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941Y1 - 양면형 농업용 반사시트 - Google Patents

양면형 농업용 반사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941Y1
KR200486941Y1 KR2020170000177U KR20170000177U KR200486941Y1 KR 200486941 Y1 KR200486941 Y1 KR 200486941Y1 KR 2020170000177 U KR2020170000177 U KR 2020170000177U KR 20170000177 U KR20170000177 U KR 20170000177U KR 200486941 Y1 KR200486941 Y1 KR 2004869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on layer
reflectance
low
reflective sheet
high r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1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사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소텍
Priority to KR20201700001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9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9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9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24Alum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0/00Agriculture-related art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알루미늄 증착막으로 된 고반사층과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작은 수지 재질로 된 흰색의 저반사층이 적층되어 일조량이 많은 계절(예를 들어 여름)에는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작은 수지 재질로 된 흰색의 저반사층이 위로 향하도록 하여 사용하고, 일조량이 적은 계절(예를 들어 늦가을)에는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큰 알루미늄 증착막으로 된 고반사층이 위로 향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는 양면형 농업용 반사시트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양면형 농업용 반사시트는, 알루미늄 증착막으로 된 고반사층과; 상기 고반사층의 표면에 적층되며, 고반사층에 비하여 낮은 반사율을 갖는 수지 재질로 된 흰색의 저반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면형 농업용 반사시트{Agricultural Reflective Sheet of Dual Surface Type}
본 고안은 농업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에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알루미늄 증착막으로 된 고반사층이 배치되고 후면에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작은 수지 재질로 된 흰색의 저반사층이 적층되어 일조량이 많은 계절(예를 들어 8월~9월)에는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작은 수지 재질로 된 흰색의 저반사층이 위로 향하도록 하여 사용하고, 일조량이 적은 계절(예를 들어 9월 하순부터 수확이 끝나는 11월까지)에는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큰 알루미늄 증착막으로 된 고반사층이 위로 향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는 양면형 농업용 반사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이나 사과와 같은 과수(果樹)는 토양으로부터 충분한 수분과 영양분을 흡수하여야 하며, 적절한 일조량이 유지되어야만 과일의 맛이 좋고 당도가 높으며, 좋은 색깔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특히, 과일이 맺혀 익어가는 과정에서는 일조량에 따라 과일의 빛깔과 당도가 결정되기 때문에, 과일의 수확량 및 품질은 수확기의 기후나 일조시간 등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과거에는 과일의 수확량 및 당도를 높이기 위해서 취할 수 있었던 방법으로는 과일나무 간의 적절한 간격을 유지시켜 과일이 최대한 많은 양의 햇빛을 받을 수 있도록 하며, 과일의 성장속도에 따라 적합한 영양제를 살포하거나 잡초를 제거하는 정도가 고작이었다.
