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158A -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황토패널의 제조장치 및 상기 제조장치에 의해서 제조되는 황토패널 - Google Patents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황토패널의 제조장치 및 상기 제조장치에 의해서 제조되는 황토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158A
KR20190109158A KR1020180031178A KR20180031178A KR20190109158A KR 20190109158 A KR20190109158 A KR 20190109158A KR 1020180031178 A KR1020180031178 A KR 1020180031178A KR 20180031178 A KR20180031178 A KR 20180031178A KR 20190109158 A KR20190109158 A KR 20190109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signal
chaff
infrared
output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식
Original Assignee
최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식 filed Critical 최용식
Priority to KR1020180031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9158A/ko
Publication of KR20190109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1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9/00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 B28C9/02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4Discharging the shap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shaping the material; Auxiliary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such shaping
    • B28B17/04Exhausting or laying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28B3/02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combined with vibrating or jo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3/00Apparatus or methods for mixing clay with other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07Pretreatment of the ingredients, e.g. by heating, sorting, grading, drying, disintegrating; Preventing generation of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9/00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 B28C9/002Mixing 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Making slurries; Involving methodical aspects; Involving pretreatment of ingredients; Involving packaging
    • B28C9/004Making slurries, e.g. with discharging means for injecting in a well or projecting against a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9/00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 B28C9/006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comprising a multicompartment silo with the mixing device, e.g. a mixing screw, fitted directly at the underside of the silo, e.g. with proportioning means at the exit of the silo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황토패널의 제조장치 및 상기 제조장치에 의해서 제조되는 황토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황토 제공용 호퍼를 구비하고, 우모 제공용 호퍼를 구비하며, 찹쌀가루액 공급통을 구비하고, 여기에 왕겨를 수직 절단하는 칼날부를 절단부와 수직 절단된 왕겨 제공용 호퍼를 구비하며, 상기 황토와 우모와 폴리머와 볏짚 및 왕겨를 믹싱하는 믹서를 구비하여 배합토를 믹싱후 틀에 고정시켜 황토패널을 제작하며, 특히 수직 절개한 왕겨를 혼합하여 수분함유율을 극대화시킴으로서 소음저검 및 습도조절에 최적화된 황토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황토패널의 제조장치 및 상기 제조장치에 의해서 제조되는 황토패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황토패널의 제조장치 및 상기 제조장치에 의해서 제조되는 황토패널{Manufacturing unit of panel for noise lowering}
본 발명은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황토패널의 제조장치 및 상기 제조장치에 의해서 제조되는 황토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황토 제공용 호퍼를 구비하고, 우모 제공용 호퍼를 구비하며, 찹쌀가루액 공급통을 구비하고, 여기에 왕겨를 수직 절단하는 칼날부를 절단부와 수직 절단된 왕겨 제공용 호퍼를 구비하며, 상기 황토와 우모와 폴리머와 볏짚 및 왕겨를 믹싱하는 믹서를 구비하여 배합토를 믹싱후 틀에 고정시켜 황토패널을 제작하며, 특히 수직 절개한 왕겨를 혼합하여 수분함유율을 극대화시킴으로서 소음저검 및 습도조절에 최적화된 황토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황토패널의 제조장치 및 상기 제조장치에 의해서 제조되는 황토패널에 관한 것이다.
통상 건축ㆍ토목재료(흙, 모래, 자갈, 시멘트, 기타 인조석 등) 및 그 표면마감재 즉, 마감용 모르타르(흙, 모래, 시멘트 등의 재료를 물과 함께 혼합한 상태 또는 타일, 벽돌 등과 같이 굳혀 일정규격과 모양으로 성형된 상태 등)를 이용하여 시공되는 각종 구조물은 그 구조물이 가져야 하는 견고성, 내구성, 보온성, 강도, 경도, 접착력 등과 같은 기능을 위한 목적 이외에는 별다른 기능은 가지고 있지 않는 실정에 있다.
그러나, 최근 가구당 소득의 증가와 더불어 주거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확산되면서 점차 주택시장에서도 소비자들은 주택의 기본적인 주거기능만으로는 만족하지 않고 보다 특별하고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뿐 아니라, 오염되고 열악한 도심의 환경에서도 늘 자연의 숲속과 같은 쾌적한 환경을 원하는 실정에 있으며,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부합하여 이제는 각종 건축ㆍ토목 구조물 시공시에도 이에 부응하여 각 건설업체에서는 각종자재의 고급화와 다양한 시공방법의 개발 등 수요자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각종 건설신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에 있고, 내장 마감분야의 일부인 표면마감재분야 역시 예외가 아니며, 아울러 각 건축업체간 차별화된 전략과 그에 상응하는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더욱 그러하다.
