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237Y1 - 사각 파이프 결합형 조립식 구들장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사각 파이프 결합형 조립식 구들장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237Y1
KR200486237Y1 KR2020170003737U KR20170003737U KR200486237Y1 KR 200486237 Y1 KR200486237 Y1 KR 200486237Y1 KR 2020170003737 U KR2020170003737 U KR 2020170003737U KR 20170003737 U KR20170003737 U KR 20170003737U KR 200486237 Y1 KR200486237 Y1 KR 2004862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switch
switch
alarm signal
holding means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7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찬중
Original Assignee
우일종합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일종합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일종합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37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2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2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2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02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ith installation or service material, e.g. tubes for electricity or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46Storage or weighing apparatus for supplying ingredients
    • B28C7/0053Storage containers, e.g. hoppers, silos, bins
    • B28C7/0076Parts or details thereof, e.g. opening, closing or unloa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2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ixing
    • B28C7/022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ixing by measuring the consistency or composition of the mixture, e.g. with supply of a missing component
    • B28C7/024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ixing by measuring the consistency or composition of the mixture, e.g. with supply of a missing component by measuring properties of the mixture, e.g. moisture, electrical resistivity, 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B28C7/0404Proportio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05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1In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1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by using foaming agents or by using mechanical means, e.g. adding preformed foa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97Anion- and far-infrared-emitt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각 파이프 결합형 조립식 구들장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황토에 시멘트를 소량 혼합하고, 여기에 폴리머를 배합하여 건축시공에 적합하고, 기포발생 수단을 부가하여 강도가 보강되면서 무게를 대폭 낮추고 조립성을 극대화시키며, 옥을 투여하여 원적외선이 발산되도록하되 제작과정에서 원적외선을 체크하여 원적외선이 발산되지 않을 경우 적절한 조치를 강제하도록 구성하며, 특히 사각 파이프를 블록에 삽입시켜 상기 사각 파이프를 통해 열이 전달되도록하여 바닥면에 근접하는 파이프의 단면적을 넓힘으로서 열전달 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파이프 결합형 조립식 구들장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각 파이프 결합형 조립식 구들장 제조장치{Assembable Floor Heater Block}
본 고안은 사각 파이프 결합형 조립식 구들장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황토에 시멘트를 소량 혼합하고, 여기에 폴리머를 배합하여 건축시공에 적합하고, 기포발생 수단을 부가하여 강도가 보강되면서 무게를 대폭 낮추고 조립성을 극대화시키며, 옥을 투여하여 원적외선이 발산되도록하되 제작과정에서 원적외선을 체크하여 원적외선이 발산되지 않을 경우 적절한 조치를 강제하도록 구성하며, 특히 사각 파이프를 블록에 삽입시켜 상기 사각 파이프를 통해 열이 전달되도록하여 바닥면에 근접하는 파이프의 단면적을 넓힘으로서 열전달 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파이프 결합형 조립식 구들장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들(혹은 온돌)은 한국 고유의 난방법으로, 추운 겨울을 나기 위해 구들고래를 만들고 고래 위에 구들장을 놓아 아궁이를 통하여 받아들인 열을 구들장에 저장했다가 서서히 복사열을 방출하여 방바닥이 따뜻해지도록 고안된 실내 난방 방식이다.
근래에는 상기한 재래형 구들방식이 보다 개선되어 물관을 바닥에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킴으로써 난방을 하게 된다.
이러한 근래의 구들방식은 바닥면의 보온재층 상면에 물관을 지그재그 형상을 따라 배치하고, 철사 등으로 고정하여 물관이 유동되지 않도록 결속시킨 후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들방식은 물관을 배치한 후, 바닥에 철사등에 의하여 고정하여야 하고, 또한 철사 고정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켜야 하므로 구들 설치 공정이 복잡하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관의 누수 혹은 막힘 등으로 인하여 구들을 보수하여야 하는 경우, 바닥을 깨고 새로 구들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보수가 어렵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구들은 방바닥에 설치된 보일러의 온돌장치 및 전기장판을 대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다수의 제품들이 제공되어 있으며 일례로서 등록번호 실1996-0000455호(조립식 전기구들장), 공개특허 10-2012-0133861가 있다.