상기와 같이 과일의 수확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영양제 살포와 같은 인공적인 방법 외에 자연적인 방법을 이용하고자 과수에 일조량을 증가시켜 수확량 및 품질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과수나무가 식재된 지면에 햇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시트를 설치하여 일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개발된 반사시트는 PET, OPP 등의 필름에 높은 반사율을 갖는 알루미늄 증착막을 적층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알루미늄 증착막이 적층된 면으로만 햇빛을 반사하게 되므로 일조량이 많은 여름과 초가을에 과도한 일조량으로 인하여 과수의 표피가 화상을 입거나 변색이 되어 상품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종래의 반사시트는 내구성이 약하여 1회 사용 후 수거하여 폐기해야 하는데, 가벼워서 사용후 바람에 날려 환경을 훼손시키고, 심한 경우에는 전봇대에 걸려 화재를 일으키는 일도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0231889호 등록실용신안 20-0468550 공개특허 10-2016-0019139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면에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알루미늄 증착막으로 된 고반사층이 배치되고 후면에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작은 수지 재질로 된 흰색의 저반사층을 적층한 구조로 되어, 일조량이 많은 계절에는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작은 흰색의 저반사층이 위로 향하도록 하여 사용하고, 일조량이 적은 계절(예를 들어 가을)에는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큰 고반사층이 위로 향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같은 해에도 조생종과 만생종에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전량회수하여 해마다 반복 재사용이 가능하여 비용 면에서도 유리하고,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적인 양면형 농업용 반사시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재사용이 가능하며, 내구성이 우수한 양면형 농업용 반사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양면형 농업용 반사시트는, 알루미늄 증착막으로 된 고반사층과; 상기 고반사층의 표면에 적층되며, 고반사층에 비하여 낮은 반사율을 갖는 수지 재질로 된 흰색의 저반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한 형태에 따르면, 상기 고반사층과 저반사층 사이에 수지 재질의 스트립이 격자 형태로 직조된 보강웹이 적층되며, 상기 보강웹에 의해 상기 고반사층 및 저반사층의 표면에 격자 형태로 난반사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반사층은 수지 재질의 필름에 알루미늄이 증착되어 만들어지며, 상기 저반사층은 폴리에틸렌(PE)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반사층과 보강웹 사이에는 고반사층과 보강웹을 상호 접합시키는 접착제층이 적층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일면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사율을 갖는 알루미늄 재질의 고반사층으로 이루어지며, 다른 일면이 상대적으로 낮은 반사율을 갖는 흰색의 수지 재질의 저반사층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일조량에 따라 고반사층과 저반사층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계절의 변화에 상관없이 과수에 균일한 일조량을 제공하여 과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일조량이 많은 여름철과 초가을에는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흰색의 저반사층이 위를 향하도록 하여 반사시트를 지면(地面) 위에 깔아서 사용하고, 일조량이 적은 늦가을과 겨울철에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은색의 고반사층이 위로 향하도록 하여 반사시트를 깔아서 사용하면, 계절의 변화에 따른 일조량의 변화에 상관없이 과수에 비교적 균일한 일조량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지 재질의 스트립이 격자 형태로 직조된 보강웹이 고반사층과 저반사층 사이에 개재되면, 반사시트 전체의 인장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계절이 바뀔 때 반사시트를 걷어서 뒤집을 때 반사시트가 찢어지거나 구김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사시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반사시트를 롤 형태로 둥글게 말아서 보관이 용이하므로 재사용이 가능하며, 친환경적인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형 농업용 반사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양면형 농업용 반사시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양면형 농업용 반사시트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양면형 농업용 반사시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형 농업용 반사시트(1)는, 알루미늄 증착막으로 된 고반사층(10)과, 상기 고반사층(10)의 표면에 적층된 수지 재질로 된 흰색의 저반사층(20)과, 상기 고반사층(10)과 저반사층(20) 사이에 적층되는 보강웹(30)(reinforcing web)을 포함한다.
상기 고반사층(10)은 알루미늄 포일(aluminum foil), 또는 PET와 같은 베이스필름에 알루미늄을 진공증착(Vacuum Deposition) 방식으로 코팅하여 이루어진 매우 얇은 알루미늄 증착막으로서, 상기 흰색의 수지 재질로 된 저반사층(20)에 비하여 높은 반사율을 갖는다. 상기 고반사층(10)은 기존의 반사시트(1)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필름과 대응하는 85% 정도의 반사율을 갖는다.
상기 저반사층(20)은 폴리에틸렌(PE)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박막으로, 흰색을 갖도록 되어 상기 고반사층(10)에 비하여 상대적은 낮은 대략 75~76% 정도의 반사율을 갖는다.