이와 같은 표면마감재분야의 전통적인 선행기술로는 강도와 편리성,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시멘트 모르타르가 주로사용되어 왔는데, 이러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경우 알카리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이로부터 일반적으로 시멘트독이라고 통칭되는 인체에 유해한 각종 성분이 많이 발산되고, 지나치게 조밀한 시멘트 입자에 의하여 공기를 유통시키지 못함으로써 통기가 불량하고 습도가 높아지며 실내에 세균이나 곰팡이가 번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일반적으로 건축물 내벽에 설치되거나 각 방을 구분하는 벽체는 콘크리트나 시멘트와 모래를 섞어 만든 벽돌 등으로 시공되고, 이러한, 콘크리트 벽체는 발포 폴리스틸렌 폼, 기포 콘크리트, 릭스폴 콘크리트 등의 단열층을 형성하고, 그 단열층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나 발포 폴리스틸렌 폼 또는 폴리에틸렌 필름나 마감 모르타르 등의 완충층을 형성하며, 선택적으로 암면이나 유리면 등의 단열층과 석고보드 등의 방음재를 추가하여 구성하는바, 종래의 콘크리트 벽체는 차폐성이 우수한 반면에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지 않으며, 발포 폴리스틸렌폼이나 콘크리트 등에서 지속적으로 유해물질이 발산되어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의 단열성이 낮음으로 인하여 추가되는 단열층으로 발포 폴리스틸렌 폼이나 완충층의 폴리에틸렌 필름은 열에 취약한 바, 연소시 유독가스를 유발하여 인명손실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건축물 철거시에는 발포 폴리스틸렌 폼, 폴리에틸렌 필름, 콘크리트, 암면, 유리면 등의 폐기물의 처리가 곤란한 바, 환경오염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황토를 내외장재로 사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황토 미장재와 및 황토미장법 등이 여러가지 방법으로 제시되었는데, 주로 황토의 주성분이 갖는 성질과 물질적 특징, 즉 낯은 친화성의 항상, 건조시나타나는 수축 균열의 보완, 강도의 항상 등을 목적으로 제시되었으며, 그 방법은 별도의 첨가물을 첨가하여 취약한 친화성과 강도를 보상하는 방법과 함께 미장법의 개선 등을 통하여 황토가 갖는 물질적 구조 문제를 보완하여 건축용 미장재로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특허공개 공개번호 2001-0099082호에 소개된 "황토 미장재"는 자연황토에 종이섬유와 분쇄왕겨를 일정비율로 배합한 황토 미장재로 제조하여 미장 작업과 응고에서 황토의 균열을 방지하고 황토의 강도를 높히도록 한 것이나, 종이와 왕겨로 되는 첨가물이 황토와 혼합될 때 재료들의 친화성이 떨어져 만족할만한 미장재를 얻을 수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0383566호의 "소성황토를 포함하는 미장재"는 시멘트, 콘크리트 건물의 접착면에서 황토의 이탈, 박리, 균열, 강도문제를 해결하고, 손쉽게 시멘트, 콘크리트 건물 표면에 황토 미장을 할수 있게 한 것으로, 1100℃ ~ 1200℃ 온도에서 5 ~ 8시간 소성한 황토분말 35중량% ~ 50중량%, 250 ~ 300mesh생석회 10 ~ 20중량%, 250 ~ 300mesh 아크릴수지 또는 멜라민수지 분말 5중량%, 제올라이트, 맥반석 또는 게르마늄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 5 ~ 25중량%을 혼합, 교반하여 소성황토를 포함하는 미장재로 만들어진 것이나, 아크릴,멜라민 수지를 첨가물로 사용함으로서 인체에 대한 안정성이 문제로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0470079호의 "균열방지를 위한 황토미장방법"의 기술은, 황토에 특정 물질과 구조체를 적용하여 벽구조물에 대한 미장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시멘트로 미장된 벽면에 황토모르타르를 미장하였을 때 벽면에 생기는 균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시된 것이다. 이 기술은 황토미장재를 벽면에 먼저 도포하고 그 위에 화이버글라스매트를 덮은 다음 다시 황토미장재를 도포하여 화이버글라스매트를 매설함으로써 황토미장재의 균열을 방지하는 것이었다.
또한, 종래의 황토를 이용한 패널 제조방법으로는 황토와 톱밥을 풀로 반죽하여 흙패널을 찍어내는 방법 (특2001-0007954), 황토, 옥, 맥반석, 대나무숯 등을 분말로 제조하여 석회, 굴패각, 느릅나무 추출액을 가하여 흙패널을 제작하는 방법(특2001-0069281), 황토, 볏짚을 원료로 성형하여 건조시키는 방법(특1999-0049674), 황토에 소금, 숯 및 도박접착제, 해초, 약초를 첨가하고 성형하는 방법(특2000-0033318), 황토, 참숯가루, 짚을 원료로한 황토패널을 성형하는 방법(특2000-0073333), 알칼리성 정제수를 만들고 난 황토에 석회분말, 마직포, 참숯가루를 첨가하여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특2000-0012566), 황토분말에 해초를 넣은 황토패널을 제조하는 방법(특1999-0085569), 느릅나무 껍질, 소나무 뿌리, 약쑥, 당귀로부터 얻은 엑기스에 황토, 삼, 솔잎, 볏짚을 가미하여 황토타일, 몰탈, 패널, 구들을 제조하는 방법(특2001-0083811), 7가지의 복층구조를 갖는 건강주택시공방법 (10-2001-0025367) 등이 개시되어 있다.
위의 개시된 방법들은 황토와 천연재료를 이용한 여러 가지 방법이 제시하고 있으며, 시공방법 또한 나름대로의 창의성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황토 공급용 호퍼와 우모 공급용 호퍼와 찹쌀가루액 공급통과, 볏짚 공급용 호퍼를 구비하고, 여기에 왕겨를 수직절단하는 절단장치를 구비하고 수직 절단된 왕겨를 제공하는 호퍼를 구비한후, 이들을 혼합할 믹서를 구비하여 배합토를 형성시키고, 상기 배합토를 일정한 틀에 삽입후 자연건조하여 제작함으로서 소음 저감능력이 뛰어나고 동시에 습도 조절능력이 뛰어난 자연 친환경적인 황토패널을 제작토록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황토를 제공하기 위해 황토를 저장한 황토 제공용 호퍼(11)와; 볏짚을 제공하기 위해 볏짚 제공용 호퍼(12)와; 왕겨를 제공하기 위한 왕겨 제공용 호퍼(13)와; 우모를 제공하기 위한 우모 제공용 호퍼(14)와; 찹쌀가루액을 제공하기 위한 찹쌀가루 제공용 호퍼(15)와; 상기 황토 제공용 호퍼(11)로부터 황토를 제공받고, 볏짚 제공용 호퍼(12)로부터 볏짚을 제공받으며, 왕겨 제공용 호퍼(13)로부터 왕겨를 제공받고, 우모 제공용 호퍼(14)로부터 우모를 제공받고, 찹쌀가루액 제공용 호퍼(15)로부터 찹쌀가루액을 제공받아 이들을 혼합한후 황토패널반죽을 출력하기 위한 믹서(20)와; 상기 믹서로부터 출력되는 황토 반죽을 입력받으며, 제작된 금형의 형태에 따라 진동과 압력으로 압축 성형시키는 블록성형기(40)와; 상기 블록성형기 아래로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하면서 블록성형기로부터 출력되는 황토블록을 담아 이송시키는 파레트(5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왕겨 제공용 호퍼(13)에 제공되는 왕겨는, 최초로 왕겨를 삽입시켜 저장하는 왕겨 적재함(101)과; 상기 왕겨 적재함의 하단에 위치되며 왕겨 적재함에 담긴 왕겨를 다른 장소로 이송시키기 위해 바람을 제공하는 송풍기(102)와; 상기 송풍기에 연결되며 송부기를 통해 왕겨를 제공받되 내부에서 왕겨가 회전되면서 서서히 공급되도록 하는 왕겨 회전공급통(103)과; 상기 왕겨 회전공급통의 하단에 위치되며 호퍼를 통해 왕겨를 제공받고 내부 칼날을 이용하여 왕겨를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시키는 왕겨 수직 절단용 칼날부(104)와; 상기 왕겨 수직 절단용 칼날부에 삽입설치되며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105)와; 상기 모터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모터의 회전에 상응하여 수평 회전하는 수평 칼날부(106)와; 상기 수평 칼날부의 끝단부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수평 칼날부의 회전에 상응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왕겨를 수직 절단시키는 수직 칼날부(107)를 통해 제작하며; 상기 왕겨 수직 절단용 칼날부 일단에 설치되어 먼지를 측정하는 먼지 측정수단과; 상기 먼지 측정수단에 의해서 먼지가 기준이상 검출되면 알림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먼지 측정수단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는 구성하고;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액추에이터(3)에 권취되어 소정거리 이격되게 장착되는 다수의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인접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용 전자석(2d,2e,2f)로 이루어지는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2)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에 전류를 흘려 자성을 형성시키고 이 자성에 의해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 사이에 척력과 인력을 발생시켜 액추에이터(3)를 구동시키는 송신 제어부(1)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하단에 설치되어 적외선 송신기를 전후로 유동시키는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4)과; 상기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에 설치되는 적외선 송신기의 출력을 변동시키기 위한 오목렌즈군(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4)은, 액추에이터(3)의 일측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오목렌즈군(5)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외부로 출력하는 적외선 송신용 소자(4a)와, 상기 적외선 송신용 소자(4a)를 유동시키기 위한 이동바(4b)와, 상기 이동바를 움직여서 적외선 송신용 소자를 좌우로 유동시키는 솔레노이드(4c)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3)의 