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499B1 - 점핑 완구 - Google Patents

점핑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499B1
KR102291499B1 KR1020200036996A KR20200036996A KR102291499B1 KR 102291499 B1 KR102291499 B1 KR 102291499B1 KR 1020200036996 A KR1020200036996 A KR 1020200036996A KR 20200036996 A KR20200036996 A KR 20200036996A KR 102291499 B1 KR102291499 B1 KR 102291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rizontal portion
rotation
jumping toy
fix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홍구
Original Assignee
도홍구
주식회사 유아용품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홍구, 주식회사 유아용품연구소 filed Critical 도홍구
Priority to KR1020200036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499B1/ko
Priority to CN202010343678.5A priority patent/CN113439970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10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 A47D13/107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resiliently suspended or supported, e.g. baby bounc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10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 A47D13/105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pivotally mounted in a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9/00Swings
    • A63G9/14Swings elastically suspend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대를 손쉽게 접거나 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점핑 완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점핑 완구는 사용자가 제1 또는 제2 지지대(20,30)를 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지대(A)를 입체적으로 펴지거나, 납작하게 접을 수 있음으로, 운반과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점핑 완구{jumping toy}
본 발명은 지지대를 손쉽게 접거나 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점핑 완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유아들이 안전하게 점프를 하면서 놀 수 있도록 된 점핑 완구가 인기를 끌고 있다.
상기 점핑 완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A)와, 상기 지지대(A)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탄성와이어(B)와, 상기 탄성와이어(B)의 하단에 구비되며 유아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착석부재(C)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A)는 수평부(11)와, 상기 수평부(11)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수평부(11)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연장부(12)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부(11)에는 복수개의 고정고리(13)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와이어(B)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 와이어 또는 인장코일스프링을 이용한다.
상기 착석부재(C)는 유아가 안정적으로 앉으면서 다리를 하측으로 뻗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유아가 상기 착석부재(C)에 앉은 상태에서 다리로 바닥면을 밀면 탄성와이어(B)의 탄성에 의해 착석부재(C)가 상승되면서 유아가 상측으로 자연스럽게 점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핑 완구는 걷지 못하는 유아가 안전하게 점프운동을 하여 다리 힘을 기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점핑 완구는 상기 지지대(A)가 수평부(11)와, 상기 수평부(11)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수평부(11)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연장부(12)로 구성되어, 넓은 공간을 차지하게 됨으로 보관과 운반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 지지대(A)의 각 부분을 분해, 조립 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점핑 완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지지대(A)를 분해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와 같이, 지지대(A)를 분해 조립 하는 것이 초보자의 경우,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공고실용신안 20-1996-0004090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대(A)를 손쉽게 접거나 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점핑 완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대(A)와, 상기 지지대(A)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탄성와이어(B)와, 상기 탄성와이어(B)의 하단에 구비되며 유아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착석부재(C)를 포함하는 점핑 완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A)는 제1 지지대(20)와, 힌지부재(D)를 통해 상기 제1 지지대(20)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탄성와이어(B)의 상단이 결합되는 제2 지지대(3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대(20)는 측방으로 연장된 제1 수평부(21)와, 상기 제1 수평부(21)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1 연장부(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대(30)는 상기 제1 수평부(21)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힌지부재(D)에 의해 상기 제1 수평부(21)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탄성와이어(B)의 상단이 결합되는 제2 수평부(31)와, 상기 제2 수평부(31)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2 연장부(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핑 완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연장부(22)는 상기 제1 수평부(21)의 양단에서 외측으로 하향경사지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2 수평부(31)의 길이는 상기 제1 수평부(21)에 비해 짧게 구성되며, 상기 제2 연장부(32)는 상기 제1 연장부(22)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수평부(21)의 양단에서 외측으로 하향경사지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핑 완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힌지부재(D)는 상기 제1 수평부(21)에 고정되며 하측면 일측에는 결합공(43)이 형성된 상부지지판(40)과,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61)에 의해 상기 상부지지판(40)의 하측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수평부(31)에 고정되며 일측에는 상기 결합공(43)에 대응되는 관통공(53)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53)의 하측둘레부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가이드관(54)이 구비된 하부지지판(50)과, 상기 가이드관(54)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승시 상단이 상기 결합공(43)에 끼움결합되어 상부지지판(40)과 하부지지판(50)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핀(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핑 완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핀(62)의 하단은 상기 가이드관(54)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핀(62)의 