상기 실1996-0000455호의 조립식 전기 구들장은 하부로 단열재(6)를 설치한 원적외선 히터(5)의 상부로 일측 표면에 바이오 세리믹층(2)을 설치한 온돌판(1)이 설치되어 상부가 개방된 틀체(8)내에 삽입 설치한 전기 구들장을 제공하고, 상기 원적외선 공개특허 10-2012-0133861는 히터(5)와 단열재(6)를 일측으로 전원 연결조인트(10)가 설치되도록 발열체케이스(4)내에 설치하고, 온돌판(1)의 표면에 상기 바이오세리믹층(2)과 일정한 간격으로 영구자석(3)을 설치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전기 구들장은 바이오 세라믹과 영구자석의 효과만 볼수 있고 온돌판과 바이오세라믹층으로 인해 무게가 무거워 이동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온돌 배관은 모두 원통형 파이프를 적용하기 때문에 바닥면에 접근되는 열면적이 적어서 열전달 효율이 극대화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황토에 시멘트를 소량 혼합하고, 여기에 폴리머를 배합하여 건축시공에 적합하고, 기포발생 수단을 부가하여 강도가 보강되면서 무게를 대폭 낮추고 조립성이 뛰어난 구들장을 제공하며, 동시에 제작과정에서 옥을 함유하도록하되 원적외선을 실시간 측정하여 미달시 경보를 출력함으로서 옥의 함유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고, 특히 직사각 형태의 파이프를 블록에 삽입 제작하여 조립하여 구들장이 완성되면서 동시에 바닥면과의 접촉면적이 극대화되어 열전달효율이 최적화도록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황토에 시멘트를 소량 혼합하고, 여기에 폴리머를 배합하여 건축시공에 적합하고, 특히 기포발생 수단을 부가하여 강도가 보강되면서 무게를 대폭 낮추고 조립성이 뛰어난 구들장을 제공하며, 동시에 제작과정에서 옥을 함유하도록하되 원적외선을 실시간 측정하여 미달시 경보를 출력함으로서 옥의 함유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특히 직사각 형태의 파이프를 블록에 삽입 제작하여 조립하여 구들장이 완성되면서 동시에 바닥면과의 접촉면적이 극대화되어 열전달효율이 최적화되는 구들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각 파이프 결합형 구들장용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각 파이프 결합형 구들장용 블록 다른 실시예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각 파이프 결합형 구들장용 블록 설치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각 파이프 결합형 구들장용 블록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각 파이프 결합형 구들장용 블록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고안의 사각 파이프 조립을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고안의 사각 파이프 결합후 열출력되는 것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8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구들장 옥 자동 공급부 작동 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거푸집 제 1 실시예도.
도 10은 본 고안의 거푸집 제 2 실시예도.
도 11은 본 고안의 경보 신호 출력을 위한 구성블록도.
도 12는 본 고안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 구성도.
도 13은 도 12의 요부 확대도.
도 14는 본 고안의 경보신호 자동 회로부 동작 예시도.
도 1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구들장 옥 수동 공급부 구성도.
도 1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구들장 옥 수동 공급부 작동 예시도.
도 17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구들장 옥 자동 공급부 구성도.
도 18은 도 17의 요부 확대도.
도 19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구들장 옥 자동 공급부 작동 예시도.
도 20은 본 고안의 구들장 사진.
도 21은 본 고안의 시공후 사진.
도 22는 본 고안의 구들장 외부사진.
도 23은 본 고안의 구들장에 불을 지피는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고안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고안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고안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고안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고안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고안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고안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각 파이프 결합형 구들장용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각 파이프 결합형 구들장용 블록 다른 실시예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각 파이프 결합형 구들장용 블록 설치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각 파이프 결합형 구들장용 블록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각 파이프 결합형 구들장용 블록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고안의 사각 파이프 조립을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고안의 사각 파이프 결합후 열출력되는 것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8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구들장 옥 자동 공급부 작동 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거푸집 제 1 실시예도.
도 10은 본 고안의 거푸집 제 2 실시예도.
도 11은 본 고안의 경보 신호 출력을 위한 구성블록도.
도 12는 본 고안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 구성도.
도 13은 도 12의 요부 확대도.
도 14는 본 고안의 경보신호 자동 회로부 동작 예시도.
도 1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구들장 옥 수동 공급부 구성도.
도 1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구들장 옥 수동 공급부 작동 예시도.
도 17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구들장 옥 자동 공급부 구성도.
도 18은 도 17의 요부 확대도.
도 19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구들장 옥 자동 공급부 작동 예시도.
도 20은 본 고안의 구들장 사진.
도 21은 본 고안의 시공후 사진.
도 22는 본 고안의 구들장 외부사진.
도 23은 본 고안의 구들장에 불을 지피는 사진으로서,
먼저, 본 고안의 사각 파이프 결합형 구들장 블록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사각 파이프 결합형 구들장 블록은 사각 파이프를 구들장 블록의 내측 중앙에 삽입 설치하되 도 1에 도시한 바과 같이 구들장 블록의 외측으로 사각 파이프가 일정길이 돌출된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들장 블록 내측에 완전히 삽입된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사각 파이프 결합형 구들장 블록을 조립 방법에 의해서 상호 결합시켜서 구들장 블록이 접촉되도록 구성하는바, 본 고안에서와 같이 사각 파이프를 구들장 블록에 삽입한 형태로 구들장을 제작하게 되면 두께를 대폭 낮출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즉, 구들장 블록에 원형 파이프를 삽입한다면 구들장 블록이 전체적으로 두꺼워질 수 밖에 없으며, 동시에 원형 파이프로부터 바닥면까지의 거리가 고르지 않고 차이가 있기 때문에 발생된 열이 구들장의 상부 바닥면까지 올라가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동일한 단면적을 갖는 파이프를 구들장 블록에 삽입한다고 할때 이를 직사각형태로 제작하여 삽입하기 때문에 매우 얇은 형태로 구들장 블록을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각 파이프와 바닥면까지의 거리가 동일하기 때문에 사각 파이프의 내측 공간부를 통해 발생되는 열이 구들장의 상부 바닥면까지 알라가는데 시간이 적게 걸리게 된다.
