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5620A - 유아 수면용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아 수면용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5620A
KR20120105620A KR1020110023140A KR20110023140A KR20120105620A KR 20120105620 A KR20120105620 A KR 20120105620A KR 1020110023140 A KR1020110023140 A KR 1020110023140A KR 20110023140 A KR20110023140 A KR 20110023140A KR 20120105620 A KR20120105620 A KR 20120105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stroller
head
body member
ba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5873B1 (ko
Inventor
이의환
Original Assignee
이의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의환 filed Critical 이의환
Priority to KR1020110023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873B1/ko
Publication of KR20120105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4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with adjustable or reclining 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8Linings or cush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4Safety guards for children, e.g. har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모차에 있어서, 플레이트 형상의 바텀부와, 지면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바텀부 양측에 형성되는 바퀴를 구비한 이동부로 이루어진 구동부재와, 금속 프레임으로 상기 바텀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높이부와 상기 높이부 끝단에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연결되는 절곡부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와, 상기 절곡부 끝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프레임부재 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유아의 머리가 놓이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 하측에 위치하며 유아의 팔이 걸쳐지도록 상기 헤드부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는 팔걸이부와, 상기 팔걸이부 하측에 위치하며 유아의 몸이 수용되는 바디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헤드부와 상기 팔걸이부 및 상기 바디부는 라운드지게 연결되는 몸체부재와, 유아가 상기 몸체부재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몸체부재에 형성되는 것으로, 유아의 몸을 감싸는 보호부와, 상기 보호부를 조이거나 풀거나 잠그는 조절부로 이루어져, 유아를 재우기에 큰 힘이 들지 않아 사용자의 만족감이 증가하며, 유아 또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지 않아 건강에도 유익하다.

Description

유아 수면용 유모차{BABY CARRIAGE FOR BABY SLEEPPING}
본 발명은 유아 수면용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할머니 또는 엄마의 등과 비슷하게 몸체부재를 제작하여 유아가 편안함을 느끼면서 수면을 취할 수 있는 유아 수면용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젖먹이 영아를 집안에서나 키우거나 특히 데리고 외출하는 경우에는 영아를 등에 업는 포대기를 사용하였다. 최근에는 특히 운반의 편의성으로 인하여 영아를 등에 업는 전통의 포대기 대신에 가슴에 안는 운반색(Sack)과 영아을 등에 질 수 있는 절첩가능한 프레임구조의 백캐리어(Backcarrier)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백캐리어는 영아의 양다리가 들어갈 수 있는 구멍(10a)이 양측에 형성된 배낭(10)과 이 배낭(10)및 어깨벨트(12)가 고정되는 메인프레임 (20)과 이 메인프레임(20)을 바닥에 세울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20)의 중간
부분에 선회가능하도록 연결된 지지프레임(30)으로 구성되어 있다. 배낭(10)은 상부에 대략 한글 자음 " ⊂" 자 형상으로 연장된 결합통로를 가지고 있고 이 결합통로가 메인프레임(20)의 일단부로부터 끼워맞춤되어 마찬가지로 " ⊂"자 형상의 메인프레임 (20)의 상측 결합부(22)에 끼워진다. 배낭(10)이 메인프레임(20)에 완전히 끼워진 후에 지지프레임(30)이 메인프레임(20)에 절첩가능하도록 조립된다.
또한, 유유아(乳幼兒)를 태워서 밀거나 끌고 다니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아이를 앉히거나 눕혀 태울 수 있는 유모차가 있다.
유모차는 탑승부가 프레임에 설치되고, 프레임에는 이동을 위한 전,후방 차륜이 구성된다.