하단에는, 작동 민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끼움용 홀(6a)과, 상기 끼움용 홀에 삽입 설치되는 제 1 내지 제 3 무게조절핀(6b)을 포함하는 움직임 속도 조절수단(6)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오목렌즈군(5)은,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의 움직임 작동에 의해서 함몰 정도가 다른 렌즈가 선택되면서 다른 강도의 적외선 광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25도인 제 3 오목렌즈(5c)와;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15도인 제 2 오목렌즈(5b)와;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며 제 2 오목렌즈(152)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5도인 제 1 오목렌즈(5a)와;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35도인 제 4 오목렌즈(5d)와;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4 오목렌즈(5d)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45도인 제 5 오목렌즈(5e)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키는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Q1)와;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동작에 상응하여 동작하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Q2)와;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키는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Q3)와;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Q4)와;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RL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신신호가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통해 출력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통신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통신상태를 지속시키는 통신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통신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제 1 탄성유지수단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서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제 1 탄성유지수단이 겹쳐지면서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어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고, 이때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1131)이 동작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통신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제 1 탄성유지수단(1133)이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유지수단(1133a)과;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통신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통신신호 출력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통신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황토 공급용 호퍼와 우모 공급용 호퍼와 찹쌀가루액 공급통과 볏짚 공급용 호퍼를 구비하고, 여기에 왕겨를 수직절단하는 절단장치를 구비하고 수직 절단된 왕겨를 제공하는 호퍼를 구비한후, 이들을 혼합할 믹서를 구비하여 배합토를 형성시키고, 상기 배합토를 일정한 틀에 삽입후 자연건조하여 제작함으로서 소음 저감능력이 뛰어나고 동시에 습도 조절능력이 뛰어난 자연 친환경적인 황토패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직 절단된 왕겨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직 절단된 왕겨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직 절단된 왕겨를 제작하기 위한 칼날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먼지측정수단 및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을 구성하는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을 이용하여 먼지를 측정하는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의 유동을 위한 동작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오목렌즈 각도 측정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1 오목렌즈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2 오목렌즈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3 오목렌즈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4 오목렌즈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5 오목렌즈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오목렌즈 중심부 함몰각에 따른 광세기 그래프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17은 도 16의 요부 확대도.
도 18은 본 발명의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동작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직 절단된 왕겨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직 절단된 왕겨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직 절단된 왕겨를 제작하기 위한 칼날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먼지측정수단 및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을 구성하는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을 이용하여 먼지를 측정하는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의 유동을 위한 동작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오목렌즈 각도 측정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1 오목렌즈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2 오목렌즈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3 오목렌즈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4 오목렌즈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5 오목렌즈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오목렌즈 중심부 함몰각에 따른 광세기 그래프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17은 도 16의 요부 확대도.
도 18은 본 발명의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동작 예시도로서,
황토는 인류의 4대 문명의 발상지가 동일하게 황토지역으로 알려진바 와같이 인류가 필요한 조건 하에 있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이는 황토가 생태계에 기여하 는 역할이 지대하다는 것은 미루어 짐작할만하다. 현금(現今)에도 해양적조현상에 황토를 투입하여 적조현상의 학산을 저지하고 있으며 또한 황폐된 논(沓)에도 객토라 하여 황토를 주입하여 논의 지질을 교정하고있다. 옛날 우리나라의 솥걸이 부뚜막의 황토는 복룡간(伏龍肝)이라 하여 부인병, 중풍, 설사, 이질, 소나 말에 옴이나 종기가난 곳에 의료용으로 이용한 사실은 의서인 한약집성방, 동의보감등에 기술되어있다. 또한 산삼과 송이버섯은 황토땅이 아니면 자라지 않는다. 이러한 생기를 갖는 황토를 우리 선조들은 적절하게 잘 이용해왔다.
황토는 습도가 높을 때 습기를 흡수해주고 건조할 시에는 습기 발산을 함으로써 사용자 주변의 습도를 자동적으로 조절해 주는 기능을 가지며, 음식냄새, 담배냄새 등 기타 유해한 냄새를 신속히 흡수함으로써 탈취효과가 우수하며, 곰팡이 및 인체에 유해한 각종 균류의 서식을 방지하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인 강알칼리성분을 흡수하며 중화시켜 주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황토는 인체에 유익한 미생물이 살아 숨 쉬면서 주변 환경을 정화시켜 줌과 동시에 인체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며 세포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생육을 촉진하는 작용을 하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황토의 결정구조 및 형상의 분류는 카올린 광물에 근접한다. 카올린광물은 점토광물을 대표하는 광물로써 황토의 주요성분 광물로 황토속에 많이 함유되어 있고, 주된 카올린 광물은 고령토라 불리는 카올린(Kaolin)이다. 우리나라 카올린은 거의 모두 할로이사이트(halloysite)로 되어있으며, 대부분 관상(管狀) 결정체로 되어있다. 황토는 고령토층의 표토로서 Fe2O3 를 7∼15% 정도로 많이 함유하고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색상은 적갈색으로 내화도가 낮아 내화물, 도자기공업에 이용되지 못하는 저급의 고령토이다.