즉, 본 고안은 직사각형 형태로 파이프를 제작하고 그 파이프를 구들장 블록에 삽입 설치하여 제작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원형 파이프와 동일한 단면적을 갖도록 제작할때 매우 얇게 구들장 블록을 제작할 수 있게 되며, 이와 동시에 파이프를 통해 전달되는 열이 구들장 블록의 바닥면으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어 매우 빠른 시간에 구들장 블록을 가열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파이프가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빠른 속도로 열전달이 가능하며, 상기 사각 파이프의 외측에 구들장 블록이 결합되면 본 고안의 사각 파이프 삽입형 구들장이 완성된다.
즉, 본 고안은 사각 파이프가 내장된 구들장 블록을 다수개 생산한 후에 시공 현장에서 상기 구들장 블록을 상호 조립하면서 설치하면 되며,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숙련된 시공자가 아닐지라도 보다 쉽게 구들장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구들장 블록에 삽입되는 사각 파이프는 일측을 약간 돌출시켜 다른 구들장 블록에 삽입 결합되면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며, 상기와 같이 사각 파이프끼리 상호 결합하는 개념은 조립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면서 한번 조립되면 쉽게 해체되지 않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투입되는 주요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황토는 인류의 4대 문명의 발상지가 동일하게 황토지역으로 알려진바 와같이 인류가 필요한 조건 하에 있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이는 황토가 생태계에 기여하 는 역할이 지대하다는 것은 미루어 짐작할만하다. 현금(現今)에도 해양적조현상에 황토를 투입하여 적조현상의 학산을 저지하고 있으며 또한 황폐된 논(沓)에도 객토라 하여 황토를 주입하여 논의 지질을 교정하고있다. 옛날 우리나라의 솥걸이 부뚜막의 황토는 복룡간(伏龍肝)이라 하여 부인병, 중풍, 설사, 이질, 소나 말에 옴이나 종기가난 곳에 의료용으로 이용한 사실은 의서인 한약집성방, 동의보감등에 기술되어있다. 또한 산삼과 송이버섯은 황토땅이 아니면 자라지 않는다. 이러한 생기를 갖는 황토를 우리 선조들은 적절하게 잘 이용해왔다.
황토는 습도가 높을 때 습기를 흡수해주고 건조할 시에는 습기 발산을 함으로써 사용자 주변의 습도를 자동적으로 조절해 주는 기능을 가지며, 음식냄새, 담배냄새 등 기타 유해한 냄새를 신속히 흡수함으로써 탈취효과가 우수하며, 곰팡이 및 인체에 유해한 각종 균류의 서식을 방지하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인 강알칼리성분을 흡수하며 중화시켜 주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황토는 인체에 유익한 미생물이 살아 숨 쉬면서 주변 환경을 정화시켜 줌과 동시에 인체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며 세포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생육을 촉진하는 작용을 하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황토의 결정구조 및 형상의 분류는 카올린 광물에 근접한다. 카올린광물은 점토광물을 대표하는 광물로써 황토의 주요성분 광물로 황토속에 많이 함유되어 있고, 주된 카올린 광물은 고령토라 불리는 카올린(Kaolin)이다. 우리나라 카올린은 거의 모두 할로이사이트(halloysite)로 되어있으며, 대부분 관상(管狀) 결정체로 되어있다. 황토는 고령토층의 표토로서 Fe2O3 를 7∼15% 정도로 많이 함유하고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색상은 적갈색으로 내화도가 낮아 내화물, 도자기공업에 이용되지 못하는 저급의 고령토이다.
할로이사이트(Halloysite)의 기본조성은 카올린나이트(Kaolinite)와 같지만 과잉의 수분을 함유하여 Al2O3 ·2SiO2 ·4H2O로 되어 있으며 결정도가 낮은 광물이다. 카올린족 광물은 모두 층상의 규산염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SiO4 ]-4 사면체가 정점을 서로 연결하여 이차원적으로 넓혀진 육각 망목상이 Si-O층을 골격으로 하고, 나머지 한 개의 정점은 그 층상격자 사이에 들어가는 Al 이온이 O2- 나 OH- 를 6배위한 팔면체층과 결합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황토는 하동옥종지역의 광산원광을 250℃로 건조한 후 분쇄가공한분말이며, 할로이사이트(Halloysite)가 주광물이고, α-Quartz가 2차상으로 존재하며, Fe2O3 가 7%이상 함유하고 있으며 평균입경은 10∼30㎛이다.
