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091B1 - 조명 빛이 발광되는 도자기 가습기 - Google Patents

조명 빛이 발광되는 도자기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091B1
KR101491091B1 KR20140005231A KR20140005231A KR101491091B1 KR 101491091 B1 KR101491091 B1 KR 101491091B1 KR 20140005231 A KR20140005231 A KR 20140005231A KR 20140005231 A KR20140005231 A KR 20140005231A KR 101491091 B1 KR101491091 B1 KR 101491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storage container
water storage
weight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5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갑수
최용수
조상식
Original Assignee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40005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0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crocker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한 실내를 가습함으로 인한 쾌적한 실내 분위를 조성함과 동시에 야간에는 취침등으로 활용하고, 또 실내장식품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조명 빛이 발광되는 도자기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점토분말, 카올린분말, 페그마타이트분말, 제올라이트분말로 조성된 흙으로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공간(110)이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며 하단에 굽(120)이 형성된 사발모양의 물 저장용기(100)와, 그 물 저장용기의 내부에 안착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태의 통체(200)와, 상기 물 저장용기(100)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상부 중앙에는 손잡이(310)가 형성되고 그 손잡이의 하부 둘레 방향으로는 가습분출구(320)를 등 간격으로 형성시켜 된 동형의 뚜껑(300)으로 이루어진 가습기 본체(A); 상기 가습기 본체(A)를 형성하는 물 저장용기(100), 통체(200), 뚜껑(300)의 내/외부에 약토분말, 목재를 불에 태우고 남은 재, 페그마타이트분말, 제올라이트분말, 산화철분말, 망간분말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된 유약이 코팅된 유약 층(400); 상기 물 저장용기(100)의 내측 하부 중앙에 위치되는 조명 빛이 발광되는 가습발생수단(500); 상기 가습발생수단으로 전기를 공급 및 차단하는 전기공급수단(600)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조명 빛이 발광되는 도자기 가습기{Pottery dehumidifier}
본 발명은 건조한 실내를 가습함으로 인한 쾌적한 실내 분위를 조성함과 동시에 야간에는 취침 등으로 활용함과 동시에 실내장식품으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조명 빛이 발광되는 도자기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실내에 설치되어 습도를 조절하는 장치로서, 적정한 실내습도 유지가 필수인 병실, 실험실, 비닐하우스 등에서는 계절에 상관없이 항시 사용되는데, 특히, 건조한 시베리아 고기압과 난방의 빈도가 높은 겨울철에 많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습기는 크게 물을 가열하여 분사하는 가열식 가습기와 초음파 진동자를 1초에 수천~수만 번 진동시켜서 물을 안개입자로 상태변화시켜 실내로 분사하는 초음파식 가습기로 분류된다.
상기 가열식 가습기는 물을 끓어 분무하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우수하며, 실내온도 유지에 도움이 되고, 수증기로 분사되기 때문에 호흡기에 부담이 적은 장점이 있는 반면, 전기료가 많이 나오면서 분무량은 적고 특유의 소음과 화상의 위험이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초음파식 가습기는 물을 넣은 용기의 밑부분에서 초음파를 발생시켜 물을 작은 입자로 쪼개서 내뿜는 방식인데, 가장 전기료가 적게 들면서 분무량이 많고, 전원이 인가되면 가습 효과가 빠르고 소음이 적으며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초음파식 가습기의 수조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는데, 대체로 각이진 육면체 형상을 하고 있어 자주 세척하더라도 입구가 좁기 때문에 수조 내부의 모서리 부분의 청소가 용이하지 못하다.