하단에는 링결합공(62a)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62)에 연결되어 고정핀(62)을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63)와, 상기 링결합공(62a)에 상하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링부재(64)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관(54)의 외주면에는 상기 링부재(64)를 상측으로 회동시킬 때 상기 링부재(64)가 삽입고정하는 고정홈(5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핑 완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홈(54a)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오목한 오목홈(54b)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54a)에 링부재(64)를 삽입하면, 상기 탄성부재(63)의 탄성에 의해 고정핀(62)과 링부재(64)가 상승되어 링부재(64)의 둘레부가 상기 오목홈(54b)의 내부로 삽입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핑 완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수평부(31)의 하측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바(71)와, 상기 회동바(71)와 상기 착석부재(C)를 연결하는 연결케이블(72)과, 상기 회동바(71)에 연결되어 회동바(71)와 연결케이블(72)을 전후방향으로 왕복 회동시키는 왕복회동구동수단(73)과, 상기 연결케이블(72)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케이블(72)이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는 속도를 측정하는 회동속도측정수단(74)과, 상기 회동속도측정수단(74)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왕복회동구동수단(7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7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75)은 상기 왕복회동구동수단(73)을 제어하여 상기 회동바(71)와 연결케이블(72)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시킨 후, 상기 회동속도측정수단(74)의 신호를 수신하여 연결케이블(72)의 회동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 이하로 저하되면 상기 왕복회동구동수단(73)을 제어하여 상기 회동바(71)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반복하여, 상기 연결케이블(72)에 연결된 착석부재(C)가 전후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핑 완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점핑 완구는 사용자가 제1 또는 제2 지지대(20,30)를 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지대(A)를 입체적으로 펴지거나, 납작하게 접을 수 있음으로, 운반과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점핑 완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점핑 완구의 지지대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점핑 완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E-E선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점핑 완구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점핑 완구의 힌지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점핑 완구의 힌지부재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6의 F-F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점핑 완구의 작용을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점핑 완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도 10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점핑 완구의 제2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점핑 완구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점핑 완구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점핑 완구를 도시한 것으로, 지지대(A)와, 상기 지지대(A)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탄성와이어(B)와, 상기 탄성와이어(B)의 하단에 구비되며 유아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착석부재(C)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A)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지지대(20)와, 힌지부재(D)를 통해 상기 제1 지지대(20)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탄성와이어(B)의 상단이 결합되는 제2 지지대(3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지지대(20)는 측방으로 연장된 제1 수평부(21)와, 상기 제1 수평부(21)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1 연장부(22)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연장부(22)는 상기 제1 수평부(21)의 양단에서 외측으로 하향경사지도록 연장된다.
상기 제2 지지대(30)는 상기 제1 수평부(21)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힌지부재(D)에 의해 상기 제1 수평부(21)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탄성와이어(B)의 상단이 결합되는 제2 수평부(31)와, 상기 제2 수평부(31)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2 연장부(32)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수평부(31)는 측방향 길이가 상기 제1 수평부(21)의 측방향 길이에 비해 짧게 구성되며, 하측면 양측에는 상기 탄성와이어(B)의 상단을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고정고리(31c)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연장부(32)는 상기 제1 연장부(22)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수평부(21)의 양단에서 외측으로 하향경사지도록 연장된다.
상기 힌지부재(D)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수평부(21)에 고정되는 상부지지판(40)과,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61)에 의해 상기 상부지지판(40)의 하측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하부지지판(50)과, 상기 하부지지판(5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고정핀(62)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지지판(40)은 상면에 상기 제1 수평부(21)가 삽입고정되는 삽입홈(41)이 형성된 원판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수평부(21)의 하측면에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하측면에는 원형의 가이드홈(4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지지판(40)의 하측면 일측에는 결합공(43)이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43)은 2개가 상기 상부지지판(40)에 상기 회전축(61)을 중심으로 90ㅀ각도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부지지판(50)은 하측면에 상기 제2 수평부(31)가 삽입고정되는 삽입홈(51)이 형성된 원판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2 수평부(31)의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상면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홈(42)에 삽입되는 삽입핀(5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판(50)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공(43)에 대응되는 관통공(53)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53)의 하측둘레부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가이드관(54)이 구비된다.
상기 관통공(53)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20,30)를 상호 직각으로 교차되도록 펴거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지지대(20,30)가 평행을 이루도록 접혔을 때, 상기 결합공(43)과 일치되도록 위치조절된다.