한편, 시멘트란 일반적으로 토목·건축용의 무기질 결합경화제를 의미하고 더 넓게는 물질과 물질을 접착하는 물질을 지칭하며, 시멘트의 주성분은 석회·실리카·알루미나·산화철 등으로 이루어져서 이것들을 함유한 원료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그 일부를 용융·소성시킨 클링커에 적당량의 석고를 가하여 분말화하여 만든 것으로 석고(CaSO4.2H2O) 중의 황산기(SO4- )에 의한 유해성을 가지므로 본원에서는 시멘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독성이 낮은 백 시멘트를 사용하고자 하였다.
백 시멘트(white cement)란 원료로서 철분이 적은 백색점토와 석회석을 사용하고 연료에는 중유 등을 사용해서 만든 시멘트로서, 시멘트를 제조하는 데 있어 원료의 철분을 제거하고, 소성할 때는 매연이 적은 석유 연료를 사용하며, 분쇄는 철구 대신 경질석재 또는 자기를 사용하는 등, 시멘트의 회색을 내는 원인물질을 제거하여 흰색으로 만들어져서 주로 외장모르타르 등에 쓰이는 재료로서 본원에서 는 일반 시멘트 대신 황토와 백 시멘트의 배합물을 사용하여 황토의 결합력을 높여줄 수 있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고안의 기포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지방산 알콜에 상기의 수산화알루미늄과 황산알루미늄을 혼합함으로써, 상기의 알루민산삼석회와의 반응을 촉진시켜 수화반응의 초기에 조강성을 발휘하도록 한 것이다. 이것은 구들장의 제조에 있어서 초기에 신속히 소정의 강도를 부여함으로써, 조강성을 얻음과 동시에, 기포의 소멸에 따른 소포성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또한, 상기의 성분들은 팽창성 광물인 에트링자이트(ettringite)를 생성함으로써, 구들장의 건조수축현상을 감소시켜 궁극적으로는 균열발생을 방지하는데 기여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또한, 본 고안은 기포의 발생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폴리비닐알콜과 식물성오일을 사용한다. 구들장에 있어서, 발생된 기포가 미세하면 미세할수록, 그리고 그 기포가 균일하면 균일할수록, 기포에 의한 경량화와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구들장에 관한 것으로, 무엇보다도 기포의 발생과 그 안정화를 기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의 성분을 사용함으로써 발생되어진 기포(Air bubble)가 금속 이온에 의하여 소포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기포의 안정화 반응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기포의 안정화를 위해서는 동물성 오일보다는 식물성 오일을 사용한다. 식물성오일은 정제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식물성 오일로서는 코코넛 오일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전체 혼합물에 대하여, 포름알데히드 0.5 내지 5 중량% 를 사용한다. 상기의 포름알데히드를 사용하는 것은 상기의 기포제를 장기간 보관시에도 그 성능을 변함없이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의 기포제 중에서 지방산 알콜이나 식물성 오일은 구들장을 제조한 다음 일정기간(예컨대, 약 3개월 정도)이 지나면, 부패현상이 일어나 악취가 나고 품질이 떨어지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부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상기의 범위에 미치지 못하거나 초과할 경우엔, 방부제로서의 성능이 미약하거나 과도하므로, 상기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전체 혼합물에 대하여, 2가 알콜로서의 글리콜 성분 0.5 내지 5 중량% 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의 글리콜 성분을 사용하는 것은 기포의 안정화를 더욱 향상시켜주기 위한 것이다. 기포제의 특성은 고압의 공기에 의해 미세한 기포가 발생되는 것인데, 구들장의 혼합과정에서 황산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이온이 함유되어 있으면, 생성된 기포가 상기 금속이온에 의해 파괴되어 쉽게 소포현상을 일으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발포력이 약해지게 되므로, 결국 구들장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상기의 글리콜 성분을 사용함으로써 금속이온의 반응성을 약화시켜 생성된 기포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글리콜 성분으로서는 에틸렌 글리콜과 폴리 에틸렌 글리콜을 예시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구성요소중 하나인 옥의 특성에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옥은 치밀하고 경질(硬質)이며 투명하여 아름답게 빛나고 연마하여 광택이 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서, 광물학적으로연옥은 각섬석의 일종이며 경옥은 알칼리휘석의 일종이다.
연옥은 유백색인 것이 많으며, 녹색 ·황색 ·홍색 등도 있고, 경옥은 녹색 ·백색이다. 색에 따라 여러 가지 명칭이 있으나 백옥과 비취(翡翠)가 대표적인 것이다. 고대로부터 동양에서 귀히 여겨 왔으며 세공하여 장식석 ·옥기(玉器)로서 사용되어 왔을 뿐만이 아니라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방사율이 높아 각종 의료보조장치 및 기구에 활용되고 있다.
또한 옥은 예로부터 인체에 필요한 광물인 칼슘, 마그네슘 등을 포함하고 있고 인체 세포 역시 마그네슘이 필수구성 성분인 까닭에 옥에서 발산하는 게르마늄 파장은 인체에 골고루 침투하여 산소를 빠르게 조직에 공급, 신진대사를 활성화시키고 혈액의 알칼리화를 촉진시키는 한편, 모든 발병인자인 바이러스성 질환에 대응하는 인터페론을 체내에 자연생성시켜 자연 치유력을 높여 주는 물질이다.