이에 따라, 모서리 부분에서 증식되는 미생물과 세균이 그대로 실내로 분사되는데, 이렇게 분사된 수증기는 실내에 부유하는 먼지와 흡착된 상태로 호흡기로 유입되어 호흡기 질환이 있는 환자나 기관지가 아주 예민한 사람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조차 사용하기 꺼려하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초음파식 가습기의 수조에 물을 넣으려면 커버를 열고 물을 채운 후 열려있는 커버를 닫고 가습기 본체까지 다시 가져와야 하는데, 이렇게 가져오는 과정에서 커버의 틈새로 물이 세어나오게 되어 바닥에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첫째, 건조한 실내를 가습함으로 인한 쾌적한 실내 분위를 조성함과 동시에 야간에는 취침 등으로 활용함과 동시에 실내장식품으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조명 빛이 발광되는 도자기 가습기를 제공함에 있고,
둘째, 천연 흙인 점토, 카올린, 페그마타이트, 제올라이트로 조성된 흙으로 물 저장용기, 통체, 뚜껑을 형성하기 때문에 원전외선방사, 음이온방출, 탈취, 항균 작용으로 인체에 유익함을 주도록 한 조명 빛이 발광되는 도자기 가습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 구성은, 점토분말 60 - 75중량%, 카올린분말 15 - 20중량%, 페그마타이트분말 5 - 10중량%, 제올라이트분말 5 - 10중량%로 조성된 흙으로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공간(110)이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며 하단에 굽(120)이 형성된 사발모양의 물 저장용기(100)와, 상기 물 저장용기의 내부에 안착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태의 통체(200)와, 상기 물 저장용기(100)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상부 중앙에는 손잡이(310)가 형성되고 그 손잡이의 하부 둘레 방향으로는 가습분출구(320)를 등 간격으로 형성시켜 된 동형의 뚜껑(300)으로 이루어진 가습기 본체(A);
상기 가습기 본체(A)를 형성하는 물 저장용기(100), 통체(200), 뚜껑(300)의 내/외부에 약토분말 50 - 70중량%, 목재를 불에 태우고 남은 재 15 - 25중량%, 페그마타이트분말 5 - 7중량%, 제올라이트분말 5 - 7중량%, 산화철분말 4 - 7중량%, 망간분말 1 - 4중량%로 혼합된 유약이 코팅된 유약 층(400);
상기 물 저장용기(100)의 내측 하부 중앙에 위치되는 조명 빛이 발광되는 가습발생수단(500);
상기 가습발생수단으로 전기를 공급 및 차단하는 전기공급수단(60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뚜껑(300)의 하단 외주 연은, 상기 물 저장용기(100)의 상단 외주연보다 작게 형성시켜 상기 뚜껑(300)의 하단이 상기 물 저장용기(100)의 상부에 수용되게 구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조명 빛이 발광되는 도자기 가습기는.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건조한 실내를 가습함으로 인한 쾌적한 실내 분위를 조성함과 동시에 야간에는 취침 등으로 활용하고, 또 실내장식품으로조 활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천연 흙인 점토분말, 카올린, 페그마타이트, 제올라이트로 조성된 흙으로 물 저장용기, 통체, 뚜껑을 형성하기 때문에 원전외선방사, 음이온방출, 탈취, 항균 작용으로 인체에 유익함을 주도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명 빛이 발광되는 도자기 가습기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명 빛이 발광되는 도자기 가습기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명 빛이 발광되는 도자기 가습기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조명 빛이 발광되는 도자기 가습기 사용상태 사진.
본 발명의 조명 빛이 발광되는 도자기 가습기는, 점토분말 60 - 75중량%, 카올린분말 15 - 20중량%, 페그마타이트분말 5 - 10중량%, 제올라이트분말 5 - 10중량%로 조성된 흙으로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공간(110)이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며 하단에 굽(120)이 형성된 사발모양의 물 저장용기(100)와, 상기 물 저장용기의 내부에 안착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태의 통체(200)와, 상기 물 저장용기(100)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상부 중앙에는 손잡이(310)가 형성되고 그 손잡이의 하부 둘레 방향으로는 가습분출구(320)를 등 간격으로 형성시켜 된 동형의 뚜껑(300)으로 이루어진 가습기 본체(A);
상기 가습기 본체(A)를 형성하는 물 저장용기(100), 통체(200), 뚜껑(300)의 내/외부에 약토분말 50 - 70중량%, 목재를 불에 태우고 남은 재 15 - 25중량%, 페그마타이트분말 5 - 7중량%, 제올라이트분말 5 - 7중량%, 산화철분말 4 - 7중량%, 망간분말 1 - 4중량%로 혼합된 유약이 코팅된 유약 층(400);
상기 물 저장용기(100)의 내측 하부 중앙에 위치되는 조명 빛이 발광되는 가습발생수단(500);
상기 가습발생수단으로 전기를 공급 및 차단하는 전기공급수단(60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뚜껑(300)의 하단 외주 연은, 상기 물 저장용기(100)의 상단 외주연보다 작게 형성시켜 상기 뚜껑(300)의 하단이 상기 물 저장용기(100)의 상부에 수용되게 구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조명 빛이 발광되는 도자기 가습기에서 점토분말, 카올린분말, 페그마타이트분말, 제올라이트분말은, 가습기 본체(A)의 구성 품인 물 저장용기(100), 통체(200), 뚜껑(300)을 형성하는 흙으로써, 상기 점토분말, 카올린분말, 페그마타이트분말, 제올라이트분말의 사용이유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점토(clay)는, 암석 부스러기 또는 광물 알갱이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Al2O3, 2SiO2, 2H2O가 주성분이며 물과 혼화되면 점성이 현저히 증대되고, 습윤 상태에서 가소성이며, 고온으로 구우면 경화되는 것으로 벽돌, 기와, 타일, 토관, 도관, 테라코타, 위생 도기, 시멘트 등의 원료로 많이 쓰인다.