할로이사이트(Halloysite)의 기본조성은 카올린나이트(Kaolinite)와 같지만 과잉의 수분을 함유하여 Al2O3 ·2SiO2 ·4H2O로 되어 있으며 결정도가 낮은 광물이다. 카올린족 광물은 모두 층상의 규산염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SiO4 ]-4 사면체가 정점을 서로 연결하여 이차원적으로 넓혀진 육각 망목상이 Si-O층을 골격으로 하고, 나머지 한 개의 정점은 그 층상격자 사이에 들어가는 Al 이온이 O2- 나 OH- 를 6배위한 팔면체층과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황토는 하동옥종지역의 광산원광을 250℃로 건조한 후 분쇄가공한분말이며, 할로이사이트(Halloysite)가 주광물이고, α-Quartz가 2차상으로 존재하며, Fe2O3 가 7%이상 함유하고 있으며 평균입경은 10∼30㎛이다.
상기에서 볏짚은 값싸고 흔한 소재로서 그 자체로서 내구성이나 강도에 매우 취약한 재료이나 섬유조직이 황토 및 접착제와 함께 결합되어 고형화 됨으로서 높은 강도를 발휘하게 되고, 각각의 볏짚이 서로 얽힌 상태로 결합됨으로서 부직조직과 같은 인장력을 발휘하며, 다공조직으로서 내외장재의 경량화에 기여하고, 보온과 보습효과를 갖는다.
볏짚의 절단 길이는 굳이 제한될 필요는 없으나 1cm이상 되면 접착제 및 황토의 침투성이 용이하지 못하고 혼합시간이 많이 걸리며, 1cm이하가 되면 볏짚상호간의 응착력이 감소되어 강도저하를 초래함으로 1cm내외가 가장 바람직하다.
황토는 볏짚내부에 형성된 공간과 볏짚조직에 스며들어 접착제에 의해 고형화됨으로서 볏짚조직의 강도를 보강하고, 황토 자체의 특성에 의해 불연성,보온성,방음성,방습 및 방충효과를 갖는다.
접착제는 볏짚과 황토를 응착시키기 위한 수지계 바인더로서 황토와 함께 볏짚조직에 스며들어 볏짚을 고형화 시키고 얇은 피막을 형성하여 수분과의 접촉에 따른 황토조직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볏짚의 혼합비는 내외장재의 중량에 영향을 미치고, 황토 및 접착제의 혼합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볏짚함량이 높을 수록 황토의 함량은 낮아지기 때문에 완성된 내외장재의 중량은 가벼워지고, 볏짚에 의한 보온성과 단열성능은 증가되나 강도가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찹쌀가루액은 친환경 접착제로 활용하기 위해 혼합시키는 것으로서, 찹쌀가루의 원료가되는 찹쌀은 떡이나 약식, 전병 등의 재료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찹쌀의 주성분인 전분이 주로 아밀로펙틴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멥쌀보다도 소화가 용이하여 소화기능이 약한 사람이 먹으면 소화가 잘되어 비만을 예방하고 다이어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찹쌀의 영양성분은 찹쌀 100g에 니아신 1.60mg, 나트륨 3.00mg, 단백질 7.40g, 당질 81.20g, 레티놀 0.001㎍, 베타카로틴 0.002㎍, 비타민 A 0.002㎍RE, 비타민 B1 0.14mg, 비타민 B2 0.08mg, 비타민 B6 0.10mg, 비타민 C 0.002mg, 비타민 E 0.40mg, 식이섬유 0.60g, 아연 1.16mg, 엽산 6.80㎍, 인 151.00mg, 지질 0.40g, 철분2.20mg, 칼륨 191.00mg, 칼슘 4.00mg, 콜레스테롤 0.002mg, 회분 0.70g 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찹쌀은 비타민 B와 무기염류가 풍부하여 고혈압, 동맥경화의 성인병을 예방하고, 임산부의 입덧을 줄여 주고 산후증을 없게 해주며, 젖을 돌게 하여 모유수유에 도움을 주고, 비타민 B가 풍부하여 피부를 좋게 하고, 현미외피의 주성분인 피친산과 섬유소는 인체에 축적되기 쉬운 수은 등의 중금속을 배설시키는 작용을 하여 피부미용 및 해독작용에 효과가 있고, 대변량을 증가시키고 대변의 장내 통과시간을 단축시켜 대장암 예방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찹쌀가루액은 95℃로 일정시간 가열하여 신속하게 급속 냉각처리하며, 상기 냉각처리에 의해 혼합물은 접착력이 상승하게 된다.
즉, 찹쌀가루가 물과 반응하여 접착성분이 발생하고 급속 냉각절차에 의해 접착력이 활성화가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우모는 부식이 없고 황토의 갈라짐을 방지하며, 우모 사이로 통풍을 위한 통로 역할을 수행하며 산소를 공급한다. 우모(牛毛)를 5 내지 15 부피%로 함께 배합하는 바, 이 또한 황토패널을 제조시에 갈라짐을 방지하기 위함인 바, 상기 범위 외의 양으로 배합시 갈라짐의 발생이 과도하였다. 이러한 우모 대신에 마모(馬毛)도 동일한 양으로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왕겨에는 조섬유가 35 내지 46%, 가용성 당질이 22 내지 35%, 회분이 13 내지 21%, 조단백질이 2 내지 3%함유되어 있으며, 왕겨에서 나오는 회분의 90% 이상이 실리카이고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이 비교적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황토패널 제작 장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황토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황토를 제공하기 위해 황토를 저장한 황토 제공용 호퍼(11)와;
볏짚을 제공하기 위해 볏짚 제공용 호퍼(12)와;
왕겨를 제공하기 위한 왕겨 제공용 호퍼(13)와;
우모를 제공하기 위한 우모 제공용 호퍼(14)와;
찹쌀가루액을 제공하기 위한 찹쌀가루 제공용 호퍼(15)와;
상기 황토 제공용 호퍼(11)로부터 황토를 제공받고, 볏짚 제공용 호퍼(12)로부터 볏짚을 제공받으며, 왕겨 제공용 호퍼(13)로부터 왕겨를 제공받고, 우모 제공용 호퍼(14)로부터 우모를 제공받고, 찹쌀가루액 제공용 호퍼(15)로부터 찹쌀가루액을 제공받아 이들을 혼합한후 황토패널반죽을 출력하기 위한 믹서(20)와;
상기 믹서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믹서 내부의 원적외선을 체크하여 원하는 만큼의 원적외선이 방출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원적외선 센서(30)와;
상기 믹서로부터 출력되는 황토 반죽을 입력받으며, 제작된 금형의 형태에 따라 진동과 압력으로 압축 성형시키는 블록성형기(40)와;
상기 블록성형기 아래로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하면서 블록성형기로부터 출력되는 황토블록을 담아 이송시키는 파레트(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왕겨를 수직하게 2분할 또는 그 이상으로 분할하고, 분할이 이루어진 왕겨를 호퍼에 주입하여 황토패널을 제작하는바, 이하에서 왕겨를 수직 분할하는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왕겨를 수직 분할하는 장치는 크게 왕겨 적재함(101)과, 송풍기(102)와, 왕겨 회전공급통(103)과, 왕겨 수직절단용 칼날부(104)와, 모터부(105)와, 수평 칼날부(106)와, 수직 칼날부(107)로 이루어진다.