상기 옥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元赤外線)은 파장이 25㎛ 이상인 적외선, 즉 적외선 중 파장이 긴 것을 말한다. 원적외선을 포함한 적외선은 눈에 보이지 않고 물질에 잘 흡수되며 유기화합물 분자에 대한 공진 및 공명 작용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또 빛은 일반적으로 파장이 짧으면 반사가 잘 되고, 파장이 길면 물체에 도달했을 때 잘 흡수되는 성질이 있으므로 침투력이 강해서 사람의 몸도 이 적외선을 쬐면 따뜻함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열작용은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없애는데 도움이 되고,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과 세포조직 생성에 도움을 준다. 또 세포를 구성하는 수분과 단백질 분자에 닿으면 세포를 1분에 2,000번씩 미세하게 흔들어줌으로써 세포조직을 활성화하여 노화방지, 신진대사 촉진, 만성피로등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그밖에도 발한작용 촉진, 통증완화, 중금속 제거, 숙면, 탈취, 방균, 곰팡이 번식방지, 제습, 공기정화 등의 효과가 있어 주택 및 건축자재, 주방기구, 섬유, 의류, 침구류에는 물론 의료기구, 찜질방 등의 여러 분야에 쓰이고 있다.
본 고안의 구들장 주택은 기본적으로 가열장치(1)와, 난방 파이프(2)와, 구들장(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들장(3)은 난방 파이프(2)가 결합되어 있어 가열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열기가 난방 파이프(2) 및 구들장(3)을 통해 방사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구들장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황토를 제공하기 위해 황토를 저장한 황토 제공용 호퍼(11)와;
시멘트를 제공하기 위해 시멘트를 저장한 시멘트 제공용 호퍼(12)와;
기포제를 제공하기 위해 기포제를 저장한 기포제 제공용 호퍼(13)와;
폴리머를 제공하기 위해 폴리머를 저장한 폴리머 제공용 호퍼(14)와;
옥을 제공하기 위해 옥을 저장한 옥 제공용 호퍼(16)와;
물을 제공하기 위해 물을 저장한 물 제공용 호퍼(15)와;
상기 황토 제공용 호퍼(11)로부터 황토를 제공받고, 시멘트 제공용 호퍼(12)로부터 시멘트를 제공받으며, 기포제 제공용 호퍼(13)로부터 기포제를 제공받고, 폴리머 제공용 호퍼(14)로부터 폴리머를 제공받고, 옥 제공용 호퍼(16)로부터 옥을 제공받으며, 물 공급통(15)으로부터 물을 제공받아 이들을 혼합한후 황토반죽을 출력하기 위한 믹서(20)와;
상기 믹서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믹서 내부의 원적외선을 체크하여 원하는 만큼의 원적외선이 방출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원적외선 센서(30)와;
상기 믹서로부터 출력되는 황토 반죽을 입력받으며, 제작된 금형의 형태에 따라 진동과 압력으로 압축 성형시키는 블록성형기(40)와;
상기 블록성형기의 내측에 설치되며 직사각형 박스 형태의 거푸집을 구비하되 그 내측 중앙에 사각 파이프를 고정하여 사각 파이프가 내장되는 구들장 블록을 생성하는 구들장 블록 거푸집(41)과;
상기 블록 성형기의 하부에 위치하며 블록 성형기로부터 낙하되는 구들장 블록 거푸집을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시키기 위한 파레트(50)와;
상기 원적외선 센서의 측정결과를 분석하여 기준이하의 원적외선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제어부(70)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본 고안의 옥 저장용 호퍼(16, 6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 1 옥 저장통(61)과 상기 제 1 옥 저장통(61)의 하부에 설치하되 경사지게 설치하며 믹서로 관통 설치하는 제 2 옥 저장통(6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옥 저장통(61)을 이용하여 옥(16a)을 공급하면 제 2 옥 저장통(62)을 통해 믹서에 떨어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옥 공급을 조절하는 공급 조절나사(63)를 더 부가 설치하여 옥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바, 제 1 옥 저장통(61)과 제 2 옥 저장통(62) 사이에 옥 공급 조절나사(63)를 더 설치하여 상기 옥 공급 조절나사(63)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옥의 투입량을 제한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호퍼를 16 또는 60으로 기재하며, 동일한 것임을 밝혀둔다.
