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971Y1 - 삽입형 난간 서포트 - Google Patents

삽입형 난간 서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971Y1
KR200486971Y1 KR2020160006606U KR20160006606U KR200486971Y1 KR 200486971 Y1 KR200486971 Y1 KR 200486971Y1 KR 2020160006606 U KR2020160006606 U KR 2020160006606U KR 20160006606 U KR20160006606 U KR 20160006606U KR 200486971 Y1 KR200486971 Y1 KR 2004869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bar
main body
engaging
support
s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6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510U (ko
Inventor
성백일
Original Assignee
일우건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우건설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우건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66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971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5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5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9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9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난간 서포트는 본체, 본체 고정부를 구비한다. 본체는 측면 플레이트의 2개 결합통공에 각각 삽입되는 2개 삽입부와 2개 삽입부에서 연장되어 연결되는 외측부를 구비한다. 2개 삽입부는 각각 삽입 고정부를 구비한다. 본체 고정부는 삽입 고정부에 결합하여 본체를 측면 플레이트에 고정한다.

Description

삽입형 난간 서포트{Insert-typed Safe Guard Support}
본 고안은 난간 서포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거푸집 판넬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삽입형 난간 서포트에 관한 것이다.
토건 현장에서는 시공 중에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난간을 설치하고 있다. 예를 들어, 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해 거푸집을 설치하면, 해당 층의 둘레, 엘리베이터, 계단 등에는 상하로 연통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곳에 작업자가 추락할 수 있으므로, 해당 부분에는 난간을 설치하여 추락 사고를 방지하고 있다.
난간 설치는 보통 거푸집 판넬에 난간 하부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종래에는 수직바를 세우고 그 하측 단부를 거푸집 판넬에 용접하거나, 별도 체결구를 이용하여 난간 서포트를 먼저 고정하고 이에 난간 뼈대를 연결하여 왔다.
그런데, 이러한 난간 설치는 부수적인 작업임에도 시간과 인력이 꽤 소요되고, 더구나 설치된 난간도 견고하지 못하여 안전 문제가 항상 불거지고 있다. 또한, 사용 후 난간을 철거할 때도, 해체 작업에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사용한 부재도 재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등록 제1346702호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고,
둘째, 흔들림이나 틀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셋째, 난간 수직바가 외측으로 휘어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 내지 최소화할 수 있는, 거푸집 판넬용 삽입형 난간 서포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삽입형 난간 서포트는 메인 플레이트와 메인 플레이트의 측방에 결합하며 다수의 결합통공이 형성된 측면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거푸집 판넬에 결합하여 사용하며, 본체와 본체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체는 측면 플레이트의 2개 결합통공에 각각 삽입되는 2개의 삽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는 2개 삽입부에서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는 외측부를 구비할 수 있다. 2개 삽입부는 삽입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외측부는 난간 수직바를 일체로 구성하거나 난간 수직바를 결합하는 수직바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 고정부는 삽입 고정부에 결합하여 본체를 측면 플레이트에 고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삽입형 난간 서포트에서, 삽입 고정부는 핀홀일 수 있고, 본체 고정부는 핀홀에 삽입되는 고정핀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삽입형 난간 서포트에서, 삽입 고정부는 나사일 수 있고, 본체 고정부는 나사에 결합하는 너트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삽입형 난간 서포트는 본체 고정부와 측면 플레이트 내측면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부 보강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삽입형 난간 서포트에서, 본체는 삽입부와 외측부의 경계를 따라 외면에 결합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돌기는 결합통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측면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결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삽입형 난간 서포트에서, 본체는 외측부의 상측 또는 외측에 수직바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삽입형 난간 서포트에서, 본체는 외측부에 수직바 보강대를 구비할 수 있다. 