그리고, 탑승된 아이의 바람이나 햇빛 등에 의한 외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차단캡이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유모차는 유유아나 어린아이를 동반하여 외출이나 쇼핑 등을 행함에 있어, 아이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사용자의 편이를 도모하기 위한 수단을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유모차는 아이를 태워 사용하는 과정에서, 간단한 유아용품(분유 및 기저귀)등 이나 소지품 등을 넣어 보관할 수 있는 짐받이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아이를 탑승한 상태로 유모차를 끌고 다니면서 쇼핑이나 외출 등을 행하게 되며, 간단한 소지품이나 유아용품 등을 실어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백캐리어는 사용자가 직접 매야하므로 나이가 많은 노인이 매기가 어렵고, 사용자의 거동에 따라 백캐리어가 흔들리므로 유아가 자는데 방해가 된다.
또한, 후술한 일반적 유모차는 진행방향으로 유아의 시선이 보이도록 프레임과 큐션이 위치되므로, 엄마나 할머니 등에 업혀서 잠이 든 유아는 쉽게 잠을 청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직접 맬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의 움직임에 연동되지 않으며, 유아의 잠자는 형태를 그대로 보존해 주는 유아 수면용 유모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모차에 있어서, 플레이트 형상의 바텀부와, 지면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바텀부 양측에 형성되는 바퀴를 구비한 이동부로 이루어진 구동부재와, 금속 프레임으로 상기 바텀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높이부와 상기 높이부 끝단에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연결되는 절곡부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와, 상기 절곡부 끝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프레임부재 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유아의 머리가 놓이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 하측에 위치하며 유아의 팔이 걸쳐지도록 상기 헤드부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는 팔걸이부와, 상기 팔걸이부 하측에 위치하며 유아의 몸이 수용되는 바디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헤드부와 상기 팔걸이부 및 상기 바디부는 라운드지게 연결되는 몸체부재와, 유아가 상기 몸체부재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몸체부재에 형성되는 것으로, 유아의 몸을 감싸는 보호부와, 상기 보호부를 조이거나 풀거나 잠그는 조절부로 이루어지는 그립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재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팔걸이부와 상기 바디부는 쿠션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는 전후가 관통되는 숨공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몸체부재 양 측면에 부착되며 전후로 관통된 조절공이 형성되는 안착구와, 상기 조절구 일측에서 상기 조절공으로 삽입되는 조임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호부는 상기 조절공에 삽입되어, 상기 조임구에 의해 고정되는 메인라인과, 상기 메인라인 중앙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 하측에 결합되는 보조라인으로 이루어져, 유아 엉덩이가 상기 보조라인에 걸쳐져 다리가 보조라인 사이로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구는 상기 몸체부재 측면에서 위아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유아를 재우기에 큰 힘이 들지 않아 사용자의 만족감이 증가하며, 유아 또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지 않아 건강에도 유익하다.
도 1은 종래의 백캐리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 수면용 유모차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 수면용 유모차를 도시하는 다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립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 수면용 유모차를 도시하는 실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유아 수면용 유모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 수면용 유모차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 수면용 유모차를 도시하는 다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립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 수면용 유모차를 도시하는 실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모차에 있어서, 플레이트 형상의 바텀부(110)와, 지면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바텀부(110) 양측에 형성되는 바퀴를 구비한 이동부(120)로 이루어진 구동부재(100)와, 금속 프레임으로 상기 바디부(430)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높이부(210)와 상기 높이부(210) 끝단에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연결되는 절곡부(220)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200)와, 상기 절곡부(220) 끝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부(300)와, 상기 프레임부재(200) 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유아의 머리가 놓이는 헤드부(410)와 상기 헤드부(410) 하측에 위치하며 유아의 팔이 걸쳐지도록 상기 헤드부(410)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는 팔걸이부(420)와, 상기 팔걸이부(420) 하측에 위치하며 유아의 몸이 수용되는 바디부(430)로 이루어지되, 상기 헤드부(410)와 상기 팔걸이부(420) 및 상기 바디부(430)는 라운드지게 연결되는 몸체부재(400)와, 유아가 상기 몸체부재(400)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몸체부재(400)에 형성되는 것으로, 유아의 몸을 감싸는 보호부(510)와, 상기 보호부(510)를 조이거나 풀거나 잠그는 조절부(520)로 이루어지는 그립부재(500)로 이루어진다.
