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393Y1 - 아기용 해먹 그네 및 아기용 해먹 담요 - Google Patents

아기용 해먹 그네 및 아기용 해먹 담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393Y1
KR200486393Y1 KR2020160002787U KR20160002787U KR200486393Y1 KR 200486393 Y1 KR200486393 Y1 KR 200486393Y1 KR 2020160002787 U KR2020160002787 U KR 2020160002787U KR 20160002787 U KR20160002787 U KR 20160002787U KR 200486393 Y1 KR200486393 Y1 KR 2004863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mmock
blanket
swing body
rope
ba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7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4056U (ko
Inventor
이혜승
Original Assignee
이혜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혜승 filed Critical 이혜승
Priority to KR20201600027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393Y1/ko
Publication of KR201700040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0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3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3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10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10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 A47D13/105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pivotally mounted in a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 A47G9/0223Blank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기재의 아기용 해먹 그네는, 아기용 해먹 그네에 있어서, 고정위치를 제공하는 고정 프레임부; 상기 고정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로프와, 상기 로프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 버클을 포함하는 로프부;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해먹 그네 몸체 및 일측은 상기 해먹 그네 몸체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고정 버클이 끼워지는 복수의 연결 스트랩들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스트랩들을 기준으로, 상기 해먹 그네 몸체의 중앙 측에 탑승 공간이 형성되는 해먹 그네 몸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아기용 해먹 그네 및 아기용 해먹 담요{HAMMOCK TYPE SWING APPARATUS FOR BABY AND HAMMOCK TYPE BLANKET FOR BABY}
본 고안은, 해먹 그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해먹 타입으로 형성되는 아기용 해먹 그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1세 미만인 영아나, 1세 내지 4세 미만의 아기에 해당하는 아기를 재울 때, 아기가 부모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불안감을 느끼는 경우, 침대 매트리스나 바닥에 펼쳐진 침구류에서 혼자 눕혀진 상태로 수면에 들지 못한다.
이러한 경우, 부모가 아기를 품에 안은 상태에서, 일정한 주기의 진동을 주게 되면, 아기는 안락감을 느끼게 되며, 혼자서 침대 매트리스 등에 눕혀진 경우에 비하여 원활하게 수면에 들게 된다.
이러한 경우, 부모가 아기가 수면에 들때까지 아기를 안고 있어야 하며, 이로 인하여 부모의 관절 등에 무리가 갈 수 있고, 아기를 재우는 동안은 다른 일을 전혀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아기용 바운서 또는 흔들 침대이 같이 아기가 눕혀진 상태에서, 아기에게 일정한 움직임을 줌으로써, 아기에게 안락감을 주어, 아기가 쉽게 수면에 들게 할 수 있는 제품들이 개발되어 출시되었다.
다만, 이러한 제품의 경우, 움직임을 위한 별도의 부품이 요구되며,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제품들은 아기의 성장에 따라서, 사용 빈도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이는 데, 이러한 경우에도 상당한 크기로 인하여, 공간을 불필요하게 점유함으로써, 집안의 공간 효율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채용하며 동시에 아기에게 안락감을 줌으로써, 부모에게 아기의 수면에 따른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아기용 해먹 그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단순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집안의 공간 점유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아기용 해먹 그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아기용 해먹 그네는, 아기용 해먹 그네에 있어서, 고정위치를 제공하는 고정 프레임부; 상기 고정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로프와, 상기 로프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 버클을 포함하는 로프부;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해먹 그네 몸체 및 일측은 상기 해먹 그네 몸체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고정 버클이 끼워지는 복수의 연결 스트랩들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스트랩들을 기준으로, 상기 해먹 그네 몸체의 중앙 측에 탑승 공간이 형성되는 해먹 그네 몸체부;를 포함한다.
