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379Y1 -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379Y1
KR200486379Y1 KR2020170002120U KR20170002120U KR200486379Y1 KR 200486379 Y1 KR200486379 Y1 KR 200486379Y1 KR 2020170002120 U KR2020170002120 U KR 2020170002120U KR 20170002120 U KR20170002120 U KR 20170002120U KR 200486379 Y1 KR200486379 Y1 KR 2004863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shaft body
spanner
reverse rotation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1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진
Original Assignee
정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호진 filed Critical 정호진
Priority to KR20201700021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3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3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3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25B13/481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in areas having limited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02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 B25B13/08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of open jaw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6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가 개시된다.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는, 일단에 제1 조임 헤드가 형성되고, 타단에 톱니가 형성된 기어 바디, 일단에 제2 조임 헤드가 형성되고, 타단 측은 기어 바디와 힌지 결합되는 축 바디, 고정홀이 형성되고, 기어 바디의 톱니와 맞물려 톱니가 일방향으로 회전되게 조절하는 역회전 차단부, 하부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역회전 차단부의 고정홀을 관통하여 나사선이 축 바디와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는 차단 조절부, 및 역회전 차단부가 톱니와 맞물리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Angle adjustable spanner}
본 고안은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도를 조절하여 조임 헤드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에 관한 것이다.
스패너는 볼트 또는 너트를 체결하거나 해체하는데 사용된다. 작업자는 스패너의 바디를 파지하고 볼트의 헤드를 감싸도록 스패너의 조임 헤드에 볼트 헤드를 정합한 후에, 스패너의 바디를 회전시켜 볼트를 체결하거나 해체한다. 협소한 작업 공간으로 인해, 스패너의 바디를 회전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도 8은 종래의 각도 조절 스패너의 평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종래의 각도 조절 스패너의 측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4-0002905(2014년 5월 16일)호는 각도 조절 스패너(100)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각도 조절 스패너(100)는 서로 분리 구성되는 제1홀더(110)와, 제2홀더(120) 및 제1홀더(110)와 제2홀더(120)를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몸체(150)와, 제1홀더(110)와 제2홀더(120)를 몸체(150)에 고정시키는 나사 형상의 고정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홀더(110)는 볼트 또는 너트가 삽입되는 제1결합홈(111)이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몸체(150)와 일정 각도를 가지고 결합시키는 고정구(160)가 삽입되는 제1결합공(112)이 형성되며, 몸체(150)와 밀착되는 제1결합공(112)의 둘레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도록 가공된 마찰부(160)가 형성된다.
상기 제2홀더(120) 또한 볼트 또는 너트가 삽입되는 제2결합홈(121)이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몸체(150)와 일정 각도를 가지고 결합시키는 고정구(160)가 삽입되는 제2결합공(122)이 형성되며, 몸체(150)와 밀착되는 제2결합공(122)의 둘레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도록 가공된 마찰부(160)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150)는 일측 단부에는 제1몸체결합공(151)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제2몸체결합공(152)이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결합공(151)과 상기 제2몸체결합공(152)의 제1홀더(110) 또는 제2홀더(120)와 밀착되는 둘레면에도 마찰부(16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50)는 제1홀더(110)와 제2홀더(120)와의 결합력을 높이고, 조정된 제1홀더(110)와 제2홀더(120)의 각도가 스패너(100)의 사용 중 가해지는 힘에 의해 회전되어 변경되지 않도록, 제1홀더(110)와 제2홀더(120)의 양측 단부 측면에서 서로 가압하여 제1홀더(110)와 제2홀더(120)와 결합되는 제1몸체(130)와 제2몸체(140)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홀더(110)와 상기 제2홀더(120)의 상기 제1몸체(130)와 제2몸체(140)에 의해 가압되어 밀착되는 양측면에는 모두 마찰부(160)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각도의 고정력을 현저히 향상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나, 각도 조절을 위해 제1홀더(110)(또는 제2 홀더(12)), 몸체(150) 및 고정구(160)를 서로 분리시키고, 