상기 회전축(61)은 상기 하부지지판(50)과 상부지지판(40)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하부지지판(50)이 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고정핀(62)은 상기 가이드관(54)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상승시 상단이 상기 결합공(43)에 끼움결합되어 상부지지판(40)과 하부지지판(50)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핀(62)의 하단은 상기 가이드관(54)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핀(62)의 하단에는 링결합공(6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62)에는 고정을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63)가 연결되며, 상기 링결합공(62a)에는 링부재(64)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재(63)는 상기 가이드관(54)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핀(62)의 외측에 끼움결합된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단은 상기 고정핀(62)의 둘레부에 구비된 걸림턱(62b(에 밀착되고, 하단은 상기 가이드관(54)의 하단 내주면에 형성된 돌출턱(54c)에 밀착되어, 상기 고정핀(62)을 상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링부재(64)는 금속재의 링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링결합공(62a)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단을 상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관(54)의 외주면에는 상기 링부재(64)를 상측으로 회동시킬 때 상기 링부재(64)가 삽입고정하는 고정홈(54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54a)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오목한 오목홈(54b)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54a)은 상면의 높이가 상기 탄성부재(63)에 의해 고정핀(62)이 상승되어 고정핀(62)의 상단이 상기 결합공(43)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링결합공(62a)의 하단으로부터 고정홈(54a) 상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링부재(64)의 외경에 비해 조금 짧게 높이조절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점핑 완구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20,30)가 상호 직각으로 교차되도록 배치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63)에 의해 상기 고정핀(62)이 상승되어, 상기 결합공(43)에 삽입됨으로써, 제1 및 제2 지지대(20,30)가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고정핀(62)을 조금 하측으로 당기 상태에서, 링부재(64)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링부재(64)가 상기 고정홈(54a)에 삽입되도록 한 후, 고정핀(62)을 놓으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63)에 의해 고정핀(62)과 링부재(64)가 상승되어 링부재(64)의 둘레부가 상기 오목홈(54b)의 내부로 삽입고정됨으로써, 상기 링부재(64)가 상기 고정홈(54a)으로부터 이탈되고, 그에 따라 상기 고정핀(62)이 의도하지 않게 하강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20,30)의 고정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탄성와이어(B)의 상단을 상기 고정고리(31c)에 연결함으로써, 점핑 완구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그리고, 점핑 완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링부재(64)를 하측으로 회동시킨 후 링부재(64)를 하측으로 당겨, 고정핀(62)의 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지지대(20,30)를 측방향으로 회동시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지지대(20,30)가 상호 겹쳐지도록 지지대(A)를 접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20,30)가 완전히 평면을 이루도록 접으면, 상기 탄성부재(63)에 의해 고정핀(62)이 상승되어, 고정핀(62)의 상단이 상기 결합공(43)에 삽입되어, 제1 및 제2 지지대(20,30)를 상호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지지대(A)를 납작하게 접음으로써, 지지대(A)를 간단하게 운반 및 보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점핑 완구는 사용자가 제1 또는 제2 지지대(20,30)를 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지대(A)를 입체적으로 펴지거나, 납작하게 접을 수 있음으로, 운반과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1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2 수평부(31)의 하측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바(71)와, 상기 회동바(71)와 상기 착석부재(C)를 연결하는 연결케이블(72)과, 상기 회동바(71)에 연결되어 회동바(71)와 연결케이블(72)을 전후방향으로 왕복 회동시키는 왕복회동구동수단(73)과, 상기 연결케이블(72)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케이블(72)이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는 속도를 측정하는 회동속도측정수단(74)과, 상기 회동속도측정수단(74)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왕복회동구동수단(7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75)이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 수평부(31)의 하측면에는 한 쌍의 회동브라켓(31b)이 구비된다.
상기 회동바(7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단이 상기 회동브라켓(31b)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에는 상기 연결케이블(72)의 상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링(71a)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케이블(72)은 탄성이 없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어, 상단은 상기 고정링(71a)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착석부재(C)에 고정되어, 착석부재(C)에 앉은 유아의 발이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착석부재(C)를 지지한다.
한편, 이와 같이, 상기 연결케이블(72)을 이용하여 지지대(A)에 착석부재(C)를 설치할 경우, 상기 탄성와이어(B)는 분리되어 별도로 보관된다.
상기 왕복회동구동수단(73)은 상기 회동바(71)의 상단에 연결되도록 상기 회동브라켓(31b)에 고정되어 작동에 따라 상기 회동바(71)의 하단이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기어드모터를 이용한다.