상기 왕겨 적재함(101)은 최초로 왕겨를 삽입시켜 저장하는 장치로서 호퍼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송풍기(102)는 왕겨 적재함의 하단에 위치되며 왕겨 적재함에 담긴 왕겨를 다른 장소로 이송시키기 위해 바람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상기 왕겨 회전공급통(103)은 송풍기에 연결되며 송부기를 통해 왕겨를 제공받되 내부에서 왕겨가 회전되면서 서서히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왕겨 수직 절단용 칼날부(104)는 왕겨 회전공급통의 하단에 위치되며 호퍼를 통해 왕겨를 제공받고 내부 칼날을 이용하여 왕겨를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모터부(105)는 왕겨 수직 절단용 칼날부에 삽입설치되며 회전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수평 칼날부(106)는 모터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모터의 회전에 상응하여 수평 회전한다.
상기 수직 칼날부(107)는 수평 칼날부의 끝단부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수평 칼날부의 회전에 상응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왕겨를 수직 절단시킨다.
아울러 본 발명은 호퍼로부터 제공되는 구성성분이 일정량만큼씩만 낙하하도록 설계되는바, 황토분말 중량대비 13 - 15중량%의 볏짚을 믹서에 투입하고, 상기 황토분말 중량대비 7 - 10중량%의 왕겨를 믹서에 투입하며, 상기 황토분말 중량대비 5 - 15중량%의 우모를 믹서에 투입하고, 상기 황토분말 중량대비 1 - 2중량%의 찹쌀가루액을 투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배합토를 패널용 형틀에 채운후 배합토가 균열됨이 없도록 2-3일 자연건조시켜 상기 황토반죽이 건조되도록 하는 자연건조시킨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수분흡수에 핵심역할을 하는 왕겨는 몸체 전체를 통해 수분을 흡수하며, 통상 수부 흡수율이 200% 이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왕겨는 세웠을때 가로방향이 짧은 단축과 세로방향이 긴 장축으로 이루어져 대략 타원형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쌀알갱이가 빠져 나간 상태에서는 일단 내부 공간부가 존재하나, 황토 분말과 혼합 과정에서 내부 공간부가 없이 전면과 후면이 겹쳐진 상태를 가지게 된다.
즉, 쌀알갱이가 제거된 왕겨를 황토분말과 혼합하였을때, 실제로 황토분말과 접촉하는 왕겨 부분을 살펴보면 외부와 접촉면적이 전면 전방과 후면 후방으로서 단지 2개면에 불과하기 때문에 수분 흡수율이 비교적 높지 않게 된다.
다시말해서, 왕겨의 외측에 황토분말이 접면되기 때문에 왕겨의 몸체에 접촉되면서 압력을 가하게 되어 왕겨의 전면과 후면이 밀착되므로 왕겨의 내측면은 황토와 접면되지 못하고 단지 왕겨의 전면과 후면에서만 수분 흡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왕겨를 절단하는 공법을 이용하나, 왕겨를 세운 상태에서 수평 절단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수평 방향으로 2분할 또는 3분할 하더라도 왕겨는 전면과 후면이 겹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부 단면 또한 하부 단면을 통해 황토분말과 접촉하는 면이 더 발생되어 이 면을 통해 수분흡수가 더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지 조금의 수분흡수율이 더 늘어날 뿐이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왕겨를 세운 상태에서 수직 절단하여 2개 이상의 수직 절개면을 형성토록하며, 이에 따라 왕겨가 수직 절단되어 각각 분할됨으로서 분할면 각각의 전면과 후면이 황토와 접면되기 때문에 수분흡수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왕겨를 수직하게 세운 상태에서 수직 절단하게 되면 겹쳐지는 영역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절단된 왕겨의 전면과 후면 모두를 통해 황토분말과 접촉하게 되므로 수분 흡수율일 극대화되는 것이다.
다시말해서, 종래에는 왕겨가 3차원 형태로 존재하되 통상 수평 절단에 의해 무작위로 절단하게 되며, 그렇게 절다하더라도 전면과 후면이 달라붙어 겹치게 됨으로서 황토분말과의 접촉면이 작게 형성되어 수분 흡수율을 높이지 못하지만, 본 발명은 왕겨를 수직 분할하기 때문에 분할면의 전면과 후면을 통해 모두 황토분말과 접촉되어 수분흡수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왕겨를 수직분할하되 2분할 이상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분할 이상으로 분할하게 되면 겹쳐진 면이 없이 모든 면에서 황토분말을 접촉하게 된다.
즉, 왕겨를 수직방향으로 절단하되 수직 가로방향 또는 수직 세로방향으로 절단하여 2분할 시키게 되면 왕겨 본체가 겹쳐지는면이 없기 때문에 절단면 전체의 전면과 후면 그리고 테두리면이 모두 황토 분말과 접촉하게 되어 수분 흡수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물론, 4분할 이상 5분할이나 6분할 또는 그 이상 분할이면 절단면이 모두 황토분말과 접촉되므로 수분 흡수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왕겨를 절단하여 황토 분말과 혼합하여 배합토를 제작토록하되 왕겨를 세운 상태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수직 가로방향과 수직 세로방향으로 2분할 또는 4분할토록함으로서 각 분할된 절단면의 전면과 후면 및 테두리면이 황토분말과 모두 접촉함으로서 수분 흡수율을 높이도록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을 이용하여 황토패널을 제작하게 되면 습도 조절능력이 극대화되는 황토패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왕겨 수직 절단용 칼날부의 일단에 먼지 감지수단을 더 설치하여 하우징 내부의 오염을 채크하여 하우징 내부가 오염된 경우 조치를 취하도록함으로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즉, 왕겨 수직 절단용 칼날부에는 왕겨의 분쇄로 인하여 먼지가 많이 발생할 수 있는바, 일정 이상의 먼지가 발생하는지를 설치하여 상기 먼지 측정수단(2000)을 통해 먼지를 파악하고, 기준 이상의 먼지가 검출되면 경보신호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먼지 발생을 억제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먼지 측정수단(2000)에 의해서 측정된 데이터는 먼지 측정 계산부(3000)로 전송되며, 먼지 측정 계산부(3000)는 먼지 측정수단에 의해서 측정된 데이터를 계산하여 디스플레이(4000)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2000)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먼지 측정 제어부(C)로부터 적외선 송신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적외선 송신량을 결정하여 변화된 적외선 송신량을 출력한다.