또한,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해먹 담요 몸체, 및 상기 해먹 담요 몸체의 배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해먹 그네 몸체부의 상기 탑승 공간에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는 해먹 담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먹 담요부의 한 쌍의 상기 손잡이 유닛은, 상호 간에 제1 방항으로 이격되며, 각각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상기 제2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유닛은, 상기 손잡이 유닛의 일단 및 타단에 배치되며 상기 해먹 담요 몸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손잡이 고정부;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며 사용자에게 파지 위치를 제공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 유닛의 상기 손잡이 고정부는, 상기 손잡이 고정부 및 상기 해먹 담요 몸체의 중심점을 동시에 지나는 중심 라인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교차 라인을 따라서 상기 해먹 담요 몸체에 봉제 처리된 사선 봉제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먹 담요부의 상기 해먹 담요 몸체의 전면은 상기 해먹 담요 몸체의 배면과 다른 재질 또는 같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에는 아기 안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먹 그네 몸체 및 상기 해먹 담요 몸체는, 패브릭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해먹 그네 몸체부는, 상기 해먹 그네 몸체의 테두리에 각각 인접하여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해먹 그네 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해먹 담요부는 상기 해먹 담요 몸체의 테두리에 각각 인접하여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해먹 담요 몸체의 상기 배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해먹 담요부가, 상기 탑승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해먹 담요부의 상기 제2 고정부는 각각 상기 해먹 그네 몸체부의 상기 제1 고정부에 고정되어, 상기 해먹 담요부를 상기 해먹 그네 몸체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해먹 그네 몸체는 패브릭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해먹 그네 몸체의 테두리에는, 상기 테두리를 따라서 천이 덧대어진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 스트랩들은, 상기 해먹 그네 몸체의 모서리들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연결 스트랩의 일측은 상기 테두리부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 스트랩의 타측에는 상기 해먹 그네 몸체의 상기 테두리로부터 돌출된 그네 몸체측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로프의 단부에는 로프부측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버클은 상기 그네 몸체측 고정홀 및 상기 로프부측 고정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로프부 및 상기 해먹 그네 몸체부를 연결시킨다.
또한, 상기 로프부의 상기 로프는 상호 간에 이격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로프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해먹 그네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각각의 상기 연결 스트랩들과 상기 고정 버클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로프의 중앙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부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먹 그네 몸체는 패브릭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해먹 그네 몸체의 테두리에는, 상기 테두리를 따라서 천이 덧대어진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해먹 그네 몸체부는, 일단이 상기 테두리부에 고정되고, 상기 탑승 공간을 두고 상기 일단이 상기 탑승 공간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고정 리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프부의 상기 로프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다른 아기용 해먹 담요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해먹 담요 몸체; 및 상기 해먹 담요 몸체의 배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해먹 담요부의 한 쌍의 상기 손잡이 유닛은, 상호 간에 제1 방항으로 이격되며, 각각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상기 제2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유닛은, 상기 손잡이 유닛의 일단 및 타단에 배치되며 상기 해먹 담요 몸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손잡이 고정부;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며 사용자에게 파지 위치를 제공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유닛의 상기 손잡이 고정부는, 상기 손잡이 고정부 및 상기 해먹 담요 몸체의 중심점을 동시에 지나는 중심 라인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교차 라인을 따라서 상기 해먹 담요 몸체에 봉제 처리된 사선 봉제선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아기에게 안락감을 제공하여, 아기가 보다 수면에 용이하게 들 수 있도록 하는 아기용 해먹 그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부피가 적은 아기용 해먹 그네를 제공함으로서, 집안의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기용 해먹 그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아기용 해먹 그네에서, 해먹 담요부를 분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III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해먹 그네 몸체부의 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해먹 그네 몸체부의 배면을 부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해먹 담요부의 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해먹 담요부의 배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 및 도 7의 해먹 담요부를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에"라 함은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아기용 해먹 그네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기용 해먹 그네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아기용 해먹 그네에서, 해먹 담요부를 분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III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아기용 해먹 그네(1)는 집안의 기설정된 장소, 예시적으로 문틀 또는 기둥에 설치되어 사용되며, 아기용 해먹 그네(1)에 탑승한 아기에게 일정한 주기의 흔들림을 제공하여, 아기가 원활하게 수면에 들 수 있도록 한다.