상기 회동속도측정수단(74)은 상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태로 구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회동바(71)의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에는 상기 연결케이블(72)의 외측에 결합되는 지지링체(74b)가 구비된 회동아암(74a)과, 상기 회동아암(74a)의 기단부에 연결되어 회동아암(74a)의 회동속도를 측정하는 회동속도측정센서(74c)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케이블(72)이 전후방으로 회동되면, 상기 회동아암(74a)이 이에 추종하여 전후방으로 회전되며, 이때, 상기 회동속도측정센서(74c)가 회동아암(74a)의 회동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75)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수단(75)은 사용자가 조작하여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75a)이 구비된 것으로, 사용자가 입력수단(75a)을 조작하여 구동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왕복회동구동수단(73)을 제어하여 상기 회동바(71)와 연결케이블(72)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회동속도측정센서(74c)의 신호를 수신하여 연결케이블(72)의 회동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 이하로 저하되면 상기 왕복회동구동수단(73)을 제어하여 상기 회동바(71)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반복하여, 상기 연결케이블(72)에 연결된 착석부재(C)가 전후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즉,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바(71)를 전방으로 회동시킬 경우, 상기 회동바(71)가 먼저 전방으로 회동되고, 상기 연결케이블(72)은 나중에 회동바(71)를 따라 전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착석부재(C)가 전방으로 그네처럼 움직이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케이블(72)과 착석부재(C)가 효과적으로 전후방으로 그네처럼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케이블(72)이 완전히 전방으로 회동되어 연결케이블(72)의 회동속도가 충분히 낮아졌을 때, 상기 회동바(71)가 후방으로 회동되어야 상기 연결케이블(72)과 착석부재(C)가 효과적으로 후방으로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제어수단(75)은 상기 왕복회동구동수단(73)을 제어하여 상기 회동바(71)를 전방으로 회동시킨 후, 상기 회동속도측정센서(74c)의 신호를 피드백하여 상기 연결케이블(72)이 회동되는 속도를 측정하고, 연결케이블(72)의 회동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 이하로 저하되면, 상기 왕복회동구동수단(73)을 제어하여 회동바(71)가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회동바(71)가 후방으로 회동되면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회동바(71)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연결케이블(72)과 착석부재(C)가 그네와 같이 전후방으로 반복적으로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점핑 완구는 상기 착석부재(C)에 유아가 앉은 상태에서, 상기 착석부재(C)를 그네와 같이 전후방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단순히 유아가 상하방향으로 점핑할 수 있도록 된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해, 더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연결케이블(72)을 이용하여 착석부재(C)를 지지할 때는 상기 탄성와이어(B)는 제거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연결케이블(72)과 탄성와이어(B)를 함께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A. 지지대 B. 탄성와이어
C. 착석부재 D. 힌지부재

Claims (6)

  1. 지지대(A)와,
    상기 지지대(A)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탄성와이어(B)와,
    상기 탄성와이어(B)의 하단에 구비되며 유아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착석부재(C)를 포함하는 점핑 완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A)는
    제1 지지대(20)와,
    힌지부재(D)를 통해 상기 제1 지지대(20)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탄성와이어(B)의 상단이 결합되는 제2 지지대(3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대(20)는
    측방으로 연장된 제1 수평부(21)와,
    상기 제1 수평부(21)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1 연장부(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대(30)는
    상기 제1 수평부(21)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힌지부재(D)에 의해 상기 제1 수평부(21)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탄성와이어(B)의 상단이 결합되는 제2 수평부(31)와,
    상기 제2 수평부(31)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2 연장부(32)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재(D)는
    상기 제1 수평부(21)에 고정되며 하측면 일측에는 결합공(43)이 형성된 상부지지판(40)과,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61)에 의해 상기 상부지지판(40)의 하측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수평부(31)에 고정되며 일측에는 상기 결합공(43)에 대응되는 관통공(53)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53)의 하측둘레부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가이드관(54)이 구비된 하부지지판(50)과,
    상기 가이드관(54)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승시 상단이 상기 결합공(43)에 끼움결합되어 상부지지판(40)과 하부지지판(50)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핀(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핑 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22)는 상기 제1 수평부(21)의 양단에서 외측으로 하향경사지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2 수평부(31)의 길이는 상기 제1 수평부(21)에 비해 짧게 구성되며,