즉, 적외선 수신수단(B)의 결과값을 먼지 측정 제어부(C)에 전송하면,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데이터를 근거로 먼지 발생량을 예측하고, 먼지 발생량에 따라서 적외선 송신수단(A)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적외선 송신량을 조절하여 출력토록 유도하는 것이다.
즉, 먼지 측정 제어부에서 적외선 수신수단에서 출력되는 광량 데이터를 읽고, 이를 근거로 적외선 발광수단의 광량을 자동 제어하여 감도조절이 자동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먼지로 인한 오염 상황에서도 먼지 검출을 최적의 감도상태로 유지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시말해서,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수신 광량이 미약하면 오염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보다 정밀한 먼지 측정을 위해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높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적외선 수신수단(C)의 수신 광량이 너무 세면 오염이 없는 상태이나 정밀한 측정이 어려워지므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낮추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즉, 적외선 송신 광량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적외선 수신수단을 통해 측정되는 적외선량이 정확해져서 먼지 발생량을 보다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먼지 측정 제어부에 의해서 측정되는 먼지량 데이터는 신뢰도가 높은 먼지 측정 결과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적외선 송신수단의 광량 변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먼지 측정 제어부(C)가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송신 제어부(1)에서 이를 인지하여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을 구동하여 가장 적절한 적외선 송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2)은 액추에이터(3)에 권취되어 소정거리 이격되게 장착되는 다수의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인접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용 전자석(2d,2e,2f)으로 이루어져,
송신 제어부(1)의 신호가 인가되면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에 전류가 흘러 자성이 형성되고 이 자성에 의해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 사이에 척력과 인력이 발생하여 액추에이터(3)를 구동하게 된다.
상기 엑츄에이터(3)는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2)의 유동에 의해서 적외선 출력을 제한하기 위한 오목렌즈군이 다수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를 수행하는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4)은, 엑츄에이터(3)의 일측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오목렌즈군(5)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외부로 출력하는 적외선 송신용 소자(4a)와, 상기 적외선 송신용 소자(4a)를 유동시키기 위한 이동바(4b)와, 상기 이동바를 움직여서 적외선 송신용 소자를 좌우로 유동시키는 솔레노이드(4c)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서 엑츄에이터(3)의 이동시 솔레노이드(4c)에 제공되는 전원인가에 의해서 적외선 송신용 소자(4a)가 좌우로 유동된다.
상기 적외선 송신용 렌즈군(5)은 작동봉에 다수개 배열되어 이루어지되,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의 움직임 작동에 의해서 함몰 정도가 다른 렌즈가 선택되면서 다른 강도의 적외선 광을 출력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는 제 3 오목렌즈(5c)를 통해 적외선 광을 출력토록하며,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제 3 오목렌즈(5c)의 윗쪽에 설치되는 제 2 오목렌즈(5b)를 통해 광을 출력하고,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제 2 오목렌즈(5b)의 윗쪽에 설치되는 제 1 오목렌즈(5a)를 통해 광을 출력한다. 그리고,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제 3 오목렌즈(5c)의 아랫쪽에 설치되는 제 4 오목렌즈(5d)를 통해 광을 출력하고,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제 4 오목렌즈(5d)의 아랫쪽에 설치되는 제 5 오목렌즈(5e)를 통해 광을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오목렌즈군은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의 움직임 작동에 의해서 함몰 정도가 다른 렌즈가 선택되면서 다른 강도의 적외선 광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바, 제 3 오목렌즈(5c)는 기본적으로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2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2 오목렌즈(5b)는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1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1 오목렌즈(5a)는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며 제 2 오목렌즈(5b)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4 오목렌즈(5d)는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3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5 오목렌즈(5e)는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4 오목렌즈(5d)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45도로 형성시킨다.
적외선의 광을 높여야할 경우 엑츄에이터(3)을 상승시키고 적외선 광을 줄여야 할 경우 엑츄에이터(3)를 하강시키는 동작을 실시한다.
작동봉의 1단계 하강을 위한 제어시 송신 제어부(1)에서 제1고정용 전자석(2d)-제1유동용 전자석(2a), 제2고정용 전자석(2e)-제2유동용전자석(2b), 제3고정용전자석(2f)-제3유동용전자석(2c)에는 척력 신호를 주고, 제2고정용전자석(2e)-제1유동용전자석(2a), 제3고정전용자석(2f)-제2유동용전자석(2b)에는 인력 신호를 주면 엑츄에이터(3)가 하강하여 제2고정용전자석(2e)의 위치에 제1장착용전자석(2a)이, 제3고정용전자석(2f)의 위치에 제2장착용전자석(2b)이 위치된다. 이에 따라 작동봉이 1단계 하강하게 되면 적외선 송신용 소자(4a)는 제 2 오목렌즈(5b)에 근접하게 되어 제 2 오목렌즈(5b)를 통해 적외선 광을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엑츄에이터의 1단계 상승을 위한 제어시 송신 제어부(1)에서 제1고정용 전자석(2d)-제1유동용 전자석(2a), 제2고정용 전자석(2e)-제2유동용전자석(2b), 제3고정용전자석(2f)-제3유동용전자석(2c)에는 척력 신호를 주고, 제1고정용전자석(2d)-제2유동용전자석(2b), 제2고정전용자석(2d)-제3유동용전자석(2c)에는 인력 신호를 주면 엑츄에이터(3)이 상승하여 제1고정용전자석(2d)의 위치에 제2장착용전자석(2b)이, 제2고정용전자석(2e)의 위치에 제3장착용전자석(2c)이 위치된다. 이에 따라 작동봉이 1단계 상승하게 되면 적외선 송신용 소자는 제 4 오목렌즈(5d)에 근접하게 되어 제 4 오목렌즈(5d)를 통해 적외선 광을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봉의 2단계 하강을 위한 제어시 제3고정용전자석(2f)과 같은 위치에 제1유동용전자석(2a)이 위치되고, 이에 따라 적외선 송신용 소자(4a)는 제 1 오목렌즈(5a)를 통해 적외선 광을 출력하게 되고, 엑츄에이터(3)의 2단계 상승을 위한 제어시 제1고정용전자석(2d)과 같은 위치에 제3유동용전자석(2c)이 위치되며, 이에 따라 적외선 송신용 소자는 제 5 오목렌즈(5e)를 통해 광을 출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움직임 속도 조절수단(6)을 더 부가 설치하는바, 엑츄에이터(3)의 하단에 돌출 성형되며, 상기 엑츄에이터(3)에 다수개의 끼움용 홀(6a)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용 홀에 엑츄에이터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는 무게조절용 핀(6b)을 삽입 설치하여 엑츄에이터(3)의 움직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끼움용 홀(6a)에 무게조절핀(6b)을 삽입 설치하되, 1개의 무게조절핀을 설치하면 작동봉이 가볍기 때문에 빠른 유동이 가능하고, 3개의 무게조절핀을 설치하면 작동봉이 무겁기 때문에 느린 유동이 가능하다.