즉, 제 1 옥 저장통에 담기는 옥(16a)은 옥 공급 조절나사(63)를 통해 제 2 옥 저장통(62)으로 인입되고, 이후 상기 제 2 옥 저장통(62)으로 인입된 옥은 믹서의 내부로 공급되는바, 이때 상기 옥 공급 조절나사(63)를 손으로 돌려서 옥의 투입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옥 공급 조절나사(63)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옥 공급 조절나사가 전진하면서 옥 공급 조절 영역이 폐쇄하게 되어 옥의 공급을 중단시키고, 상기 옥 공급 조절나사(63)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옥 공급 조절나사가 후진하면서 옥 공급 조절영역이 오픈시키게 되어 옥의 공급을 촉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제 1 옥 저장통(61)에 옥(16a)을 대량 비축해 놓은 상태에서 옥 공급 조절나사(63)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옥(16a)의 공급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어 믹서에 제공되는 옥 투입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옥 공급을 조절하는 옥 자동 공급 조절부(60b, 60c, 60d)를 더 부가 설치하여 옥(16a)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바, 제 1 옥 저장통(61)과 제 2 옥 저장통(62) 사이에 옥 자동 공급 조절부(60b, 60c, 60d)를 더 설치하고, 상기 옥 자동 공급 조절부(60b, 60c, 60d)의 후단에 공급 조절용 스크류 모터(64)를 더 설치하여 상기 옥 공급 조절용 스크류 모터(64)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옥의 투입량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제 1 옥 저장통(61)에 담기는 옥(16a)은 옥 공급 조절부(60b, 60c, 60d)를 통해 제 2 옥 저장통(62)으로 인입되고, 이후 상기 제 2 옥 저장통(62)으로 인입된 옥은 믹서 내부로 공급되는바, 이때 상기 옥 자동 공급 조절부(60b, 60c, 60d)에 설치되는 옥 공급 조절용 스크류 모터(64)를 회전시켜 옥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옥 저장통(62)에 형성되는 개폐공(60a)과, 상기 개폐공(60a)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60b)가 일측단부에 형성된 스크류(60c)와, 스크류(60c)를 회전시키기 위해 스크류(60c)의 타측에 설치되어 정/역회전되는 구동모터(64)와, 구동모터(64)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스크류(60c)를 전후진되도록 하여 제 2 옥 저장통(62)의 개폐공(60a)을 개폐할 수 있도록 스크류(60c)에 끼워지는 보스(19)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동작을 살펴보면 구동모터(64)를 구동하게 되면, 그 모터(64)의 구동에 의해 모터(64)에 연결 설치되는 스크류(60c)가 역회전하게 된다. 상기 모터(64)의 구동에 따라 역회전되는 스크류(60c)는 스크류(60c)에 끼워지는 보스(60d)에서 회전하면서 후진하게 되고, 상기 스크류(60c)가 후진함에 따라 일측단부에 형성되는 개폐부(60b)가 개폐공(60a)에서 후진하게 되어 옥이 유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원하는 만큼의 옥 이동이 완료되어 개폐공을 폐쇄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구동모터(64)를 구동하게되면, 그 모터(64)의 구동에 의해 모터(64)에 연결 설치되는 스크류(60c)가 정회전하게 된다. 상기 모터(64)의 구동에 따라 정회전되는 스크류(60c)는 스크류(60c)에 끼워지는 보스(60d)에서 회전하면서 전진하게되고, 상기 스크류(60c)가 전진함에 따라 일측단부에 형성되는 개폐부(60b)가 개폐공(60a)에서 전진하게 되어 개폐공(60a)은 폐쇄되게 되며, 이에 따라 옥의 이동이 정지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제 1 옥 저장통(61)에 옥을 대량 비축해 놓은 상태에서 옥 자동 공급용 구동모터(64)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옥의 공급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어 믹서에 제공되는 옥 투입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옥 저장통과 제 2 옥 저장통은 투명 아크릴 재질로 구성하여 외부에서 쉽게 옥의 이동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야만 옥의 유동을 제어시에 정확하게 옥이 이동하는지 아니면 멈춰있는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고안은 옥의 함량을 실시간으로 추출하여 옥의 함량이 기준이하일 경우 경보신호를 출력함으로서 필요한 농도의 옥을 반드시 삽입하도록 하였다.
한편, 본 고안은 최종적으로 제작된 믹서의 일단에 설치되어 원적외선을 센싱하는 원적외선 센서(30)와, 상기 원적외선 센서(30)으로부터 원적외선 데이터를 입력받아 분석하는 제어부(70)와, 원적외선 수치가 기준이하로 내려가면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경보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즉, 본 고안은 원적외선 센서(30)로부터 원적외선을 체크하여 제어부(70)에 전송하며, 제어부(70)는 원적외선 수치가 기준이하이면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통해 계속적인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원적외선 방사 정도를 반드시 체크하도록 유도한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상기 원적외선 센서(30)는 광기전력 효과나 광도전 효과를 이용한 양자형과 열기전력 효과나 초전 효과를 이용한 열형으로 나누어지며 본 고안에서 원적외선 센서(30)는 센서의 냉각이 필요하지 않은 초전형 원적외선 센서가 사용된다.
상기 초전형 원적외선 센서(30)는 초전 물질의 초전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 모든 물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 에너지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여기서 초전 특성이란 PZT(지르콘산티탄산납) 등의 결정 구조의 온도 변화에 대응하여 표면 전하가 변화하는 특성이다.