한편 상기 점토는 백자토, 청자토, 분청토, 옹기토 등 다양한 종류를 이용할 수 있는 데, 본 발명에서는 백토와 청자토를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그 혼합의 일 예는 백자토와 청자토를 중량비로 약 10:1로 혼합하여 이용한다.
상기 카올린(kaolin)은, 천연으로 생산되는 함수규산 알루미늄, 백색 또는 유백색의 분말이고, 물 및 조직액에 용해하지 않으며, 상피박탈제, 궤양, 창상면, 또는 습진과 같은 피부질환에 산포해서 피부를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하고 침출액을 흡착해 건조, 결가(結痂)를 촉진하는 흡착제로서 이용되며, 수렴, 소염, 지혈, 방부효과를 갖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물 저장용기(100)에 담겨지는 물의 방부효과를 누리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페그마타이트(pegmatite)는 석영, 장석, 운모 따위의 거친 입자의 결정으로 이루어진 화성암으로서, 마그마가 화강암으로 엉겨 굳은 다음, 남은 일부가 화강암보다 낮은 온도에서 엉겨 굳어서 이루어진 것으로 거정 화강암으로 불리우기도 한다.
이와 같은 페그마타이트(Pegamtite)는 마그마의 분화광상(分化鑛床) 생성물로서, 지구 표면에 존재하는 암석 중 유해파를 주로 차단하며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방출량이 많고, 음이온이 생성되는 것으로 인체의 약리작용을 누리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상기 페그마타이트는 단일 20종의 성분을 함유한 광물질로서 단독 방사체의 소재로도 충분히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원적외선 응용으로 작용하는 방사파장의 빛이 인체 깊숙이 침투하여 산화되기 쉬운 혈액을 알칼로이드화시키는 일반광물질 성분인 칼슘, 칼륨, 마그네슘 및 철등과 특수광물질 성분인 나트륨, 세륨, 셀레늄, 란타늄, 게르마늄 및 홀뮴 등의 알칼리성 이온을 띄는 성분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들 성분이 원적외선과의 작용으로 체내의 세포활성, 혈액순환촉진, 신진대사강화, 조직재생의 능력증가로 피로와 노화현상을 억제하는 효능을 나타내는 광물로 알려졌다.
이러한 페그마타이트는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사하기 때문에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 촉진 등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가진다. 원적외선은 인체에 방사되면 피부 속 4 ~ 5cm까지 심층으로 스며들고 세포를 60초에 2000번 이상 미세하게 흔들어 주는 진동을 통하여 세포조직을 활발하게 한다. 이러한 세포작용으로 열에너지를 분출하면서 얻어지는 효과로 노폐물 및 독성물질이 배출되며, 혈전을 분해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하면서 혈액정화작용을 한다.
상기 제올라이트(zeolite)는, 비석(沸石)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알칼리 및 알칼리토금속의 규산알루미늄 수화물인 광물을 총칭하는 말로 색깔은 무색 투명하거나 백색 반투명하다.
