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492Y1 - 링메인유닛의 종단절연장치 - Google Patents

링메인유닛의 종단절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492Y1
KR200486492Y1 KR2020160004242U KR20160004242U KR200486492Y1 KR 200486492 Y1 KR200486492 Y1 KR 200486492Y1 KR 2020160004242 U KR2020160004242 U KR 2020160004242U KR 20160004242 U KR20160004242 U KR 20160004242U KR 200486492 Y1 KR200486492 Y1 KR 2004864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main body
ring main
main unit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2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322U (ko
Inventor
우두영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42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492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3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3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4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4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링메인유닛의 종단절연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링메인유닛의 종단절연장치는 링메인유닛의 외부 노출된 부싱에 결합되어 절연을 유지하는 링메인유닛의 종단절연장치로서, 단일의 소재로 형성되며, 일단부는 부싱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고 타단부는 부싱으로부터의 삽입 해제 시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의 일단부가 부싱에 삽입된 상태에서 본체의 타단부를 가압하도록 링메인유닛에 고정되는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링메인유닛의 종단절연장치{TERMINATION ISOLATOR FOR RING MAIN UNIT}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링메인유닛의 종단절연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압설비의 부하개폐기로 링메인유닛(RMU: Ring Main Unit)이 소개되어 있다.
링메인유닛은 고전압 배전계통의 전력을 다른 선로로 분기하거나 수용가로 공급해주는 기기를 말한다. 예컨대, 이러한 링메인유닛에는 고압 가스부하개폐기가 있을 수 있는데, SF6가스의 우수한 절연성능을 바탕으로 부하를 개폐한다.
링메인유닛은 그 조합형태에 따라 차단기 및 퓨즈가 결합된 형태로 제공되기도 하며, 구체적으로는 SF6가스에 의해 밀폐 절연되는 구조물의 내부에 차단기, 개폐기구, 접지 및 도체 등이 장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링메인유닛을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상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링메인유닛(1)은 배전선로 상의 선로분기, 선로구분 및 부하보호를 목적으로 이용되며, 우수한 절연성능을 바탕으로 부하를 개폐하거나, 퓨즈 또는 차단기를 통해 부하측도 보호할 수 있다.
링메인유닛(1)은 절연가스용기(3)를 포함하고, 절연가스용기(3) 내부에는 제1, 2, 3 부하개폐기(10, 20, 30)가 간격을 두고 설치 이용될 수 있다.
제 1, 2, 3부하개폐기(10, 20, 30)는 통상 하나의 가동접점과 3상의 고정접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제1, 2, 3 부하개폐기(10, 20, 30) 각각은 접점의 개폐 시 발생되는 아크를 소호하기 위한 소호부(11, 21, 31)가 구비된다.
예컨대, 제1 부하개폐기(10)의 소호부(11)에는 제1 회로부싱(13)이 연결되고, 제3 부하개폐기(30)의 소호부(31)에는 제3 회로부싱(33)이 연결되며, 제2 부하개폐기(20)의 소호부(21)는 이와 다른 형태로 외장형 퓨즈하우징(40)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링메인유닛(1)은 보통 여러 개가 조합되어 사용된다.
도 3은 링메인유닛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복수 개의 링메인유닛(1, 1')이 횡 방향으로 조립되어 연결된 정면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3의 (b)는 복수의 링메인유닛(1, 1')이 연결된 측면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복수 개의 링메인유닛의 결합 상태를 분해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복수 개 중 하나의 링메인유닛에 종단절연장치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링메인유닛(1, 1')은 하나의 중간절연장치(50)에 의해 양쪽으로 조립된다.
이때, 복수 개의 링메인유닛(1, 1') 각각의 외측 면에서는, 에폭시 소재의 부싱(90, 도 7 참조)이 외부로 노출되는데, 종단절연장치(60)는 각각의 부싱(90, 도 7 참조)의 외부 노출을 차단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링메인유닛(1)의 외측 면을 통해 부싱(90, 도 7 참조)이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종단절연장치(60)는 부싱(90, 도 7 참조)을 막도록 접속된다.
이때, 접속된 종단절연장치(60)는 링메인유닛(1)의 외측으로 돌출된 스터드볼트(S)에 관통 결합되고 조임너트(81)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종단절연장치(60)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절연장치이다. 종단절연장치(60)는 부싱(90, 도 7 참조)에 조립되어 링메인유닛(1)의 내부도체류 등의 절연을 유지시킨다.