수직바 보강대는 일측이 외측부에 결합하고 타측은 수직바에 결합하여 수직바가 외측으로 넘어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삽입형 난간 서포트에 의하면, 핀 결합, 나사 결합 등의 조작만으로 거푸집 판넬에 난간 서포트를 설치하거나 해체할 수 있으므로, 설치나 해체에 따른 작업 시간을 대폭 축소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삽입형 난간 서포트에 의하면, 삽입부 보강대를 이용하여 측면 플레이트의 결합통공에 삽입된 삽입부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난간 서포트의 흔들림이나 틀어짐을 방지 내지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삽입형 난간 서포트에 의하면, 수직바 보강대를 이용하여 난간 수직바를 추가로 지지할 수 있어, 난간 수직바가 외측으로 휘어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 내지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삽입형 난간 서포트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삽입형 난간 서포트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삽입형 난간 서포트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삽입형 난간 서포트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5b는 본 고안에 따른 제5 실시예의 삽입형 난간 서포트의 분해 및 결합 사시도이다.
도 6a,6b는 본 고안에 따른 제6 실시예의 삽입형 난간 서포트의 분해 및 결합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삽입형 난간 서포트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삽입형 난간 서포트는 거푸집 판넬(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할 수 있다.
거푸집 판넬(100)은 메인 플레이트(110), 다수의 측면 플레이트(120), 다수의 보강바(130), 다수의 결합통공(141)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110)는 사각 판재로 구성할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110)는 나무,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경량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알루미늄,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 또는 섬유 내부에 수지를 함침시킨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측면 플레이트(120)는 메인 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할 수 있다. 측면 플레이트(12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결합통공(141)을 구비할 수 있다. 결합통공(141)은 판넬(110)을 사방으로 배열 결합할 때 인접 판넬(100)을 결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결합통공(141)은 난간 서포트를 결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측면 플레이트(120)는 메인 플레이트와 동일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보강바(130)는 메인 플레이트(110)의 후면에 다수를 구비할 수 있다. 보강바(130)는 메인 플레이트(110)의 강도를 보강하는 것으로, 메인 플레이트(110)와 동일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삽입형 난간 서포트는 본체, 본체 고정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본체는 삽입부(211), 삽입 고정부인 핀홀(212), 외측부(213), 결합돌기(214) 등으로 구성할 수 있고, 본체 고정부는 고정핀(215)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삽입부(211)는, 측면 플레이트(120)의 결합통공(141)이 사각 형태일 경우, 각재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삽입부(211)는 측면 플레이트(120)의 결합통공(141)에 삽입되어 측면 플레이트(120)의 내측으로 돌출할 수 있다. 삽입부(211)는 적어도 2개를 구비하여, 인접하는 결합통공(141)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삽입 고정부인 핀홀(212)은 삽입부(211)를 측면 플레이트(120)에 결합 고정할 수 있다. 핀홀(212)은 삽입부(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체를 측면 플레이트(120)에 고정할 때, 측면 플레이트(120)의 두께, 삽입부(211)의 길이 등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외측부(213)는 2개 삽입부(211)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는 것으로, 난간 수직바(311), 난간 가로바(314) 등으로 구성되는 난간대(300)를 지지할 수 있다. 외측부(213)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ㄷ'자, 'U'자 등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외측부(213)는 난간 수직바(311)와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고, 난간 수직바(311)의 하단을 수용 지지할 수 있는 수직바 결합부(216)를 구비할 수도 있다. 수직바 결합부(216)는 외측부(213)의 상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고, 상방으로 개방되어 난간 수직바(311)의 하단을 수용 고정하는 수직바 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돌기(214)는 본체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돌기로서 삽입부(211)와 외측부(213)의 경계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214)는 삽입부(211)가 결합통공(141)에 삽입되었을 때 결합통공(141)의 가장자리를 따라 측면 플레이트(120)의 외측면에 결합할 수 있다. 결합돌기(214)는 삽입부(211)가 결합통공(141)에 삽입된 후 외측부(213)가 결합통공(141)에 더 삽입되는 것을 저지하며, 아울러 본체를 측면 플레이트(120)에 고정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결합돌기(214)와 핀홀(212) 사이의 간격은 측면 플레이트(120)의 두께에 대응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삽입부(211)를 측면 플레이트(120)에 흔들림없이 결합시킬 수 있다.
본체 고정부인 고정핀(215)은 삽입 고정부인 핀홀(212)에 결합하여 삽입부(211)를 측면 플레이트(120)에 고정할 수 있다.
