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223Y1 - 광원을 갖는 모바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화원 시뮬레이션 장치 - Google Patents

광원을 갖는 모바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화원 시뮬레이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223Y1
KR200486223Y1 KR2020170004549U KR20170004549U KR200486223Y1 KR 200486223 Y1 KR200486223 Y1 KR 200486223Y1 KR 2020170004549 U KR2020170004549 U KR 2020170004549U KR 20170004549 U KR20170004549 U KR 20170004549U KR 200486223 Y1 KR200486223 Y1 KR 2004862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unit
mobile device
fl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5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원
백남호
Original Assignee
한국발전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발전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발전기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45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2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2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2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4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simulating fl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1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permanently, e.g. welding, gluing or rive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H05B37/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21Y2113/1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 F21Y2113/13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comprising an assembly of 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원을 갖는 모바일 장치를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발전소에서 화염발생 등을 검출하는 화염 검출기(Flame scanner)의 정상구동 여부를 테스트하는 광원을 갖는 모바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화원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레벨로 발광하는 가변 광원 및 이의 제어수단이 탑재된 모바일 장치 및 그 가변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형태를 변환하는 광 변환수단을 통해 점화원 시뮬레이션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화염의 상태를 가상으로 재현하여 화염 검출기의 실질적인 동작을 확인할 수 있고, 그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광원을 갖는 모바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화원 시뮬레이션 장치{MOBILE TERMINAL DEVICE HAVING LIGHT SOURCE AND SIMULATION DEVICE FOR IGNITER USING THE SAME}
본 고안은 광원을 갖는 모바일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전소에서 화염발생 등을 검출하는 화염 검출기(Flame scanner)의 정상구동 여부를 테스트하는 광원을 갖는 모바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화원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불은 여러 가지의 연소반응에 의해 나타나는데, 그 표출 형태는 열, 연기, 연소가스, 복사 등으로 나타난다. 이중 열복사로 빛이 방출되는데, 그 빛은 화염의 온도에 따라, 각각 특성이 다른 파장을 가지며, 이러한 파장의 차이로 인해, 화염으로부터 나오는 광원은 자외선, 가시광선 및 적외선 등 파장의 영역이 다른 세 가지로 대별된다.
이러한 화염의 상태를 검출하는 데 이용되는 장치로서, 화염 검출기(Flame scanner)는 광학적인 특성에 기초하여 해상도 높은 광 센서로 각각의 광원을 인식하고, 화염의 상태에 해당하는 광원을 식별하게 된다.
특히, 화염 검출기는 발전소 등에서 버너와 같은 설비에 대한 화염을 검출하는 데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화염검출기의 특성상 고온의 환경에서 장기간 노출되어 운용될 수 있고, 대부분의 화염 검출기는 별도의 고장 유무를 확인할 수 없는 수단이 탑재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상기 화염검출기의 고장 유무를 미연에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온의 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됨에 따라 화염 검출기 내부 전자 부품, 즉 감지센서와 증폭기가 손상되어 내구성이 저하되어 오작동으로 인해 발전소의 발전 시스템이 정지되는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402726호(공고일자: 2003.10.22.) 등록특허공보 제10-0856291호(공고일자: 2008.09.03.)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발전소 등의 화염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화염 검출기의 정상 작동여부를 용이하게 테스트할 수 있는 광원을 갖는 모바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화원 시뮬레이션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원을 갖는 모바일 장치는, 광을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체를 포함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에 의해 출력되는 광의 주파수 및 밝기를 일정 레벨단위로 제어하는 광원 제어부와, 상기 광원부가 발전소 버너에서 발생하는 화염 상태와 대응되는 점화원 광을 방출하도록 상기 광원 제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화원 시뮬레이션 장치는, 광을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체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체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주파수 및 밝기를 일정 레벨단위로 제어하되, 버너에서 발생하는 화염 상태와 대응되는 점화원 광을 방출하도록 제어하는 모바일 장치와, 상기 발광체에 대응되도록 부착되며, 상기 점화원 광을 집광하는 제1 및 제2 렌즈부가 탑재되는 보조 광 변환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레벨로 발광하는 가변 광원 및 이의 제어수단이 탑재된 모바일 장치 및 그 가변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형태를 변환하는 광 변환수단을 통해 점화원 시뮬레이션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화염의 상태를 가상으로 재현하여 화염 검출기의 실질적인 동작을 확인할 수 있고, 그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구조를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외관을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점화원 시뮬레이션 장치를 구조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점화원 시뮬레이션 장치에 포함되는 보조 광 변환장치에 대한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및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에 의해 독립적인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를 가리킬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 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을 갖는 모바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화원 시뮬레이션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구조를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100)는 광을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체를 포함하는 광원부(110), 광원부(110)에 의해 출력되는 광의 주파수 및 밝기를 일정 레벨단위로 제어하는 광원 제어부(120) 및 광원부(110)가 발전소 버너에서 발생하는 화염 상태와 대응되는 점화원 광을 방출하도록 상기 광원 제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점화원 광의 레벨을 입력받는 버튼부(140), 점화원 광의 주파수 및 밝기를 스펙트럼 이미지로 변환하는 이미지 처리부(150) 및 스펙트럼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110)는 하나 이상의 발광체 및 커버렌즈를 포함할 수 있고, 소정의 레벨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발광체는 여러 종류의 광원을 조합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박단소의 특징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LED)가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발광부(110)는 복수의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 또는, 복수의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는 430 nm 내지 440 nm 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이는 실제 버너에서 발생하는 화염의 파장이 약 430nm 임에 따라 이와 유사 내지 동일한 조건을 구현하기 위함이다.
