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294B1 -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 - Google Patents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294B1
KR101967294B1 KR1020170106574A KR20170106574A KR101967294B1 KR 101967294 B1 KR101967294 B1 KR 101967294B1 KR 1020170106574 A KR1020170106574 A KR 1020170106574A KR 20170106574 A KR20170106574 A KR 20170106574A KR 101967294 B1 KR101967294 B1 KR 101967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ody
lower body
boat
space
lei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1620A (ko
Inventor
조은희
Original Assignee
위니코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코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코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6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294B1/ko
Publication of KR20190021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5/7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8Adaptations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to life-sav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2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hook and loop fasteners
    • B63B2739/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조용 보트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탑승 공간부가 형성되는 에어 튜브로 이루어지는 하부 바디와, 일측에는 외측을 향하여 상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는 상부 바디와, 상기 상부 바디가 상기 하부 바디의 상부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상부 바디와 상기 하부 바디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 모듈은 상기 하부 바디의 상부에 함몰 형성되는 수용홈으로 이루어지는 탑승 공간부와, 상기 상부 바디에 상기 탑승 공간부와 대응되도록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Leisure boat having a slide}
본 발명은 레저용 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놀이를 위한 레저용 보트를 개량하여 유희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레저용 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저용 보트는 강, 호수 또는 바다 등에서 사용하는 보트로,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타고 물놀이나 낚시 등의 수상 레저를 즐길 때 사용되며, 이러한 레저용 보트는 일반적으로 에어가 주입되는 고무 보트가 주로 이용되며, 이러한 에어 주입식 고무 보트는 공기압에 의해 팽창되도록 제작되며,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레저용 보트는 에어 주입으로 인해 팽창되어 골격을 형성하는 튜브 형태의 프레임과, 프레임 내측으로 설치되어 에어 주입 시 팽창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매트리스로 구성되는 탑승 공간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탑승 공간에 안착하여 휴식을 즐기거나, 낚시 등의 레저 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레저용 보트는 단순히 물 위에 사용자를 띄우는 기능만 할 뿐 다른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최근에는 종래의 레저용 보트를 개량함으로써 새로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유희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레저용 보트를 개량한 기술들이 다수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249018호 '놀이용보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297765호 '물놀이용 보트' 등 다수의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249018호 '놀이용보트'는 보트 본체의 양측에 부력체로 구성된 추진휠을 장착하여 보트를 전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297765호 '물놀이용 보트'는 보드에 중간보드부를 설치하고, 중간보드부의 끝단에 물갈퀴부가 구성된 추진 발판부를 설치하여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최근 개발되는 레저용 보트 관련 기술들은 유희성 향상을 위한 새로운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중점으로 하여, 새로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레저용 보트의 구조가 기존의 에어 주입식 레저용 보트와는 전혀 다른 구조로 개량됨으로써, 종래의 레저용 보트와 같이 휴식을 즐기거나, 낚시 등의 레저 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레저용 보트와 같이 사용자가 물 위에서 휴식을 즐기거나, 낚시 등의 레저 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충분히 제공하면서, 동시에 유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레저용 보트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레저용 보트의 기능을 충분히 제공하면서, 동시에 유희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특히 미끄럼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명구조가 필요한 응급 상황에 사용할 수 있도록 인명구조 기능을 부가한 모듈식 레저 보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탑승 공간부가 형성되는 에어 튜브로 이루어지는 하부 바디와, 일측에는 외측을 향하여 상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는 상부 바디와, 상기 상부 바디가 상기 하부 바디의 상부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상부 바디와 상기 하부 바디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 모듈은 상기 하부 바디의 상부에 함몰 형성되는 수용홈으로 이루어지는 탑승 공간부와, 상기 상부 바디에 상기 탑승 공간부와 대응되도록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는 상부에 탑승 공간부가 형성되는 에어 튜브로 이루어지는 하부 바디와, 일측에는 외측을 향하여 상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는 상부 바디와, 상기 상부 바디가 상기 하부 바디의 상부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상부 