상기 보강웹(30)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등의 수지 재질로 된 길고 얇은 스트립이 격자 형태로 직조되어 인장강도를 향상시키고 찢김이나 손상을 방지하여 반사시트(1)가 우수한 내구성을 갖도록 함과 더불어 반사시트(1)의 난반사 성능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즉, 두께가 매우 얇은 고반사층(10)과 저반사층(20) 사이에 격자 형태로 보강웹(30)이 개재되어, 상기 보강웹(30)에 의해 상기 고반사층(10) 및 저반사층(20)의 표면에 격자 형태로 난반사패턴(11)이 형성되고, 상기 난반사패턴(11)에 의해 햇빛이 난반사되면서 과수에 직사광선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반사층(10)과 보강웹(30) 사이에는 고반사층(10)과 보강웹(30)을 상호 접합시키는 SPE 등으로 된 접착제층(40)이 적층된다.
이와 같이 일면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사율을 갖는 알루미늄 재질의 고반사층(10)으로 이루어지며, 다른 일면이 상대적으로 낮은 반사율을 갖는 흰색의 수지 재질의 저반사층(20)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일조량에 따라 고반사층(10)과 저반사층(20)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계절의 변화에 상관없이 과수에 균일한 일조량을 제공하여 과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일조량이 많은 여름철과 초가을에는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흰색의 저반사층(20)이 위를 향하도록 하여 반사시트(1)를 깔아서 사용하고, 일조량이 적은 늦가을과 겨울철에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은색의 고반사층(10)이 위로 향하도록 하여 반사시트(1)를 깔아서 사용하면, 계절의 변화에 따른 일조량의 변화에 상관없이 과수에 비교적 균일한 일조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강웹(30)이 고반사층(10)과 저반사층(20) 사이에 개재되면, 반사시트(1) 전체의 인장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계절이 바뀔 때 반사시트(1)를 걷어서 뒤집을 때 반사시트(1)가 찢어지거나 구김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사시트(1)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반사시트(1)를 롤 형태로 둥글게 말아서 보관이 용이하므로 재사용이 가능한 이점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반사시트(1)는 과수원에서 과수에 제공되는 일조량을 증대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지만, 고추나 상추, 오이, 토마토 등의 엽채류 등의 재배에도 반사시트 겸용 멀칭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반사시트(1)에 엽채류의 줄기가 통과하는 복수의 구멍을 천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 : 반사시트 10 : 고반사층
11 : 난반사패턴 20 : 저반사층
30 : 보강웹 40 : 접착제층

Claims (3)

  1. 수지 재질의 필름에 알루미늄이 증착되어 만들어진 고반사층(10)과;
    상기 고반사층(10)의 표면에 적층되며, 고반사층(10)에 비하여 낮은 반사율을 갖는 폴리에틸렌(PE) 수지 재질로 된 흰색의 저반사층(20)과;
    상기 고반사층(10)과 저반사층(20) 사이에 적층되며, 수지 재질의 스트립이 격자 형태로 직조된 보강웹(30);
    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웹(30)에 의해 상기 고반사층(10) 및 저반사층(20)의 표면에 격자 형태로 난반사패턴(11)이 형성되고,
    상기 고반사층(10)과 보강웹(30) 사이에는 고반사층(10)과 보강웹(30)을 상호 접합시키는 접착제층(40)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형 농업용 반사시트.
