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831Y1 - 자석감지기용 리드스위치모듈 - Google Patents

자석감지기용 리드스위치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831Y1
KR200486831Y1 KR2020160007069U KR20160007069U KR200486831Y1 KR 200486831 Y1 KR200486831 Y1 KR 200486831Y1 KR 2020160007069 U KR2020160007069 U KR 2020160007069U KR 20160007069 U KR20160007069 U KR 20160007069U KR 200486831 Y1 KR200486831 Y1 KR 2004868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reed switch
pair
glass tube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0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780U (ko
Inventor
남기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 엠 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 엠 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 엠 티
Priority to KR20201600070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831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7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7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8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8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006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006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 H01H36/0013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co-operation between reed switch and permanent magnet; Magnetic circuits
    • H01H36/0026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co-operation between reed switch and permanent magnet; Magnetic circuits comprising a biasing, helping or polarising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006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 H01H36/0033Mountings; Housings; Connections

Landscapes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자석감지기용 리드스위치모듈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자석감지기용 리드스위치모듈은 이동체에 마련된 구동자석과의 거리변화에 따라 접점이 온/오프 되도록 고정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가 개구를 통해 개방되고 저부에 한 쌍의 인출구멍이 마련된 케이싱; 한 쌍의 상기 인출구멍과 통하는 한 쌍의 고정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케이싱의 저부 내측에 설치되는 고정판; 한 쌍의 리드단자 사이의 주변이 유리관으로 밀폐되어 접점부를 구성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유리관이 상기 고정판 상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한 쌍의 상기 리드단자가 한 쌍의 상기 고정구멍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한 쌍의 상기 인출구멍을 통해 상기 케이싱 저부로 인출되되, 상기 고정구멍을 통과한 상기 리드단자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판 하면에 지지되도록 절곡된 리드스위치; 상기 유리관 일측의 상기 고정판 상면에 배치되는 바이어스자석; 및 상기 고정판 상부의 상기 케이싱 내부에 충진되어 경화되는 완충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석감지기용 리드스위치모듈{reed switch for magnetic sensor}
개시된 고안은 자석감지기용 리드스위치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석감지기는 센서유닛과 자석유닛을 구비하여 고정체에 대한 이동체의 거리변화나 움직임 등을 감지하는데 이용된다.
보안을 목적으로 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데 이용되는 자석감지기의 경우, 센서유닛은 문틀과 같은 고정체에 설치되고, 자석유닛은 문틀에 설치되는 문과 같은 이동체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유닛은 자성체로 마련되는 한 쌍의 리드단자 사이의 주변이 유리관으로 밀폐되어 접점부를 구성하는 리드스위치를 구비하고, 자석유닛에는 영구자석으로 마련되는 구동자석이 마련될 수 있다.
리드스위치는 주변의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그 접점이 온/오프 되도록 마련되므로, 자석감지기는 문이 개폐됨에 따른 구동자석과의 거리변화에 따라 접점이 온/오프 되는 리드스위치의 동작신호를 통해 문의 개폐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리드스위치는 통상 센서유닛의 회로기판에 그대로 실장되는 형태로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리드스위치의 설치구조에서는 외부로부터 센서유닛의 본체로 가해진 충격이 회로기판을 통해 리드스위치의 유리관으로 그대로 전달되면서 리드스위치가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리드스위치를 센서유닛의 설치하는 과정에서는 회로기판 주변의 본체 내부공간이 협소한 관계로 회로기판을 관통하고 남은 리드단자의 일부분을 절단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자성체로 마련된 리드단자의 일부를 잘라내게 되면, 구동자석에 대해 반응하는 리드스위치의 감도(AT, Ampere-Turns)값이 설계값과 달라지게 되어 자석감지기의 감지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생긴다.