한편 상기 제올라이트, 결정구조적으로 각 원자의 결합이 느슨하여, 그 사이를 채우고 있는 수분을 고열로 방출시켜도 골격이 그대로 유지됨으로 다른 미립물질을 흡착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 성질을 이용해서 흡착제로 사용하며, 탈취 력과 항균력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페그마타이트 분말 등의 원료에 활용 혼합 조성하면 전자파를 차단하고 탈취와 항균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습기 본체(A) 구성품인 물 저장용기(100), 통체(200), 뚜껑(300)의 표면에 코팅되는 유약 층을 형성하는 유약은, 약토분말, 목재를 불에 태우고 남은 재, 페그마타이트분말, 제올라이트분말, 산화철분말, 망간분말의 사용이유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유약 층을 형성하는 이유는, 가습기 본체(A) 구성품인 물 저장용기(100), 통체(200), 뚜껑(300)의 표면에 광택을 부여하여 제품을 아름답게 함과 동시에 강도를 높이고 표면을 반질반질하게 하여 물때나 기타 이물질의 누적으로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며, 또 흡습성을 방지하고 화학약품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시키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작용을 하는 본 발명의 유약 층을 형성하는 유약의 조성물질에서
상기 약토(거름이 아주 잘된 오래 숙성된 논과 밭에서 채취한 농축된 흙 등)는, 도자기, 옹기 등을 제조할 때 그 도자기 옹기 등을 성형하고 구운 소지(素地) 위에 엷게 피복 후 소성하는 유약을 제조하는 원료로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이는 일반적인 것인바,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목재를 불에 태우고 남은 재, 산화철, 망간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습기 본체(A) 구성품인 물 저장용기(100), 통체(200), 뚜껑(300)의 색상 즉 우리나라 옹기 고유의 색상인 고동색을 표출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페그마타이트와 제올라이트는, 상기 가습기 본체(A)의 구성품인 물 저장용기(100), 통체(200), 뚜껑(300)을 형성하는 흙의 설명에서 설명한 효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습기 본체(A)의 구성품인 물 저장용기(100), 통체(200), 뚜껑(300)을 형성하는 점토분말, 카올린분말, 페그마타이트분말, 제올라이트분말의 조성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점토분말은, 본 발명의 물 저장용기(100), 통체(200), 뚜껑(300)을 형성하는 주원료이고, 카올린의 사용량은, 15 - 20중량%인데, 그 이유는, 15중량% 미만을 사용하면 물 저장용기(100), 통체(200), 뚜껑(300)을 형성(성형)할 때에 결가(結痂)력이 저하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20중량%를 초과하며 사용하면 결가(結痂)력이 너무 높아 성형성의 저해요인이 발생함으로 카올린의 사용량은 15 - 20중량%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그마타이트의 사용량은 5 - 10중량%인데 그 이유는, 5중량% 미만 사용하면 물 저장용기(100), 통체(200), 뚜껑(300)의 물성을 떨어트리고,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요 이상이 되므로 페그마타이트의 사용량은 5 - 10중량%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올라이트의 사용량은, 5 - 10중량%인데, 그 이유는, 5중량% 미만 사용하면 점토분말, 카올린분말, 페그마타이트분말의 흡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요 이상이 되므로 제올라이트의 사용량은 5 - 10중량%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약 층을 형성하는 유약의 조성비율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목재를 불에 태우고 남은 재, 산화철, 망간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습기 본체(A) 구성품인 물 저장용기(100), 통체(200), 뚜껑(300)의 색상 즉 우리나라 옹기 고유의 색상인 고동색을 표출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목재를 불에 태우고 남은 재는 15 - 25중량%이고, 산화철은 4 - 7중량%이며, 망간 1 - 4중량%인데, 그 미만을 사용하거나 초과하여 사용하면 옹기 고유의 색상인 고동색의 연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페그마타이트를 5중량% 미만 사용하면 유해파 차단 및 원적외선 방출과 음이온 생성이 목적 치에 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페그마타이트의 사용 량은 5 - 7중량%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올라이트의 사용량은 5 - 7중량%인데, 그 이유는, 5중량% 미만을 사용하게 되면 유약을 형성하는 타성분 즉 약토, 목재를 불에 태우고 남은 재, 페그마타이트, 산화철, 망간 등의 흡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함으로 제올라이트의 사용량은 5 - 7중량%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물 저장용기(100), 통체(200), 뚜껑(3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본 발명의 물 저장용기(100)는,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며 하단에 굽(120)이 형성된 사발모양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하단에 굽(120)을 형성하는 이유는, 지면에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하기 위함이고,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형성시킨 이유는, 물을 안정적으로 수용함과 동시에 미감을 높이고 뚜껑을 덮었을 때 그 뚜껑(300)의 안정적인 