다시 조립해야 하는 불편이 있어서, 산업현장에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분리 및 재조립으로 인해 미세한 각도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분해 및 조립 과정이 없이 각도를 조절하여, 일정 각도로 꺽인 지점에 위치하는 볼트 또는 너트를 체결 및 해체할 수 있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미세한 각도 조절이 순차적으로 가능하여 조임 헤드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어, 다양한 조임 헤드의 방향을 각각 갖는 복수의 스패너가 필요한 자동차 정비 등에서 하나의 스패너 사용으로 정비를 가능하게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각도 조절된 스패너를 용이하게 원상으로 복귀시킬 수 있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볼트 헤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는, 일단에 제1 조임 헤드가 형성되고, 타단에 톱니가 형성된 기어 바디, 및 일단에 제2 조임 헤드가 형성되고, 타단 측은 상기 기어 바디와 힌지 결합되는 축 바디,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톱니와 맞물려 톱니가 일방향으로 회전되게 조절하는 역회전 차단부, 하부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역회전 차단부의 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나사선이 상기 축 바디와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는 차단 조절부, 및 상기 역회전 차단부가 상기 톱니와 맞물리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 바디의 타단 측에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로 상기 톱니가 형성된 기어 바디 부분이 삽입되어 힌지결합되고, 상기 역회전 차단부는, 상기 홈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는, 일측이 상기 역회전 차단부에 밀착되며, 타측이 상기 축 바디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차단 조절부와 상기 축 바디의 나사 결합이 풀리면, 상기 역회전 차단부는 상기 나사 결합이 풀린 각도와 대응되게 회전되어, 상기 톱니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역회전 차단부는, 상기 차단 조절부와 상기 축 바디의 나사 결합이 사전에 설정된 범위 내로 풀리게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차단 조절부의 머리 부분에는 드라이버가 삽입되기 위함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에 의하면, 기어 바디 및 축 바디가 힌지 결합되어, 기어 바디의 톱니의 회전에 따라 스패너의 각도가 변경됨으로써, 분해 및 조립 과정이 없이 각도를 조절 가능하여, 일정 각도로 꺽인 지점에 맞추어 신속하게 각도를 조절하여 해당 지점에 위치하는 볼트 또는 너트를 체결 및 해체할 수 있고,
역회전 차단부가 톱니와 맞물려 일방향으로 회전되게 조절함으로서, 미세한 각도 조절이 순차적으로 가능하여 조임 헤드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어, 다양한 조임 헤드의 방향을 각각 갖는 복수의 스패너가 필요한 자동차 정비 등에서 하나의 스패너 사용으로 정비를 가능하게 하여, 작업자가 복수의 스패너의 소지하고 작업시 마다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으며,
차단 조절부를 회전시켜 역회전 차단부와 톱니를 이격시켜 톱니가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각도 조절된 스패너를 용이하게 원상으로 복귀시킬 수 있고,
덮개로 조임 헤드의 상부 또는 하부를 덮어, 볼트 헤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의 횡단면도다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의 차단 조절부가 오픈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의 덮개가 오픈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의 덮개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종래의 각도 조절 스패너의 평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종래의 각도 조절 스패너의 측면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의 횡단면도다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10)는 기어 바디(200), 축 바디(300), 역회전 차단부(360), 탄성부(370) 및 차단 조절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 바디(200)에는 일단에 제1 조임 헤드(210)가 형성되고, 타단에 톱니(230)가 형성될 수 있다. 기어 바디(200)는 톱니(230) 상부에 형성되며 축 바디(300)에 삽입되기 위한 상부 힌지축부(240)를 포함할 수 있고, 상부 힌지축부(240) 상부에 형성되며 축 바디(300)를 고정시키기 위한 상부 고정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어 바디(200)는 톱니(230) 하부에 형성되며 축 바디(300)에 삽입되기 위한 하부 힌지축부(260)를 포함할 수 있고, 하부 힌지축부(260) 하부에 형성되며 축 바디(300)를 고정시키기 위한 하부 고정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고정부(250)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지름 또는 단면적이 서로 다른 판이 적층된 계단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상부로 갈수록 지름 또는 단면적이 증가되는 형태일 수 있다. 하부 고정부(270)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지름 또는 단면적이 서로 다른 판이 적층된 계단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하부로 갈수록 지름 또는 단면적이 증가되는 형태일 수 있다. 상부 고정부(250) 및 하부 고정부(270)가 계단형 구조를 가짐으로써, 마찰면이 넓어 기어 바디(200) 및 축 바디(300)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고안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10)로 볼트 또는 너트를 체결하거나 해체할 때, 기어 바디(200) 및 축 바디(300)이 흔들림이 없어 일체형의 스패너와 같이 동일한 힘으로 볼트 또는 너트를 체결하거나 해체할 수 있다.
