100)을 카메라 수용부(110)와 가이드부(120)로 분할하여 설명한다.The camera housing 100 is divided into a camera receiving portion 110 and a guide portion 120 with reference to a surface on which the opening 112 is formed.

먼저, 카메라 수용부(110)는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카메라가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게 한다. 다만, 카메라의 렌즈는 외부로 노출되어야 광을 수집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의 렌즈가 노출되기 위한 개구부(112)를 카메라 수용부(110)의 한 면에 형성한다.First, the camera accommodating unit 110 forms a hollow space therein, through which the camera can be inserted and accommodated. However, since the lens of the camera need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light can be collected, so that the opening 112 for exposing the lens of the camer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amera accommodating part 110.

추가적으로, 수용된 카메라의 렌즈는 개구부(112)의 구멍을 통과하여 더욱 외부로 돌출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ns of the accommodated camera may protrude further through the hole of the opening 112.

또한, 카메라 수용부(110)는 상기 개구부(112)의 양측에서 상기 카메라 하우징(100)에 결합되는 브라켓(200)의 고정핀(205)을 결속시키기 위한 고정홈(114)을 더 포함한다. The camera accommodating unit 110 further includes fixing grooves 114 for fixing the fixing pins 205 of the bracket 200 coupled to the camera housing 100 at both sides of the opening 112.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고정홈(114)은 개구부(112)의 양 측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수용부(110) 중 개구부(112)가 형성된 면에서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in this embodiment, the fixing grooves 114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112. Specifically, it may be formed close to the surface of the camera receiving portion 110 where the opening 112 is formed.

상술한 바와 같이 렌즈가 개구부(112)를 통해 노출되므로, 개구부(112)에 가깝게 고정홈(114)이 형성되면, 고정홈(114)을 통해 결합되는 브라켓(200)과 렌즈의 일체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Since the lens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112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xing groove 114 is formed close to the opening 112, the integrity of the lens and the bracket 200 coupled through the fixing groove 114 can be further improved .

또한, 본 실시예에서 고정홈(114)은 움푹 패인 면의 벽면 일부가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돌출부분을 통해 브라켓(200)의 고정핀(205)이 카메라 수용부(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xing groove 114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wall surface of the recessed surface protrudes so that the fixing pin 205 of the bracket 200 can be fixed to the camera receiving portion 110 through the protruding portion .

즉, 고정홈(114)의 형상을 고정핀(205)에 완벽히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만 대응되도록 돌출부분으로 형성하여, 브라켓(200)과 카메라 수용부(110)의 결합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That is, the shape of the fixing groove 114 is not complete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xing pin 205, but is formed as a protruding portion so that only a part of the fixing groove 114 is corresponding to the fixing groove 205. This makes it easier to connect the bracket 200 and the camera accommodating portion 110 do.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브라켓(200)의 결합 없이도 사용이 가능한 바, 이러한 고정홈(114)의 형상을 통해 브라켓(200)과의 탈착이 용이해 질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racket 200 can be used without attaching the bracket 200, and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bracket 200 with the shape of the fixing groove 114 can be facilitated.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수용부(110)는 상기 브라켓(200)의 후크(220)와 결합을 위하여 양 측면에 미리 결정된 폭과 깊이의 후크 결합홈(116)을 더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amera receiving portion 110 further includes hook engagement grooves 116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on both sides in order to engage with the hooks 220 of the bracket 200.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수용부(110)는 개구부(112)가 형성된 면을 기준으로 양 측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한 후크 결합홈(116)을 형성하고 있다. Referring to FIG. 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mera accommodating portion 110 defines a hook engaging groove 116 which is recessed inward from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face on which the opening 112 is formed.

이때, 오목한 후크 결합홈(116)은 후술하는 브라켓(200)의 후크(220)와 끼움 결합하게 된다. 다만, 후크(220)의 고리부분은 카메라 수용부(110)와 결합되지 않고 후술하는 커버(300)부와 결합된다. 따라서, 후크 결합홈(116)은 브라켓(200)의 후크(220) 폭 및 두께에 대응되는 폭과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브라켓(200)이 카메라 수용부(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concave hook engaging groove 116 is engaged with the hook 220 of the bracket 200 described later. However, the hook portion of the hook 220 is not engaged with the camera accommodating portion 110 but is engaged with the cover 300 described later. The hook coupling groove 116 is formed to have a width and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and the thickness of the hook 220 of the bracket 200 so that the bracket 200 can be fixed to the camera receiving portion 110.