상기 움직임 속도 조절수단은 엑츄에이터(3)의 움직임을 빠른게 할 것인지 느리게 할 것인지를 조절하는바, 이는 엑츄에이터(3)가 너무 빠르게 움직이면 민감도가 높아지고, 엑츄에이터(3)가 너무 느리게 움직이면 반응속도가 느려지므로 사용자가 엑츄에이터(3)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사용자가 민감도를 높이고 싶으면 무게조절핀(6b)을 1개만 삽입 결합시키고, 민감도를 낮추고 싶으면 무게조절핀(6b)을 3개까지 삽입 결합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끼움용 홀(6a)과 무게조절핀(6b)의 갯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끼움홀(6a)과 3개의 무게조절핀(6b)을 예시하여 설명을 보다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먼지가 기준이상 검출되어 알림상황이 발생하면 먼지 측정계산부(3000)가 통신신호 자동출력부(1000)를 통해 알림상황을 디스플레이하여 빠른 시간내에 해결토록 유도하는바, 상기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전원부(1110)와,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릴레이 스위치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제 2 회로 연결 스위치(sw2)와, 통신 제어부(1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부(111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킨다.
상기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Q1)는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킨다.
상기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Q2)는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동작에 상응하여 동작하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킨다.
상기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Q3)는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킨다.
상기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Q4)는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킨다.
상기 릴레이 스위치(RL1)는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는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 2 통신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는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신신호가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통해 출력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통신 제어부(1120)는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통신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통신신호 작동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간격유지수단(1133a)과,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킨다.
상기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은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통신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 1 탄성유지수단(1133)은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제 1 탄성유지수단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서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제 1 탄성유지수단이 겹쳐지면서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어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1131)이 동작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통신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한다.
상기 간격유지수단(1133a)은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제 1 탄성유지수단(1133)이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을 해체시에 상기 간격유지수단의 작용으로 보다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한다. 만약에 간격유지수단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의 직접 붙게 되므로 나중에 상호 분리가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간격유지수단(1133a)을 더 부가 설치하여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수동 작동 스위치(1135)는 회로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통신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되어 통신신호 출력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통신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한다.
이하에서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통신신호 출력을 위한 제어관계를 살펴보면, 제어부에서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릴레이 스위치(RL1)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가 온 되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인가되어 통신신호가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작동하면 제어부는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작동을 차단하여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시키고,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작동시킨다.
한편, 만약 작업자가 통신신호가 출력되는 도중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 및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제어부에서 이를 파악하게 되고, 그러면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작동시켜 릴레이 스위치가 작동되도록하여 철편을 이동시키면서 폐회로를 유지시키고 동시에 통신신호 제어부(1140)로 출력되는 전원을 복귀시켜 계속적으로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알림 요인을 해결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통신신호를 출력시키도록하여 반드시 알림 요인을 해결하도록 유도한다.
즉, 제어부에서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스위칭 신호를 인가하면 다시 전원을 복귀시켜 통신신호가 자동으로 출력되며, 이에 따라 알림 상황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통신신호를 차단하더라도 다시 재작동되므로 작업자로 하여금 통신신호의 발생원인을 확실하게 해결토록 유도할 수 있다.