즉, 발광부(110)는 발전소 버너에서 발생하는 화염과 거의 동일하거나 소정의 오차 범위 이내에서 동일한 밝기(Intensity)와 주파수(Frequency)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광원 제어부(120)는 발광부(110)가 방출하는 광의 발광 주파수 및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광원 제어부(120)는 발광부(110)를 점등 및 점멸시키는 역할을 하며, 소정의 PWM 발진기 및 LED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광원 제어부(120)는 미리 저장된 설정값 혹은, 후술하는 설정판 제공부(170)에 의해 갱신된 설정값에 대응하여 발광부(110)의 발광 주파수 및 밝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테스트 하고자 하는 화염 검출기의 사양에 따라 점화원 광이 발광 주파수 및 밝기를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모바일 장치(100)에서 광원부(110)는 일반적인 카메라 플래쉬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고, 광원 제어부(120)는 모바일 장치(100)의 카메라 구동시 미리 정의된 설정값에 따라 카메라 플래쉬에 대응하는 광의 발광 주파수 및 밝기로 광원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모바일 장치(100)의 각 구성부인 광원부(110) 및 광원 제어부(120)와, 후술하는 이미지 처리부(150)가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버튼부(140)에 대한 조작 내용을 구성부들의 제어부에 반영할 수 있고, 설정판 제공부(170)에 의해 설정된 설정값을 제어에 반영할 수 있다.
버튼부(140)는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1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장치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의도에 따라 버튼부(140)의 조작에 따라 발광부(110)를 점등 및 점멸하거나, 제어정보에 정의된 점화원 광의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버튼부(140)는 실제 물리적인 버튼 키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부(160)에 의해 구현되는 가상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150)는 현재 광원부가 방출하는 광원의 주파수 및 밝기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소정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는 광의 강약에 따라 색상이 적색에서 청색으로 배열되는 스펙트럼 이미지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미지 처리부(150)는 광원의 주파수 및 밝기에 대응하는 수치값을 스펙트럼 이미지와 중첩되거나, 또는 별도로 화면상에 더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160)는 모바일 장치(100)의 구동에 따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부(160)는 광원부(110)의 점등시, 이미지 처리부(150)에 의해 생성된 점화원 광의 주파수 및 밝기에 대한 정보 등을 스펙트럼 이미지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부(16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값 제공부의 실행에 따른 GUI 형태의 설정판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부(160)로는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 전기영동 표시소자(E-ink) 및 유기발광소자(Organic LED) 등의 평판표시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100)는 광원부(110)의 주파수 및 밝기의 레벨단위를 조절하거나, 화면상의 스펙트럼 이미지의 형태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할 수 있는 설정판을 제공할 수 있다.
설정판 제공부(170)는 전술한 제어정보 및 모바일 장치의 기타 설정값을 수정할 수 있는 환경설정기능을 포함하는 GUI 형태의 설정판을 제공할 수 있다.