즉,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카메라 수용부(110)는 고정홈(114)과 후크 결합홈(116)의 이중 구성을 통해 결합되어 브라켓(200)과 카메라 수용부(110)의 일체성을 높일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the camera receiving portion 110 is coupled through the dual structure of the fixing groove 114 and the hook coupling groove 116, thereby enhancing the integrity of the bracket 200 and the camera accommodating portion 110 .

다음,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120)에 대해 설명하면, 가이드부(120)는 개구부(112)에서,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Nex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uide unit 120 will be described. The guide unit 120 may extend forward from the opening 112.

구체적으로 가이드부(120)는 바닥면(122)과 가이드벽(1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guide part 120 may include a bottom surface 122 and a guide wall 124.

즉, 본 실시예에서 바닥면(122)은 4개의 방향 중 2개의 면은 가이드벽(124)으로, 1개면은 카메라 수용부(110)의 개구부(112)가 형성되는 면으로 막히게 되며, 카메라의 렌즈를 기준으로 전방의 1개면만 개방된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ttom surface 122 is clogged with two surfaces of the four directions as the guide wall 124, one surface of which is the surface on which the opening 112 of the camera accommodating portion 110 is formed, Only one side of the front side is opened.

따라서, 가이드부(120)를 통해 카메라의 렌즈는 전방에서 유입되는 광만을 수집할 수 있고, 반사 등에 의한 외부 잡광의 수집을 막을 수 있다.Therefore, the lens of the camera can collect only the light entering from the front side through the guide part 120, and can prevent the collection of the external noise due to the reflection or the like.

추가적으로 가이드벽(124)의 형상에 대해 설명하면, 가이드벽(124)은 렌즈의 형성위치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연장될수록 바닥면(122)에서 그 높이가 낮아지고,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guide wall 124 will be described. The guide wall 124 has a shape in which the height of the guide wall 124 is lowered at the bottom surface 122 as the forward direction extends, . As a result, a viewing angle that widens toward the front can be secured.

즉, 가이드벽(124)의 높이가 낮아지고, 폭이 좁아질수록 개방되는 공간이 커지게 되므로 렌즈의 시야각을 확보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광량을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선명한 이미지를 제공해 줄 수 있다.That is, as the height of the guide wall 124 decreases and the width becomes narrower, the open space becomes larger, so that the viewing angle of the lens can be ensured and a clear imag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by collecting light amount exceeding a certain level.

추가적으로 도 2를 참고하면, 가이드 벽(124)의 말단부분에는 바깥방향을 향하여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200)의 끼움 홈과 결속되는 돌기부(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2, the guide wall 124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126 protruding outwar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distal end of the guide wall 124 and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 of the bracket 200.

본 실시예에서 돌기부(126)는 상술한 카메라 수용부(110)의 고정홈(114) 및 후크 결합홈(116)과 함께 카메라 수용부(110)와 브라켓(200)의 결합 안정성을 높인다.The protrusion 126 enhances the coupling stability between the camera accommodating portion 110 and the bracket 200 together with the fixing groove 114 and the hook coupling groove 116 of the camera accommodating portion 110 described above.