    상기 제2 연장부(32)는 상기 제1 연장부(22)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수평부(21)의 양단에서 외측으로 하향경사지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핑 완구.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62)의 하단은 상기 가이드관(54)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핀(62)의 하단에는 링결합공(62a)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62)에 연결되어 고정핀(62)을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63)와,
    상기 링결합공(62a)에 상하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링부재(64)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관(54)의 외주면에는 상기 링부재(64)를 상측으로 회동시킬 때 상기 링부재(64)가 삽입고정하는 고정홈(5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핑 완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54a)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오목한 오목홈(54b)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54a)에 링부재(64)를 삽입하면, 상기 탄성부재(63)의 탄성에 의해 고정핀(62)과 링부재(64)가 상승되어 링부재(64)의 둘레부가 상기 오목홈(54b)의 내부로 삽입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핑 완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평부(31)의 하측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바(71)와,
    상기 회동바(71)와 상기 착석부재(C)를 연결하는 연결케이블(72)과,
    상기 회동바(71)에 연결되어 회동바(71)와 연결케이블(72)을 전후방향으로 왕복 회동시키는 왕복회동구동수단(73)과,
    상기 연결케이블(72)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케이블(72)이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는 속도를 측정하는 회동속도측정수단(74)과,
    상기 회동속도측정수단(74)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왕복회동구동수단(7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7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75)은 상기 왕복회동구동수단(73)을 제어하여 상기 회동바(71)와 연결케이블(72)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시킨 후, 상기 회동속도측정수단(74)의 신호를 수신하여 연결케이블(72)의 회동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 이하로 저하되면 상기 왕복회동구동수단(73)을 제어하여 상기 회동바(71)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반복하여, 상기 연결케이블(72)에 연결된 착석부재(C)가 전후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핑 완구.
KR1020200036996A 2020-03-26 2020-03-26 점핑 완구 KR102291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996A KR102291499B1 (ko) 2020-03-26 2020-03-26 점핑 완구
CN202010343678.5A CN113439970A (zh) 2020-03-26 2020-04-27 跳跃玩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996A KR102291499B1 (ko) 2020-03-26 2020-03-26 점핑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499B1 true KR102291499B1 (ko) 2021-08-20

Family

ID=77466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996A KR102291499B1 (ko) 2020-03-26 2020-03-26 점핑 완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91499B1 (ko)
CN (1) CN113439970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090U (ko) 1994-07-15 1996-02-14 정춘식 줄넘기 손잡이
KR200352268Y1 (ko) * 2004-02-20 2004-06-10 정오봉 조립식 야외그네
KR20170004056U (ko) * 2016-05-23 2017-12-01 이혜승 아기용 해먹 그네 및 아기용 해먹 담요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8120A (en) * 1989-06-20 1990-08-14 Deborah Krueger Portable, self-supporting, baby carrier apparatus
US5788606A (en) * 1996-02-01 1998-08-04 Rich; Rolland Wayne Adjustable trampoline support
IL138729A0 (en) * 1999-10-05 2001-10-31 Eurobungy Gbr Combination bungy cord suspension system and trampoline amusement device
CN103099468A (zh) * 2013-02-26 2013-05-15 郑美丽 一种家庭儿童秋千式多用器具
CN203370227U (zh) * 2013-06-18 2014-01-01 魏安林 多功能婴幼儿健身器
US9168461B1 (en) * 2014-06-24 2015-10-27 Samuel Chen Bouncer swing
CN206295173U (zh) * 2016-08-20 2017-07-04 泉州市万家宝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多功能幼儿秋千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090U (ko) 1994-07-15 1996-02-14 정춘식 줄넘기 손잡이
KR200352268Y1 (ko) * 2004-02-20 2004-06-10 정오봉 조립식 야외그네
KR20170004056U (ko) * 2016-05-23 2017-12-01 이혜승 아기용 해먹 그네 및 아기용 해먹 담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439970A (zh) 202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28000B2 (en) Driven infant seat
US10231555B2 (en) Infant care apparatus
US6438772B1 (en) Collapsible play yard
US20060012230A1 (en) Glider
US9615673B2 (en) Compact jumper
EP3141158A1 (en) Dual arm child motion device
US201100412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motion of a bassinet
US11944212B2 (en) Infant care apparatus
KR102291499B1 (ko) 점핑 완구
KR101679377B1 (ko) 휴대용 다기능 유아캐리어
CN210581842U (zh) 一种婴儿床架
US20220225790A1 (en) Convertible children's seat
US3417990A (en) Child's toy
CN210748338U (zh) 高度可调的幼儿餐椅
CN208301369U (zh) 一种软体沙发座椅底盘和多功能软体沙发
CN210870636U (zh) 一种多功能单人沙发
US20220354255A1 (en) Infant care apparatus
CN209898873U (zh) 一种用于儿童娱乐休闲的摇椅装置
TW202116233A (zh) 嬰兒照護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