설정판은 디스플레이 부(160)를 통해 표시되고, 사용자는 설정판을 통해 점화원 광의 주파수 및 밝기를 재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광원부(110), 광원 제어부(120), 제어부(130), 버튼부(140), 이미지 처리부(150) 및 설정판 제공부(170)는 하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PCB)상에 탑재될 수 있고,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은 모바일 장치(100)의 외관을 이루며 내부로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내에 실장됨에 따라, 모바일 장치(100)는 하나의 모듈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는 버너의 화염과 유사 내지 동일한 점화원 광을 생성함으로써, 발전소 등의 현장 작업자가 화염 검출기에 대한 테스트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화원 시뮬레이션 장치를 구조를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외관을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라 모바일 장치(10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광원부 등의 구성부가 내부에 실장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의 전면으로는 디스플레이 부(160)가 노출되게 되고, 이를 전면 케이스(101)가 테두리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 케이스(101)의 하단으로는 하나 이상의 물리 키로 이루어지는 버튼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부(160)가 터치 패널이 탑재된 구조인 경우, 버튼부(140)는 생략되고, 디스플레이 부(160) 상에 표시되는 가상 키 형태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부(160)의 하단은 예시된 버튼부(140)의 위치까지 확장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100)의 후면으로 광원부(110)가 소정높이로 노출될 수 있다. 광원부(110)는 내부로 LED와 같은 소정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고, 정면으로는 광원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렌즈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광원부(110)는 모바일 장치(100)의 구성부들이 탑재되는 인쇄회로기판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면 케이스(102)의 일측 개구부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전술한 모바일 장치(100)는 일반적인 전화통화 및 데이터 통신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휴대가 용이한 크기로서 작업현장에 위치한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다가 발전소의 화염 검출기의 테스트를 수행하고자 할 때, 모바일 장치(100)를 구동하고, 광원부(110)가 해당 화염 검출기 방향으로 점화원 광을 조사하도록 함으로써, 화염 검출기의 정상 작동 여부를 테스트 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100)의 구동시 점화원 광의 방출과 더불어 주파수 및 밝기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부(160)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작업중인 사용자가 점화원 광의 상태를 스펙트럼 이미지 등으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버튼부(140)의 통해 그 주파수 및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장치(100)에 구비되는 광원부(110)의 렌즈는 빛이 정면으로 집중되지 않아 화염 검출기에서 측정하는 데 있어서 광량이 부족할 수 있으며, 이하,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점화원 시뮬레이션 장치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점화원 시뮬레이션 장치를 구조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점화원 시뮬레이션 장치에 포함되는 보조 광 변환장치에 대한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을 갖는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점화원 시뮬레이션 장치는, 광을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체를 포함하고, 발광체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주파수 및 밝기를 일정 레벨단위로 제어하되, 버너에서 발생하는 화염 상태와 대응되는 점화원 광을 방출하도록 제어하는 모바일 장치(100) 및 모바일 장치(100)의 발광체와 대응되도록 부착되며, 점화원 광을 집광하는 제1 및 제2 렌즈부가 탑재되는 보조 광 변환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00)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후면으로 하나 이상의 발광체가 구비되는 광원부(도 2b의 110)가 탑재될 수 있고, 광원부는 설정에 대응하여 발전소의 버너 등에서 발생하는 화염상태와 대응하는 점화원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점화원 광의 주파수 및 발기는 모바일 장치(100)내 탑재되는 광원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100)의 후면 케이스(102)상에는 노출된 광원부를 덮는 형태로 부착되어 점화원 광을 집광하는 보조 광 변환장치(300)가 배치될 수 있다.
보조 광 변환장치(300)는 광원부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광원부가 내부영역에 대응되도록 부착되며, 내부영역내 배치된 하나 이상의 렌즈부에 의해 집광되어 정면방향으로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사방으로 확산되는 광원부의 점화원 광을 화염 검출기 방향으로 집중되도록 한다.