즉, 고정홈(114)과 후크 결합홈(116)이 브라켓(200)의 돌출된 구성과 결합하는 것이었다면, 돌기부는 반대로 브라켓(200)의 오목한 구성에 끼워지게 된다. That is, if the fixing grooves 114 and the hook engaging grooves 116 are to be engaged with the protruding configuration of the bracket 200, the protruding portions are reversely inserted into the concave configuration of the bracket 200.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상대적인 구성을 통해 일체성을 더욱 높이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integrity is further enhanced through this relative configuration.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카메라 수용부(110)의 개구부(112)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은 외부로 노출되어,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을 외부로 노출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Although not shown,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opening 112 of the camera accommodating portion 110 is formed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a power source line for supplying power to the camera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supply power.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200)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bracke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200)을 나타내는 도이다.3 is a view showing a bracke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 브라켓(200)은 카메라 하우징(100)과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부(120)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으로 상기 제1 가이드부(120)를 수용하고 상기 렌즈의 전방으로 선단부에 이르기까지 단차를 갖는 연속하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제2 가이드부(230)가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bracket 200 is coupled to the camera housing 100 and accommodates the first guide part 120 with a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uide part 120, A second guide portion 230 including a bottom surfac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tinuous layers having steps is formed.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하우징(100)은 도 1 및 2에 따른 카메라 수용부(110) 및 가이드부(12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및 도 2에 따른 가이드부(120)는 도 3 이하 에서는 제1 가이드부(120)로 설명한다.1 and 2, the camera housing 100 includes a camera receiving portion 110 and a guide portion 12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amera housing 100 includes a guide portion 120 according to FIGS. 1 and 2, The first guide portion 120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도 1 및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부(120)는 상기 카메라 수용부(110)의 상기 개구부(112)가 형성된 면에서 소정 길이로 상기 렌즈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바닥면(122) 및 상기 바닥면의 양 측에서 상기 렌즈로 수집되는 광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벽(124)을 포함한다.1 and 2, the first guide part 120 includes a bottom surface 122 extending forwardly of the lens with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 surface of the camera receiving part 110 where the opening 112 is formed, And a first guide wall (124) for guiding light collect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to the lens.

본 실시예에서 제2 가이드부(230)는 상기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바닥면의 양 측에서 상기 렌즈로 수집되는 광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벽을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guide portion 230 includes a second guide wall for guiding light collected on both sides of a bottom surface of the plurality of layers.

이때,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도 3에 따른 브라켓(200)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로서, 제2 가이드부(230)의 홈 양측에 형성된 제2 가이드벽은 그 내부가 비어 있다.Referring to FIG. 4, FIG. 4 shows a rear view of the bracket 200 shown in FIG. 3, and a second guide wall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roove of the second guide unit 230 is hollow.

제2 가이드벽의 비어 있는 공간에 상술한 제1 가이드부(120)의 가이드벽(124)이 수용되게 되고, 궁극적으로 카메라 하우징(100)과 브라켓(2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guide wall 124 of the first guide part 120 is accommodated in the empty space of the second guide wall so that the camera housing 100 and the bracket 200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2 가이드부(230)는 중심부에 관통홀(210)을 포함한다. 이때 관통홀(210)의 구체적인 형성위치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카메라 수용부(110)의 개구부(112)의 위치에 대응되며, 브라켓(200)이 결합되는 경우 카메라 수용부(110)에 수용된 카메라의 렌즈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again to FIG. 3, the second guide portion 230 includes a through hole 210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The through hole 21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opening 112 of the camera receiving portion 110 according to FIGS. 1 and 2. When the bracket 200 is coupled to the camera receiving portion 110, So that the lens of the camera accommodated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제2 가이드부(230)는 제1 가이드부(120)와 같이 오목한 바닥면을 형성하고 있다.The second guide part 230 forms a concave bottom surface like the first guide part 120.

다만, 제2 가이드부(230)의 바닥면은 제1 가이드부(120)의 바닥면의 형상과 달리 복수의 층이 연속하는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However,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guide portion 230 may be formed of a continuous surface of a plurality of layers, unlike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guide portion 120.

또한, 제2 가이드부(230)의 제2 가이드벽은 제1 가이드부(120)의 제1 가이드벽(124)의 형상과 달리 벽면이 매끈하지 않고, 복수의 층이 연속하는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Unlike the first guide wall 124 of the first guide part 120, the second guide wall of the second guide part 230 is not smooth in wall shape, .

이때, 제2 가이드부(230)의 바닥면과, 제2 가이드벽의 벽면의 층은 서로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guide portion 230 and the layer of the wall surface of the second guide wall correspond to each other.

이러한 층 구조는 연속하는 패턴을 형성하고, 패턴은 렌즈로 유입되는 광의 반사, 산란 등을 방지하여 보다 선명한 이미지를 카메라가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This layer structure forms a continuous pattern, which prevents reflection, scattering, etc. of the light entering the lens and allows the camera to acquire sharper images.