바디와 상기 하부 바디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 모듈은 상기 상부 바디에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하부 바디에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부 바디는 타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의 손잡이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는 순간 팽창식 인명구조 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는, 상부에 탑승 공간부가 형성되는 에어 튜브로 이루어지는 하부 바디와, 일측에 외측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된 상부 바디를 포함함으로써, 하부 바디를 통해 종래의 레저용 보트와 같이 사용자가 물 위에서 휴식을 즐기거나, 낚시 등의 레저 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충분히 제공하면서도, 동시에 상부 바디를 통해 미끄럼틀 기능을 제공하여 유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는,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가 개별적으로 분리 형성되되, 결합하여 사용 가능한 모듈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를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휴대하거나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활용성을 보다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는, 순간 팽창식 인명구조 모듈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레저 활동을 즐기는 도중 인명구조가 필요한 위급 상황에 사용함으로써, 조난자가 물 위에 계속 떠 있을 수 있도록 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익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 모듈의 제1 실시예가 적용된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 모듈의 제2 실시예가 적용된 상부 바디를 하측뷰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 모듈의 제3 실시예가 적용된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는 상부에 탑승 공간부가 형성되는 에어 튜브로 이루어진 하부 바디와, 일측에는 외측을 향하여 상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는 상부 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경사부가 미끄럼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하부 바디와 상부 바디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거나,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 형성되되 결합하여 사용 가능한 모듈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탑승 공간부는 사용자가 하부 바디 상측에 안착되는 공간을 말하며, 하부 바디가 소정 높이의 두께로 형성되어 하부 바디의 상부면 자체가 사용자가 탑승되는 탑승 공간부로 형성되거나, 혹은 하부 바디의 상부에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 수용홈이 탑승 공간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의 제1 실시예는 크게 상부 바디(200)와 하부 바디(100)를 포함하되, 상부 바디(200)와 하부 바디(100)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하부 바디(100)는 상부에 사람들을 수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탑승 공간부(110)가 형성된 에어 튜브로 이루어지고, 상부 바디(200)는 일측에 외측을 향하여 상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부(21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사용자는 상부 바디(200)의 타측을 통해 경사부(210)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경사부(210)를 통해 외측을 향하여 상측에서 하측으로 미끄러져 내려올 수 있게 되어, 경사부(210)가 미끄럼틀의 기능을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바디(200)와 하부 바디(100)가 일체형을 이루어지는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의 경우, 상부 바디(200)에는 사람들이 수용될 수 있도록 측면이 관통 형성되되 하부 바디(100)의 탑승 공간부(110)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수용 공간부(230)가 더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상부 바디(200)의 수용 공간부(230)를 통해 사용자가 하부 바디(100)의 탑승 공간부(110)로 탑승할 수 있게 되며, 수용 공간부(230)와 탑승 공간부(110)는 사용자가 하부 바디(100) 상측에 탑승한 상태에서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더불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틀을 이용하기 위하여 상부 바디(200)의 타측을 통해 경사부(210)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 바디(200)는 타측에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의 손잡이(22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의 제2 실시예는 크게 상부 바디(200)와 하부 바디(100)를 포함하되, 상부 바디(200)와 하부 바디(100)는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 형성되되 결합하여 사용 가능한 모듈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부 바디(100)는 상부에 사람들이 수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탑승 공간부(110)가 형성된 에어 튜브로 이루어지고, 상부 바디(200)는 일측에는 외측을 향하여 상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부(210)가, 타측에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의 손잡이(220)가 형성되며, 상부 바디(200)는 하부 바디(100)와 마찬가지로 에어 튜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하부 바디(100)의 상부에 상부 바디(200)가 안착됨으로써 하부 바디(100)와 상부 바디(2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사용자는 하부 바디(100)를 개별적으로 일반적인 에어 보트로 사용할 수 있고, 더불어 하부 바디(100)와 상부 바디(200)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상부 바디(200)의 타측에 형성된 손잡이(220)를 잡고 상부 바디(200)의 상부에 위치한 경사부(210)의 상측으로 이동한 후, 경사부(210)를 통해 외측을 향하여 상측에서 하측으로 미끄러져 내려올 수 있게 되어, 미끄럼틀의 기능이 제공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후술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바디(200)에는 