의지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통체(200)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통체(200)의 상부 및 하부를 개방시킨 이유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가습발생수단(500)에 의해 발생되는 가습이 뚜껑(300)의 가습분출구(320)로 유도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가습발생수단(500)에서 발광 되는 빛을 뚜껑(300)의 가습분출구(320)로 유도하여 빛이 외부로 발산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형성시킨 이유는, 저장용기(100) 내부에 안착되었을 때 그 물 저장용기(100)와 부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뚜껑(300)의 상부 중앙에는 손잡이(310)를 형성시켰는데, 그 이유는, 뚜껑(300)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고, 손잡이(310)의 하부 둘레 방향으로 가습분출구(320)를 등 간격으로 형성시킨 이유는, 가습발생수단(500)에 의해 발생되는 가습을 외부로 분출시킴과 동시에 가습발생수단(500)에서 발광 되는 빛이 외부로 조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뚜껑(300)은 상부로 볼록한 돔형으로 형성시켰는데, 그 이유는 뚜껑(300)을 물 저장용기(100)에 결합하였을 때 돔형을 형성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가습기 미관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뚜껑(300)의 하단 외주 연은, 상기 물 저장용기(100)의 상단 외주연보다 작게 형성시켜 상기 뚜껑(300)의 하단이 상기 물 저장용기(100)의 상부에 수용되게 하였는데, 그 이유는 뚜껑(300)이 물 저장용기(100)에 결합된 후 안정적인 결합 력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가습기 본체(A) 구성품인 물 저장용기(100), 통체(200), 뚜껑(300)은 상기 점토분말, 카올린, 페그마타이트, 제올라이트로 조성된 흙으로 성형하고 구운 소지(素地)에 통상의 방법으로 유약을 바르고 소성하는 방법으로 유약 층(400)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의 가습기 본체(A) 구성품인 물 저장용기(100), 통체(200), 뚜껑(300)은, 상기에서 설명한 점토, 카올린, 페그마타이트, 제올라이트의 효능(원적외선, 음이온, 탈취, 항균)을 발휘할 수 있음은 물론, 유약 층의 약토, 목재를 불에 태우고 남은 재, 페그마타이트, 제올라이트, 산화철, 망간에 의해 아름답고 강도가 높으며 표면이 반질반질하여 물때나 기타 이물질의 누적되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 흡습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물 저장용기(100)의 내측 하부 바닥면 중앙에는 조명 빛이 발광되는 가습발생수단(500)이 설치되는데, 상기 가습발생수단(500)은, 초음파 물 분쇄기(510)가 설치되고 그 초음파 물 분쇄기(510)의 주변에 LED램프(520)를 설치하여 된 본체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가습발생수단(500)은, 전기공급수단(600)과 연결 설치되어 전기가 공급되면 초음파 물 분쇄기(510)에서는 물 저장용기(100)에 수용된 물을 분쇄하여 가습을 하게 되고 LED램프(520)에서는 빛이 발광되어 실내의 은은한 빛을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기공급수단(600)은, 외부의 전기를 상기 초음파 물 분쇄기(510)와 LED램프(520)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과 그 전선의 끝단에 설치된 풀러그이며, 상기 전선에는 온/오프 스위치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조명 빛이 발광되는 도자기 가습기는, 건조한 실내를 가습함으로 인한 쾌적한 실내 분위를 조성할 수 있고, 또 야간에 취침등으로도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실내장식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100 : 물 저장용기 110 : 공간
120 : 굽 200 : 통체
300 : 뚜껑 310 : 손잡이
320 : 가습분출구 400 : 유약 층
500 : 가습발생수단 510 : 초음파 물 분쇄기
520 : LED램프 600 : 전기공급수단

Claims (4)

  1. 점토분말 60 - 75중량%, 카올린분말 15 - 20중량%, 페그마타이트분말 5 - 10중량%, 제올라이트분말 5 - 10중량%로 조성된 흙으로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공간(110)이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며 하단에 굽(120)이 형성된 사발모양의 물 저장용기(100)와, 상기 물 저장용기의 내부에 안착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태의 통체(200)와, 상기 물 저장용기(100)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상부 중앙에는 손잡이(310)가 형성되고 그 손잡이의 하부 둘레 방향으로는 가습분출구(320)를 등 간격으로 형성시켜 된 동형의 뚜껑(300)으로 이루어진 가습기 본체(A);
    상기 가습기 본체(A)를 형성하는 물 저장용기(100), 통체(200), 뚜껑(300)의 내/외부에 약토분말 50 - 70중량%, 목재를 불에 태우고 남은 재 15 - 25중량%, 페그마타이트분말 5 - 7중량%, 제올라이트분말 5 - 7중량%, 산화철분말 4 - 7중량%, 망간분말 1 - 4중량%로 혼합된 유약이 코팅된 유약 층(400);
    상기 물 저장용기(100)의 내측 하부 중앙에 위치되는 조명 빛이 발광되는 가습발생수단(500);
    상기 가습발생수단으로 전기를 공급 및 차단하는 전기공급수단(600)으로 구성되는 조명 빛이 발광되는 도자기 가습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300)의 하단 외주 연은, 상기 물 저장용기(100)의 상단 외주연보다 작게 형성시켜 상기 뚜껑(300)의 하단이 상기 물 저장용기(100)의 상부에 수용되게 구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빛이 발광되는 도자기 가습기.