이하,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재(100)는 플라스틱 재질이며 편편한 플레이트 형상의 바텀부(110)와 상기 바텀부(110) 양측으로 지면에서 이동되도록 바퀴를 구비한 이동부(120)로 이루어진다.
즉, 유아을 태우고 장소를 이동하기 위함으로, 상기 바텀부(110)는 상면의 너비는 상기 이동부(120)에 높이와 유아의 무게에 따라 적절하게 제작되게 된다. 또한, 상기 바텀부(110)는 강도가 강한 재질의 사용하는 것이 하중을 지지하기에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120)는 다수개의 바퀴로 이루어지며, 보통은 전후 각각 2개 씩 총 4개의 바퀴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전방의 바퀴(122)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방의 바퀴(124)는 고정되나 전방의 바퀴(122)보다는 크게 이루어지는 것이 안정성에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부재(200)는 강도와 강도가 강한 금속 프레임으로, 높이부(210)와 절곡부(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높이부(210)는 상기 바텀부(110)에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게 된다. 이는, 유아가 지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절곡부(220)는 상기 높이부(210) 상측 끝단에 라운드지게 절곡 되게 형성되게 된다. 보통, 할머니 또는 엄마가 유아를 업을 때 등이 라운드지게 굽어 지게 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몸체부재(400) 또한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므로, 상기 몸체부재(400)를 수용하기 위하여 일측 방향으로 라운드로 절곡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부(300)재는 상기 프레임부재(200)의 절곡부(220) 끝단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는 잡이바(310)와 상기 잡이바(310)와 상기 절곡부(220)를 연결하는 연결바(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잡이바(310)는 사용자가 직접 터치되는 부분으로 연성재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재(400)는 유아와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 유아의 머리가 놓이는 헤드부(410)와 상기 헤드부(410) 하측에 위치하며 유아의 팔이 걸쳐지도록 상기 헤드부(410)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는 팔걸이부(420)와, 상기 팔걸이부(420) 하측에 위치하며 유아의 몸이 수용되는 바디부(430)로 이루어지되, 상기 헤드부(410)와 상기 팔걸이부(420) 및 상기 바디부(430)는 라운드지게 연결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재(400)는 상기 헤드부(410)와, 상기 팔걸이부(420)와 상기 바디부(430)는 쿠션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즉, 상기 몸체부재(400)는 쿠션재질로 된 부재로 상측에서부터 헤드부(410), 팔걸이부(420), 바디부(430)로 나뉘어져 유아와 접촉되게 된다.
상기 몸체부재(400)는 사람이 유아를 업기 위해서 등을 숙인 형상에 대응하도록 상기 헤드부(410), 상기 팔걸이부(420), 상기 바디부(430)는 연속적으로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있다.
상기 헤드부(410)는 유아의 머리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지면에서 약 40°~70°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는, 40°보다 적으면 유아의 목이 너무 많이 젖혀지므로 자세에 좋지 않으면 70°보다 크면 유아가 상기 팔걸이부(420)에 매달려야 하므로 자연스럽게 안착되지 못한다.
상기 헤드부(410)가 적정 각도로 유지되면 차례로 상기 팔걸이부(420)는 헤드부(410)보다는 지면에서 더 큰 각도가 유지되며, 상기 바디부(430) 또한 팔걸이부(420)보다 더 큰 각도로 유지되게 된다.
즉, 상기 헤드부(410)가 지면에서 50°가 유지되면 상기 팔걸이부(420)는 60°로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430)는 70°가 되도록 라운드지게 절곡되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재(400)의 재질은 친환경적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드부(410)는 전후가 관통되는 숨공(412)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유아의 질식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헤드부(410)에 머리를 묻은 상태에서도 상기 숨공(412)을 통하여 호흡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립부재(500)는 유아가 상기 몸체부재(400)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몸체부재(400)에 형성되는 것으로, 유아의 몸을 감싸는 보호부(510)와, 상기 보호부(510)를 조이거나 풀거나 잠그는 조절부(520)로 구성된다.