추가적으로, 패턴으로 형성하는 면은 임계치 이하의 반사율을 갖는 물질로 구성 또는 코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rface to be formed with the pattern may be constituted or coated with a material having a reflectance lower than the threshold value.

또한, 제2 가이드부(230)의 제2 가이드벽 역시 연장되는 방향으로 높이 및 폭이 감소하고, 홈의 폭은 전방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and width of the second guide part 230 may be reduc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guide wall 230 extends, and the width of the groove may be increased as the distance increases forward.

구체적으로, 이때의 폭은 렌즈의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하여 결정되며, 바람직하게는 32도 내지 47도 범위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width at this time is determined in order to secure the viewing angle of the lens, and may preferably be in the range of 32 to 47 degrees.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브라켓(200)은 제1 가이드부(120)의 후크 결합홈(116)의 폭과 깊이에 대응되는 후크(220)를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racket 200 includes hooks 220 corresponding to the width and depth of the hook coupling grooves 116 of the first guide portion 120. As shown in FIG.

이때, 후크(220)의 고리부는 바깥을 향하게 형성되어 상기 후크(220)는 상기 브라켓(200)이 결합되는 커버(300)의 후크 걸림부(304)와 결합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hook of the hook 220 is formed to face outward, so that the hook 220 is engaged with the hooking part 304 of the cover 300 to which the bracket 200 is coupled.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브라켓(200)의 후면에는 고정핀(205)이 형성되며, 고정핀(205)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카메라 수용부(110)의 고정홈(114)에 삽입 및 고정된다.4, a fixing pin 205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racket 200. The fixing pin 205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14 of the camera receiving portion 110 according to FIGS. 1 and 2 And is fixed.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상술한 도 1 내지 4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100) 및 브라켓(200)의 결합예를 나타내는 도이다.Referring to FIG. 5,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upling the camera housing 100 and the bracket 2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FIGS. 1 to 4.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하우징(100) 내에 수용된 카메라의 렌즈(10)는 브라켓(200)의 관통홀(2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브라켓(200)의 제2 가이드부(230)는 렌즈로 수집되는 광을 가이드 한다.The lens 10 of the camera accommodated in the camera housing 10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210 of the bracket 200 and the second guide part 230 of the bracket 200 is fixed to the lens Guide the collected light.

즉, 브라켓(200)과의 결합을 통해 카메라 하우징(100)의 제1 가이드부(120)는 제2 가이드부(230) 내로 수용되고, 제1 가이드부(120)의 광 가이드 역할은 제2 가이드부(230)가 수행한다.That is, the first guide part 120 of the camera housing 100 is received in the second guide part 230 through the coupling with the bracket 200, and the light guiding part of the first guide part 120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guide part 230, The guide portion 230 performs the above operation.

이때, 제2 가이드부(230)는 제1 가이드부(120)와 달리 패턴을 바닥면 및 제2 가이드벽의 벽면에 형성하여 더욱 높은 외부 잡광의 차단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At this time, unlike the first guide part 120, the second guide part 230 may form a pattern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wall surface of the second guide wall, so that the blocking effect of the external light can be realized.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300)를 나타내는 도이다.6 is a view illustrating a co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300)는 브라켓(200)을 수용하고, 내부에서 상기 브라켓(200)의 양측면에서 바깥을 향하여 형성된 후크의 고리부와 결합되는 후크 걸림부(304)가 형성된다.6, the cov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racket 200 and a hook engagement portion 304 (not shown) which is engaged with a hook portion of the hook formed outwardly from both sides of the bracket 200, Is formed.

도 4에서 따른 브라켓(200)의 후크(220)의 고리부는 바깥을 향하여 형성되고, 이는 커버(300)의 내에 형성된 후크 걸림부(304)에 결합되게 된다. The hook of the hook 220 of the bracket 200 according to FIG. 4 is formed outward, which is engaged with the hook catch 304 formed in the cover 300.