이와 같이 조립된 종단절연장치(60)의 손상을 막도록 보호커버(70)가 다수의 결합볼트(83)에 의해 결합된다.
도 6은 종래의 종단절연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단면도, 정면도이고, 도 7은 종래의 종단절연장치가 부싱에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은 종단절연장치가 부싱에 조립되는 상태를 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종단절연장치(60)는 부싱(90, 도 7 참조)과의 조립 시 일정한 압력이 두 부품 간의 경계 면에서 생성되어야 절연이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연유에 따라, 종래의 종단절연장치(60)는 본체(61)의 경우 부싱(90, 도 7 참조)에 삽입 가능한 형상을 가지며, 본체(61)의 외측에는 체결 공(65a)이 구비된 브라켓(65)이 마련된다.
본체(61)는 브라켓(65)이 일체로 성형된 외측의 타단부(61a)와, 부싱(90, 도 7 참조)에 조립되는 내측의 일단부(61c) 및 중앙부(61b)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일단부(61c)에서 중앙부(61b)까지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의 타단부(61a)에는 안쪽으로 내입 형성된 센터 홈(69)이 마련되는데, 이는 종단절연장치(60)의 분리 시 본체의 타단부(61a)를 눌러 외경을 축소시켜 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해준다.
그리고 브라켓(65)의 체결 공(65a)을 통해 스터드볼트(S, 도 5 참조)가 삽입 후 조임너트(81, 도 5 참조)에 의해 고정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링메인유닛(1)의 외측 면을 통해 부싱(90)이 외부로 노출된다. 링메인유닛(1)의 내부도체(C)는 부싱도체(93)와 체결볼트(B)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부싱도체(93)는 부싱(90)으로부터 소정의 형상 및 길이로 돌출되는데, 이는 본체(61)의 타단부에 마련된 삽입 홈(63)을 통해 삽입되어 절연이 유지된다.
이와 같이 종단절연장치(60)가 부싱(90)에 조립되고 나면, 조립된 종단절연장치(60)의 손상을 막도록 보호커버(70)가 다수의 결합볼트(83)에 의해 결합된다. 다수의 결합볼트(83)는 링메인유닛(1)의 외측 면에 마련된 고정 구조물(95)에 견고하게 체결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종단절연장치(60)는 성형에 어려움이 따랐다. 즉, 실리콘 등의 재질을 갖는 본체(61)의 사출 성형 시 금속 등의 재질을 갖는 브라켓(65)을 동시 성형하여야 했는데, 별도의 부품 준비가 필요하였고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 저하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재료가 다른, 즉 실리콘 등의 재질과 금속 등의 재질을 갖는 두 개의 부품을 동시에 성형할 경우 이종 소재 간의 결합력이 저하되어 경계면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경계면을 통해 공기층이 생겨나므로 부분 방전에 의한 재료의 열화를 유발할 위험이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의 종단절연장치(60)의 경우 스터드볼트를 이용하여 결합 상태를 유지하므로 해체 시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5381호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링메인유닛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단일의 소재로 성형 제작이 가능하며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절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링메인유닛의 종단절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링메인유닛의 외부 노출된 부싱에 결합되어 절연을 유지하는 링메인유닛의 종단절연장치로서, 단일의 소재로 형성되며, 일단부는 상기 부싱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부싱으로부터의 삽입 해제 시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단부가 상기 부싱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타단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링메인유닛에 고정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링메인유닛의 종단절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를 형성하는 단일의 소재는 실리콘 등의 재질이 이용 가능하다.
이때, 상기 본체의 일단부는, 상기 부싱에 삽입 시 상기 부싱으로부터 돌출된 부싱도체를 감싸 수용하는 삽입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 홈을 통해 반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진 제1 반도전층 형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도전성 소재는 반도전성 실리콘 등이 이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타단부는, 상기 부싱으로부터 삽입 해제 시 파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타단부 외경으로부터 함몰된 파지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타단부 및 상기 파지 홈을 둘러 반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진 제2 반도전층 형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도전성 소재는 반도전성 실리콘 등이 이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본체의 타단부 외경을 둘러 슬립방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립방지부는 외경 표면을 둘러 형성된 돌기 또는 요철 무늬가 있을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본체의 타단부 외경으로부터 직경이 확장된 외경확장부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경확장부는 상기 본체의 타단부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링메인유닛의 종단절연장치에 의하면, 단일의 소재로 성형 제작이 가능하며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절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종단절연장치에 구비되었던 브라켓의 구성을 삭제하고 전체적으로 단일의 소재(예: 실리콘 등)로 사출 성형함으로써 성형이 간단하며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일의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이종 재질 간의 결합력 부족으로 발생된 경계면의 공기층 형성을 방지하여, 부분방전에 의한 재료의 열화 문제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브라켓 없이도 단일의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이종 재질 간의 결합력 부족으로 발생된 경계면의 공기층 형성을 방지하여, 부분방전에 의한 재료의 열화 문제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보호커버의 체결 작업만으로 종단절연장치의 고정이 가능해져 조임 공수가 감소되며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링메인유닛을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상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을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복수 개의 링메인유닛의 결합 상태를 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복수 개 중 하나의 링메인유닛에 종단절연장치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종래의 종단절연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단면도, 정면도.