아기용 해먹 그네(1)는 고정프레임부(400), 로프부(300)와, 해먹 그네 몸체부(100)와, 해먹 담요부(2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고정프레임부(400)는,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되어, 아기용 해먹 그네(1)의 고정위치를 제공하며, 스틸과 같은 금속 재질의 고정 프레임 샤프트(410)와, 고정 프레임 샤프트(410)의 양 단에 배치되는 샤프트 고정부(420)를 포함한다.
고정 프레임 샤프트(410)는, 고정 위치에 따라서, 연장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일부가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 고정부(420)는 고정 프레임 샤프트(410)의 양 단에 마련되며, 샤프트 고정부(420)의 일부를 관통하는 예시적으로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고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위치는 예시적으로, 문틀과 같이 건축물에 고정된 부재일 수 있다.
고정프레임부(400)가 예시적으로 상기 문틀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고정 프레임부(400)는 상기 문틀의 상측부에 고정되며, 고정 프레임 샤프트(410)가 상기 문틀 폭에 맞춰서 인입 또는 인출되어, 고정 프레임 샤프트(410)의 길이가 상기 문틀의 폭에 대응되도록 조절된다. 그 다음, 샤프트 고정부(420)를 상기 문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를 샤프트 고정부(420)가 관통되도록 한 다음, 상기 문틀에 고정시킴으로써, 고정프레임부(400)의 고정을 수행할 수 있다.
로프부(300)는, 고정프레임부(400)에 연결되는 복수의 로프(310)와, 각각의 로프(310)의 단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 버클(3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로프부(300)의 로프(310)는 상호 간에 이격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하나의 로프(310)의 일단 및 타단에는 각각 로프부측 고정홀(311)이 형성되고, 고정 버클(320)은 로프부측 고정홀(311)에 끼워진다. 그리고, 로프(310)의 중앙부, 즉 로프(310)의 상기 일단 및 상기 타단 사이의 영역 중 일부는 고정프레임부(440)에 걸쳐져 지지된다.
이때, 로프(310)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또는 고무 및 섬유 복합재질과 같은 탄성력이 있는 탄성 재질로 형성된다.
해먹 그네 몸체부(100)는, 모서리 측이 로프부(300)와 연결되며,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배치되며, 해먹 그네 몸체부(100)의 중앙측에는 탑승 공간(150)이 형성된다. 해먹 그네 몸체부(100)의 모서리 측이 로프부(300)에 연결된 상태에서, 해먹 그네 몸체부(100)는 탑승 공간(150)을 감싸 올리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해먹 담요부(200)는, 해먹 그네 몸체부(100)의 탑승 공간(150)에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으며, 해먹 담요부(200)에 아기가 눕혀진 상태에서, 해먹 담요부(200)를 해먹 그네 몸체부(100)의 탑승 공간에 안착 시킴으로써, 아기를 본 실시예에 따른 해먹 그네(1)에 탑승시킬 수 있다.
아기가 해먹 담요부(200)에 눕혀진 상태에서, 해먹 그네(1)에 탑승하였을 때, 아기를 해먹 담요부(200)로부터 꺼내는 경우, 아기가 눕혀진 해먹 담요부(200)의 손잡이부(220)를 들어올림으로써, 아기를 손쉽게 해먹 그네(1)의 해먹 그네 몸체부(100)로부터 꺼낼 수 있다.