제1 조임 헤드(210)에는 볼트 또는 너트가 삽입되는 제1 결합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축 바디(300)는 일단에 제2 조임 헤드(310)가 형성되고, 타단 측은 기어 바디(200)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제2 조임 헤드(310)에는 볼트 또는 너트가 삽입되는 제2 결합홈(3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홈(311)은 제1 결합홈(211)과 동일할 수 있고, 홈의 모양, 크기, 위치 및 방향이 다를 수 있다.
축 바디(300)는 타단측에 홈부(301)가 형성되고, 홈부(301)로 톱니(230)가 형성된 기어 바디(200) 부분이 삽입되어, 축 바디(300)와 기어 바디(200)는 힌지결합될 수 있다. 축 바디(300)에는 홈부(301) 상부에 위치하며 기어 바디(200)의 상부 고정부(250)가 안착되기 위한 홀(321)이 형성된 상부 안착부(320) 및 홈부(301) 하부에 위치하며 기어 바디(200)의 하부 고정부(270)가 안착되기 위한 홀(331)이 형성된 하부 안착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안착부(320)의 홀(321) 및 하부 안착부(330)의 홀(331)은 각각 상부 고정부(250) 및 하부 고정부(270)의 계단형 구조와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기어 바디(200) 및 축 바디(300)를 결합하는 과정의 일실시예로, 상부 안착부(320) 및 하부 안착부(330)의 선단이 개방된 상태에서 기어 바디(200)를 축 바디(300)의 홈부(301)에 삽입한 후에, 상부 안착부(320) 및 하부 안착부(330)의 선단을 막는 순서로 기어 바디(200) 및 축 바디(3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안착부(320) 및 하부 안착부(330)의 선단은 나머지 부분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여 주조 및 납땜 등 열처리하는 방식으로 막을 수 있고, 개폐 가능한 레버를 설치하여 막을 수 있다.
역회전 차단부(360)는 톱니(230)와 맞물려 톱니(23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게 조절한다. 역회전 차단부(360)는 차단 조절부(380)가 삽입되기 위한 고정홀(363)이 형성된 몸체(361) 및 몸체(361)로부터 돌출되어 톱니(230)와 맞물려 톱니(23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게 조절하는 돌출부(365)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365)는 축 바디(300)의 홈부(301)로 돌출되어 홈부(301)에 삽입된 기어 바디(200)의 톱니(230)와 맞물릴 수 있다.
탄성부(370)는 역회전 차단부(360)가 톱니(230)와 맞물리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370)는 일측이 역회전 차단부(360)에 밀착되고, 타측이 축 바디(360)에 고정될 수 있다.
차단 조절부(380)는 헤드(381) 및 헤드(381)로부터 하부로 돌출된 핀부(385)를 포함할 수 있다.
핀부(385)는 역회전 차단부(360)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386) 및 결합부(386) 하부에 위치하면 나사선(388)이 형성된 나사선부(387)를 포함하고, 역회전 차단부(360)의 고정홀(363)을 관통하여 나사선(388)이 축 바디(300)와 나사 결합되어 축 바디(300)에 고정될 수 있고, 결합부(386)는 고정홀(363)에 삽입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결합부(386)의 단면은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역회전 차단부(360)가 핀부(385)를 축으로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핀부(385)의 회전에 따라 역회전 차단부(360)가 회전될 수 있다.
차단 조절부(380)의 헤드(381)의 상면에는 드라이버가 삽입되기 위한 홈부(382)가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홈부(382)를 이용하여 차단 조절부(380)와 축 바디(300)의 나사 결합을 조이거나 풀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역회전 차단부(360)는 톱니(230)가 시계방향(11)으로 회전하게 하고, 시계방향(11)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역회전 차단부(360)는 탄성부(370) 및 차단 조절부(380)로 인해 탄성부(37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또는 회전이 차단되어, 톱니(230)가 시계방향(11)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축 바디(200)를 시계방향(11)으로 회전시키는 힘에 의해, 역회전 차단부(360)가 탄성부(370)를 압축시키며 탄성부(370)로 이동 또는 회전될 수 있고, 톱니 하나가 이동한 후 역회전 차단부(360)는 탄성부(370)에 의해 원 위치로 복귀하여 다음 톱니와 맞물리게 된다.