난간대(300)는 난간 서포트(210)로 지지되는 것으로, 난간 수직바(311), 가로바 고정구(312), 고정구 너트(313), 난간 가로바(314)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난간 수직바(311)는 난간 서포트(210)에 일체로 또는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난간 수직바(311)는 가로바 고정구(312)를 삽입할 수 있는 다수의 통공을 구비할 수 있다. 가로바 고정구(312)는 난간 수직바(311)의 통공을 관통한 후 고정구 너트(313)와 결합할 수 있다. 가로바 고정구(312)는 예를들어 'U'자 형태의 고리로 구성할 수 있고, 고리 내부에는 난간 가로바(314)를 내장 지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삽입형 난간 서포트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삽입형 난간 서포트는, 측면 플레이트(120)의 결합통공(142)이 원형일 경우, 삽입부(221), 외측부(223), 결합돌기(224) 등을 원형 결합통공(142)에 부합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다른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의 대응 구성요소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삽입형 난간 서포트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삽입형 난간 서포트는 삽입 고정부와 이에 대응하는 본체 고정부를 제1 실시예와 달리 구성하고 있다.
삽입 고정부는 삽입부(211)의 외측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나사(217)로 구성할 수 있다.
본체 고정부는 결합 나사(217)에 결합하는 결합 너트(219)일 수 있다.
삽입부 보강대(218)는 본체 고정부인 결합 너트(219)와 측면 플레이트(120) 내측면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 보강대(218)는 예를들어 'ㄷ'자 형태로 구성하여 삽입부(211)를 측면 플레이트(120) 쪽으로 끌어당겨 본체, 즉 결합돌기(214)를 측면 플레이트(120)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다만, 삽입부(211) 또는 결합 나사(217)를 짧게 구성하여 결합 나사(217)에 결합 너트(219)만 결합하더라도 결합돌기(214)가 측면 플레이트(120)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삽입부 보강대(219)를 생략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다른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의 대응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삽입형 난간 서포트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의 삽입형 난간 서포트는, 측면 플레이트(120)의 결합통공(142)이 원형이어서, 삽입부(221), 외측부(223), 결합돌기(224) 등을 원형으로 구성하고 있다.
제4 실시예의 다른 구성요소는 제1,3 실시예의 대응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제1,3 실시예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5a,5b는 본 고안에 따른 제5 실시예의 삽입형 난간 서포트의 분해 및 결합 사시도이다.
도 5a,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의 삽입형 난간 서포트는 난간 수직바(311)를 지지하는 구조, 즉 수직바 결합부를 다르게 구성하고 있다.
제5 실시예에서, 수직바 결합부는 수직바 지지대(411), 고정 볼트(412), 고정 너트(413)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수직바 지지대(411)는 외측부(211)의 외측면에 결합하는 것으로, 외측면 방향에 함몰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함몰부는 난간 수직바(311)의 외면에 대응하는, 예를들어 수직바(311)의 외면이 원형이면 반원형, 난간 수직바(311)의 외면이 사각형이면 'ㄷ'자형 등으로 구성하여, 난간 수직바(311)를 내장 지지할 수 있다. 수직바 지지대(411)는 결합홀(H1)을 구비할 수 있다. 결합홀(H1)에 대응하여, 난간 수직바(311)에도 결합홀(H2)을, 외측부(211)에도 결합홀(미도시)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고정 볼트(412)는 난간 수직바(311)의 결합홀(H2), 수직바 지지대(411)의 결합홀(H1), 그리고 외측부(211)의 결합홀(미도시)을 통과하여 반대편에서 고정 너트(413)와 나사 결합하여, 난간 수직바(311)를 수직바 지지대(411)에 고정할 수 있다.
제5 실시예의 다른 구성요소는 제3 실시예의 대응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제1,3 실시예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6a,6b는 본 고안에 따른 제6 실시예의 삽입형 난간 서포트의 분해 및 결합 사시도이다.
도 6a,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6 실시예의 삽입형 난간 서포트는 수직바 보강대(41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수직바 보강대(414)는 일측이 외측부(211)의 결합홀(H3)에 삽입되고 타측은 난간 수직바(311)에 결합하여 난간 수직바(311)가 외측으로 넘어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수직바 보강대(414)는 외측부(211)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후 외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고리 형태로 구성하여 난간 수직바(414)를 감싸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6 실시예의 다른 구성요소는 제5 실시예의 대응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제1,3,5 실시예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이상 본 고안을 여러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예증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위 실시예를 다른 형태의 실시예로 변형하거나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므로,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이 아래의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00 : 판넬 110 : 메인 플레이트
120 : 측면 플레이트 130 : 보강바
141,142 : 결합 통공 211,221 : 삽입부
212,222 : 핀홀 213,223 : 외측부
214,224 : 결합 돌기 215 : 본체 고정부
216 : 수직바 결합부 217 : 결합 나사
218 : 삽입부 보강대 219 : 결합 너트
300 : 난간대 311 : 난간 수직바
32 : 가로바 고정구 313 : 고정구 너트
314 : 난간 가로바 411 : 수직바 지지대
412 : 고정 볼트 413 : 고정 너트
414 : 수직바 보강대 H1,H2,H3 : 결합홀