상기 보호부(510)는 유아가 상기 몸체부재(400)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보자기 또는 끈으로 이루어져 유아의 엉덩이 부분을 감싸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부(510)의 양단이 상기 조절부(520)에 삽입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조절부(520)는 상기 보호부(510)의 양단 부분을 삽입시켜, 보호부(510)를 조이거나 풀어서 잠그게 된다.
즉, 상기 유아를 태우기 위해서 상기 보호부(510)를 느슨하게 한 후, 유아를 상기 몸체부재(400)에 안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재(400)에서 유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보호부(510)를 상기 손잡이부(300)재 방향으로 당겨 조인후 고정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절부(520)는 상기 몸체부재(400) 양 측면에 부착되며 전후로 관통된 조절공(522)이 형성되는 안착구(524)와, 상기 조절구 일측에서 상기 조절공(522)으로 삽입되는 조임구(525)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호부(510)는 상기 조절공(522)에 삽입되어, 상기 조임구(525)에 의해 고정되는 메인라인(512)과, 상기 메인라인(512) 중앙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430) 하측에 결합되는 보조라인(514)으로 이루어져, 유아 엉덩이가 상기 보조라인(514)에 걸쳐져 다리가 보조라인(514) 사이로 걸쳐지는 것이 좋다.
상기 안착구(524)는 상기 몸체부의 바디부(430) 또는 팔걸이부(420)에 걸쳐져 형성되는 것으로, 전후가 관통되는 조절공(522)이 형성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메인라인(512)이 상기 조절공(522)에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임구(525)는 상기 안착구(524) 측면에서 상기 조절공(522)으로 삽입되게 이루어져 상기 메인라인(512)의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임구(525)가 상기 메인라인(512)의 고정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끈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과 동일한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보조라인(514)은 상기 메인라인(512) 중앙에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디주 하측에 결합되어 유아가 밑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유아의 다리가 상기 보조라인(514) 사이로 걸쳐지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착구(524)는 상기 몸체부재(400) 측면에서 위아래로 이동되는 것이 좋다.
이는, 유아의 신체적 구조가 다르므로, 유아의 발육상태에 따라 상기 안착구(524)를 위아래로 조절하여 유아의 머리가 상기 헤드부(410)의 일정 위치에 놓이도록 한다. 보통기준으로, 발육상태가 좋은 유아의 경우는 상기 안착구(524)를 아래로 내리며, 발육상태가 좋지 않은 유아는 상기 안착구(524)를 올리게 된다.
이상과 같이, 사람의 등과 유사하게 라운드지게 절곡되는 몸체부재가 구비된 유모차를 제작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며,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인바,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구동부재 110: 바텀부
120: 이동부 200: 프레임부재
210: 높이부 220: 절곡부
300: 손잡이부재 400: 몸체부재
410: 헤드부 420: 팔걸이부
430: 바디부 500: 그립부재
510: 보호부 520: 조절부

Claims (5)

  1. 유모차에 있어서,
    플레이트 형상의 바텀부(110)와, 지면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바텀부(110) 양측에 형성되는 바퀴를 구비한 이동부(120)로 이루어진 구동부재(100)와;
    금속 프레임으로 상기 바텀부(110)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높이부(210)와 상기 높이부(210) 끝단에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연결되는 절곡부(220)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200)와;
    상기 절곡부(220) 끝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부(300)와;
    상기 프레임부재(200) 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유아의 머리가 놓이는 헤드부(410)와 상기 헤드부(410) 하측에 위치하며 유아의 팔이 걸쳐지도록 상기 헤드부(410)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는 팔걸이부(420)와, 상기 팔걸이부(420) 하측에 위치하며 유아의 몸이 수용되는 바디부(430)로 이루어지되, 상기 헤드부(410)와 상기 팔걸이부(420) 및 상기 바디부(430)는 라운드지게 연결되는 몸체부재(400)와;
    유아가 상기 몸체부재(400)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몸체부재(400)에 형성되는 것으로, 유아의 몸을 감싸는 보호부(510)와, 상기 보호부(510)를 조이거나 풀거나 잠그는 조절부(520)로 이루어지는 그립부재(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수면용 유모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400)는,