그리고 자석감지기 중에는 리드스위치의 접점부에 인접한 위치에 바이어스자석을 별도로 더 설치하여 구동자석과 바이어스자석 간의 자기적인 상호 작용에 의해 접점이 동작되도록 마련된 것들이 있는데, 이러한 자석감지기는 리드스위치와 바이어스자석을 자석감지기의 센서유닛의 회로기판에 각각 별도로 고정시켜야 했기 때문에, 생산상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바이어스자석과 인접하게 설치되는 리드스위치의 경우,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경우, 유리관이 바이어스자석에 의해 압박되면서 손상될 우려가 커지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외부충격으로부터 리드스위치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마련된 리드스위치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바이어스자석과 리드스위치를 함께 구비하면서도 자석감지기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자석감지기용 리드스위치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바이어스자석 리드스위치를 함께 구비하면서도 리드스위치가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석감지기용 리드스위치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감도값이 설치과정에서 설계치와 달라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석감지기용 리드스위치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체에 마련된 구동자석과의 거리변화에 따라 접점이 온/오프 되도록 고정체에 설치되는 자석감지기용 리드스위치모듈에 있어서, 상부가 개구를 통해 개방되고 저부에 한 쌍의 인출구멍이 마련된 케이싱; 한 쌍의 리드단자 사이의 주변이 유리관으로 밀폐되어 접점부를 구성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유리관이 상기 케이싱 내부에 수용되고 한 쌍의 상기 리드단자가 상기 인출구멍을 통해 상기 케이싱 저부로 인출된 리드스위치; 상기 유리관 일측의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는 바이어스자석; 상기 케이싱 내부에 충진되어 경화되는 완충제; 및 한 쌍의 상기 인출구멍과 통하는 한 쌍의 고정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케이싱의 저부 내측에 설치되는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리드스위치는 상기 유리관이 상기 고정판 상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한 쌍의 상기 리드단자가 한 쌍의 상기 고정구멍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한 쌍의 상기 인출구멍을 통해 상기 케이싱 저부로 인출되며, 한 쌍의 상기 고정구멍은 상기 유리관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 외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고정구멍을 통과한 상기 리드단자의 말단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판 하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유리관 저부 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인출구멍은 상기 고정구멍 저부로부터 상기 유리관 저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고정판은 상기 인출구멍을 덮도록 상기 케이싱 내부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기 완충제는 상기 고정판 상부의 케이싱 내부로 충진되고, 상기 말단부는 상기 고정구멍 직하방으로부터 상기 인출구멍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판 하면에 지지되도록 절곡되어 상기 인출구멍에 수용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인출구멍 외부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부의 길이를 상기 인출구멍의 길이범위 내에서 조절 가능하게 마련된 자석감지기용 리드스위치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바이어스자석은 상기 고정판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완충제는 상기 바이어스자석과 상기 유리관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석감지기용 리드스위치모듈은 완충제를 통해 리드스위치의 유리관이 보호되는 형태로 리드스위치와 바이어스자석이 일체로 한 몸을 이루게 되므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바이어스자석의 압박을 통해 리드스위치의 유리관이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석감지기용 리드스위치모듈은 바이어스자석과 리드스위치가 케이싱에 충진되는 완충제를 통해 케이싱 내부에 일체로 고정되고, 이에 따라 바이어스자석과 리드스위치를 자석감지지기의 센서유닛에 한번에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자석감지기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석감지기용 리드스위치모듈은 리드스위치의 리드단자가 절곡된 상태에서 케이싱 외부로 인출되고, 이에 따라 리드단자의 절곡 길이를 통해 케이싱 외부로 인출되는 리드단자의 인출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되므로, 자석감기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리드단자의 일부를 잘라낼 우려가 없게 되어 리드스위치의 감도값이 설계치와 달리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석감지기용 리드스위치모듈이 채용된 자석감지기 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석감지기용 리드스위치모듈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석감지기용 리드스위치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석감지기용 리드스위치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자석감지기용 리드스위치모듈이 자석감지기의 센서유닛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와 비교하여 리드스위치의 길이가 더 긴 자석감지기용 리드스위치모듈이 자석감지기의 센서유닛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고안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석감지기용 리드스위치모듈(10)은 고정체(1)에 대한 이동체(2)의 거리변화나 움직임을 감지하는 자석감지기(3)에 채용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자석감지기(3)는 고정체(1)에 설치되는 센서유닛(100)과, 이동체(2)에 설치되는 자석유닛(200)을 구비하고, 자석감지기용 리드스위치모듈(10)은 센서유닛(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상의 편의를 위해 '자서감지기용 리드스위치모듈'을 간단히 '리드스위치모듈'로 줄여서 표기하도록 한다.)