Claims (7)

  1.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측방에 결합하며 다수의 결합통공이 형성된 측면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거푸집 판넬에 결합되는 난간 서포트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결합통공 중 2개의 결합통공에 각각 삽입되는 2개 삽입부와 상기 2개 삽입부에서 연장되어 연결되는 외측부를 구비하며, 상기 2개 삽입부는 각각 삽입 고정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삽입 고정부에 결합하여 상기 본체를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본체 고정부;
    상기 본체 고정부와 상기 측면 플레이트 내측면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부 보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난간 서포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고정부는 핀홀이고,
    상기 본체 고정부는 고정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난간 서포트.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고정부는 나사이고,
    상기 본체 고정부는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난간 서포트.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삽입부와 상기 외측부의 경계를 따라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통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결합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난간 서포트.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외측부의 상측 또는 외측에 수직바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난간 서포트.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일측은 상기 외측부에 결합하고 타측은 수직바에 결합하여 상기 수직바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수직바 보강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난간 서포트.
KR2020160006606U 2016-11-14 2016-11-14 삽입형 난간 서포트 KR2004869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606U KR200486971Y1 (ko) 2016-11-14 2016-11-14 삽입형 난간 서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606U KR200486971Y1 (ko) 2016-11-14 2016-11-14 삽입형 난간 서포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510U KR20180001510U (ko) 2018-05-24
KR200486971Y1 true KR200486971Y1 (ko) 2018-07-19

Family

ID=62296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606U KR200486971Y1 (ko) 2016-11-14 2016-11-14 삽입형 난간 서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971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4654A (en) * 1990-05-10 1991-01-15 Carl Anderson Scaffold safety system
JPH0324711Y2 (ko) * 1986-03-07 1991-05-29
JPH0566150U (ja) * 1992-02-14 1993-08-31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高所作業台
JP3024711U (ja) * 1995-11-16 1996-05-31 大成建設株式会社 Rc躯体施工時の開口部仮設手摺取付け金物
KR200397253Y1 (ko) * 2005-07-06 2005-09-29 최순기 안전가설발판설치장치
JP2014051875A (ja) * 2012-08-06 2014-03-20 Nisso Ind Co Ltd 足場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711Y2 (ko) * 1986-03-07 1991-05-29
US4984654A (en) * 1990-05-10 1991-01-15 Carl Anderson Scaffold safety system
JPH0566150U (ja) * 1992-02-14 1993-08-31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高所作業台
JP3024711U (ja) * 1995-11-16 1996-05-31 大成建設株式会社 Rc躯体施工時の開口部仮設手摺取付け金物
KR200397253Y1 (ko) * 2005-07-06 2005-09-29 최순기 안전가설발판설치장치
JP2014051875A (ja) * 2012-08-06 2014-03-20 Nisso Ind Co Ltd 足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510U (ko)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3809B1 (ko) 트러스거더 고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와 트러스거더 간의 결합구조
KR102179516B1 (ko) 조립식 영구 거푸집 및 그 시공 방법
KR20090001153A (ko)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
JP2015071907A (ja) コンクリート壁高欄の取付け構造
KR101275100B1 (ko) 조립식 난간
KR101511504B1 (ko) 연결부 휨 강화 기능을 갖는 탈형 데크 플레이트
KR20200142351A (ko) 마감패널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외벽마감장치
KR101435948B1 (ko) 철골 빔 설치용 안전 난간대
KR101365059B1 (ko) 가설 난간지주
KR200486971Y1 (ko) 삽입형 난간 서포트
KR100642762B1 (ko) 안전난간대 가설재 및 이를 이용한 안전난간대 가설방법
KR101435004B1 (ko) 데크 플레이트용 스페이서
KR100737841B1 (ko)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고정 클램프
KR101892635B1 (ko) 걸이형 난간 서포트
KR20090109991A (ko) 난간 가설용 지지구
KR200487420Y1 (ko) 멀티데크의 접합부재
KR101978804B1 (ko) 안전난간대
KR20220090968A (ko)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
KR200447408Y1 (ko) 철근난간대용 고정구
KR102335856B1 (ko) 철골빔 설치용 안전 난간대
KR100452977B1 (ko) 슬림플로어 공법을 위한 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101181367B1 (ko) 작업용 발판
KR100924522B1 (ko) 선체블록 체결용 클램프
KR102289940B1 (ko)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
KR102370425B1 (ko) 보거푸집의 안전난간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