사람들이 수용될 수 있도록 측면이 관통 형성되되 하부 바디(100)의 탑승 공간부(110)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수용 공간부(230)이 더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상부 바디(200)의 수용 공간부(230)을 통해 사용자가 하부 바디(100)의 탑승 공간부(110)로 탑승할 수 있게 되며, 수용 공간부(230)과 탑승 공간부(110)는 사용자가 상부 바디(200)와 하부 바디(100)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하부 바디(100) 상측에 탑승한 상태에서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는 제2 실시예와 같이 하부 바디(100)와 상부 바디(200)가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 형성되되 결합하여 사용 가능한 모듈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하부 바디(100)의 상부에 상부 바디(200)가 안착됨으로써 하부 바디(100)와 상부 바디(200)가 결합될 때, 하부 바디(100)와 상부 바디(20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결합 모듈(3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 모듈의 제1 실시예가 적용된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결합 모듈(300)의 제1 실시예는 버클(310)과, 버클(310)의 양측으로 형성되어 하부 바디(100)와 상부 바디(200)에 각각 고정 형성되는 스트랩(320)을 포함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310)은 플러그부재와 소켓부재의 결합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버클(310)은 의복, 가방 및 헬멧 등과 같은 다양한 물품에 부착되는 벨트나 스트랩에 장착되어 착탈식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공지의 기술로 이루어지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 모듈의 제2 실시예가 적용된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의 상부 바디를 하측뷰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결합 모듈(300)의 제2 실시예는 하부 바디(100)의 상부에 함몰 형성되는 수용홈으로 이루어지는 탑승 공간부(110)와, 상부 바디(200)의 하부에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330)를 포함하며, 이때, 탑승 공간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으로 형성되며, 돌출부(3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으로 형성된 탑승 공간부(1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수용홈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상부 바디(200)의 돌출부(330)가 하부 바디(100)의 수용홈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상부 바디(200)가 하부 바디(100)에 보다 안정적으로 끼움 결합되어 결합력이 향상된다.
이때, 돌출부(330)는 상부 바디(220)의 하측부 전체가 하부 바디의(100)의 수용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수용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되거나, 하측부의 일부분이 하부 바디(100)의 수용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단턱(240)이 더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30)가 형성됨에 따라 상부 바디(200)의 하부에 형성된 단턱(240)이 형성되는 경우, 단턱(240)이 하부 바디(100)의 상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돌출부(330)가 하부 바디(100)의 수용홈에서 결합되었을 때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 모듈의 제3 실시예가 적용된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 모듈(300)의 제3 실시예는, 상부 바디(200)의 하부에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330)와, 하부 바디(100)에 돌출부(33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함몰부(340)를 포함하며, 돌출부(33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함몰부(340)에 돌출부(330)가 끼워 맞춰짐으로써, 상부 바디(200)가 하부 바디(100)에 보다 안정적으로 끼움 결합되어 결합력이 향상된다.
이때, 도 5를 참조하면, 돌출부(330)는 상부 바디(200)의 하부에 하측 방향으로 다수 돌출 형성되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함몰부(340)는 하부 바디(100)에 돌출부(330)와 대응되는 위치에 원통형으로 함몰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돌출부(330)와 함몰부(340)의 형상, 크기, 개수 및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주지하는 바이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부(340)가 하부 바디(100)의 상부 외측 모서리부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는 경우, 상부 바디(200)에 형성된 돌출부(330)가 함몰부(340)에 끼움 결합될 때 상부 바디(200)가 하부 바디(100)의 상부에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합 모듈의 제4 실시예는, 상부 바디(200)의 하부의 외면에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 형성되는 제1 벨크로부(미도시)와, 하부 바디(100)의 상부 외면에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 형성되되, 제1 벨크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벨크로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상부 바디(200)와 하부 바디(100)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제1 벨크로부와 제2 벨크로부가 결합시킴에 따라 상부 바디(200)와 하부 바디(100)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벨크로부 및 제2 벨크로부에 부착 형성되는 벨크로 테이프는 일명 찍찍이로 불리며, 주로 옷이나 신발 등을 여밀 때 많이 사용되고, 갈고리와 걸림고리가 쌍을 이루어 서로 탈부착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제1 벨크로부 및 제2 벨크로부 중 어느 하나는 갈고리가 형성된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걸림고리가 형성된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 형성되어, 제1 벨크로부와 제2 벨크로부가 쌍을 이루어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되며, 벨크로 테이프는 공지의 기술로 이루어지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결합 모듈은, 