또한, 해먹 그네(1)에 아기가 탑승한 상태에서, 해먹 담요 몸체부(200)에 일정 주기의 좌우 방향 진동을 주면서, 아기가 수면에 용이하게 들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분위기를 주며, 해먹 그네 몸체부(100)의 탑승 공간(150)이 아기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아기가 안락감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로프부(300)의 로프(310)가 탄성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로프(310)에 연결된 해먹 그네 몸체부(100)에 대하여 상하 방향 진동을 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해먹 그네(1)의 로프부(300)는 2개의 로프(11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로프부(300)가 그 일단은 고정프레임부(400)에 연결되며, 타단은 해먹 그네 몸체부(100)에 연결되는 4개의 로프(110)를 포함하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해먹 그네 몸체부(100)에 해먹 담요부(200)가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아기가 해먹 담요부(200)에 눕혀지지 않고, 바로 해먹 그네 몸체부(100)의 탑승 공간에 눕혀지며, 별도의 해먹 담요부(200)가 사용되지 않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해먹 그네 몸체부(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해먹 그네 몸체부의 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해먹 그네 몸체부의 배면을 부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해먹 그네 몸체부(100)는, 해먹 그네 몸체(110)와, 그네 몸체 스트랩(120)들과, 리본부재(130)와, 제1 고정부(140)들을 포함한다.
해먹 그네 몸체(110)는, 예시적으로 패브릭 재질과 같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며,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해먹 그네 몸체(110)의 테두리에는, 상기 테두리를 따라서 천이 덧대어진 테두리부(111)가 형성된다. 예시적으로 해먹 그네 몸체(110) 중 테두리부(111)가 형성된 부분은 천이 2겹으로 배치되며, 테두리부(11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천이 1겹으로 배치된다.
연결 스트랩(120)은 해먹 그네 몸체(110)의 각 모서리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해먹 그네 몸체(110)에 고정된다. 이때, 해먹 그네 몸체(110)의 상기 테두리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된다.
연결 스트랩(120)은, 연결 스트랩(120)의 일측에 형성되며 해먹 그네 몸체(110)의 테두리부(111)에 고정되는 스트랩 고정부(122)와, 연결 스트랩(120)의 타측에 형성되며 해먹 그네 몸체(110)의 상기 테두리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는 고정홀(121)을 포함한다.
고정홀(121)에는 로프부(300)의 고정버클(320)이 로프부측 관통홀(311)을 관통한 상태에서 끼워져, 로프부(200)와 해먹 그네 몸체부(100)가 상호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하나의 로프(310)의 일단 및 타단과 각각 연결되는 연결 스트랩(120)들은, 해먹 그네 몸체(110)의 상기 테두리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된다.
한편, 복수의 연결 스트랩(120)들을 기준으로, 해먹 그네 몸체(110)의 전면(110A) 중앙 측에는 탑승 공간(150)이 형성된다.
리본부재(130)는, 아기가 해먹 그네 몸체부(100)의 탑승 공간(150)에 탑승한 상태에서, 탑승 공간(150)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아기가 탑승 공간(150)에 탑승한 상태에서, 한 쌍의 리본부재(130)가 탑승 공간(150)을 감싼 상태로 결속되어, 탑승 공간(150)에 탑승한 아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한 쌍의 리본부재(130)는, 각각 길게 연장 형성되는 리본 부재 몸체(131)와, 리본부재(130)의 일단에 형성되며 테두리부(111)에 고정되는 리본부재 고정부(13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해먹 그네 몸체부(100)의 스트랩 고정부(122) 및 리본부재 고정부(132)는 테두리부(111)에 박음질 처리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아기의 탑승 또는 리본부재(130)의 결속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힘이 집중되는, 스트랩 고정부(122) 및 리본부재 고정부(132)가 두껍게 처리된 테두리부(111)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힘의 집중에 따른 해먹 그네 몸체부(100)의 파손이 감소될 수 있다.
이때, 스트랩 고정부(122) 및 리본부재 고정부(132)는 해먹 그네 몸체(110)의 배면(110B)에 배치된다.
복수의 제1 고정부(140)는, 해먹 그네 몸체(110)의 테두리에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해먹 그네 몸체(110)의 전면(110A)에 배치된다. 제1 고정부(140)는 예시적으로 벨크로 부재, 단추 부재, 자석 부재 등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해먹 그네 몸체(110)가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 고정부(140)들은 상기 4개의 모서리부들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며, 해먹 그네 몸체(110)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 고정부(140)들은 해먹 그네 몸체(110)의 상기 테두리에 인접한 상태에서 상호 간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해먹 담요부(2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해먹 담요부의 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1의 해먹 담요부의 배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해먹 담요부(200)는, 해먹 담요 몸체(210)와, 한 쌍의 손잡이 유닛(220)들과, 복수의 제2 고정부(240)들을 포함한다.