만약에 제어부에서 더이상 통신신호의 출력이 필요없다고 인정되면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더이상 전원신호를 인가하지 않게 되므로 이때에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통신신호를 수동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11: 황토 제공용 호퍼
12: 볏짚 제공용 호퍼
13: 왕겨 제공용 호퍼
14: 우모 제공용 호퍼
15: 찹쌀가루 제공용 호퍼
20: 믹서
40: 블록 성형기
50: 파레트
101: 왕겨 적재함
102: 송풍기
103: 왕겨 회전공급통
104: 왕겨 수직절단용 칼날부
105: 모터부
106: 수평 칼날부
107: 수직 칼날부
1000: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2000: 먼지 측정수단
3000: 먼지 측정 계산부
4000: 디스플레이

Claims (5)

  1. 황토를 제공하기 위해 황토를 저장한 황토 제공용 호퍼(11)와;
    볏짚을 제공하기 위해 볏짚 제공용 호퍼(12)와;
    왕겨를 제공하기 위한 왕겨 제공용 호퍼(13)와;
    우모를 제공하기 위한 우모 제공용 호퍼(14)와;
    찹쌀가루액을 제공하기 위한 찹쌀가루 제공용 호퍼(15)와;
    상기 황토 제공용 호퍼(11)로부터 황토를 제공받고, 볏짚 제공용 호퍼(12)로부터 볏짚을 제공받으며, 왕겨 제공용 호퍼(13)로부터 왕겨를 제공받고, 우모 제공용 호퍼(14)로부터 우모를 제공받고, 찹쌀가루액 제공용 호퍼(15)로부터 찹쌀가루액을 제공받아 이들을 혼합한후 황토패널반죽을 출력하기 위한 믹서(20)와;
    상기 믹서로부터 출력되는 황토 반죽을 입력받으며, 제작된 금형의 형태에 따라 진동과 압력으로 압축 성형시키는 블록성형기(40)와;
    상기 블록성형기 아래로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하면서 블록성형기로부터 출력되는 황토블록을 담아 이송시키는 파레트(5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왕겨 제공용 호퍼(13)에 제공되는 왕겨는,
    최초로 왕겨를 삽입시켜 저장하는 왕겨 적재함(101)과;
    상기 왕겨 적재함의 하단에 위치되며 왕겨 적재함에 담긴 왕겨를 다른 장소로 이송시키기 위해 바람을 제공하는 송풍기(102)와;
    상기 송풍기에 연결되며 송부기를 통해 왕겨를 제공받되 내부에서 왕겨가 회전되면서 서서히 공급되도록 하는 왕겨 회전공급통(103)과;
    상기 왕겨 회전공급통의 하단에 위치되며 호퍼를 통해 왕겨를 제공받고 내부 칼날을 이용하여 왕겨를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시키는 왕겨 수직 절단용 칼날부(104)와;
    상기 왕겨 수직 절단용 칼날부에 삽입설치되며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105)와;
    상기 모터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모터의 회전에 상응하여 수평 회전하는 수평 칼날부(106)와;
    상기 수평 칼날부의 끝단부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수평 칼날부의 회전에 상응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왕겨를 수직 절단시키는 수직 칼날부(107)를 통해 제작하며;

    상기 왕겨 수직 절단용 칼날부 일단에 설치되어 먼지를 측정하는 먼지 측정수단과;
    상기 먼지 측정수단에 의해서 먼지가 기준이상 검출되면 알림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황토패널의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측정수단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는 구성하고;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액추에이터(3)에 권취되어 소정거리 이격되게 장착되는 다수의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인접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용 전자석(2d,2e,2f)로 이루어지는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2)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에 전류를 흘려 자성을 형성시키고 이 자성에 의해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 사이에 척력과 인력을 발생시켜 액추에이터(3)를 구동시키는 송신 제어부(1)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하단에 설치되어 적외선 송신기를 전후로 유동시키는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4)과; 상기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에 설치되는 적외선 송신기의 출력을 변동시키기 위한 오목렌즈군(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4)은,
    액추에이터(3)의 일측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오목렌즈군(5)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외부로 출력하는 적외선 송신용 소자(4a)와, 상기 적외선 송신용 소자(4a)를 유동시키기 위한 이동바(4b)와, 상기 이동바를 움직여서 적외선 송신용 소자를 좌우로 유동시키는 솔레노이드(4c)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황토패널의 제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3)의 하단에는, 작동 민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끼움용 홀(6a)과, 상기 끼움용 홀에 삽입 설치되는 제 1 내지 제 3 무게조절핀(6b)을 포함하는 움직임 속도 조절수단(6)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황토패널의 제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렌즈군(5)은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의 움직임 작동에 의해서 함몰 정도가 다른 렌즈가 선택되면서 다른 강도의 적외선 광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25도인 제 3 오목렌즈(5c)와;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15도인 제 2 오목렌즈(5b)와;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며 제 2 오목렌즈(152)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5도인 제 1 오목렌즈(5a)와;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35도인 제 4 오목렌즈(5d)와;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4 오목렌즈(5d)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45도인 제 5 오목렌즈(5e)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황토패널의 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키는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Q1)와;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동작에 상응하여 동작하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Q2)와;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키는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Q3)와;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Q4)와;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RL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신신호가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통해 출력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통신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통신상태를 지속시키는 통신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통신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제 1 탄성유지수단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서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제 1 탄성유지수단이 겹쳐지면서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어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고, 이때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1131)이 동작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통신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제 1 탄성유지수단(1133)이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유지수단(1133a)과;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통신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통신신호 출력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통신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황토패널의 제조장치.
KR1020180031178A 2018-03-16 2018-03-16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황토패널의 제조장치 및 상기 제조장치에 의해서 제조되는 황토패널 KR201901091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178A KR20190109158A (ko) 2018-03-16 2018-03-16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황토패널의 제조장치 및 상기 제조장치에 의해서 제조되는 황토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178A KR20190109158A (ko) 2018-03-16 2018-03-16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황토패널의 제조장치 및 상기 제조장치에 의해서 제조되는 황토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158A true KR20190109158A (ko) 2019-09-25

Family

ID=68068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178A KR20190109158A (ko) 2018-03-16 2018-03-16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황토패널의 제조장치 및 상기 제조장치에 의해서 제조되는 황토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91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533A1 (ko) 2019-09-03 2021-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어로겔 블랭킷
WO2021045528A1 (ko) 2019-09-03 2021-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533A1 (ko) 2019-09-03 2021-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어로겔 블랭킷
WO2021045528A1 (ko) 2019-09-03 2021-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9158A (ko)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황토패널의 제조장치 및 상기 제조장치에 의해서 제조되는 황토패널
KR20000036357A (ko) 원적외선이 방사되게한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108203284A (zh) 一种节能保温隔音环保建筑砂浆及其制备方法
KR100302884B1 (ko) 황토제품제조방법
JP2002167287A (ja) 多孔性焼成物
KR200486240Y1 (ko)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황토패널의 제조장치
KR20190109159A (ko)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황토패널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황토패널
CN110128090A (zh) 一种黄土泥秸秆树脂免烧生态砖及其制备方法
KR101850349B1 (ko)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황토패널의 제조방법
KR100272222B1 (ko) 건축 자재 및 그 제조 방법
KR0150746B1 (ko) 건축 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07860A (ko) 자연소재 건축자재
KR100799243B1 (ko) 다공성 흡차음재를 이용한 건축물 층간바닥구조체의제조방법 및 다공성 흡차음재를 이용한 건축물측벽구조체의 제조방법
CN103669770A (zh) 一种无机纤维节能保温装饰复合板
KR100355186B1 (ko) 건축용 황토판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12538A (ko) 현장 시공형 경량 벽체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경량 벽체 제조 방법
KR20100106682A (ko) 건축 내장용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0674644B1 (ko) 건물용 황토방
CN104326721A (zh) 一种墙体保温除污消毒阻燃的植物纤维及其制备方法
KR20120043190A (ko) 황토벽돌 및 그 제조방법
KR102448585B1 (ko) 머드를 이용한 침대용 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JP3819837B2 (ja) 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断熱パネル、および断熱パネルの施工方法
KR100356325B1 (ko) 숯을 이용한 온돌용 패널 제조방법 및 그 패널
KR200292673Y1 (ko) 불연 및 경량성 내장판넬
CN100402257C (zh) 可浮于水面的石材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