자석감지기(3)는 보안을 목적으로 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때 센서유닛(100)이 설치되는 고정체(1)는 문틀(1a)을 포함하고, 자석유닛(200)이 설치되는 이동체(2)는 문틀(1a)에 설치되는 문(2a)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석유닛(200)은 구동자석(210)과, 구동자석(210)을 수용하는 본체(220)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자석(210)은 영구자석으로 마련되어 본체(220)의 사출과정에서 본체(220) 내부에 일체로 인서트 될 수 있다.
센서유닛(100)은 리드스위치모듈(10)과, 리드스위치모듈(10)이 실장되는 회로기판(110)과, 외형을 이루는 본체(120)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120)는 중공의 케이스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리드스위치모듈(10)은 한 쌍의 리드단자(30) 사이의 주변이 유리관(40)으로 밀폐되어 접점부를 구성하는 리드스위치(20)와, 구동자석(210)과의 자기적인 상호 작용에 의해 리드스위치(20)의 접점(31)을 동작시키도록 유리관(40) 일측으로 근접하게 배치되는 바이어스자석(50)을 구비한다. 바이어스자석(50)은 영구자석으로 마련되고, 리드단자(30)는 자성체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리드단자(30)에 있어서 상호 대응하는 단부 사이는 상호 접촉 가능하게 마련되어 접점(31)을 이루며, 유리관(40)은 내부에 질소가 충진된 상태에서 접점(31) 주변을 밀폐하면서 접점부를 구성하게 된다. 리드스위치(20)는 구동자석(210)과의 거리변화에 따라 접점(31)이 온/오프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리드스위치모듈(10)은 구동자석(210)과의 거리가 가까운 상태에서 접점(31)이 온 되고, 구동자석과(210)의 거리가 멀어질 경우 접점(31)이 오프 되는 상시 폐쇄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이어스자석(50)과 구동자석(210)은 극성이 상호 반대로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접점(31)은 구동자석(210)이 근접하여 바이어스자석(50)의 자력이 상쇄됨에 따라 오프되고, 구동자석(210)이 멀어질 경우 바이어스자석(50)의 자력에 의해 온 되는 형태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리드스위치모듈(10)은 문(2a)이 폐쇄되는 평상시 자석유닛(200)이 센서유닛(100)에 근접함에 따라 리드스위치(20)의 접점(31)이 온 상태를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문(2a)이 개방되어 자석유닛(200)이 센서유닛(100)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리드스위치(20)의 접점(31)이 오프 되도록 동작하고, 자석감지기(3)는 이와 같은 리드스위치(20)의 온/오프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문틀(1a)에 대한 문(2a)의 개폐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리드스위치모듈(10)은 리드스위치(20)와 바이어스자석(50)이 한 몸을 이룬 상태에서 센서유닛(100)의 회로기판(110)에 실장 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다.
이를 위해 리드스위치모듈(10)은 상부가 개구(11a)를 통해 개방되고 저부에 한 쌍의 인출구멍(11b)이 마련된 케이싱(11)과, 한 쌍의 인출구멍(11b)과 통하는 한 쌍의 고정구멍(12a)을 구비하여 케이싱(11)의 저부 내측에 설치되는 고정판(12)을 구비한다. 한 쌍의 인출구멍(11b)은 한 쌍의 고정구멍(12a)에 일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리드스위치(20)는 유리관(40)이 고정판(12) 상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한 쌍의 리드단자(30)가 한 쌍의 고정구멍(12a)에 끼워지도록 고정판(12)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판(12)은 절연이 가능한 재질로 마련되고, 리드단자(30)는 고정구멍(12a)에 납땜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는 14는 납땜부를 가리킨다.