해먹 담요 몸체(210)는, 패브릭 재질과 같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며,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해먹 담요 몸체(210)는 해먹 그네 몸체(110)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거나, 동일한 형상 및 해먹 그네 몸체(110)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해먹 담요 몸체(210)의 전면(210A)은, 해먹 담요 몸체(210)의 배면(210B) 보다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며, 전면(210A)에는 아기가 눕혀질 수 있는 아기 안착면이 형성된다. 이때, 전면(210A)의 재질은 기모 처리가 된 패브릭 재질일 수 있다.
전면(210A)의 재질은 기모 처리가 된 패브릭 재질 이외에 통기성이 좋은 망사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해먹 담요 몸체(210)의 전면(210A) 및 배면(210B)이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
한 쌍의 손잡이 유닛(220)들은, 해먹 담요 몸체(210)의 배면(210B)에 배치되어, 아기가 상기 아기 안착면에 눕혀진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파지 위치를 제공한다.
손잡이 유닛(220)들은, 상호 간에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 된다.
손잡이 유닛(220)은, 손잡이 유닛(220)의 일단 및 타단에 배치되며 해먹 담요 몸체(110)에 고정되는 한 쌍의 손잡이 고정부(222),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며 사용자에게 파지 위치를 제공하는 손잡이부(221)를 포함한다. 이때, 손잡이부(221)는 해먹 담요 몸체(110)와 고정되지 않는다.
손잡이 고정부(222)는, 봉제 처리되어 해먹 담요 몸체(210)에 고정되며, 손잡이 고정부(222)에는 복수의 봉제선(223, 224, 225, 226)들을 포함한다.
이 때, 손잡이 고정부(222)는, 손잡이 고정부(222) 및 해먹 담요 몸체(210)의 중심점(C)을 동시에 지나는 중심 라인(L1)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교차 라인(L2)을 따라서 상기 해먹 담요 몸체에 봉제 처리된 사선 봉제선(226)을 포함한다. 사선 봉제선(226)은 복수의 봉제선(223, 224, 225, 226) 중 손잡이부(221)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다.
사선 봉제선(226)이 손잡이 유닛(220)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형상, 즉 교차 라인(L2)을 따라서 형성됨으로써, 아기가 해먹 담요부(200)에 탑승한 상태에서, 손잡이 유닛(220)의 손잡이 고정부(222)에 집중되는 무게를 분산시킴으로써, 손잡이 유닛(220)의 파손을 방지하고, 보다 아기를 안정적으로 탑승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봉제선(223, 224, 225, 226)들은 예시적으로 사다리꼴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고정부(240)들은, 해먹 담요 몸체(210)의 배면(210B) 중 해먹 담요 몸체(210)의 테두리에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며,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예시적으로 해먹 담요 몸체(210)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2 고정부(240)들은 4개의 모서리부에 각각 인접한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2 고정부(240)는 예시적으로 벨크로 부재, 단추 부재, 자석 부재 등일 수 있으며, 해먹 담요(200)가 해먹 그네 몸체부(100)의 탑승 공간(150)에 안착된 상태에서, 해먹 그네 몸체부(100)의 제1 고정부(140)들과 각각 결합되어, 해먹 그네 몸체부(100)로부터 해먹 담요(2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해먹 그네 몸체(110) 및 해먹 담요 몸체(210)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해먹 그네 몸체(110) 및 해먹 담요 몸체(210)가 사각형 이외의 원형, 사다리꼴 등의 형상이나, 원형 또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해먹 그네 몸체(110) 및 해먹 담요 몸체(210)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
도 8은 도 6 및 도 7의 해먹 담요부를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아기가 해먹 담요부(200)의 상기 아기 안착면에 눕혀진 상태에서, 해먹 담요부(200)의 배면(210B)에 배치된 손잡이 유닛(220)을 파지하면, 해먹 담요 몸체(210)는 상기 아기 안착면을 내측으로 하여 아기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아기를 해먹 담요부(200)에 태운 상태로, 해먹 그네 몸체부(100)에 손쉽게 아기를 탑승시킬 수 있다.