차단 조절부(380)의 나사선은 차단 조절부(380)가 시계방향(11)로 회전되는 경우에 축 바디(300)와 결합되고, 시계방향(11)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축 바디(300)로부터 풀리게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차단 조절부(380)과 축 바디(300)이 완전하게 결합된 상태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차단 조절부(380)가 탄성부(37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또는 회전이 불가능하여, 기어 바디(200)를 시계방향(11)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강한 힘에도, 본 고안은 기어 바디(200)의 시계방향(11)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톱니(230)를 하나씩 시계방향(11)으로 이동시켜 기어 바디(200) 및 축 바디(300)가 이루는 각도(13)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제1 조임 헤드(210)의 홈부(211) 및 제2 조임 헤드(310)의 홈부(311)의 방향을 미세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자동차 등을 수리하는 과정에서 스패너가 삽입되는 공간이 부족하여, 스패너의 조임 헤드의 홈부의 방향이 일치하지 않아 해당 홈부에 타켓물(볼트 또는 너트)이 삽입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도, 해당 홈부의 방향을 미세하게 조절하며 방향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기어 바디(200) 및 축 바디(300)가 이루는 각도(13)를 조절한 후에, 톱니(230)가 시계방향(11)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차단됨으로써, 제1 조임 헤드(210)를 중심으로 스패너(10)를 시계방향(11)로 회전시키면서, 제1 조임 헤드(210)로 볼트 또는 너트를 조이거나 풀 수 있다. 또한, 기어 바디(200) 및 축 바디(300)가 이루는 각도(13)를 조절한 후에, 톱니(230)가 시계방향(11)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차단됨으로써, 제2 조임 헤드(310)를 중심으로 스패너(10)를 시계방향(11)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제2 조임 헤드(310)로 볼트 또는 너트를 조이거나 풀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의 차단 조절부가 오픈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단 조절부(380)와 축 바디(300)의 나사 결합이 풀리면, 역회전 차단부(360)는 나사 결합이 풀린 각도와 대응되게 회전되어, 톱니(230)와 이격될 수 있다. 즉 차단 조절부(380)와 축 바디(300)의 나사 결합이 풀리면, 차단 조절부(380)는 시계방향(11)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역회전 차단부(360)는 탄성부(370)를 압축시키며, 시계방향(11)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돌출부(365)가 지점(565)에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톱니(230)와 돌출부(365)의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다. 톱니(230)와 돌출부(365)의 맞물림이 해제되면, 기어 바디(200)는 시계방향(11)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원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역회전 차단부(360)는 차단 조절부(380)와 축 바디(300)의 나사 결합이 사전에 설정된 범위 내로 풀리게 제한할 수 있다. 즉 탄성부(370)가 완전하게 압축되면, 역회전 차단부(360)는 더 이상 회전 또는 이동이 불가능함으로써, 차단 조절부(380)는 더이상 회전이 어려워져, 차단 조절부(380)와 축 바디(300)의 나사 결합이 사전에 설정된 범위 내로 풀리게 제한되며, 이에 따라 차단 조절부(380)가 축 바디(300)으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의 덮개가 오픈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의 덮개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스패너(50)는 제1 덮개(610), 제2 덮개(620), 제3 덮개(630) 및 제4 덮개(640)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패너(5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스패너(10)일 수 있다.
제1 덮개(610)는 제1 조임 헤드(2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1 조임 헤드(210)의 홈부(211)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제1 덮개(610)는 스패너(5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제1 조임 헤드(210)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이동홈(216, 217)을 따라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제 1 덮개(610)가 홈부(211)의 상부를 덮음으로써, 홈부(211)에 삽입된 타겟물(볼트 또는 너트)을 조이거나 풀 때, 타겟물이 홈부(2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상기 이탈로 인해 타겟물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자동차 정비에 있어서, 볼트 또는 너트가 훼손되는 경우에는, 볼트 또는 너트로 조임된 부분을 절단해야 해야하므로, 그 작업량이 증가하고 부품을 새로 교체해야 하는 등 정비 비용 및 정비 시간이 많이 요구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나, 본 고안은 덮개로 인해 볼트 또는 너트가 정비 과정에서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2 덮개(620)는 제1 조임 헤드(2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1 조임 헤드(210)의 홈부(211)의 하부를 덮을 수 있다. 제2 덮개(620)는 제1 덮개(620)와 대응하게 이동하고 탈부착될 수 있다.