상기의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 중 두 가지 이상의 실시예를 혼합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는 물놀이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응급 상황을 대비하여 인명구조 모듈(4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일례로 인명구조 모듈(400)은 내부에 탄소 캡슐이 내장되고, 탄소 캡슐과 연결되되 외측으로 노출 형성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스위치를 작동시킴에 따라 탄소 캡슐이 터짐으로써 팽창되도록 구성된 순간 팽창식 인명구조 모듈(40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조난자가 물 위에 계속 떠 있을 수 있도록 부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인명구조 모듈(400)은 상부 바디(200) 또는 하부 바디(100)의 외면에 결합되거나,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바디(200) 또는 하부 바디(100)의 외면에 수납홈이 형성되어, 수납홈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하부 바디
110: 탑승 공간부
200: 상부 바디
210: 경사부
220: 손잡이
300: 결합 모듈
310: 버클
320: 스트랩
330: 돌출부
340: 함몰부
400: 인명구조 모듈

Claims (8)

  1. 상부에 탑승 공간부가 형성되는 에어 튜브로 이루어지는 하부 바디와;
    일측에는 외측을 향하여 상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는 상부 바디와;
    상기 상부 바디가 상기 하부 바디의 상부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상부 바디와 상기 하부 바디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 모듈은,
    상기 하부 바디의 상부에 함몰 형성되는 수용홈으로 이루어지는 탑승 공간부와, 상기 상부 바디에 상기 탑승 공간부와 대응되도록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
  2. 상부에 탑승 공간부가 형성되는 에어 튜브로 이루어지는 하부 바디와;
    일측에는 외측을 향하여 상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는 상부 바디와;
    상기 상부 바디가 상기 하부 바디의 상부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상부 바디와 상기 하부 바디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 모듈은,
    상기 상부 바디에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하부 바디에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바디는
    타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의 손잡이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순간 팽창식 인명구조 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106574A 2017-08-23 2017-08-23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 KR101967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574A KR101967294B1 (ko) 2017-08-23 2017-08-23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574A KR101967294B1 (ko) 2017-08-23 2017-08-23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620A KR20190021620A (ko) 2019-03-06
KR101967294B1 true KR101967294B1 (ko) 2019-04-09

Family

ID=65761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574A KR101967294B1 (ko) 2017-08-23 2017-08-23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2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906B1 (ko) * 2021-01-18 2022-09-01 한재훈 어린이 놀이 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105Y1 (ko) 2001-08-08 2001-11-23 주식회사 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기구를 이용한 수상 놀이공원
US20090260560A1 (en) * 2008-04-21 2009-10-22 Rave Sports Inc. Watercraft including a floatable slide and a boa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0297A (ko) * 2011-10-14 2013-04-24 양원동 경량 선체에 구비된 튜브
KR101522759B1 (ko) * 2012-06-26 2015-05-26 김성래 휴대용 구명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105Y1 (ko) 2001-08-08 2001-11-23 주식회사 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기구를 이용한 수상 놀이공원
US20090260560A1 (en) * 2008-04-21 2009-10-22 Rave Sports Inc. Watercraft including a floatable slide and a bo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620A (ko)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90607B1 (en) Watersports inflation vest
JP2009519180A (ja) フレームレスポンツーンボート
US20180237115A1 (en) Life jacket with visual awareness safety accessory
US6000978A (en) Propulsion device for snorkel board
JP6655232B2 (ja) テーブルとシートを備えた小型レジャーボート
KR101967294B1 (ko) 미끄럼틀이 구비된 레저용 보트
KR20100080265A (ko) 수상 레저용 보트
US9975611B1 (en) Cockpit assemblies for towables
US6443089B1 (en) Inflatable hip grip and seat
US20060292942A1 (en) Multiple-use dynamic water surfboard device
EP3741659A1 (en) Inflatable boat
US6746291B1 (en) Hybrid inflatable and rigid shoreline riding toy
JP3959496B2 (ja) 個人用救命ボート
KR20160009909A (ko) 인명구조용 보트
US8926386B2 (en) Flotation device for improved safety
KR101404338B1 (ko) 인체 공학적 활동성을 감안한 성형 구명복
US11148765B2 (en) Inflatable platform
CN207328773U (zh) 一种气垫冲浪板
KR20110136159A (ko) 평탄성을 갖는 공기 주입식 보트 및 그 제조방법
CN219312981U (zh) 一种游泳装置
US2707789A (en) Pontoon water skates
US6568977B1 (en) Multifunction foldable float
CN214029087U (zh) 安全性优化的泳圈
KR101424399B1 (ko) 다기능 레저 보드
EP2533865B1 (en) Swimming flo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