또한, 해먹 그네 몸체(100)에 아기를 탑승시키기 않더라도, 사용자가 직접 해먹 담요부(200)를 파지한 상태로, 기설정된 주기의 흔들림을 제공함으로써, 아기가 보다 용이하게 수면에 들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 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 아기용 해먹 그네 100 : 해먹 그네 몸체부
200 : 해먹 담요부 300 : 로프부
400 : 고정 프레임부

Claims (12)

  1. 아기용 해먹 그네에 있어서,
    고정위치를 제공하는 고정 프레임부;
    상기 고정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로프와, 상기 로프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 버클을 포함하는 로프부;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해먹 그네 몸체 및 일측은 상기 해먹 그네 몸체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고정 버클이 끼워지는 복수의 연결 스트랩들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스트랩들을 기준으로, 상기 해먹 그네 몸체의 중앙 측에 탑승 공간이 형성되는 해먹 그네 몸체부;를 포함하고,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해먹 담요 몸체, 및 상기 해먹 담요 몸체의 배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해먹 그네 몸체부의 상기 탑승 공간에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는 해먹 담요부;를 더 포함하는 아기용 해먹 그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먹 담요부의 한 쌍의 상기 손잡이 유닛은,
    상기 해먹 담요부의 중심점(C)을 사이에 두고 상호 간에 이격되며, 상기 한 쌍의 손잡이 유닛들이 이격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각각 길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유닛은, 상기 손잡이 유닛의 일단 및 타단에 배치되며 상기 해먹 담요 몸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손잡이 고정부;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며 사용자에게 파지 위치를 제공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아기용 해먹 그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유닛의 상기 손잡이 고정부는,
    상기 손잡이 고정부 및 상기 해먹 담요 몸체의 상기 중심점을 동시에 지나는 중심 라인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교차 라인을 따라서 상기 해먹 담요 몸체에 봉제 처리된 사선 봉제선을 포함하는 아기용 해먹 그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해먹 담요부의 상기 해먹 담요 몸체의 전면은 상기 해먹 담요 몸체의 배면과 다른 재질 또는 같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에는 아기 안착면이 형성되는 아기용 해먹 그네.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해먹 그네 몸체 및 상기 해먹 담요 몸체는, 패브릭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해먹 그네 몸체부는, 상기 해먹 그네 몸체의 테두리에 각각 인접하여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해먹 그네 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해먹 담요부는 상기 해먹 담요 몸체의 테두리에 각각 인접하여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해먹 담요 몸체의 상기 배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해먹 담요부가, 상기 탑승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해먹 담요부의 상기 제2 고정부는 각각 상기 해먹 그네 몸체부의 상기 제1 고정부에 고정되어, 상기 해먹 담요부를 상기 해먹 그네 몸체부에 고정시키는 아기용 해먹 그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먹 그네 몸체는 패브릭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해먹 그네 몸체의 테두리에는, 상기 테두리를 따라서 천이 덧대어진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 스트랩들은, 상기 해먹 그네 몸체의 모서리들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연결 스트랩의 일측은 상기 테두리부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 스트랩의 타측에는 상기 해먹 그네 몸체의 상기 테두리로부터 돌출된 그네 몸체측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로프의 단부에는 로프부측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버클은 상기 그네 몸체측 고정홀 및 상기 로프부측 고정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로프부 및 상기 해먹 그네 몸체부를 연결시키는 아기용 해먹 그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부의 상기 로프는 상호 간에 이격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로프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해먹 그네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각각의 상기 연결 스트랩들과 상기 고정 버클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로프의 중앙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부에 지지되는 아기용 해먹 그네.