제3 덮개(630)는 제2 조임 헤드(3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2 조임 헤드(310)의 홈부(311)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제3 덮개(630)는 스패너(5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제2 조임 헤드(310)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이동홈(316, 317)을 따라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제4 덮개(640)는 제2 조임 헤드(3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2 조임 헤드(310)의 홈부(311)의 하부를 덮을 수 있다. 제4 덮개(640)는 제3 덮개(630)와 대응하게 이동하고 탈부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 10 기어 바디 200
축 바디 300 역회전 차단부 360
탄성부 370 차단 조절부 380

Claims (4)

  1. 일단에 제1 조임 헤드가 형성되고, 타단에 톱니가 형성된 기어 바디;
    일단에 제2 조임 헤드가 형성되고, 타단 측은 상기 기어 바디와 힌지 결합되는 축 바디;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톱니와 맞물려 톱니가 일방향으로 회전되게 조절하는 역회전 차단부;
    하부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역회전 차단부의 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나사선이 상기 축 바디와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는 차단 조절부; 및
    상기 역회전 차단부가 상기 톱니와 맞물리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 바디의 타단 측에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로 상기 톱니가 형성된 기어 바디 부분이 삽입되어 힌지결합되며,
    상기 역회전 차단부는,
    상기 홈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는,
    일측이 상기 역회전 차단부에 밀착되며, 타측이 상기 축 바디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조절부와 상기 축 바디의 나사 결합이 풀리면, 상기 역회전 차단부는 상기 나사 결합이 풀린 각도와 대응되게 회전되어, 상기 톱니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조절부의 머리 부분에는 드라이버가 삽입되기 위함 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


  4. 삭제
KR2020170002120U 2017-04-26 2017-04-26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 KR2004863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120U KR200486379Y1 (ko) 2017-04-26 2017-04-26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120U KR200486379Y1 (ko) 2017-04-26 2017-04-26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379Y1 true KR200486379Y1 (ko) 2018-05-09

Family

ID=62166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120U KR200486379Y1 (ko) 2017-04-26 2017-04-26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37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463B1 (ko) 2021-04-23 2021-10-12 석대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
KR20220108481A (ko) 2021-01-27 2022-08-03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콤비네이션 렌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0983B1 (ko) * 1998-01-14 2000-04-15 이계철 희토류 원소 첨가 광섬유 제조를 위한 희토류화합물 기화장치
KR200309105Y1 (ko) * 2003-01-07 2003-04-03 오치완 각도조절식 라쳇렌치 핸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0983B1 (ko) * 1998-01-14 2000-04-15 이계철 희토류 원소 첨가 광섬유 제조를 위한 희토류화합물 기화장치
KR200309105Y1 (ko) * 2003-01-07 2003-04-03 오치완 각도조절식 라쳇렌치 핸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8481A (ko) 2021-01-27 2022-08-03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콤비네이션 렌치
KR102311463B1 (ko) 2021-04-23 2021-10-12 석대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8242B2 (en) Quick-connect fastener assembly
US7226261B1 (en) Toggle assembly
US4129943A (en) Chain saw bar tightener
US5392672A (en) Ratchet wrench
US5630343A (en) Power drive multiple socket wrench
DE102012005885B4 (de) Drehmomentschlüssel
DE3736319A1 (de) Haltebefestigung
KR200486379Y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스패너
DE10333124A1 (de) Ratschenschlüssel mit Schnell-Anzieh/Löse-Funktion und Fein-Einstell-Funktion
CA2445710A1 (en) Joiner improvements
US8506226B2 (en) Security screw
US5388479A (en) Universal ratchet wrench
US5938173A (en) Device for preventing gland nut in valve from loosening
JP6077168B1 (ja) 締結部材
GB2285940A (en) Fastening system
KR200401742Y1 (ko) 기계부품 분해용 지그
KR100762173B1 (ko) 라쳇 렌치
US20050166714A1 (en) Sprocket drive wrench
DE10318665B4 (de) Hakenschraubendreher mit Werkzeugkupplungsanordnung
US20110188969A1 (en) Captive Hardware
US20080247840A1 (en) Fastener and Fastener Tightening/Loosening Device
EP1138575A2 (de) Vorrichtung zur lösbaren Befestigung eines Lenkrades auf einer Lenkwelle
RU193130U1 (ru) Ру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тяжки и ослабления резьбовых соединений посредством динамометрического ключа
KR100526421B1 (ko) 개방부를 갖는 래칫형 렌치
KR101565090B1 (ko) 과부하작동이 방지되는 작동레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