도 7은 종래의 종단절연장치가 부싱에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종래의 종단절연장치가 부싱에 결합되는 구조를 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단절연장치가 부싱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단절연장치가 부싱에 결합되는 구조를 분해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단절연장치의 본체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단절연장치의 본체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단절연장치의 본체에서 반도전층 형성부(SC)의 형상을 나타낸 이미지.
도 14 및 도 1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단절연장치의 본체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링메인유닛의 종단절연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와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단절연장치가 부싱에 결합된 상태 및 부싱에 결합되는 구조를 분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단절연장치는 본체(100)와, 커버(7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단일의 소재(예: 실리콘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0)의 일단부는 부싱(90, 도 9 참조)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고, 타단부는 부싱(90, 도 9 참조)으로부터 삽입 해제 시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파지 가능하다는 의미는 사용자의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본체(100)의 삽입 해제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손잡이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링메인유닛(1, 1')이 좌우로 나란하게 연결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 링메인유닛(1, 1') 각각의 외측에는 부싱(90)이 외부로 노출되는데, 본체(100)는 외부로 노출된 부싱(90)에 결합되어 절연을 유지시켜준다.
그런데, 이러한 본체(100)에 의한 절연 성능이 잘 유지되기 위해서는, 본체(100)가 부싱(90)에 조립된 후 일정 압력으로 가압될 수 있어야 한다.
커버(70)는 본체(100)를 설정 압력으로 외부에서 가압한다.
이러한 커버(70)의 가압 작용에 의해 부싱(90)에 삽입된 본체(100)는 부싱(90)과의 경계면을 향하여 일정 압력으로 가압되어 목표하는 절연 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체(100)의 일단부는 부싱(90)에 삽입된다. 링메인유닛(1)의 부싱(90)에는 경사면(91)을 갖는 홈이 마련되며, 부싱(90)의 중심에는 외부를 향하여 돌출된 도체(이하, 부싱도체(93)라 함)가 구비된다.
부싱도체(93)는 링메인유닛(1)의 내부도체(C)와 체결볼트(B)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본체(100)에 의해 절연이 요구되는 부분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0)의 일단부는 부싱(90)의 경사면(91)을 통해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00)의 타단부는 부싱(90, 도 9 참조)으로부터 삽입 해제 시(즉, 해체 시) 파지 가능한 형상을 갖는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00)가 부싱(90)에 삽입된 후 미리 고정되는 구조가 아니며, 본체(100)의 타단부를 커버(70)가 직접적으로 가압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커버(70)는 본체(100)의 일단부가 부싱(90)에 삽입된 상태에서 본체(100)의 타단부를 설정 압력으로 가압하며, 링메인유닛(1)의 외측에 구비된 고정 구조물(95)에 결합볼트(83)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여기서, 도시된 링메인유닛(1)의 고정 구조물(95)의 형상 및 구조는 다른 형태로 변경 가능하며, 이러한 변경에 따라 커버(70)가 결합볼트(83)에 의해 결합되는 형태 역시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단절연장치의 본체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단절연장치의 본체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단절연장치의 본체(100)는 단일의 소재(예: 실리콘 등)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본체(100)는 부싱(90, 도 10 참조)에 삽입되는 일단부(101c)(구체적으로는, 일단부(101c)에서 중앙부(101b)까지를 의미함)와, 부싱(90, 도 10 참조)으로부터 삽입 해제 시 파지 가능한 형상을 갖는 타단부(101a)를 포함한다.
본체의 일단부(101c)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홈(103)이 구비된다.
