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449Y1 -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 - Google Patents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6449Y1 KR200486449Y1 KR2020170004963U KR20170004963U KR200486449Y1 KR 200486449 Y1 KR200486449 Y1 KR 200486449Y1 KR 2020170004963 U KR2020170004963 U KR 2020170004963U KR 20170004963 U KR20170004963 U KR 20170004963U KR 200486449 Y1 KR200486449 Y1 KR 20048644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isure
- tube
- base tube
- air
- boa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 B63B35/73—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 B63B2728/00—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2—Lifeboats, life-raft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life-saving
- B63C9/04—Life-rafts
- B63C2009/042—Life-rafts inflat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arpets (AREA)
Abstract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가 개시된다.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는, 내부에 에어가 주입되며 표면에는 사용자가 위치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는 베이스 튜브와, 베이스 튜브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상부로 돌출되며 베이스 튜브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내부에는 에어가 주입되는 측면 튜브와, 측면 튜브를 베이스 튜브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내부로 유입된 물의 배수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안전한 사용이 가능한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를 이용한 수상 레저기구는 고무보트나 에어매트, 고무튜브 등이 있으며, 이러한 수상 레저기구는 모두 공기를 주입시켜 물이나 야외에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수상 레저용으로 사용되는 물놀이 기구는 개인용과 단체용으로 크게 대별된다.
개인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는 비교적 수심이 얕은 물가에서 주로 사용되는 튜브(tube)나 구명조끼가 있으며, 단체용으로는 주로 보팅(boating)을 하기 위한 보트(boat)가 있다.
이한 종래의 물놀이 기구에 있어서 상기 튜브나 구명조끼 등은 개인용으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물놀이 용품이긴 하지만 튜브를 착용하고 물속에서 수영이나 물놀이를 하는데 있어서 몸이 자유롭게 유영할 수 없어 많은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으며, 특히 튜브는 안전사고가 일어나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한편, 보트는 보팅을 하는 즐거움도 있지만 최근에는 보트로서 물 위에서 끌고 다니는 일명 바나나 보트 등이 레저용으로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어, 일반적인 튜브를 가지고 즐기는 단순한 것과는 다르게 두 명 이상의 인원이 함께 타고 수상레저를 즐길 수 있어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그러나, 레저용 보트의 사용 과정에서 물이 보트의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유입된 물에 의해 안전하고 편안한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내부로 유입된 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안전한 사용이 가능한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에어가 주입되며 표면에는 사용자가 위치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는 베이스 튜브와, 베이스 튜브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상부로 돌출되며 베이스 튜브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내부에는 에어가 주입되는 측면 튜브와, 측면 튜브를 베이스 튜브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베이스 튜브와 측면 튜브는 실이 내장된 합성 수지 재질일 수 있다.
베이스 튜브의 안착면에는 손잡이부가 돌출될 수 있다.
측면 튜브는, 베이스 튜브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외표면이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베이스 튜브의 안착면 방향으로 복수개의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튜브와 측면 튜브의 사이에는 배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저 활동 과정에서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경우, 베이스 튜브와 측면 튜브 사이의 배수홀을 통해 빠른 배수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의 측면 튜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의 측면 튜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의 측면 튜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100)는, 내부에 에어가 주입되며 표면에는 사용자가 위치되는 안착면(11)이 형성되는 베이스 튜브(10)와, 베이스 튜브(1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상부로 돌출되며 베이스 튜브(1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내부에는 에어가 주입되는 측면 튜브(20)와, 측면 튜브(20)를 베이스 튜브(1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30)를 포함한다.
베이스 튜브(10)는 수면 상에 위치되는 부분으로 내부에는 에어가 주입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튜브(10)는 상부 표면에 사용자가 위치되는 안착면(1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베이스 튜브(10)는 적어도 2명 이상의 사용자가 앉아 사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튜브(10)는 레저용에 사용되도록 가장자리 둘레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베이스 튜브(10)는 라운드 형상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직사각형의 평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베이스 튜브(10)는 레저용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합성수지 재질에 실이 내장된 상태의 방수 원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튜브(10)의 상측에는 측면 튜브(20)가 고정될 수 있다.