  9.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먹 그네 몸체는 패브릭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해먹 그네 몸체의 테두리에는, 상기 테두리를 따라서 천이 덧대어진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해먹 그네 몸체부는, 일단이 상기 테두리부에 고정되고, 상기 탑승 공간을 두고 상기 일단이 상기 탑승 공간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고정 리본부재를 더 포함하는 아기용 해먹 그네.
  10.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부의 상기 로프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아기용 해먹 그네.
  11.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해먹 담요 몸체; 및
    상기 해먹 담요 몸체의 배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손잡이 유닛은, 상기 해먹 담요 몸체의 중심점(C)을 사이에 두고 상호 간에 이격되며, 상기 한 쌍의 손잡이 유닛들이 이격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각각 길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유닛은, 상기 손잡이 유닛의 일단 및 타단에 배치되며 상기 해먹 담요 몸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손잡이 고정부;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며 사용자에게 파지 위치를 제공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유닛의 상기 손잡이 고정부는,
    상기 손잡이 고정부 및 상기 해먹 담요 몸체의 중심점을 동시에 지나는 중심 라인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교차 라인을 따라서 상기 해먹 담요 몸체에 봉제 처리된 사선 봉제선을 포함하는 아기용 해먹 담요.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유닛의 상기 손잡이 고정부는,
    상기 손잡이 고정부 및 상기 해먹 담요 몸체의 상기 중심점을 동시에 지나는 중심 라인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교차 라인을 따라서 상기 해먹 담요 몸체에 봉제 처리된 사선 봉제선을 포함하는 아기용 해먹 담요.
KR2020160002787U 2016-05-23 2016-05-23 아기용 해먹 그네 및 아기용 해먹 담요 KR2004863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787U KR200486393Y1 (ko) 2016-05-23 2016-05-23 아기용 해먹 그네 및 아기용 해먹 담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787U KR200486393Y1 (ko) 2016-05-23 2016-05-23 아기용 해먹 그네 및 아기용 해먹 담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056U KR20170004056U (ko) 2017-12-01
KR200486393Y1 true KR200486393Y1 (ko) 2018-05-11

Family

ID=61259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787U KR200486393Y1 (ko) 2016-05-23 2016-05-23 아기용 해먹 그네 및 아기용 해먹 담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39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499B1 (ko) * 2020-03-26 2021-08-20 도홍구 점핑 완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67890A (en) * 1947-02-25 1949-04-19 Gladys S Harvey Baby hammock
KR200467544Y1 (ko) * 2011-06-02 2013-06-18 김주연 유아용 그네 겸용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056U (ko) 2017-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9000B2 (en) Portable infant cushion
US20080313812A1 (en) Portable Infant Support Apparatus
US7588291B2 (en) Breathable infant support pad and head support
US9949575B2 (en) Child carrier
US4139131A (en) Child carrier having enveloping structure and suspension strap
US9585494B2 (en) Infant lounger
US9326619B2 (en) Multifunction baby carrier, portable swing and exercise device
US9265357B2 (en) Nursing and infant support pillow
US9756960B2 (en) Child-support device with soothing device
US20120286549A1 (en) Multi-use seat liner
US20100187268A1 (en) Infant sling and hip carrier
US8365329B1 (en) Infant feeding and support pillow
US9980580B2 (en) Baby handling device
US20150121627A1 (en) Baby handling device
KR200486393Y1 (ko) 아기용 해먹 그네 및 아기용 해먹 담요
US20160286981A1 (en) Feeding and support pillow
JP6931638B2 (ja) ベビーキャリア
US1145775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child's head
US8495776B1 (en) Toy sleeve
KR200487965Y1 (ko) 유아용 침구세트
CN202287336U (zh) 便携式婴儿床
JP4183595B2 (ja) ベビーキャリア
KR20120105620A (ko) 유아 수면용 유모차
JP3068534U (ja) 乳幼児用マット
KR101502580B1 (ko) 유아용 힙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