상기 초전형 원적외선 센서(30)에 사용되는 필터(창재)로는 실리콘, 폴리에틸렌, 석영 유리 등이 사용되고, 초전형 원적외선 센서(30)의 종류로는 PZT계, LiTaO3 계(탄탈산리튬), PVF2 , PbTaO3 등이 있다.
본 고안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의 구성을 상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전원부(1110)와,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제 2 회로 연결 스위치(sw2)와, 경보 제어부(1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부(111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킨다.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RY1)는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킨다.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RY2)는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킨다.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RY3)는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는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 2 경보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는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보 제어부(1120)는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경보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경보신호 작동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간극제(1134a)와,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킨다.
상기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은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은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한다.
상기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킨다.
특히,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은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이 망실되더라도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에 영향을 미치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의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간격제(1134a)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상기 간격제의 작용으로 보다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한다. 만약에 간격제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 1 자기유지수단의 몸체와 제 2 자기유지수단의 몸체가 직접 붙게 되므로 나중에 상호 분리가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간격제를 더 부가 설치하여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간격제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N극 주변에만 설치하는 이유는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분리되어 있어야 하며, 이때 제 1 자기유지수단의 S극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상호 마주보게 되어 분리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만약에 간격제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까지 감싸게 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간격제의 방해에 의해서 밀치는 강도가 약해지므로 이격상태 유지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제 2 자기유지수단의 N극에만 간격제를 설치하여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하고, 자기적으로 결합시에는 인접한 서로다른 극의 배치로 인하여 상호 용이하게 자기적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였다. 실제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상호 결합되게 되면 제 1 자기유지수단의 N극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바로 근접하게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자기적으로 강하게 결합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오프되도라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하강상태가 지속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다.
상기 수동 작동 스위치(1135)는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출력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되어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한다.
이하에서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경보신호 출력을 위한 제어관계를 살펴보면, 제어부에서 제 2 릴레이 스위치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 3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가 온 되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인가되어 경보신호가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작동하면 제어부는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하여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한편, 만약 작업자가 경보신호가 출력되는 도중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 및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제어부에서 이를 파악하게 되고, 그러면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작동되도록하여 철편을 이동시키면서 폐회로를 유지시키고 동시에 경보신호 제어부(1140)로 출력되는 전원을 복귀시켜 계속적으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경보요인을 해결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경고음을 출력시키도록하여 반드시 경보요인을 해결하도록 유도한다.
즉, 제어부에서 제 2 릴레이 스위치 및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스위칭 신호를 인가하면 다시 전원을 복귀시켜 경보신호가 자동으로 출력되며, 이에 따라 경보상황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경보신호를 차단하더라도 다시 재작동되므로 작업자로 하여금 경보신호의 발생원인을 확실하게 해결토록 유도할 수 있다.
만약에 제어부에서 더이상 경보신호의 출력이 필요없다고 인정되면 제 1 릴레이 스위치 및 제 2 릴레이 스위치에 더이상 전원신호를 인가하지 않게 되므로 이때에는 수동 스위치(1135)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경보신호를 수동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11: 황토 제공용 호퍼
12: 시멘트 제공용 호퍼
13: 기포제 제공용 호퍼
14: 폴리머 제공용 호퍼
16: 옥 제공용 호퍼
15: 물 제공용 호퍼
20: 믹서
30: 원적외선 센서
40: 블록성형기
50: 파레트
70: 제어부
1000: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Claims (5)

  1. 황토를 제공하기 위해 황토를 저장한 황토 제공용 호퍼(11)와;
    시멘트를 제공하기 위해 시멘트를 저장한 시멘트 제공용 호퍼(12)와;
    기포제를 제공하기 위해 기포제를 저장한 기포제 제공용 호퍼(13)와;