이를 통해 카메라 하우징(100)과 결합된 브라켓(200)은 커버(300)내에서 결합되고, 도 7을 참조하면, 차량에 부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장치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체적인 미관을 유려하게 하고, 차량의 내부 구성들의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bracket 200 coupled with the camera housing 100 is engaged in the cover 300 and the camera hou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the vehicle is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e aesthetics of the vehicle can be prevented and the aesthetics of the internal structures of the vehicl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eriorated.

또한, 커버(300)는 상기 수용되는 브라켓(200)을 고정하기 위하여 내부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부재(302, 3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30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engaging members 302 and 306 protruding from an inner surface thereof to fix the bracket 200 to be received.

걸림부재(302, 306)들은 커버(300)내의 공간과 브라켓(200)의 부피간의 격차로 인하여, 브라켓(200)이 커버(300)에 결합된 후 이탈되거나 떨리는 것을 방지한다. 즉, 걸림부재(302, 306)의 돌출높이는 브라켓(200)과 커버(300)내의 공간의 차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The latching members 302 and 306 prevent the bracket 200 from being detached or shaken after being coupled to the cover 300 due to the gap between the space in the cover 300 and the volume of the bracket 200. [ That is,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engaging members 302 and 306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 spaces in the bracket 200 and the cover 300.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커버(300)는 사용자의 나사 조작을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나사 조작을 통하여 상기 카메라의 설치 각도는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정밀한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한다. Further, although not shown, the cover 30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s screw operation.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camera can be adjust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crew of the user so that the angle can be precisely adjusted.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200)은 커버(300)내의 걸림부재로 고정되며, 후크의 고리부와 후크 걸림부(304)는 서로 결합되게 된다. Referring to FIG. 8, the bracke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ixed by an engaging member in the cover 300, and the hook portion and the hook engaging portion 304 are coupled to each other.

추가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 장치와 차량의 부착예를 설명하면, 브라켓(200)의 제1 면은 차량의 윈도우에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example of attaching the camera housing apparatus and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urface of the bracket 200 may be attached to the window of the vehicle.

도 8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브라켓(200)의 제1 면은 상기 커버(300)의 외측을 향하는 것으로, 제1 면은 제2 가이드부(230)의 홈을 제외한 면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first surface of the bracket 200 faces the outside of the cover 300, and the first surface may be a surface excluding the grooves of the second guide unit 230.

이때, 카메라 하우징(100)의 제1 면은 홈이 형성되는 면의 반대 면으로, 제1 면은 커버(300)의 내측을 향하고, 홈이 형성된 면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surface of the camera housing 100 may b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grooves are formed, the first surface may be directed toward the inside of the cover 300, and the grooved surface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이상의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의 전방 유리에 장착된 후 주행 도중에 차량이 흔들리는 경우에도 내부 구성을 통해 장치의 이탈을 방지하고, 흔들림을 최소화 하여 보다 정확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vehicle is wobbled during driving after being mounted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prevent deviation of the apparatus through the internal structure, minimize shaking, and capture more accurate images.

또한, 주행 중에 반사되는 외부의 잡광을 차단하여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식별력 높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운전 중인 사용자는 용이하게 경로 정보와 같은 주행 보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a clear image is obtained by blocking external light reflected during driving, thereby providing highly discriminative information to the user, so that the driving user can easily obtain driving assistance information such as route information.

한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등의 용어는, 만약 있는 경우, 유사한 구성요소 사이의 구분을 위해 사용되며,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특정 순차 또는 발생 순서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In the description and claims, terms such as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are used for distinguishing between similar components, if any, It is used to describe a particular sequence or occurrence sequence.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시퀀스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is such that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herein are compatible under suitable circumstances to, for example, operate in a sequence other than those shown or described herein.

마찬가지로, 여기서 방법이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는 경우, 여기에 제시된 그러한 단계의 순서는 반드시 그러한 단계가 실행될 수 있는 순서인 것은 아니며, 임의의 기술된 단계는 생략될 수 있고/있거나 여기에 기술되지 않은 임의의 다른 단계가 그 방법에 부가 가능할 것이다. Likewise, where the method is described as including a series of steps, the order of such steps presented herein is not necessarily the order in which such steps may be performed, any of the described steps may be omitted and / Any other step not described will be additive to the method.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왼쪽", "오른쪽", "앞", "뒤", "상부", "바닥", "위에", "아래에" 등의 용어는,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반드시 불변의 상대적 위치를 기술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Also, the terms "left", "right", "front", "back", "upper", "bottom", "above", "under", etc., It is not intended to describe a constant relative position.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is intended to be interchangeable with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herein, under suitable circumstances, for example, so as to be able to operate in a different direction than that shown or described herein.