리드스위치(20)는 케이싱(11) 외부에서 고정판(12)에 고정되고, 리드스위치(20)가 고정된 고정판(12)은 케이싱(11) 내부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케이싱(11)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고정구멍(12a)을 통과한 리드단자(30)는 인출구멍(11b)을 통해 케이싱(11) 저부로 인출되고, 이 상태에서 바이어스자석(50)은 유리관(40) 일측의 고정판(12) 상면에 유리관(40)과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고정판(12) 상부의 케이싱(11) 내부에는 완충제(13)가 충진되고, 바이어스자석(50)은 케이싱(11) 내부에 충진된 완충제(13)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유리관(40)에 인접한 상태로 고정되어 리드스위치(20)와 한 몸을 이루게 된다. 이때 유리관(40)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도록 완충제(13) 내부로 완전히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이어스자석(50)은 상단 일부가 완충제(13)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바이어스자석(50)과 리드스위치(20)가 한 몸을 이루도록 마련된 리드스위치모듈(10)은 케이싱(11) 외부로 인출된 리드단자(30)를 통해 센서유닛(100)의 회로기판(110)에 실장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리드스위치모듈(10)은 바이어스자석(50)과 리드스위치(20)를 자석감지지기(3)의 센서유닛(100)에 한번에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자석감지기(3)의 조립성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또 완충제(13)는 리드스위치(20)의 유리관(40)과 바이어스자석(50)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가 되도록 케이싱(11) 내부에 충진되고, 완충제(13)로는 에폭시수지와 같이 경화상태에서 탄력을 갖는 합성수지몰딩제가 사용되는데, 이에 따라 리드스위치모듈(10)은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경우, 완충제(13)의 완충작용을 통해 유리관(40)이 바이어스자석(50)에 의해 압박되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리드스위치(20)의 유리관(40) 및 바이어스자석(50)이 고정판(12)을 거치지 않고 직접 직접 케이싱(11)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경우, 상기 고정판(12)은 삭제가 가능하다. 즉 리드스위치의 유리관(40)을 케이싱(11) 내부에 바로 수용되도록 한 상태에서 리드단자(30)가 인출구멍(11b)을 통해 케이싱(11) 저부로 인출되도록 하고, 바이어스자석(50)이 유리관(40) 일측의 케이싱(11) 바닥에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케이싱(11) 내부에 완충제(13)가 충진되도록 할 경우, 고정판(12)은 삭제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일 변형 예에 있어서, 고정구멍(12a)을 통과한 리드단자(30´)는 적어도 일부가 고정판(12) 하면에 지지되도록 절곡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구멍(12a)을 통과한 리드단자(30)의 말단부(32)는 고정구멍(12a) 직하방으로부터 고정판(12) 하면에 지지되도록 절곡되는 지지부(32a)와, 지지부(32a)로부터 케이싱(11) 하방으로 다시 절곡되어 인출구멍(11b´)을 통해 케이싱(11) 저부로 연장되는 연장부(32b)를 구비하도록 마련되며, 인출구멍(11b´)은 고정구멍(12a) 저부로부터 유리관(40) 저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 형태로 마련되어 고정판(12) 하단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수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드모듈스위치(10´)는 말단부(32)의 지지부(32a)와 연장부(32b)의 길이를 조절하여 케이싱(11) 외부로 인출되는 리드단자(30´)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므로, 회로기판(110)에 실장되는 리드단자(30´)의 길이가 과도하게 길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자석감지기(3)의 설치과정에서 리드스위치(20´)의 리드단자(30´)의 일부를 잘라낼 필요가 없게 되어 리드스위치(20´)의 감도값이 설계치와 달리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스위치모듈(10´)은 케이싱(11) 외부로 인출되는 리드단자(30´)를 통해 회로기판(110)에 실장된 상태로 본체(120) 내부에 설치된다. 미설명 부호는 14는 리드스위치모듈(10)의 실장을 위한 납땜부를 가리킨다. 