측면 튜브(20)는 베이스 튜브(1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 튜브(20)는 베이스 튜브(10)의 가장자리 둘레에 후술하는 고정부재(3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고정부재를 설명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측면 튜브(20)는 베이스 튜브(10)의 라운드 형상에 대응하여 베이스 튜브(10)의 가장 자리 둘레를 따라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되게 고정될 수 있다.
측면 튜브(20)는 베이스 튜브(10)의 재질과 동일한 합성수지 재질에 실이 내장된 상태의 방수 원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 튜브(20)는 내부에 에어가 주입되어 베이스 튜브(10)와 함께 레저용으로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측면 튜브(20)의 외표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튜브(10)의 상측에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벽면에는 오목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21)는 측면 튜브(20)의 내벽면 즉, 사용자가 안착되는 부분을 향하여 형성될 있다.
오목부(21)는 본 실시예에서 측면 튜브(20)의 내벽면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오목부(21)는 측면 튜브(20)의 내벽면을 따라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면 튜브(20)의 내벽면에 오목부(21)가 형성되는 것은, 사용자가 레저 활동 과정에서 베이스 튜브(10)의 안착면(11)에 위치되는 경우 사용자의 등부분이 안정적으로 접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실시예의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의 사용 과정에서 오목부(21)에 등부분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바, 레저 활동 과정에서 움직임을 최소화화면서 안정적인 레저 활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오목부(21)는 측면 튜브(20)의 내벽면에 복수개가 라운드 형상으로 인입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오목부(21)는 라운드 형상의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한 형상으로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베이스 튜브(10)와 측면 튜브(20)는 고정부재(3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재(30)는 측면 튜브(20)의 저면과 베이스 튜브(10)의 상면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베이스 튜브(10)와 측면 튜브(20)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재(30)는 본 실시예에서 벨크로부재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고정부재와 벨크로부재는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벨크로부재(30)는 측면 튜브(20)의 저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측면 튜브(20)와 베이스 튜브(10)의 사이를 물이 배출 가능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 튜브(10)와 측면 튜브(20)가 고정부재(30)에 의해 연결되는 바, 베이스 튜브(10)와 측면 튜브(20)의 사이에 물이 배수 가능한 배수홀(3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측면 튜브(20)를 넘어서 베이스 튜브(10)의 안착면(11) 방향으로 유입된 물은 배수홀(31)을 통해 빠르게 배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레저 활동 과정에서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10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경우, 베이스 튜브(10)와 측면 튜브(20) 사이의 배수홀(31)을 통해 빠른 배수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200)는, 베이스 튜브(10)의 안착면(11)에 손잡이부(110)가 돌출된다.