여기서 사용된 용어 "연결된"은 전기적 또는 비 전기적 방식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기술된 대상은, 그 문구가 사용되는 문맥에 대해 적절하게,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거나,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동일한 일반적 범위 또는 영역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일실시예에서"라는 문구의 존재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동일한 실시예를 의미한다.The term "connected" as used herein is defined as being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in an electrically or non-electrical manner. Objects described herein as "adjacent" may be in physical contact with one another, in close proximity to one another, or in the same general range or region as are appropriate for the context in which the phrase is used. The presence of the phrase "in one embodiment" herein means the same embodiment, although not necessarily.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연결된다', '연결하는', '체결된다', '체결하는', '결합된다', '결합하는'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hrase " connected, " " connected, " " concluded, " " concluded, " " coupled, " Or indirectly through other component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Further, the suffix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 and / or 'comprising' as used herein may be used to refer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additions.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를 통해 개시된 모든 실시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embodiments and conditional statements disclosed herein are intended to assist the reader in understanding the principles and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카메라 렌즈 110:카메라 수용부
112:개구부 114:고정홈
116:후크 결합홈 120:(제 1)가이드부
122:바닥면 124:가이드벽
126:돌기부 200:브라켓
205:고정핀 210:관통홀
220:후크 230:제2 가이드부
300:커버 302,306:걸림부재
304:후크 걸림부
10: camera lens 110: camera accommodating part
112: opening 114:
116: hook coupling groove 120: (first) guide portion
122: bottom surface 124: guide wall
126: protrusion 200: bracket
205: fixing pin 210: through hole
220: hook 230: second guide portion
300: cover 302, 306:
304:

Claims (19)