이때 회로기판(110)과 본체(120)의 내면 사이의 거리에 비해 회로기판(110)과 본체(120) 내면 사이로 연장되는 리드단자(30´)의 길이가 과도하게 길게 될 경우, 리드단자(30´)에 의해 리드스위치모듈(10´)의 조립이 간섭 받을 우려가 생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리드단자(30´)를 자르게 될 경우, 자성체로 마련된 리드단자(30´)의 전체적인 길이가 줄어들게 되면서 바이어스자석(50) 및 구동자석(210) 간의 상호 작용이 변화되어 구동자석(210)에 대해 반응하는 리드스위치(20´)의 감도(AT, Ampere-Turns)값이 설계값과 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자석감지기(3)의 감지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이에 반해 본 실시 예와 같이, 리드단자(30´)의 말단부(32)가 고정판(12)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절곡되어 케이싱(11) 외부로 인출되는 구조에서는 지지부(32a)와 연장부(32b) 사이의 절곡 지점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지지부(32a)와 연장부(32b)의 길이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게 되므로, 말단부(32)의 일부를 절단하지 않더라도 케이싱(11) 저부로 인출되어 회로피기판(110)에 실장되는 리드단자(30´)의 길이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리드스위치모듈(10´)의 설치과정에서 자성체로 마련된 리드단자(30´)의 길이를 그대로 보장할 수 있게 되므로, 자석감지기(3)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리드스위치(20´)의 감도값이 설계치와 달리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말단부(32)가 고정판(12)의 고정구멍(12a)을 기준으로 바깥쪽으로 절곡 될 경우, 바이어스자석(50)의 자로 범위가 틀어질 수 있으므로, 고정구멍(12a)이 유리관(40)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 외측으로 배치되어 있는 구조를 감안했을 때, 말단부(32)는 고정구멍(12a) 내측이 되는 유리관(40) 저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출구멍(11b´)이 장공 형태로 길게 마련된 리드스위치모듈(10´)은 리드단자(30 ˝)의 길이가 다양한 리드스위치(20´)가 채용되는 경우에도 케이싱(11) 외부로 인출되는 리드단자(30)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5와 비교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단자(30˝)의 길이가 더 길어질 경우, 장공 형태로 마련된 인출구멍(11b´)을 통해 고정판(12)에 지지되는 지지부(32a´)의 길이가 더 길어지도록 함으로써, 외부로 인출되는 연장부(32b´)의 길이는 증가된 리드단자(30 ˝)의 전체 길이와 상관없이 케이싱(11)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리드스위치모듈(10´)은 리드단자(30)의 길이가 달라지더라도 센서유닛(100)의 본체(120)에 동일한 조건으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10: 리드스위치모듈 11: 케이싱
11a: 개구 11b: 인출구멍
12: 고정판 12a: 고정구멍
13: 완충제 20: 리드스위치
30: 리드단자 31: 접점
40: 유리관 50: 바이어스자석

Claims (7)

  1. 이동체에 마련된 구동자석과의 거리변화에 따라 접점이 온/오프 되도록 고정체에 설치되는 자석감지기용 리드스위치모듈에 있어서,
    상부가 개구를 통해 개방되고 저부에 한 쌍의 인출구멍이 마련된 케이싱;
    한 쌍의 리드단자 사이의 주변이 유리관으로 밀폐되어 접점부를 구성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유리관이 상기 케이싱 내부에 수용되고 한 쌍의 상기 리드단자가 상기 인출구멍을 통해 상기 케이싱 저부로 인출된 리드스위치;
    상기 유리관 일측의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는 바이어스자석;
    상기 케이싱 내부에 충진되어 경화되는 완충제; 및
    한 쌍의 상기 인출구멍과 통하는 한 쌍의 고정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케이싱의 저부 내측에 설치되는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리드스위치는 상기 유리관이 상기 고정판 상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한 쌍의 상기 리드단자가 한 쌍의 상기 고정구멍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한 쌍의 상기 인출구멍을 통해 상기 케이싱 저부로 인출되며,
    한 쌍의 상기 고정구멍은 상기 유리관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 외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고정구멍을 통과한 상기 리드단자의 말단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판 하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유리관 저부 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인출구멍은 상기 고정구멍 저부로부터 상기 유리관 저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고정판은 상기 인출구멍을 덮도록 상기 케이싱 내부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기 완충제는 상기 고정판 상부의 케이싱 내부로 충진되고,