    상기 헤드부(410)와, 상기 팔걸이부(420)와 상기 바디부(430)는 쿠션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수면용 유모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410)는,
    전후가 관통되는 숨공(412)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수면용 유모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520)는,
    상기 몸체부재(400) 양 측면에 부착되며 전후로 관통된 조절공(522)이 형성되는 안착구(524)와, 상기 조절구 일측에서 상기 조절공(522)으로 삽입되는 조임구(525)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호부(510)는,
    상기 조절공(522)에 삽입되어, 상기 조임구(525)에 의해 고정되는 메인라인(512)과, 상기 메인라인(512) 중앙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430) 하측에 결합되는 보조라인(514)으로 이루어져,
    유아 엉덩이가 상기 보조라인(514)에 걸쳐져 다리가 보조라인(514) 사이로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수면용 유모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구(524)는,
    상기 몸체부재(400) 측면에서 위아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수면용 유모차.
KR1020110023140A 2011-03-16 2011-03-16 유아 수면용 유모차 KR101295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140A KR101295873B1 (ko) 2011-03-16 2011-03-16 유아 수면용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140A KR101295873B1 (ko) 2011-03-16 2011-03-16 유아 수면용 유모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620A true KR20120105620A (ko) 2012-09-26
KR101295873B1 KR101295873B1 (ko) 2013-08-12

Family

ID=47112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140A KR101295873B1 (ko) 2011-03-16 2011-03-16 유아 수면용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8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012B1 (ko) * 2020-03-04 2020-11-10 임동현 아기띠 거치용 바운서
KR102471972B1 (ko) * 2021-11-15 2022-11-28 신대도 아기 트림 도움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424Y1 (ko) * 2008-05-06 2010-12-17 채준수 다기능 아기용 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012B1 (ko) * 2020-03-04 2020-11-10 임동현 아기띠 거치용 바운서
KR102471972B1 (ko) * 2021-11-15 2022-11-28 신대도 아기 트림 도움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5873B1 (ko) 2013-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5655A (en) Combination baby carrier and seat harness apparatus
US6836902B2 (en) Infant walking trainer and carrier garment
JP6871247B2 (ja) 調節可能チャイルドキャリア
US5988744A (en) Baby safety seat
US7175535B1 (en) Portable playground swing seat
US9756960B2 (en) Child-support device with soothing device
EP2194818B1 (en) Arrangemen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carrier
US20110240693A1 (en) Baby carrier with tie straps
US20130264852A1 (en) Combination shopping cart and high chair cover with plush character
US20160128491A1 (en) A combination of child carrier and stroller
US9364764B2 (en) Portable toddler swing
US11839313B2 (en) Adjustable baby bouncer
KR100713119B1 (ko) 아기 포대기
KR101295873B1 (ko) 유아 수면용 유모차
KR101196108B1 (ko) 유아용 운반구
US7146661B1 (en) Knockdown, portable, non-intimidating, and stable pen for comfortably, conformingly, supportingly, and entertainingly accommodating an infant therein
TWI517816B (zh) 嬰兒椅
CA2119854C (en) Combination baby carrier and seat harness apparatus
NO344045B1 (en) Garment for a baby or an infant
KR200487262Y1 (ko) 유아용 포대기
CN207912482U (zh) 学步车用绑带
US20200338460A1 (en) Swing attachment
KR20140133768A (ko)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
CN117104096A (zh) 一种儿童安全座椅可提便携式睡垫及其使用方法
WO2020154873A1 (zh) 一种儿童推车加长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