손잡이부(110)는 베이스 튜브(10)의 안착면(11)에 복수개가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100)의 사용 과정에서 손잡이부(110)를 파지한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300)는, 베이스 튜브(10)와 측면 튜브(20)의 서로간이 착탈 밴드(21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착탈 밴드(210)는 일측은 베이스 튜브(10)에 연결되고 타측은 측면 튜브(2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착탈 밴드(210)는 베이스 튜브(10) 또는 측면 튜브(20)에 버튼부재 또는 벨크로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튜브(10)와 측면 튜브(20)는 서로 분리 가능한 상태로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베이스 튜브 11...안착면
20...측면 튜브 21...오목부
30...벨크로부재, 고정부재
31...배수홀 110..손잡이부
210..착탈 밴드
20...측면 튜브 21...오목부
30...벨크로부재, 고정부재
31...배수홀 110..손잡이부
210..착탈 밴드
Claims (4)
- 내부에 에어가 주입되며 상부 표면에는 사용자가 위치되는 안착면(11)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면(11)에는 이격되도록 손잡이부(110)를 형성되는 베이스 튜브;
상기 베이스 튜브(1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벽면을 따라 라운드 형상으로 인입되는 복수개의 오목부(21)를 형성하며, 내부에는 에어가 주입되는 측면 튜브(20); 및
상기 베이스 튜브(10)와 상기 측면 튜브(20)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면서 상기 베이스 튜브(10)와 상기 측면 튜브(20)의 사이에는 배수홀(31)이 형성되도록 하는 고정부재(30);
를 포함하는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4963U KR200486449Y1 (ko) | 2017-09-20 | 2017-09-20 |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4963U KR200486449Y1 (ko) | 2017-09-20 | 2017-09-20 |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6449Y1 true KR200486449Y1 (ko) | 2018-05-18 |
Family
ID=62296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4963U KR200486449Y1 (ko) | 2017-09-20 | 2017-09-20 |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6449Y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24187A (ja) * | 1990-05-16 | 1992-01-28 | Shiratori:Kk | 円形のゴムボート |
KR20100080265A (ko) * | 2008-12-29 | 2010-07-08 | (주)에어박스 | 수상 레저용 보트 |
KR20140024984A (ko) * | 2012-08-20 | 2014-03-04 | 이철호 | 고무보트 |
KR20150134669A (ko) | 2014-05-22 | 2015-12-02 | 공성민 | 수상 레저용 보트 |
KR20160019162A (ko) * | 2014-08-11 | 2016-02-19 | 공성민 | 수상 레저용 보트 |
-
2017
- 2017-09-20 KR KR2020170004963U patent/KR200486449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24187A (ja) * | 1990-05-16 | 1992-01-28 | Shiratori:Kk | 円形のゴムボート |
KR20100080265A (ko) * | 2008-12-29 | 2010-07-08 | (주)에어박스 | 수상 레저용 보트 |
KR20140024984A (ko) * | 2012-08-20 | 2014-03-04 | 이철호 | 고무보트 |
KR20150134669A (ko) | 2014-05-22 | 2015-12-02 | 공성민 | 수상 레저용 보트 |
KR20160019162A (ko) * | 2014-08-11 | 2016-02-19 | 공성민 | 수상 레저용 보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29772B2 (en) | Floatation apparatus | |
US7798876B2 (en) | Kickboard for swimming | |
US3081726A (en) | Underwater viewers | |
US9993689B1 (en) | Aquatic body cover for use with a monofin | |
US20170361908A1 (en) | Raft for viewing underwater objects | |
JP6655232B2 (ja) | テーブルとシートを備えた小型レジャーボート | |
KR200486449Y1 (ko) | 레저용 분리 에어 보트 | |
US8246404B1 (en) | Swim fin system | |
KR101404338B1 (ko) | 인체 공학적 활동성을 감안한 성형 구명복 | |
EP3741659A1 (en) | Inflatable boat | |
JP2016210412A (ja) | 連続ストラップ付きベスト | |
US20140152061A1 (en) | Chair having integrated safety belt | |
US8926386B2 (en) | Flotation device for improved safety | |
KR20090011556A (ko) | 물놀이튜브 겸용 보트 | |
US6168486B1 (en) | Floating board | |
KR101639785B1 (ko) | 어린이용 튜브 겸용 구명 자켓 | |
CN212829007U (zh) | 一种桨板 | |
US2898610A (en) | Swimming buoy or apparatus | |
KR101621429B1 (ko) | 구명조끼 | |
KR200439950Y1 (ko) | 수영보조구 | |
KR101967294B1 (ko) |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 | |
KR101828922B1 (ko) | 킥판 겸용 몸 고정띠를 구비한 구명조끼 | |
US7160165B2 (en) | Device for rippling of water | |
KR200484948Y1 (ko) | 승차감과 안전성이 향상되고 완충력이 구비된 다기능성 슬라이드 기구 | |
KR102145068B1 (ko) |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물놀이용 튜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