삽입 홈(103)은 전술한 부싱(90, 도 10 참조)으로의 삽입 시 부싱으로부터 돌출된 부싱도체(93, 도 10 참조)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공간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삽입 홈(103)의 크기(특히, 길이(L2) 등) 및 형상은 부싱도체(93, 도 10 참조)에 대응하여 정해질 수 있으며, 도시된 형태에 반드시 제한되지 않는다.
본체의 타단부(101a)에는 파지 홈(110)이 구비된다.
파지 홈(110)은 본체의 타단부(101a) 외경으로부터 설정 깊이로 함몰된 홈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파지 홈(100)은 부싱(90, 도 10 참조)으로부터 본체(100)를 삽입 해제 시 본체의 타단부(101a)를 쉽게 파지할 수 있게 해준다.
예컨대, 사용자의 손가락을 파지 홈(110)에 밀착시켜 힘을 준 상태에서 본체의 타단부(101a)를 뒤로 당길 경우 본체(100)는 부싱(90, 도 10 참조)으로부터 쉽게 해체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손을 직접 이용하지 않고서 별도의 전용도구를 파지 홈(110)에 파지시켜 손쉽게 본체(100)를 해체할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단면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체의 타단부(101a)를 이용하여 부싱(90, 도 10 참조)에 삽입된 본체(100)를 보다 원활하게 빼낼 수 있도록 본체의 타단부(101a)의 외경을 둘러 슬립방지부(10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4에 도시된 슬립방지부(102)는 본체의 타단부(101a) 외경 표면을 둘러 반구 형상의 돌기가 다수 구비된 형태로 제공된다.
이로써, 파지 홈(100)과 슬립방지부(102)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동시에 밀착시킴으로써 본체(100)를 삽입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줄 경우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슬립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슬립방지부(102)는 손가락의 슬립을 방지하는 요철 면 등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체의 타단부(101a) 외경으로부터 직경이 확장(L3)된 외경확장부(101d)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외경확장부(101d)에 의해 파지 홈(110)으로부터 연장된 본체의 타단부(101a)가 더 확장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본체(100)를 삽입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주기가 용이해 질 수 있는데, 도시된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종단절연장치의 본체(100)에는 부분적으로 반도전층 형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단절연장치의 본체에서 반도전층 형성부(SC)의 형상을 나타낸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체(100)는 전체적으로 단일의 소재(예: 실리콘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본체의 일단부(101c)에 형성된 삽입 홈(103, 도 12 참조)을 통해 반도전성 소재(예: 반도전성 실리콘 등)가 소정의 두께로 층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를 제1 반도전층 형성부(SC)라 한다.
또한, 본체의 타단부(101a) 및 파지 홈(110, 도 12 참조)을 통해 L1 범위로 반도전성 소재(예: 반도전성 실리콘 등)가 소정의 두께로 층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를 제2 반도전층 형성부(SC)라 한다.
이들 제1, 2 반도전층 형성부(SC)를 이루는 반도전성 소재에 의해 본체(100)의 실리콘 소재에 충진 된 전하를 방전할 수 있는데, 전술한 커버(70, 도 10 참조)가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져 전하를 접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하면 본체(100)의 일부 구간, 예컨대 삽입 홈(103, 도 12 참조)과 본체의 타단부(101a) 및 파지 홈(110, 도 12 참조)에 반도전성 소재를 도포한다. 이와 함께 도전성의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커버(70)를 본체의 타단부(101a)에 밀착시켜 전계를 완화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단일의 소재로 성형 제작이 가능하며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절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종단절연장치에 구비되었던 브라켓의 구성을 삭제하고 전체적으로 단일의 소재(예: 실리콘 등)로 사출 성형함으로써 성형이 간단하며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일의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이종 재질 간의 결합력 부족으로 발생된 경계면의 공기층 형성을 방지하여, 부분방전에 의한 재료의 열화 문제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브라켓 없이도 단일의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이종 재질 간의 결합력 부족으로 발생된 경계면의 공기층 형성을 방지하여, 부분방전에 의한 재료의 열화 문제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호커버의 체결 작업만으로 종단절연장치의 고정이 가능해져 조임 공수가 감소되며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B: 체결볼트 C: 내부도체
SC: 반도전층 형성부 1, 1': 링메인유닛
70: 커버 3: 결합볼트
90: 부싱 91: 경사면
93: 부싱도체 95: 고정 구조물
100: 본체 101a: 타단부
101b: 중앙부 101c: 일단부
101d: 외경확장부 102: 슬립방지부
103: 삽입 홈 104: 내부면
109: 센터 홈 110: 파지 홈

Claims (7)

  1. 링메인유닛의 외부 노출된 부싱에 결합되어 절연을 유지하는 링메인유닛의 종단절연장치로서,
    단일의 소재로 형성되며, 일단부는 상기 부싱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부싱으로부터의 삽입 해제 시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단부가 상기 부싱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타단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링메인유닛에 고정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일단부는, 상기 부싱에 삽입 시 상기 부싱으로부터 돌출된 부싱도체를 감싸 수용하는 삽입 홈을 구비하며, 상기 삽입 홈을 통해 반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진 제1 반도전층 형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타단부는, 상기 부싱으로부터 삽입 해제 시 파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타단부 외경으로부터 함몰된 파지 홈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타단부 및 상기 파지 홈을 둘러 반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진 제2 반도전층 형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메인유닛의 종단절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타단부 외경을 둘러 슬립방지부가 구비되는
    링메인유닛의 종단절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타단부 외경으로부터 직경이 확장된 외경확장부가 구비되는
    링메인유닛의 종단절연장치.