    상기 말단부는 상기 고정구멍 직하방으로부터 상기 인출구멍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판 하면에 지지되도록 절곡되어 상기 인출구멍에 수용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인출구멍 외부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부의 길이를 상기 인출구멍의 길이범위 내에서 조절 가능하게 마련된 자석감지기용 리드스위치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자석은 상기 고정판 상면에 배치되는 자석감지기용 리드스위치모듈.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제가 상기 바이어스자석과 상기 유리관 사이에 개재된 자석감지기용 리드스위치모듈.


  7. 삭제
KR2020160007069U 2016-12-06 2016-12-06 자석감지기용 리드스위치모듈 KR2004868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069U KR200486831Y1 (ko) 2016-12-06 2016-12-06 자석감지기용 리드스위치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069U KR200486831Y1 (ko) 2016-12-06 2016-12-06 자석감지기용 리드스위치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780U KR20180001780U (ko) 2018-06-18
KR200486831Y1 true KR200486831Y1 (ko) 2018-07-06

Family

ID=62749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069U KR200486831Y1 (ko) 2016-12-06 2016-12-06 자석감지기용 리드스위치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83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278Y2 (ja) * 1989-01-11 1995-04-12 株式会社トーキン 近接スイッチ
JP2002251946A (ja) * 2001-02-23 2002-09-06 Nec Tokin Ceramics Corp リードスイッチの実装構造
JP2003203536A (ja) * 2002-01-10 2003-07-18 Nippon Aleph Corp 近接スイッチ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278Y2 (ja) * 1989-01-11 1995-04-12 株式会社トーキン 近接スイッチ
JP2002251946A (ja) * 2001-02-23 2002-09-06 Nec Tokin Ceramics Corp リードスイッチの実装構造
JP2003203536A (ja) * 2002-01-10 2003-07-18 Nippon Aleph Corp 近接スイッ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780U (ko) 201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49422A1 (en) Driving mechanism
CN108496236B (zh) 继电器
US9362072B2 (en) Magnetic float switch
JP2008078899A (ja) バーアンテナ用ボビン、バーアンテナ及び車両用ドアハンドル
US20200271890A1 (en)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US20150206685A1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JP4439516B2 (ja) 位置検出装置およびシステム
US20170263401A1 (en) Embedded pol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KR20130029811A (ko) 스프링, 특히 푸시 버튼용 스프링
KR200486831Y1 (ko) 자석감지기용 리드스위치모듈
KR101068473B1 (ko) 차폐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US8381367B2 (en) Belt holder device
JP5437597B2 (ja) 開閉装置
US6771155B2 (en) Compact magnetic induction switch
US20040090292A1 (en) Reed switch
US20040189287A1 (en) Position detecting sensor
JPH02203276A (ja) 加速度センサ
KR200237355Y1 (ko) 마그네틱 센서
JP2020500496A5 (ko)
JP3729448B2 (ja) リニアモータ装置
JP2963674B2 (ja) ロータリーアクチュエータ
KR200207147Y1 (ko) 경계용 로우프 감지기
JP2008241701A (ja) 振動センサ
JPS6123819Y2 (ko)
KR0131073Y1 (ko) 차량용 회전변위센서의 진동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