    폴리머를 제공하기 위해 폴리머를 저장한 폴리머 제공용 호퍼(14)와;
    옥을 제공하기 위해 옥을 저장한 옥 제공용 호퍼(16)와;
    물을 제공하기 위해 물을 저장한 물 제공용 호퍼(15)와;
    상기 황토 제공용 호퍼(11)로부터 황토를 제공받고, 시멘트 제공용 호퍼(12)로부터 시멘트를 제공받으며, 기포제 제공용 호퍼(13)로부터 기포제를 제공받고, 폴리머 제공용 호퍼(14)로부터 폴리머를 제공받고, 옥 제공용 호퍼(16)로부터 옥을 제공받으며, 물 공급통(15)으로부터 물을 제공받아 이들을 혼합한후 황토반죽을 출력하기 위한 믹서(20)와;
    상기 믹서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믹서 내부의 원적외선을 체크하여 원하는 만큼의 원적외선이 방출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원적외선 센서(30)와;
    상기 믹서로부터 출력되는 황토 반죽을 입력받으며, 제작된 금형의 형태에 따라 진동과 압력으로 압축 성형시키는 블록성형기(40)와;
    상기 블록성형기의 내측에 설치되며 직사각형 박스 형태의 거푸집을 구비하되 그 내측 중앙에 사각 파이프를 고정하여 사각 파이프가 내장되는 구들장 블록을 생성하는 구들장 블록 거푸집(41)과;
    상기 블록 성형기의 하부에 위치하며 블록 성형기로부터 낙하되는 구들장 블록 거푸집을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시키기 위한 파레트(50)와;
    상기 원적외선 센서의 측정결과를 분석하여 기준이하의 원적외선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제어부(70)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옥 제공용 호퍼(16)는,
    상기 믹서의 측면에 설치하되, 수직하게 설치되며 그 내부 공간부를 통해 옥을 공급하기 위한 제 1 옥 저장통(61)과, 상기 제 1 옥 저장통의 하부에 설치하되 경사지게 설치하며 제 1 옥 저장통을 통해 공급되는 옥을 믹서로 공급토록 믹서 몸체를 관통 설치하는 제 2 옥 저장통(62)과, 상기 제 1 옥 저장통(61)과 제 2 옥 저장통(62) 사이에 설치되어 옥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옥 공급 조절나사(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경보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경보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경보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제(1134a)와;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파이프 결합형 조립식 구들장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70003737U 2017-07-18 2017-07-18 사각 파이프 결합형 조립식 구들장 제조장치 KR2004862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737U KR200486237Y1 (ko) 2017-07-18 2017-07-18 사각 파이프 결합형 조립식 구들장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737U KR200486237Y1 (ko) 2017-07-18 2017-07-18 사각 파이프 결합형 조립식 구들장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237Y1 true KR200486237Y1 (ko) 2018-04-24

Family

ID=62079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737U KR200486237Y1 (ko) 2017-07-18 2017-07-18 사각 파이프 결합형 조립식 구들장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23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9781A (zh) * 2018-12-04 2019-03-19 佛山科学技术学院 自动称重容器
KR20230076183A (ko) * 2021-11-24 2023-05-31 신현창 건식 황토 구들장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065Y1 (ko) * 1995-06-22 1999-08-02 황만철 흙 온수 온돌 판넬
KR101618664B1 (ko) * 2016-01-11 2016-05-09 주식회사 책임건축 조립식 구들장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065Y1 (ko) * 1995-06-22 1999-08-02 황만철 흙 온수 온돌 판넬
KR101618664B1 (ko) * 2016-01-11 2016-05-09 주식회사 책임건축 조립식 구들장 제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9781A (zh) * 2018-12-04 2019-03-19 佛山科学技术学院 自动称重容器
CN109489781B (zh) * 2018-12-04 2020-11-24 佛山科学技术学院 自动称重容器
KR20230076183A (ko) * 2021-11-24 2023-05-31 신현창 건식 황토 구들장 제조방법
KR102541945B1 (ko) * 2021-11-24 2023-06-13 신현창 건식 황토 구들장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664B1 (ko) 조립식 구들장 제조장치
KR200486237Y1 (ko) 사각 파이프 결합형 조립식 구들장 제조장치
KR101618666B1 (ko) 조립식 구들장 제조방법
KR101850344B1 (ko) 조립식 구들장 제조방법
KR101855728B1 (ko) 사각 파이프 결합형 조립식 구들장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립식 구들장
KR20170119601A (ko) 사각 파이프 결합형 조립식 구들장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립식 구들장
KR20170119604A (ko) 사각 파이프 결합형 조립식 구들장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립식 구들장
KR20170119603A (ko) 사각 파이프 결합형 조립식 구들장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립식 구들장
KR101855727B1 (ko) 사각 파이프 결합형 조립식 구들장 제조장치 및 이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조립식 구들장
KR20170119596A (ko) 사각 파이프 결합형 조립식 구들장 제조장치 및 이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조립식 구들장
KR20170119597A (ko) 사각 파이프 결합형 조립식 구들장 제조장치 및 이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조립식 구들장
KR20170119595A (ko) 사각 파이프 결합형 조립식 구들장 제조장치 및 이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조립식 구들장
KR20170119598A (ko) 사각 파이프 결합형 조립식 구들장 제조장치 및 이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조립식 구들장
KR20170119599A (ko) 사각 파이프 결합형 조립식 구들장 제조장치 및 이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조립식 구들장
KR20170119600A (ko) 사각 파이프 결합형 조립식 구들장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립식 구들장
KR20170119602A (ko) 사각 파이프 결합형 조립식 구들장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립식 구들장
KR20190109158A (ko)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황토패널의 제조장치 및 상기 제조장치에 의해서 제조되는 황토패널
KR100272222B1 (ko) 건축 자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0486240Y1 (ko)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황토패널의 제조장치
KR101491091B1 (ko) 조명 빛이 발광되는 도자기 가습기
KR100656828B1 (ko) 장석과 백 시멘트와 펄프를 이용한 황토 판재의 제조방법
CN208451876U (zh) 一种用于蒸压灰砂砖的双重养护装置
KR100355186B1 (ko) 건축용 황토판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12066B1 (ko) 음이온을 방출하는 소금 고형체의 제조방법
ES2683949B1 (es) Mortero con aglomerante de cemento magnesio-fosfato y componentes procedentes de usos industria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