KR2020160004242U 2016-07-22 2016-07-22 링메인유닛의 종단절연장치 KR2004864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242U KR200486492Y1 (ko) 2016-07-22 2016-07-22 링메인유닛의 종단절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242U KR200486492Y1 (ko) 2016-07-22 2016-07-22 링메인유닛의 종단절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322U KR20180000322U (ko) 2018-01-31
KR200486492Y1 true KR200486492Y1 (ko) 2018-05-25

Family

ID=61280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242U KR200486492Y1 (ko) 2016-07-22 2016-07-22 링메인유닛의 종단절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492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214Y1 (ko) * 2003-04-21 2003-07-23 엘지산전 주식회사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부싱 설치구조
KR20090000326U (ko) * 2007-07-09 2009-01-14 주식회사 오벨코리아 산소촉매코팅 조화와 음이온발생기가 장착된 장식용 화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4324A (ja) * 1991-09-04 1993-03-12 Meidensha Corp 配電盤の断路部
JPH09274947A (ja) * 1996-04-08 1997-10-21 Inoue Seisakusho:Kk 機器直結形ケーブル接続部
KR200448188Y1 (ko) * 2007-10-04 2010-03-24 동우전기공업(주) 입출력단자가 플러그인형 구조로 된 계기용 변압 변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214Y1 (ko) * 2003-04-21 2003-07-23 엘지산전 주식회사 가스절연 배전반의 접지부싱 설치구조
KR20090000326U (ko) * 2007-07-09 2009-01-14 주식회사 오벨코리아 산소촉매코팅 조화와 음이온발생기가 장착된 장식용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322U (ko) 201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0086B2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accessory wiring improvement
US9343245B2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EP2715764B1 (en) Inline fuse holder assembly
US6010347A (en) Universal electric socket
TWI593184B (zh) 肘型電連接器組件
US7695300B2 (en) Electrically insulated conductor connection assemblies and associated method
KR20090014901A (ko) 스위치기어의 모선연결장치 및 그의 모선연결방법
KR200486492Y1 (ko) 링메인유닛의 종단절연장치
WO2016118334A1 (en) Electrical system,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guard assembly therefor
KR101677998B1 (ko) 배선용차단기의 샤프트 어셈블리
KR200450125Y1 (ko) 차단기 직결형 영상변류기
EP3570308B1 (en) Pole component assembly for circuit breaker
KR100888541B1 (ko) 에폭시 몰딩 절연형 지중 배선용 개폐기 및 차단기의개폐차단부
US7897275B2 (en) Electrical rechargeable battery
KR102165636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연결 유닛
KR20180033023A (ko) 부스바들 간의 연결부위에 씌워지는 부스바 절연커버
US20020027489A1 (en) Circuit breaker support and assembly
US10490927B2 (en) Self-enclosed electrical assembly with wire crimping structure
KR101036147B1 (ko) 개폐차단기의 개폐차단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개폐차단기
KR20170008965A (ko)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 및 전력 기기용 부싱
ITTO970332A1 (it) Sistema di connnessione di cavi elettrici a un'apparecchiatura elettri ca, in particolare a un motore d'avviamento di un autoveicolo.
KR101148796B1 (ko) 차단기
KR20160110729A (ko) 고압 가스부하개폐기용 퓨즈의 길이 연장장치
JP2005129347A (ja) 高圧開閉器およびキャビネット
KR20160141578A (ko) 차단기의 투입 저항 연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