KR20140005231A 2014-01-15 2014-01-15 조명 빛이 발광되는 도자기 가습기 KR101491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5231A KR101491091B1 (ko) 2014-01-15 2014-01-15 조명 빛이 발광되는 도자기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5231A KR101491091B1 (ko) 2014-01-15 2014-01-15 조명 빛이 발광되는 도자기 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091B1 true KR101491091B1 (ko) 2015-02-10

Family

ID=52591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5231A KR101491091B1 (ko) 2014-01-15 2014-01-15 조명 빛이 발광되는 도자기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0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5476A (ko) 2015-12-23 2017-07-03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벼루 기반 기능확장식 자연친화형 실내용품
KR20170115145A (ko) 2016-04-04 2017-10-17 문건 도자기형 조명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0421A (ko) * 1999-07-20 2001-02-15 김휘철 조명을 겸한 원적외선 가습장치
KR101076467B1 (ko) * 2008-11-12 2011-10-25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화분 및 그 제조방법
KR101328771B1 (ko) * 2011-03-18 2013-11-13 이구원 문경약돌을 사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0421A (ko) * 1999-07-20 2001-02-15 김휘철 조명을 겸한 원적외선 가습장치
KR101076467B1 (ko) * 2008-11-12 2011-10-25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화분 및 그 제조방법
KR101328771B1 (ko) * 2011-03-18 2013-11-13 이구원 문경약돌을 사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5476A (ko) 2015-12-23 2017-07-03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벼루 기반 기능확장식 자연친화형 실내용품
KR20170115145A (ko) 2016-04-04 2017-10-17 문건 도자기형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215B1 (ko) 숯 베개
KR101491091B1 (ko) 조명 빛이 발광되는 도자기 가습기
CN105060812A (zh) 一种可擦洗功能型硅藻装饰材料
CN106866103B (zh) 纳米防火装饰板及其制造方法
KR100387283B1 (ko) 건강 기능 벽돌
CN104847064A (zh) 一种保健瓷砖及其制备方法
KR101044928B1 (ko)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구조의 이동식 화장실
KR101132072B1 (ko) 암염 좌욕기
KR100951322B1 (ko) 황토석파우더를 이용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이 없는 건물의바닥과 벽면 및 천정면 시공방법
KR100796708B1 (ko) 기능성 타일의 조성물 및 그의 조성물로 형성된 타일.
KR100626716B1 (ko) 건축용 내장판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장판넬
KR200381632Y1 (ko) 황토판넬
KR20120043186A (ko) 내균열성이 우수한 황토몰탈 조성물
KR101140797B1 (ko) 코튼스프레이 컬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건축재
KR100736277B1 (ko) 건축물의 내부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JP2010101145A (ja) 壁面、天井等の装飾材
KR100674644B1 (ko) 건물용 황토방
KR100361555B1 (ko) 토르마린 함유층을 갖는 건축물 마감재 및 이를 이용한건물 시공방법
CN101054288A (zh) 托玛琳环保健康装饰砖
KR200394331Y1 (ko) 옥석부산물을 이용한 건축용 타일
KR100972090B1 (ko)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84096A (ko) 황토몰탈
KR20030008857A (ko) 황토와 활성탄을 이용한 단열벽돌 및 그 제조방법.
KR100885607B1 (ko) 기능성 숯
KR100301366B1 (ko) 온돌용 패널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