내부에 카메라를 수용하되 상기 카메라의 렌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카메라 수용부; 및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면에서 소정 길이로 상기 렌즈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양 측에서 상기 렌즈로 수집되는 광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벽이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수용부는 브라켓의 후크와 결합을 위하여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면을 기준으로 양 측면에 상기 브라켓의 후크의 폭 및 두께에 대응되는 미리 결정된 폭과 깊이의 오목한 후크 결합홈을 더 포함하여 상기 후크가 상기 오목한 후크 결합홈에 끼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개구부의 양 측 근처에서 패인 면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홈에 상기 브라켓의 고정핀이 고정되고,
상기 후크는 바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이 결합되는 커버의 후크 걸림부와 결합되는 고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A camera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the camera therein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ns of the camera; And
And a guide portion having a bottom surface extending forwardly of the lens with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 surface of the camera receiving portion where the opening is formed and a guide wall guiding light collect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The camera receiv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concave hooking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with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hook of the bracket with reference to the face on which the opening is formed for engaging with the hook of the bracket, A fixing pin of the bracket is fixed to a fixing groove formed by protruding a part of a recessed surface near both sides of the opening,
Wherein the hook further comprises an annular portion formed to face outward and engaged with a hooking portion of a cover to which the bracket is couple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벽에서 바깥방향을 향하여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의 끼움 홈과 결속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uide portion further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guide wall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fitting groove of the bracke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은 연장되는 방향으로 높이 및 폭이 감소하고,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가이드벽 수용홈과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wall decreases in height and width in the extending direction,
And a guide wall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bracket.
내부에 카메라를 수용하는 카메라 수용부 및 상기 카메라의 렌즈로 수집되는 광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하우징; 및
상기 카메라 하우징과 결합되며 상기 제1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으로 상기 제1 가이드부를 수용하고 상기 렌즈의 전방에서 선단부에 이르기까지 단차를 갖는 연속하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제2 가이드부가 형성된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수용부는 브라켓의 후크와 결합을 위하여 개구부가 형성된 면을 기준으로 양 측면에 상기 브라켓의 후크의 폭 및 두께에 대응되는 미리 결정된 폭과 깊이의 오목한 후크 결합홈을 더 포함하여 상기 후크가 상기 오목한 후크 결합홈에 끼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개구부의 근처에서 패인 면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홈에 상기 브라켓의 고정핀이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후크 결합홈의 폭과 깊이에 대응되는 후크를 포함하되, 상기 후크는 바깥을 향하게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이 결합되는 커버의 후크 걸림부와 결합되는 고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A camera housing including a camera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camera therein and a first guide part for guiding light collected by the camera lens; And
And a bottom surface which is coupled with the camera housing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guide portion, the bottom surface be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tinuous layers having the first guide portion and having a step from the front to the front end of the lens And a bracket formed with a second guide portion,
The camera receiv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concave hook engagement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with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hook of the bracket with reference to a face having the opening formed therein for engaging with the hook of the bracket, The fixing pin of the bracket is fixed to the fixing groove formed by protruding a part of the recessed surface in the vicinity of the opening,
Wherein the bracket further includes a hook corresponding to a width and a depth of the hook engagement groove and the hook is formed to face outward and is coupled with a hook engagement portion of a cover to which the bracket is coupled, Housing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개구부가 형성된 면에서 소정 길이로 상기 렌즈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양 측에서 상기 렌즈로 수집되는 광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바닥면의 양 측에서 상기 렌즈로 수집되는 광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guide portion includes a bottom surface extending forwardly of the lens with a predetermined length on a surface where the opening of the camera receiving portion is formed and a first guide wall guiding light collect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
Wherein the second guide portion includes a second guide wall for guiding light collected on both sides of a bottom surface of the plurality of layers,
삭제delet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가이드 벽에서 바깥방향을 향하여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양측면에 상기 돌기부에 결속되는 끼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guide portion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first guide wall at a predetermined height,
Wherein the bracket includes fitting grooves which are coupled to the protrusions on both sides thereof.
삭제delet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벽 및 상기 제2 가이드벽은 연장되는 방향으로 높이 및 폭이 감소하고,
상기 제1 가이드벽은 상기 제2 가이드벽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벽 수용홈과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guide wall and the second guide wall are reduced in height and width in the extending direction,
Wherein the first guide wall is fitted to the guide wall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second guide wal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렌즈의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되, 확보되는 시야각은 32도 내지 47도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cond guide portion
Wherein a width of the lens is increased toward a front side in order to secure a viewing angle of the lens, and a secured viewing angle is in a range of 32 to 47 degree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부의 바닥면은,
미리 결정된 임계치 이하의 반사율을 갖는 무광의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guid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a matte pattern having a reflectance low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s formed in the camera housing unit
내부에 카메라를 수용하는 카메라 수용부 및 상기 카메라의 렌즈로 수집되는 광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하우징;
상기 카메라 하우징과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으로 상기 제1 가이드부를 수용하고 상기 렌즈의 전방에서 선단부에 이르기까지 단차를 갖는 연속하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제2 가이드부가 형성된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을 수용하고, 내부에서 상기 브라켓의 양측면에서 바깥을 향하여 형성된 후크의 고리부와 결합되는 후크 걸림부가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수용부는 브라켓의 후크와 결합을 위하여 개구부가 형성된 면을 기준으로 양 측면에 상기 브라켓의 후크의 폭 및 두께에 대응되는 미리 결정된 폭과 깊이의 오목한 후크 결합홈을 더 포함하여 상기 후크가 상기 오목한 후크 결합홈에 끼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개구부의 근처에서 패인 면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홈에 상기 브라켓의 고정핀이 고정되며,
상기 후크는 상기 브라켓이 상기 카메라 하우징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의 후크 걸림부와 결합되는 고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A camera housing including a camera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camera therein and a first guide part for guiding light collected by the camera lens;
And a second surface including a bottom surface formed of a plurality of continuous layers having a stepped portion which is coupled to the camera housing and has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guide portion and accommodates the first guide portion, A bracket formed with a guide portion; And
And a cover having a hook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bracket and engaging with a hook portion of a hook formed inwardly from both sides of the bracket inside,
The camera receiv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concave hook engagement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with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hook of the bracket with reference to a face having the opening formed therein for engaging with the hook of the bracket, The fixing pin of the bracket is fixed to the fixing groove formed by protruding a part of the recessed surface in the vicinity of the opening,
Wherein the hook further comprises a hook portion which is engaged with the hooking portion of the cover when the bracket is engaged with the camera housing.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수용되는 상기 브라켓을 고정하기 위하여 내부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cover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engaging members protruding from an inner surface to fix the bracket to be received.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카메라 수용부의 개구부가 형성된 면에서 소정 길이로 상기 렌즈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양 측에서 상기 렌즈로 수집되는 광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바닥면의 양 측에서 상기 렌즈로 수집되는 광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first guide portion includes a bottom surface extending forwardly of the lens with a predetermined length on a surface where the opening of the camera receiving portion is formed and a first guide wall guiding light collect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
Wherein the second guide portion includes a second guide wall for guiding light collected on both sides of a bottom surface of the plurality of layers,
삭제delete 제 14 항에 있어서,
결합에 따라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제1 면은 상기 커버의 내측을 향하고, 상기 브라켓의 제1 면은 상기 커버의 외측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first side of the camera housing faces the inside of the cover and the first side of the bracket faces the outside of the cover.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사용자의 나사 조작을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상기 카메라의 설치 각도는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cover further includes an input part for receiving a user's screw operation,
And the angle of installation of the camera is adjustable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user.
KR2020160003517U 2016-06-21 2016-06-21 A camera housing KR200487110Y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517U KR200487110Y1 (en) 2016-06-21 2016-06-21 A camera housing
CN201720720774.0U CN207096660U (en) 2016-06-21 2017-06-20 Camera hous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517U KR200487110Y1 (en) 2016-06-21 2016-06-21 A camera hous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422U KR20170004422U (en) 2017-12-29
KR200487110Y1 true KR200487110Y1 (en) 2018-09-06