  2. 삭제
  3. 삭제
KR2020170000177U 2017-01-10 2017-01-10 양면형 농업용 반사시트 KR2004869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177U KR200486941Y1 (ko) 2017-01-10 2017-01-10 양면형 농업용 반사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177U KR200486941Y1 (ko) 2017-01-10 2017-01-10 양면형 농업용 반사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941Y1 true KR200486941Y1 (ko) 2018-07-16

Family

ID=63047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177U KR200486941Y1 (ko) 2017-01-10 2017-01-10 양면형 농업용 반사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9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341A (ko) * 2021-03-24 2022-10-05 주식회사 더블비큐코리아 알루미늄 증착필름을 이용한 반사방초시트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1889B1 (ko) 1997-08-22 1999-12-01 최좌진 농업용 멀칭 필름과 그 제조 방법
KR200192085Y1 (ko) * 2000-03-17 2000-08-16 김찬중 인삼밭 반사 덮개
JP2005102577A (ja) * 2003-09-30 2005-04-21 Reiko Co Ltd 遮光断熱性ネット及びそれに使用できる遮光断熱性テープ
JP2005143427A (ja) * 2003-11-18 2005-06-09 Masatsugu Ogawa 農業用フィルム
KR200468550Y1 (ko) 2013-03-19 2013-08-22 이분금 과수용 햇빛 반사시트
KR20160019139A (ko) 2014-08-11 2016-02-19 (주)에코팜 농업용 난반사 필름 및 그 난반사 필름 제조방법
KR101653397B1 (ko) * 2015-10-28 2016-09-02 양성욱 기능성 골판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1889B1 (ko) 1997-08-22 1999-12-01 최좌진 농업용 멀칭 필름과 그 제조 방법
KR200192085Y1 (ko) * 2000-03-17 2000-08-16 김찬중 인삼밭 반사 덮개
JP2005102577A (ja) * 2003-09-30 2005-04-21 Reiko Co Ltd 遮光断熱性ネット及びそれに使用できる遮光断熱性テープ
JP2005143427A (ja) * 2003-11-18 2005-06-09 Masatsugu Ogawa 農業用フィルム
KR200468550Y1 (ko) 2013-03-19 2013-08-22 이분금 과수용 햇빛 반사시트
KR20160019139A (ko) 2014-08-11 2016-02-19 (주)에코팜 농업용 난반사 필름 및 그 난반사 필름 제조방법
KR101653397B1 (ko) * 2015-10-28 2016-09-02 양성욱 기능성 골판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341A (ko) * 2021-03-24 2022-10-05 주식회사 더블비큐코리아 알루미늄 증착필름을 이용한 반사방초시트
KR102637852B1 (ko) 2021-03-24 2024-02-20 (주)더블비큐코리아 알루미늄 증착필름을 이용한 반사방초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veling et al. Environmental effects on sporocarp counts over fourteen years in a forest area
WO1998004114A1 (en) Improved agricultural mulch films and methods for their use
KR200486941Y1 (ko) 양면형 농업용 반사시트
CN103493703A (zh) 一种利用反光膜提高果实品质的方法
KR101229925B1 (ko) 농업용 반사필름
AU2016277669A1 (en) Reflective ground cover material
US7866088B1 (en) Barrier mulch films
CN108093916A (zh) 一种文冠果低产林良种化改造方法
US20080083161A1 (en) Weed barrier comprising vegetable parchment
KR200468550Y1 (ko) 과수용 햇빛 반사시트
JP2002119151A (ja) 農業用マルチシート
CN2912249Y (zh) 一种果林专用反光地膜
KR102141338B1 (ko) 인삼재배용 보온덮개 겸용 차광막 및 그 제조방법
CN206061690U (zh) 一种强反光型双色农用地膜
JP2003333940A (ja) 光反射性マルチシート及びその使用方法
CN216626867U (zh) 一种环保型可降解地膜
Danalatos et al. Potential growth and biomass productivity of kenaf (Hibiscus cannabinus L.) under central Greek conditions: II. The influence of variety, sowing time and plant density
KR101277248B1 (ko) 농사용 유공 반사필름
KR101308068B1 (ko) 식물성장 촉진과 고온장애 방지용 시트 및 그 제작방법
EP1681916B1 (en) Plant protection device
KR20210004449A (ko) 찢어짐 방지 및 난반사 기능의 엠보싱을 포함하는 메타로센 피이형 반사필름과 그 제조방법
Hermann Paper mulch for reforestation in southwestern Oregon
KR101383936B1 (ko) 과수 수목의 가지 및 주간 보호용 보온시트
CN220875323U (zh) 一种植物栽培用农业膜
KR102220254B1 (ko) 멀칭용 기능성 종이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