특히, 전술한 보조 광 변환장치(300)는 모바일 장치(100)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구조임에 따라, 접촉부분에서 스크래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모바일 장치(100)의 후면 케이스(102) 표면상에 코팅층 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코팅층은 산화크롬(Cr2O3)이 96 % 내지 98 % 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이 2 % 내지 4 % 중량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후면 케이스 (102)의 표면에 용사되는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고, 그 두께는 약 100 ㎛ 내지 600 ㎛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코팅층은 반복된 마모 방지 및 부식 방지가 주목적이며, 세라믹 도포는 크롬도금 또는 니켈크롬도금에 비해 내부식성,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산화크롬(Cr2O3)은, 금속 내부로 침입하는 산소를 차단시키는 부동태피막(Passivity Layer)의 역할을 함으로써 녹이 잘 슬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이산화티타늄(TiO2)은, 물리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이고 은폐력이 높아서 백색안료로 많이 이용되며, 굴절율이 높아 고굴절율의 세라믹스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광촉매적 특성과 초친수성의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이산화티타늄(TiO2)은, 공기정화 작용, 항균작용, 유해물질 분해작용, 오염방지 기능, 변색 방지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이산화티타늄(TiO2)은, 코팅층이 후면 케이스(102)의 외주면에 확실하게 피복되도록 하며, 코팅층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 코팅층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산화크롬(Cr2O3) 및 이산화티타늄(TiO2)의 혼합비가 전술한 바와 같이, 산화크롬(Cr2O3)이 96 % 내지 98 %에 이산화티타늄(TiO2)이 2 % 내지 4 %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산화크롬(Cr2O3)의 혼합비율이 96% 내지 98% 보다 적을 경우, 고온 등의 환경에서 산화크롬(Cr2O3)의 피복이 손상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되었으며, 이산화티타늄(TiO2)의 혼합비율이 2% 내지 4%보다 적을 경우, 이산화티타늄(TiO2)에 의한 기능이 발현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점화원 시뮬레이션 장치의 보조 광 변환장치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광 변환장치의 구조를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보조 광 변환장치(300)는, 크게 외관을 이루며, 제1 렌즈부(320)가 실장되는 내부영역이 형성되고, 전면으로 상기 제2 렌즈부(330)가 결합되는 개구영역이 형성되는 몸체부(310) 및 상기 몸체부의 배면으로 배치되고, 상기 모바일 장치의 후면 케이스상에 흡착 및 고정되는 흡착부(350)를 포함 할 수 있다.
몸체부(310)는 합성 수지재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외관이 직육면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의 정면으로는 점화원 광이 외부로 조사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고, 그 개구부는 내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점화원 광이 통과하는 공간인 내부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영역으로는 광원부에서 출광된 점화원 광을 집광하는 제1 렌즈부(320)가 배치될 수 있고, 내부영역의 내측면으로는 반사를 위한 반사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310)의 개구부에는 내부영역을 보호하고 제1 렌즈부(320)를 통과한 점화원 광이 정면방향을 향하도록 굴절시키는 제2 렌즈부(33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310)의 후면으로는 모바일 장치와의 결합을 위한 흡착부(350)가 형성될 수 있다.
흡착부(350)는 'O' 자형의 흡착성 및 연성이 있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적어도 모바일 장치의 발광부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발광부의 전 영역을 덮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모바일 장치(100)의 후면 케이스상에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흡착부(350)는 모바일 장치상에 부착시 그 상태가 계속 유지되어야 하는 동시에, 잦은 탈부착에도 변형 내지 파손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재질로 제조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흡착부(350)를 이루는 주 재료인 합성 수지재에는 비산방지플레이트가 첨가될 수 있고, 내산화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페놀계 산화방지제인 BHT(2,6-DI-BUTYL-4-METHYLPHENOL)가 더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BHT는 내오존성 및 내산화성을 증가시키며, 비산방지플레이트(110)의 부식 및 산화를 방지시킨다.
또한, 흡착부(350)는 합성 수지재와 BHT의 합이 100 중량부일 경우, BHT는 0.3 ~ 1.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BHT의 첨가량이 상술된 범위보다 적은 경우에는 내산화성을 획득하기 어려우며, 상술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직의 밀도 및 견고성에 영향을 주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제시된 성분비에 따르면 내구성 및 흡착성이 최대한 확보되게 된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 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모바일 장치 101 : 전면 케이스
102 : 후면 케이스 110 : 광원부
140 : 버튼부 160 : 디스플레이 부
300 : 보조 광 변환장치 310 : 몸체부
320 : 제1 렌즈부 330 : 제2 렌즈부
350 : 흡착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광을 방출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체를 포함하는 광원부가 탑재되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주파수 및 밝기를 일정 레벨단위로 제어하되, 버너에서 발생하는 화염 상태와 대응되는 점화원 광을 방출하도록 제어하는 모바일 장치; 및
    상기 광원부의 광 방출면에 부착되며, 상기 점화원 광을 집광하는 제1 및 제2 렌즈부가 탑재되는 보조 광 변환장치
    를 포함하는 점화원 시뮬레이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광 변환장치는,
    외관을 이루며, 상기 제1 렌즈부가 실장되는 내부영역이 형성되고, 전면으로 상기 제2 렌즈부가 결합되는 개구영역이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배면으로 배치되고, 상기 모바일 장치의 후면 케이스상에 흡착 및 고정되는 흡착부
    를 포함하는 점화원 시뮬레이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페놀계 산화방지제가 첨가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점화원 시뮬레이션 장치.