Family

ID=61259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517U KR200487110Y1 (en) 2016-06-21 2016-06-21 A camera housing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7110Y1 (en)
CN (1) CN207096660U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41624B1 (en) * 2019-05-23 2022-11-02 Veoneer Sweden AB A vehicle camera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230B1 (en) * 2009-10-27 2012-02-14 주식회사 에스엘미러텍 An apparatus having a image acquisition module in vehicles
US8400560B1 (en) * 2012-02-23 2013-03-19 E-Lead Electronic Co., Ltd. Viewing angle adjustable vehicle camera device
KR20140048530A (en) * 2012-10-16 2014-04-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Image recognition apparatus having the blind
JP6052246B2 (en) * 2014-07-10 2016-12-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In-vehicle camera mounting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422U (en) 2017-12-29
CN207096660U (en) 2018-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6303B2 (en) Camera device
US10207646B2 (en) Vehicle front camera module integrated with rearview mirror
US20050134479A1 (en) Vehicle display system
CN107249922B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KR20120085935A (en) Object identifying apparatus, moving body control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BR112014005430B1 (en) tracking system and system to monitor the speed of one or more targets
US2017001526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changing And Displaying Data Between Electronic Eyewear, Vehicles And Other Devices
JP2015054597A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KR101663674B1 (en) park blocking apparatus with multi-function
KR200487110Y1 (en) A camera housing
EP3130510A1 (en) Automobile room mirror adapter
US7529479B2 (en) Camera viewer device
FR2942064A1 (en) Method for alerting driver of motor vehicle e.g. bus, during event occurred on back side of vehicle, involves displaying pictogram in form of contour of visible part of reflection of vehicle on glass of rear-view mirrors
TW201420398A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raffic safety of vehicle
EP3533655A1 (en) Head-up display device
JP2005112052A (en) Cabin module and inner mirror
JP2006036166A (en) Vehicle display device
US10605616B2 (en) Image reproducing device, image reproducing system, and image reproducing method
JP2005231605A (en) Rear side checking device
JP2017181634A (en) Imaging apparatus and on-vehicle camera system
JP2006103663A (en) Door mirror with image pick-up device
KR200485604Y1 (en) A camera housing
KR200491889Y1 (en) A camera housing
KR102511624B1 (en) Camera Module
KR20180000353U (en) A camera hou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