KR2020170004549U 2017-08-28 2017-08-28 광원을 갖는 모바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화원 시뮬레이션 장치 KR2004862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549U KR200486223Y1 (ko) 2017-08-28 2017-08-28 광원을 갖는 모바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화원 시뮬레이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549U KR200486223Y1 (ko) 2017-08-28 2017-08-28 광원을 갖는 모바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화원 시뮬레이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223Y1 true KR200486223Y1 (ko) 2018-04-18

Family

ID=62079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549U KR200486223Y1 (ko) 2017-08-28 2017-08-28 광원을 갖는 모바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화원 시뮬레이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223Y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5358A (ja) * 1998-04-24 2000-02-22 Electrowatt Technol Innov Ag 火炎検出器
KR100402726B1 (ko) 2000-12-22 2003-10-22 한전기공주식회사 이동형 화염 감시설비 진단장비
JP2004132660A (ja) * 2002-10-11 2004-04-30 Toho Gas Co Ltd 携帯用のバーナ動作診断器及びバーナ動作診断方法
KR100856291B1 (ko) 2006-11-14 2008-09-03 삼성전기주식회사 가변 플래쉬를 갖는 휴대 카메라 장치
KR20090072074A (ko) * 2007-12-28 2009-07-0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화염검출기 진단장비
JP2013134539A (ja) * 2011-12-26 2013-07-08 Tokyo Parts Ind Co Ltd 火炎監視装置
KR200479133Y1 (ko) * 2015-06-11 2015-12-22 한국발전기술주식회사 화염 검출 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
JP2016218003A (ja) * 2015-05-26 2016-12-22 アズビル株式会社 火炎検出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5358A (ja) * 1998-04-24 2000-02-22 Electrowatt Technol Innov Ag 火炎検出器
KR100402726B1 (ko) 2000-12-22 2003-10-22 한전기공주식회사 이동형 화염 감시설비 진단장비
JP2004132660A (ja) * 2002-10-11 2004-04-30 Toho Gas Co Ltd 携帯用のバーナ動作診断器及びバーナ動作診断方法
KR100856291B1 (ko) 2006-11-14 2008-09-03 삼성전기주식회사 가변 플래쉬를 갖는 휴대 카메라 장치
KR20090072074A (ko) * 2007-12-28 2009-07-0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화염검출기 진단장비
JP2013134539A (ja) * 2011-12-26 2013-07-08 Tokyo Parts Ind Co Ltd 火炎監視装置
JP2016218003A (ja) * 2015-05-26 2016-12-22 アズビル株式会社 火炎検出システム
KR200479133Y1 (ko) * 2015-06-11 2015-12-22 한국발전기술주식회사 화염 검출 장치용 시뮬레이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6493B2 (ja) 顕微鏡本体と、室内での顕微鏡の支持機能又は位置決めを実現するための複数の構成部品からなるスタンドとを備えた顕微鏡
JP2008041550A5 (ko)
US7582840B2 (en) User control interface
US8987656B2 (en) Optical finger navigation device having an integrated ambient light sensor and electronic system comprising the same
TWI578876B (zh) 電子設備殼體
US20130063050A1 (en) Electronic device, light emitting unit, and light-transmissive panel
CN110809528B (zh) 车辆用显示装置、拍摄系统以及照明装置
KR200486223Y1 (ko) 광원을 갖는 모바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화원 시뮬레이션 장치
JP4659155B2 (ja) 目視検査用ライト
US7777696B2 (en) Display associated with a treatment device for dental material
WO2008111275A1 (ja) 照明装置及び画像投写装置
JP2010266613A (ja) 積層着色層からなる透過領域を備えた発光表示装置
TW200505524A (en) Infrared radiator and irradiation apparatus
JP3580299B2 (ja) コード読取装置
CN111308106A (zh) 样本分析装置的状态报知方法及样本分析系统
JP2003124700A (ja) 撮像装置
TW201705170A (zh) 按鍵結構及應用按鍵結構的電子裝置
JPH11259026A (ja) 面照光表示装置
KR20140109207A (ko) 부품 촬영 장치
JP2012074550A (ja) 照明素子、照明素子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および照明素子を用いた表示装置
JP3165378B2 (ja) 面照光表示装置
KR20090004821U (ko) 도광판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 시계
TWI775618B (zh) 發光鍵盤
WO2002076870A1 (fr) Unite d'affichage d'ascenseur
JPH09185337A (ja) 面照光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